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료유형
- 전자자료
- KDC
- 529.50732-4
- 청구기호
- 529.50732 해62ㅅ
- 단체저자
- 해양수산부
- 서명/저자
- 수산물 품질인증 및 선정기준 개편에 관한 연구 / 해양수산부 ; 한국해양수산개발원 [공편]
- 발행사항
- 서울 : 한국해양수산개발원, 2004
- 형태사항
- xlⅵ, 210 p. : 삽도 ; 전자파일
- 총서명
- 최종연구보고서
- 주기사항
- 권말부록으로 "수산물 품질인증기준 개편(안)"등 수록
- 주기사항
- 원문파일(pdf)로만 열람가능
- 주기사항
- 연구책임자: 주문배
- 서지주기
- 참고문헌 : p.183-186
- 기타저자
- 주문배
- 기타저자
- 한국해양수산개발원
- 가격
- 비매품
- Control Number
- maf:20088
소장정보
서가번호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소장처 | 대출가능여부 | 대출정보 | |
---|---|---|---|---|---|---|
EB00983 | EB : 529.50732 해62ㅅ | 농림축산식품부 자료실 | 대출불가 |
* 대출중인 자료에 한하여 예약이 가능합니다. 예약을 원하시면 예약버튼을 클릭하십시오.
008080402s2004 ulk d a korIB
056 ▼a529.50732▼24
090 ▼a529.50732▼b해62ㅅ
110 ▼a해양수산부
24500▼a수산물 품질인증 및 선정기준 개편에 관한 연구▼d해양수산부▼e한국해양수산개발원 [공편]
260 ▼a서울▼b한국해양수산개발원▼c2004
300 ▼axlⅵ, 210 p.▼b삽도▼c전자파일
44000▼a최종연구보고서
50000▼a권말부록으로 "수산물 품질인증기준 개편(안)"등 수록
50010▼a원문파일(pdf)로만 열람가능
50010▼a연구책임자: 주문배
504 ▼a참고문헌 : p.183-186
7001 ▼a주문배
710 ▼a한국해양수산개발원
856 ▼uhttp://library.mafra.go.kr/skyblueimage/eb00983
9501 ▼a비매품
제1장 서론(Introduction) = 1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Necessity and Objective of Study) = 1
제2절 수산물 품질인증제도 관련 선행연구 분석(Literature Review) = 3
제3절 연구범위와 방법(Scope and Methods of Study) = 4
제2장 수산물 품질인증 관련 국내외 정책동향(Trend of International and National Policies related to food safety and quality certification) = 7
제1절 수산물 품질인증 관련 국내동향(National trend of quality certification and food(seafood) safety = 7
1. 식품(수산식품) 안전성에 대한 국내 동향 = 7
2. 농산물 안전성 및 품질인증에 대한 국내 동향 = 9
제2절 수산물 품질인증 관련 국제동향(International trend of quality certification and food(seafood) safety = 11
1. WTO, APEC 등 국제기구 논의동향 = 11
2. CODEX의 식품안전성 및 국제기준 = 13
3. 주요국의 품질인증제도 = 16
제3장 수산물 품질인증제도의 운영실태(Management of Seafood Quality Certification) = 27
제1절 수산물 품질인증제도의 개요(Background and legal base of seafood certification system) = 27
1. 수산물 품질인증제도의 추진배경 = 27
2. 수산물 품질인증제도의 법적근거 = 28
3. 수산물 품질인증제도의 인증 절차 및 표시 = 30
제2절 수산물 품질인증제도의 운영실태(Operation status of seafood quality certification) = 35
1. 수산물 품질인증품목의 분류 = 35
2. 수산물 품질인증품목의 인증실적 = 39
3. 수산물 품질인증품목의 생산현황 = 41
4. 수산물 품질인증품목에 대한 조사관리 현황 = 46
5. 수산물 품질인증 품목의 유통현황 = 49
제3절 수산물 품질인증품목(업체)의 경영효과 분석(Business performance analysis of a company producing the certified seafood) = 52
1. 수산물 품질인증업체에 대한 경영효과 분석의 의의 = 52
2. 수산물 품질인증업체의 경영효과분석 = 55
제4절 농산물 품질인증제도의 운영실태(Standard of agricultural products quality certification system) = 61
1. 농산물 품질인증제도의 일반현황 = 61
2. 농산물 품질인증제도의 운영실태 = 68
3. 친환경농산물인증제도와의 차이점 = 74
4. 농산물 품질인증제도의 특징 및 한계 = 77
제4장 수산물 품질인증 및 선정기준 분석(Analysis of a selection standard for seafood quality certification) = 81
제1절 수산물 품질인증 및 선정기준의 사회과학적 분석(Social science analysis of selection standard for seafood quality certification) = 81
1. 수산물 품질인증품목의 인증기준 = 82
2. 수산물 품질인증품목의 선정기준 = 97
제2절 수산물 품질인증 및 선정기준의 식품위생학적 분석(Food sanitary analysis of selection standard for seafood quality certification) = 101
1. 수산물 품질인증품목의 식품위생학적 분석 = 101
2. 수산물 품질인증품목의 식품위생학적 분석결과 = 101
제3절 수산물 품질인증제도에 대한 인식조사(Research on seafood quality certification) = 113
1. 수산물 품질인증업체 설문조사 = 113
2. 수산물 품질인증제도에 대한 소비자 인지도조사 = 122
3. 수산물 품질인증 및 위생 관련 인증품목생산업체 및 유통업체 의견 = 125
제5장 수산물 품질인증 및 선정기준의 개편과제(Restructuring Task of Seafood Quality Certification) = 129
제1절 수산물 품질인증 및 선정기준의 개편과제(Selection standard for seafood quality certification) = 129
1. 인증기준 측면 = 129
2. 대상품목의 선정측면 = 136
3. 인증품목 생산업체 선정측면 = 137
제2절 수산물 품질인증제도의 활성화 저해요인(Obstacles to develop seafood quality certification) = 138
1. 제도적 측면 = 138
2. 운영적 측면 = 142
3. 사회심리적 측면 = 145
제6장 수산물 품질인증 및 선정기준의 개편방안(How to restructure a certification standard of seafood quality certification) = 147
제1절 수산물 품질인증 및 선정기준 개편의 기본방향(Basic guideline of seafood quality certification) = 147
제2절 수산물 품질인증 및 선정기준의 개편방안(How to restructure seafood quality certification) = 148
1. 품질인증 품목확대 및 기준 조정 = 148
2. 인증품목의 위생 및 안전성 강화기준 제시 = 158
3. 인증종류의 통합 및 재분류 = 162
4. 품질인증 규격기준의 세분화 및 구체화 = 163
5. 판매 및 유통 기준 등 추가 인증기준 설정 = 166
제3절 수산물 품질인증제도의 활성화 방안(How to activate seafood quality certification) = 168
1. 수산물 품질인증제도 활성화를 위한 기본방향 = 168
2. 수산물 품질인증제도 활성화를 위한 실천방안 = 169
참고문헌(References) = 183
부록(Appendix) = 187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Necessity and Objective of Study) = 1
제2절 수산물 품질인증제도 관련 선행연구 분석(Literature Review) = 3
제3절 연구범위와 방법(Scope and Methods of Study) = 4
제2장 수산물 품질인증 관련 국내외 정책동향(Trend of International and National Policies related to food safety and quality certification) = 7
제1절 수산물 품질인증 관련 국내동향(National trend of quality certification and food(seafood) safety = 7
1. 식품(수산식품) 안전성에 대한 국내 동향 = 7
2. 농산물 안전성 및 품질인증에 대한 국내 동향 = 9
제2절 수산물 품질인증 관련 국제동향(International trend of quality certification and food(seafood) safety = 11
1. WTO, APEC 등 국제기구 논의동향 = 11
2. CODEX의 식품안전성 및 국제기준 = 13
3. 주요국의 품질인증제도 = 16
제3장 수산물 품질인증제도의 운영실태(Management of Seafood Quality Certification) = 27
제1절 수산물 품질인증제도의 개요(Background and legal base of seafood certification system) = 27
1. 수산물 품질인증제도의 추진배경 = 27
2. 수산물 품질인증제도의 법적근거 = 28
3. 수산물 품질인증제도의 인증 절차 및 표시 = 30
제2절 수산물 품질인증제도의 운영실태(Operation status of seafood quality certification) = 35
1. 수산물 품질인증품목의 분류 = 35
2. 수산물 품질인증품목의 인증실적 = 39
3. 수산물 품질인증품목의 생산현황 = 41
4. 수산물 품질인증품목에 대한 조사관리 현황 = 46
5. 수산물 품질인증 품목의 유통현황 = 49
제3절 수산물 품질인증품목(업체)의 경영효과 분석(Business performance analysis of a company producing the certified seafood) = 52
1. 수산물 품질인증업체에 대한 경영효과 분석의 의의 = 52
2. 수산물 품질인증업체의 경영효과분석 = 55
제4절 농산물 품질인증제도의 운영실태(Standard of agricultural products quality certification system) = 61
1. 농산물 품질인증제도의 일반현황 = 61
2. 농산물 품질인증제도의 운영실태 = 68
3. 친환경농산물인증제도와의 차이점 = 74
4. 농산물 품질인증제도의 특징 및 한계 = 77
제4장 수산물 품질인증 및 선정기준 분석(Analysis of a selection standard for seafood quality certification) = 81
제1절 수산물 품질인증 및 선정기준의 사회과학적 분석(Social science analysis of selection standard for seafood quality certification) = 81
1. 수산물 품질인증품목의 인증기준 = 82
2. 수산물 품질인증품목의 선정기준 = 97
제2절 수산물 품질인증 및 선정기준의 식품위생학적 분석(Food sanitary analysis of selection standard for seafood quality certification) = 101
1. 수산물 품질인증품목의 식품위생학적 분석 = 101
2. 수산물 품질인증품목의 식품위생학적 분석결과 = 101
제3절 수산물 품질인증제도에 대한 인식조사(Research on seafood quality certification) = 113
1. 수산물 품질인증업체 설문조사 = 113
2. 수산물 품질인증제도에 대한 소비자 인지도조사 = 122
3. 수산물 품질인증 및 위생 관련 인증품목생산업체 및 유통업체 의견 = 125
제5장 수산물 품질인증 및 선정기준의 개편과제(Restructuring Task of Seafood Quality Certification) = 129
제1절 수산물 품질인증 및 선정기준의 개편과제(Selection standard for seafood quality certification) = 129
1. 인증기준 측면 = 129
2. 대상품목의 선정측면 = 136
3. 인증품목 생산업체 선정측면 = 137
제2절 수산물 품질인증제도의 활성화 저해요인(Obstacles to develop seafood quality certification) = 138
1. 제도적 측면 = 138
2. 운영적 측면 = 142
3. 사회심리적 측면 = 145
제6장 수산물 품질인증 및 선정기준의 개편방안(How to restructure a certification standard of seafood quality certification) = 147
제1절 수산물 품질인증 및 선정기준 개편의 기본방향(Basic guideline of seafood quality certification) = 147
제2절 수산물 품질인증 및 선정기준의 개편방안(How to restructure seafood quality certification) = 148
1. 품질인증 품목확대 및 기준 조정 = 148
2. 인증품목의 위생 및 안전성 강화기준 제시 = 158
3. 인증종류의 통합 및 재분류 = 162
4. 품질인증 규격기준의 세분화 및 구체화 = 163
5. 판매 및 유통 기준 등 추가 인증기준 설정 = 166
제3절 수산물 품질인증제도의 활성화 방안(How to activate seafood quality certification) = 168
1. 수산물 품질인증제도 활성화를 위한 기본방향 = 168
2. 수산물 품질인증제도 활성화를 위한 실천방안 = 169
참고문헌(References) = 183
부록(Appendix) = 1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