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장정보
서가번호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소장처 | 대출가능여부 | 대출정보 | |
---|---|---|---|---|---|---|
0007998 | 453.77 건53ㅎ | 농림축산식품부 자료실 | 대출가능 |
* 대출중인 자료에 한하여 예약이 가능합니다. 예약을 원하시면 예약버튼을 클릭하십시오.
008020201s2000 ggka d 000a korMA
056 ▼a453.77▼24
090 ▼a453.77▼b건53ㅎ
110 ▼a건설교통부
24500▼a한국 가능최대강수량 추정▼d건설교통부 [편]
260 ▼a[과천]▼b건설교통부▼c2000.
300 ▼aⅸ, 159 p.▼b삽도▼c30 cm
44000▼a1999년도 수자원관리기법개발연구조사 보고서▼v2
50000▼a권말부록으로 '최대 12시간 지속 1000hpa 이슬점의 계절변화'수록
504 ▼a참고문헌 : p.143-150
9501 ▼a비매품
제1장 서론 = 1
1.1 연구 배경 = 1
1.2 연구 목적 = 2
1.3 연구 방법 및 범위 = 2
1.4 호우 중심 PMP와 추정치 = 2
1.5 보고서의 체계 = 3
제2장 기본이론 = 5
2.1 대기의 집중과 관측강우량 = 5
2.1.1 Convergence Model = 5
2.1.2 수직운동과 집중현상의 지표로서의 관측강우량 = 5
2.2 대기수분의 추정 = 6
2.2.1 포화위단열 대기의 가정 = 6
2.2.2 수분 지표로서의 표면 이슬점 = 6
2.2.3 12시간 지속 이슬점 = 7
2.2.4 12시간 지속 1000hpa 대표 이슬점 = 8
2.2.5 최대 12시간 지속 1000hpa 이슬점 = 9
2.2.6 가강수량(Precipitable Water) = 12
2.3 수분최대화 = 12
2.3.1 계절의 한계 = 12
2.3.2 가강수량 깊이 = 12
2.3.3 모든 호우 지속기간에 대한 12시간 지속 이슬점의 적용 = 13
2.3.4 호우 발생지점에서의 수분 최대화 = 13
2.4 바람 최대화 = 16
2.4.1 비산악 지역에서의 이용 = 16
2.4.2 호우의 수분유입 대표바람 = 17
2.5 호우전이(Storm transposition) = 18
2.5.1 전이단계 = 19
2.6 전이조정 = 20
2.6.1 전이에 따른 수분조정 = 20
2.6.2 고도조정 = 22
2.6.3 장애물 조정 = 23
2.7 시간 및 공간최대화 = 23
2.7.1 시간최대화 = 23
2.7.2 공간최대화 = 24
2.7.3 시간 및 공간의 조합 최대화 = 24
2.8 포락(Envelopment) = 25
2.8.1 포락(Envelopment) = 25
2.8.2 하한절단(Undercutting) = 25
제3장 PMP 추정의 의의와 실제 절차 = 27
3.1 PMP 추정을 위한 준비 = 27
3.1.1 PMP도 활용도 조사 = 27
3.1.2 가능최대강수량도의 인식조사 = 30
3.1.3 활용도 및 인식 조사의 종합 평가 = 31
3.2 PMP 추정을 위한 실제절차 = 32
3.2.1 기본 방정식 = 32
3.2.2 수분최대화와 호우전이비의 지배식 = 32
3.2.3 단계별 PMP추정절차 = 35
3.2.4 PMP 작성을 위한 흐름도 = 38
제4장 강우자료의 수집 및 호우의 선정 = 39
4.1 강우자료의 수집 = 39
4.1.1 강우자료 수집기관 = 39
4.1.2 강우자료의 신뢰도와 주관적 선택 = 39
4.2 호우의 선정 = 40
제5장 선정호우의 DAD분석과 토의 = 45
5.1 DAD 분석을 위한 준비 = 45
5.2 DAD 분석 방법 = 46
5.2.1 DA(Depth-Area ; 평균강우깊이-면적) = 46
5.2.2 DAD(Depth-Area-Duration ; 평균강우깊이-면적-지속기간) = 47
5.3 DAD 분석 프로그램 작성 = 51
5.4 DAD 분석 및 결과 = 53
5.5 PMP 산정을 위한 DAD 결과의 선택 = 62
제6장 이슬점 분석 = 65
6.1 이슬점 자료의 수집 및 해석 = 65
6.2 최대 12시간 지속 1000hpa 이슬점 분석 = 66
6.2.1 관측최대 이슬점 포락 = 66
6.2.2 이슬점 빈도분석 = 69
6.2.3 최대 12시간 지속 1000 hpa 이슬점의 지역 변화 = 73
6.3 대표 12시간 지속 1000hpa이슬점의 분석 = 75
6.3.1 대표호우이슬점을 선정하기 위한 기준 및 절차 = 75
6.3.2 호우별 대표 12시간 지속 1000hpa 이슬점 = 76
제7장 지형의 영향을 고려하기 위한 유효표고도와 확률강우량의 산정 = 81
7.1 강수의 지형영향 = 81
7.2 유효표고도의 작성 = 82
7.2.1 전국 고도자료의 수집 = 82
7.2.2 평균고도의 재산정 및 유효표고도 = 83
7.3 24시간 확률강우량의 작성 = 83
7.3.1 대표지속기간으로 24시간 설정 = 85
7.3.2 Extrem Type Ⅰ 분포형의 선택 배경 = 85
7.3.3 격자점별 호우면적에 의한 확률강우량 = 85
제8장 수분최대화비와 호우전이비 산정 = 89
8.1 수분최대화비 = 89
8.2 호우전이한계 = 93
8.3 호우전이비 = 94
제9장 전국 PMP도 작성 = 97
9.1 일반화된 PMP = 97
9.2 격자기법을 이용한 PMP-DAD = 98
9.2.1 지역 균일화 = 99
9.2.2 격자점에서 대표 면적별 강우깊이-지속기간의 포락 및 균일화 = 99
9.2.3 격자점에서 대표 지속기간별 강우깊이-면적의 포락 및 균일화 = 100
9.2.4 전국 PMP-DAD = 100
9.3 전국 PMP도 = 101
9.4 PMP도 이용과 주의 = 107
9.4.1 PMP도 이용 = 107
9.4.2 주의사항 = 108
제10장 PMP 공간 및 시간분포 = 109
10.1 관측호우 조사 = 110
10.2 가상적인 PMP 공간분포 = 110
10.3 PMP 공간형상의 적용 = 111
10.3.1 관측호우형 = 112
10.3.2 가상적인 호우형 = 114
10.3.3 가상호우의 등우선값 설정 = 115
10.4 시간분포 분석 = 118
10.4.1 시간분포 분석 방법 = 118
10.4.2 분석 결과 = 126
10.4.3 결과의 이용 = 141
참고문헌 = 143
부록 : 최대 12시간 지속 1000 hpa 이슬점의 계절변화 = 151
1.1 연구 배경 = 1
1.2 연구 목적 = 2
1.3 연구 방법 및 범위 = 2
1.4 호우 중심 PMP와 추정치 = 2
1.5 보고서의 체계 = 3
제2장 기본이론 = 5
2.1 대기의 집중과 관측강우량 = 5
2.1.1 Convergence Model = 5
2.1.2 수직운동과 집중현상의 지표로서의 관측강우량 = 5
2.2 대기수분의 추정 = 6
2.2.1 포화위단열 대기의 가정 = 6
2.2.2 수분 지표로서의 표면 이슬점 = 6
2.2.3 12시간 지속 이슬점 = 7
2.2.4 12시간 지속 1000hpa 대표 이슬점 = 8
2.2.5 최대 12시간 지속 1000hpa 이슬점 = 9
2.2.6 가강수량(Precipitable Water) = 12
2.3 수분최대화 = 12
2.3.1 계절의 한계 = 12
2.3.2 가강수량 깊이 = 12
2.3.3 모든 호우 지속기간에 대한 12시간 지속 이슬점의 적용 = 13
2.3.4 호우 발생지점에서의 수분 최대화 = 13
2.4 바람 최대화 = 16
2.4.1 비산악 지역에서의 이용 = 16
2.4.2 호우의 수분유입 대표바람 = 17
2.5 호우전이(Storm transposition) = 18
2.5.1 전이단계 = 19
2.6 전이조정 = 20
2.6.1 전이에 따른 수분조정 = 20
2.6.2 고도조정 = 22
2.6.3 장애물 조정 = 23
2.7 시간 및 공간최대화 = 23
2.7.1 시간최대화 = 23
2.7.2 공간최대화 = 24
2.7.3 시간 및 공간의 조합 최대화 = 24
2.8 포락(Envelopment) = 25
2.8.1 포락(Envelopment) = 25
2.8.2 하한절단(Undercutting) = 25
제3장 PMP 추정의 의의와 실제 절차 = 27
3.1 PMP 추정을 위한 준비 = 27
3.1.1 PMP도 활용도 조사 = 27
3.1.2 가능최대강수량도의 인식조사 = 30
3.1.3 활용도 및 인식 조사의 종합 평가 = 31
3.2 PMP 추정을 위한 실제절차 = 32
3.2.1 기본 방정식 = 32
3.2.2 수분최대화와 호우전이비의 지배식 = 32
3.2.3 단계별 PMP추정절차 = 35
3.2.4 PMP 작성을 위한 흐름도 = 38
제4장 강우자료의 수집 및 호우의 선정 = 39
4.1 강우자료의 수집 = 39
4.1.1 강우자료 수집기관 = 39
4.1.2 강우자료의 신뢰도와 주관적 선택 = 39
4.2 호우의 선정 = 40
제5장 선정호우의 DAD분석과 토의 = 45
5.1 DAD 분석을 위한 준비 = 45
5.2 DAD 분석 방법 = 46
5.2.1 DA(Depth-Area ; 평균강우깊이-면적) = 46
5.2.2 DAD(Depth-Area-Duration ; 평균강우깊이-면적-지속기간) = 47
5.3 DAD 분석 프로그램 작성 = 51
5.4 DAD 분석 및 결과 = 53
5.5 PMP 산정을 위한 DAD 결과의 선택 = 62
제6장 이슬점 분석 = 65
6.1 이슬점 자료의 수집 및 해석 = 65
6.2 최대 12시간 지속 1000hpa 이슬점 분석 = 66
6.2.1 관측최대 이슬점 포락 = 66
6.2.2 이슬점 빈도분석 = 69
6.2.3 최대 12시간 지속 1000 hpa 이슬점의 지역 변화 = 73
6.3 대표 12시간 지속 1000hpa이슬점의 분석 = 75
6.3.1 대표호우이슬점을 선정하기 위한 기준 및 절차 = 75
6.3.2 호우별 대표 12시간 지속 1000hpa 이슬점 = 76
제7장 지형의 영향을 고려하기 위한 유효표고도와 확률강우량의 산정 = 81
7.1 강수의 지형영향 = 81
7.2 유효표고도의 작성 = 82
7.2.1 전국 고도자료의 수집 = 82
7.2.2 평균고도의 재산정 및 유효표고도 = 83
7.3 24시간 확률강우량의 작성 = 83
7.3.1 대표지속기간으로 24시간 설정 = 85
7.3.2 Extrem Type Ⅰ 분포형의 선택 배경 = 85
7.3.3 격자점별 호우면적에 의한 확률강우량 = 85
제8장 수분최대화비와 호우전이비 산정 = 89
8.1 수분최대화비 = 89
8.2 호우전이한계 = 93
8.3 호우전이비 = 94
제9장 전국 PMP도 작성 = 97
9.1 일반화된 PMP = 97
9.2 격자기법을 이용한 PMP-DAD = 98
9.2.1 지역 균일화 = 99
9.2.2 격자점에서 대표 면적별 강우깊이-지속기간의 포락 및 균일화 = 99
9.2.3 격자점에서 대표 지속기간별 강우깊이-면적의 포락 및 균일화 = 100
9.2.4 전국 PMP-DAD = 100
9.3 전국 PMP도 = 101
9.4 PMP도 이용과 주의 = 107
9.4.1 PMP도 이용 = 107
9.4.2 주의사항 = 108
제10장 PMP 공간 및 시간분포 = 109
10.1 관측호우 조사 = 110
10.2 가상적인 PMP 공간분포 = 110
10.3 PMP 공간형상의 적용 = 111
10.3.1 관측호우형 = 112
10.3.2 가상적인 호우형 = 114
10.3.3 가상호우의 등우선값 설정 = 115
10.4 시간분포 분석 = 118
10.4.1 시간분포 분석 방법 = 118
10.4.2 분석 결과 = 126
10.4.3 결과의 이용 = 141
참고문헌 = 143
부록 : 최대 12시간 지속 1000 hpa 이슬점의 계절변화 = 1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