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료유형
- 단행본
- ISBN
- 9791192836683 94910\32000
- 언어부호
- 본문언어 - kor, 원저작언어 - jpn
- KDC
- 381.75-5
- 청구기호
- 381.75 임812ㅇ
- 저자명
- 임채성
- 서명/저자
- 음식조선 : 제국이 재편한 음식경제사 / 임채성 지음 ; 임경택 옮김
- 발행사항
- 파주 : 돌베개, 2024
- 형태사항
- 479 p. : 삽화, 도표, 지도 ; 23 cm
- 총서명
- 돌베개 한국학총서 ; 23
- 서지주기
- 참고문헌, 색인 수록
- 원서명/원저자명
- 飲食朝鮮 : 帝国の中の「食」経済史
- 기타저자
- 임경택
- 가격
- \32000
- Control Number
- maf:53959
소장정보
서가번호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소장처 | 대출가능여부 | 대출정보 | |
---|---|---|---|---|---|---|
0032373 | 381.75 임812ㅇ | 농림축산식품부 자료실 | 대출가능 |
* 대출중인 자료에 한하여 예약이 가능합니다. 예약을 원하시면 예약버튼을 클릭하십시오.
008240826s2024 ggkabd 001a kor
020 ▼a9791192836683▼g94910▼c\32000
0411 ▼akor▼hjpn
056 ▼a381.75▼25
090 ▼a381.75▼b임812ㅇ
1001 ▼a임채성
24510▼a음식조선▼b제국이 재편한 음식경제사▼d임채성 지음▼e임경택 옮김
260 ▼a파주▼b돌베개▼c2024
300 ▼a479 p.▼b삽화, 도표, 지도▼c23 cm
44000▼a돌베개 한국학총서▼v23
504 ▼a참고문헌, 색인 수록
50710▼t飲食朝鮮 : 帝国の中の「食」経済史
653 ▼a식료품▼a일제강점기▼a식민지경제
7001 ▼a임경택
9500 ▼b\32000
한국어판 서문 = 5
들어가며: 식료제국과 조선 = 15
연구 과제: ‘식료제국’ 일본과 조선 = 15 | 기존 연구들: 식민지 근대화론과 식민지 수탈론을 넘어 = 20 | 분석 시각: 푸드 시스템과 제국의 형성과 붕괴 = 26 | 이 책의 구성 = 34
1부 재래에서 수출로
1장. 제국의 조선 쌀: “쌀의 식민화” = 41
벼농사의 일본화와 산미 증식 = 45 | 조선 쌀의 이출과 유통 = 52 | 미곡 소비와 대체 곡물 = 62
2장. 제국 안의 ‘건강한’ 조선 소: 축산・이출・방역 = 71
축산과 거래: ‘조잡’ 농업의 필수조건 = 74 | 수이출과 그 용도: 반도의 소에서 제국의 소로 = 83 | 검역과 가축 전염병 예방: ‘건강한’ 조선 소의 탄생 = 92
3장. 바다를 건너간 홍삼과 미쓰이물산: 독점과 재정 = 103
전매 실시와 인삼업의 발달: 인삼 경작‧수납에서 홍삼 제조까지 = 105 | 미쓰이물산의 독점 판매와 홍삼의 전매 수지 = 117
2부 자양과 새 맛의 교류
4장. ‘문명적 자양’의 도래와 보급: 우유의 생산과 소비 = 139
우유의 도입과 경제성 = 141 | 우유의 보급과 수급 구조 = 148 | 사회 문제로서의 우유와 생산 배급 통제 = 156
5장. 조선의 ‘사과 전쟁’: 서양 사과의 재배와 상품화 = 170
우량 품종의 보급과 사과 수확의 증가 = 173 | 과수 생산성 향상과 지역별 생산 동향 = 178 | 사과의 수이출과 시장 경쟁 = 191 | 과수업자의 조직화와 출하 통제 = 200
6장. 명란젓과 제국: 맛의 교류 = 216
명태의 어로와 어란 확보 = 219 | 명란젓 가공과 검사 = 225 | 명란젓 유통과 소비 = 235
3부 음주와 흡연
7장. 소주업의 재조합: 산업화와 대중화 = 247
<조선주세령> 실시와 양조장의 정리 = 250 | 주정식 소주의 등장과 흑국 소주로의 전환 = 263 | 카르텔 통제와 주정식 소주회사의 경영 개선 = 274
8장. 맥주를 마시는 식민지: 박래와 주조 = 291
새로운 음주문화로서의 맥주와 그 보급 = 293 | 내지 맥주회사의 진출 계획과 조선총독부의 맥주 전매안 = 301 | 내지 맥주회사의 조선 진출과 경영: 조선맥주와 쇼와기린맥주 = 313
9장. 하얀 연기의 조선과 제국: 담배와 전매 = 328
총독부의 산업 육성과 담배 전매의 실시 = 330 | 담배 전매의 경제 효과: 경작, 제조, 재정 = 333 | 중일전쟁·태평양전쟁기의 조선 담배와 제국권 = 349
나가며: 식료제국과 전후 푸드 시스템 = 362
조선의 식료에서 제국의 식료로: 시장으로서의 제국 = 362 | 재래와 근대의 병존: 식민지 재래 산업론의 가능성 = 366 |총독부 재정에 대한 기여: 국가 수입으로서의 푸드 시스템 = 369 | 식료 공급과 식민지 주민의 신체: 체격 변화의 한 배경 = 373 | 전시경제와 식료 통제: 수급 조정의 성립 = 376 | 식료경제의 전후사에 대한 전망: ‘연속・단절론’을 넘어 = 379
후기 = 389
옮긴이의 말 = 393
미주 = 396
참고문헌 = 444
도표 찾아보기 = 460
찾아보기 = 466
들어가며: 식료제국과 조선 = 15
연구 과제: ‘식료제국’ 일본과 조선 = 15 | 기존 연구들: 식민지 근대화론과 식민지 수탈론을 넘어 = 20 | 분석 시각: 푸드 시스템과 제국의 형성과 붕괴 = 26 | 이 책의 구성 = 34
1부 재래에서 수출로
1장. 제국의 조선 쌀: “쌀의 식민화” = 41
벼농사의 일본화와 산미 증식 = 45 | 조선 쌀의 이출과 유통 = 52 | 미곡 소비와 대체 곡물 = 62
2장. 제국 안의 ‘건강한’ 조선 소: 축산・이출・방역 = 71
축산과 거래: ‘조잡’ 농업의 필수조건 = 74 | 수이출과 그 용도: 반도의 소에서 제국의 소로 = 83 | 검역과 가축 전염병 예방: ‘건강한’ 조선 소의 탄생 = 92
3장. 바다를 건너간 홍삼과 미쓰이물산: 독점과 재정 = 103
전매 실시와 인삼업의 발달: 인삼 경작‧수납에서 홍삼 제조까지 = 105 | 미쓰이물산의 독점 판매와 홍삼의 전매 수지 = 117
2부 자양과 새 맛의 교류
4장. ‘문명적 자양’의 도래와 보급: 우유의 생산과 소비 = 139
우유의 도입과 경제성 = 141 | 우유의 보급과 수급 구조 = 148 | 사회 문제로서의 우유와 생산 배급 통제 = 156
5장. 조선의 ‘사과 전쟁’: 서양 사과의 재배와 상품화 = 170
우량 품종의 보급과 사과 수확의 증가 = 173 | 과수 생산성 향상과 지역별 생산 동향 = 178 | 사과의 수이출과 시장 경쟁 = 191 | 과수업자의 조직화와 출하 통제 = 200
6장. 명란젓과 제국: 맛의 교류 = 216
명태의 어로와 어란 확보 = 219 | 명란젓 가공과 검사 = 225 | 명란젓 유통과 소비 = 235
3부 음주와 흡연
7장. 소주업의 재조합: 산업화와 대중화 = 247
<조선주세령> 실시와 양조장의 정리 = 250 | 주정식 소주의 등장과 흑국 소주로의 전환 = 263 | 카르텔 통제와 주정식 소주회사의 경영 개선 = 274
8장. 맥주를 마시는 식민지: 박래와 주조 = 291
새로운 음주문화로서의 맥주와 그 보급 = 293 | 내지 맥주회사의 진출 계획과 조선총독부의 맥주 전매안 = 301 | 내지 맥주회사의 조선 진출과 경영: 조선맥주와 쇼와기린맥주 = 313
9장. 하얀 연기의 조선과 제국: 담배와 전매 = 328
총독부의 산업 육성과 담배 전매의 실시 = 330 | 담배 전매의 경제 효과: 경작, 제조, 재정 = 333 | 중일전쟁·태평양전쟁기의 조선 담배와 제국권 = 349
나가며: 식료제국과 전후 푸드 시스템 = 362
조선의 식료에서 제국의 식료로: 시장으로서의 제국 = 362 | 재래와 근대의 병존: 식민지 재래 산업론의 가능성 = 366 |총독부 재정에 대한 기여: 국가 수입으로서의 푸드 시스템 = 369 | 식료 공급과 식민지 주민의 신체: 체격 변화의 한 배경 = 373 | 전시경제와 식료 통제: 수급 조정의 성립 = 376 | 식료경제의 전후사에 대한 전망: ‘연속・단절론’을 넘어 = 379
후기 = 389
옮긴이의 말 = 393
미주 = 396
참고문헌 = 444
도표 찾아보기 = 460
찾아보기 = 4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