소장정보
서가번호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소장처 | 대출가능여부 | 대출정보 | |
---|---|---|---|---|---|---|
0016479 | 911.06 이55ㅇ | 농림축산식품부 자료실 | 대출가능 |
* 대출중인 자료에 한하여 예약이 가능합니다. 예약을 원하시면 예약버튼을 클릭하십시오.
008080906s2008 ulk 001a kor
020 ▼a9788959331192▼g93900▼c\28000
056 ▼a911.06▼24
090 ▼a911.06▼b이55ㅇ
1001 ▼a이송순
24500▼a일제하 전시 농업정책과 농촌 경제▼d이송순 저
260 ▼a서울▼b선인▼c2008
300 ▼a430 p.▼c24 cm
44000▼a선인한국학 연구총서▼v033
504 ▼a참고문헌 : p.406-420, 색인 수록
536 ▼a2006년 정부(교육인적자원부)의 재원으로 한국학술진흥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653 ▼a일제강점기▼a농정
7001 ▼a이송순
9500 ▼b\28000
서론 = 17
1. 식민지 근대와 농업, 그리고 전쟁 = 19
2. 기존 연구성과 검토 = 23
1) 식민농정과 조선 농촌사회 = 23
2) 전시체제 성립과 전시 농정 = 31
3. 연구 과제와 책의 구성 = 39
1) 연구 과제 = 39
2) 책의 구성 = 45
제1장 전시 농업통제정책의 전개 = 49
1절 전시 농업통제정책으로의 전환(1937년 7월~1939년 12월) = 51
1. 1930년대 식민농정의 변화 = 51
2. 전시 식량문제의 대두 = 60
3. 증산 및 동원체제의 수립 = 67
1) 농촌진흥운동의 성격 변화 - '자력갱생'에서 '생업보국'으로 = 67
2) 국민정신총동원운동을 이용한 증산 및 전시 동원 = 72
2절 전시 농업통제정책의 성립(1940년 1월~1943년 7월) = 77
1. 식량 수급 불균형과 유통 소비통제 실시 = 77
2. '농산촌생산보국운동'의 전개 - '부락' 단위 동원에 의한 증산 = 86
3. 생산 효율성 제고를 위한 '조선농촌재편성계획' 구상 = 93
3절 전시 농업통제정책의 파행(1943년 8월~1945년 8월) = 101
1. 식량 부족 심화와 내핍 강요 = 101
2. '조선농업계획' 실시 - 이데올로기 선전 강화와 강제 동원 및 수탈 = 105
제2장 생산ㆍ유통ㆍ소비부문에 대한 통제와 동원 = 117
1절 생산 - 식량 증산정책의 성격 변화 = 119
1. 미곡 증산정책의 전개 = 119
1) 경종법 개선 중심의 조선증미계획 = 119
2) 토지개량사업 시행의 한계 = 124
2. '미곡중점주의' 정책의 수정과 잡곡 증산 = 135
1) 잡곡의 효용성 대두와 식량전작물증산계획 = 135
2) 잡곡 우선의 응급적 증산 = 144
2절 유통 - 식량 공출정책 실시와 저항 = 148
1. 공출제도 강화 = 148
1) '생산과잉지역' 우선의 공출(1940~1942년) = 148
2) 전체 농민에 대한 강제 공출(1943~1945년) = 161
3) 농업생산책임제와 사전할당제 = 166
2. 공출에 대한 농민 저항 = 172
3절 소비 - 식량 배급제도 실시 = 179
1. 소비절약운동과 배급정책 = 179
2. 도시와 농촌의 배급 실상 = 188
1) 도시의 식량 배급제도 = 188
2) 농촌의 자가보유미제와 환원배급 = 198
제3장 농업 생산조건의 변화와 생산력 저하 = 205
1절 노동력 동원과 노동력 부족 대책 = 207
1. 농업노동력 동원과 유출 실태 = 207
1) 노동력 동원정책의 시기별 특성 = 207
2) 농업노동력 유출 실태 = 211
2. 농업노동력 부족에 대한 조정 = 226
1) 공동노동과 부녀노동 활용 = 226
2) 노동력 부족 심화와 최소 노동력 확보 = 241
2절 비료 수급 악화와 생산력의 한계 = 249
1. 판매비료의 공급 감소 = 249
1) '개량농법' 보급과 비료 증투 = 249
2) 판매비료의 수급 악화 = 255
2. 자급비료 중심의 비료 확보 = 265
제4장 농촌 경제생활의 변화 = 273
1절 지주경제의 약화 = 275
1. 전시체제기 지주권 제약 정책 = 275
1) 소작입법 강화 = 275
2) 자작농지설정사업 확대 = 285
2. 전시 통제하 지주경제의 약화 = 290
2절 농가경제의 악화 = 305
1. 농가수지의 '강제된 잉여'와 강제저축 = 305
1) 농가수지 상황 = 305
2) 강제저축을 통한 '잉여' 흡수 = 318
2. 최대노동과 최저생활의 모순 = 330
3절 농촌 장시(場市) 통제와 암거래 확산 = 335
1. 농촌 장시 통제 = 335
1) 총독부의 장시정책과 장시 성격 변화 = 335
2) 전시체제기 장시 통제정책 = 343
2. 암거래(闇去來) 확산 = 348
4절 식생활의 악화 = 367
1. 농민 식생활 실태 = 367
2. 식량배급 감소와 대용식 장려 = 378
결론 = 389
참고문헌 = 407
찾아보기 = 421
1. 식민지 근대와 농업, 그리고 전쟁 = 19
2. 기존 연구성과 검토 = 23
1) 식민농정과 조선 농촌사회 = 23
2) 전시체제 성립과 전시 농정 = 31
3. 연구 과제와 책의 구성 = 39
1) 연구 과제 = 39
2) 책의 구성 = 45
제1장 전시 농업통제정책의 전개 = 49
1절 전시 농업통제정책으로의 전환(1937년 7월~1939년 12월) = 51
1. 1930년대 식민농정의 변화 = 51
2. 전시 식량문제의 대두 = 60
3. 증산 및 동원체제의 수립 = 67
1) 농촌진흥운동의 성격 변화 - '자력갱생'에서 '생업보국'으로 = 67
2) 국민정신총동원운동을 이용한 증산 및 전시 동원 = 72
2절 전시 농업통제정책의 성립(1940년 1월~1943년 7월) = 77
1. 식량 수급 불균형과 유통 소비통제 실시 = 77
2. '농산촌생산보국운동'의 전개 - '부락' 단위 동원에 의한 증산 = 86
3. 생산 효율성 제고를 위한 '조선농촌재편성계획' 구상 = 93
3절 전시 농업통제정책의 파행(1943년 8월~1945년 8월) = 101
1. 식량 부족 심화와 내핍 강요 = 101
2. '조선농업계획' 실시 - 이데올로기 선전 강화와 강제 동원 및 수탈 = 105
제2장 생산ㆍ유통ㆍ소비부문에 대한 통제와 동원 = 117
1절 생산 - 식량 증산정책의 성격 변화 = 119
1. 미곡 증산정책의 전개 = 119
1) 경종법 개선 중심의 조선증미계획 = 119
2) 토지개량사업 시행의 한계 = 124
2. '미곡중점주의' 정책의 수정과 잡곡 증산 = 135
1) 잡곡의 효용성 대두와 식량전작물증산계획 = 135
2) 잡곡 우선의 응급적 증산 = 144
2절 유통 - 식량 공출정책 실시와 저항 = 148
1. 공출제도 강화 = 148
1) '생산과잉지역' 우선의 공출(1940~1942년) = 148
2) 전체 농민에 대한 강제 공출(1943~1945년) = 161
3) 농업생산책임제와 사전할당제 = 166
2. 공출에 대한 농민 저항 = 172
3절 소비 - 식량 배급제도 실시 = 179
1. 소비절약운동과 배급정책 = 179
2. 도시와 농촌의 배급 실상 = 188
1) 도시의 식량 배급제도 = 188
2) 농촌의 자가보유미제와 환원배급 = 198
제3장 농업 생산조건의 변화와 생산력 저하 = 205
1절 노동력 동원과 노동력 부족 대책 = 207
1. 농업노동력 동원과 유출 실태 = 207
1) 노동력 동원정책의 시기별 특성 = 207
2) 농업노동력 유출 실태 = 211
2. 농업노동력 부족에 대한 조정 = 226
1) 공동노동과 부녀노동 활용 = 226
2) 노동력 부족 심화와 최소 노동력 확보 = 241
2절 비료 수급 악화와 생산력의 한계 = 249
1. 판매비료의 공급 감소 = 249
1) '개량농법' 보급과 비료 증투 = 249
2) 판매비료의 수급 악화 = 255
2. 자급비료 중심의 비료 확보 = 265
제4장 농촌 경제생활의 변화 = 273
1절 지주경제의 약화 = 275
1. 전시체제기 지주권 제약 정책 = 275
1) 소작입법 강화 = 275
2) 자작농지설정사업 확대 = 285
2. 전시 통제하 지주경제의 약화 = 290
2절 농가경제의 악화 = 305
1. 농가수지의 '강제된 잉여'와 강제저축 = 305
1) 농가수지 상황 = 305
2) 강제저축을 통한 '잉여' 흡수 = 318
2. 최대노동과 최저생활의 모순 = 330
3절 농촌 장시(場市) 통제와 암거래 확산 = 335
1. 농촌 장시 통제 = 335
1) 총독부의 장시정책과 장시 성격 변화 = 335
2) 전시체제기 장시 통제정책 = 343
2. 암거래(闇去來) 확산 = 348
4절 식생활의 악화 = 367
1. 농민 식생활 실태 = 367
2. 식량배급 감소와 대용식 장려 = 378
결론 = 389
참고문헌 = 407
찾아보기 = 4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