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장정보
서가번호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소장처 | 대출가능여부 | 대출정보 | |
---|---|---|---|---|---|---|
0032045 | 522.71 한17ㅅ | 농림축산식품부 자료실 | 대출가능 |
* 대출중인 자료에 한하여 예약이 가능합니다. 예약을 원하시면 예약버튼을 클릭하십시오.
008240219s2023 ulkad 000a kor
020 ▼a9791186396766▼g93400▼c\28000
056 ▼a522.71▼25
090 ▼a522.71▼b한17ㅅ
110 ▼a한국식량안보연구재단
24500▼a식량과 정책▼d한국식량안보연구재단 편
260 ▼a서울▼b식안연▼c2023
300 ▼a401 p.▼b천연색삽화, 도표▼c23 cm
50000▼a권말부록으로 '전문가 의견', '대한민국 식량안보특별법 초안' 수록
504 ▼a참고문헌 수록
653 ▼a식량정책▼a작물생산▼a수급정책▼a식량안보
9500 ▼b\28000
CHAPTER 1 쌀의 수요 창출과 가격 안정화 방안 = 1
1. 우리나라 식량 정책의 흐름 = 3
1.1. 쌀 자급 이전의 식량정책 = 3
1.2. 쌀 자급 이후 쌀 시장 관세화 개방까지의 식량정책 = 4
1.3. 쌀 시장 관세화 개방 이후의 식량정책 = 11
2. 쌀값의 변화 양상과 그간의 안정화 대책 = 23
2.1. 쌀의 유통체계 = 23
2.2. 쌀값의 변화 양상과 실질가격의 변화 추세 = 25
2.3. 최근의 쌀값 변동 상황과 안정화 대책 = 28
3. 쌀값 안정화를 위한 대책과 방향 = 33
4. 쌀의 소비 확대 및 수요 창출 방안 = 39
4.1. 쌀의 소비 확대 방안 = 39
4.2. 쌀 수요 창출 방안 = 41
5. 결론 = 45
CHAPTER 2 보리의 증산을 위한 정책 방향과 수요 창출 = 49
1. 서론 = 51
1.1. 우리나라 맥류 생산과 수급정책의 변화와 현황 = 52
2. 세계 곡물시장 동향 및 보리 생산, 수출입 동향 = 54
2.1. 세계 곡물시장 동향 = 54
2.2. 국제 농산물 무역 전망 = 57
2.3. 국가별 농업 정책 = 60
2.4. 세계 보리 생산 및 수출입 동향 = 62
3. 국내 곡물시장 동향 및 보리 생산, 수출입 동향 = 67
3.1. 국내 곡물시장 동향 및 식량 안보 = 67
3.2. 국내 보리 생산 현황 및 수출입 동향 = 70
4. 국내 보리 품종 개발 현황 및 연구 동향 = 78
4.1. 국내 보리 품종 개발 현황 = 79
4.2. 보리의 기능성 연구 및 제품 개발 현황 = 84
5. 국산 보리 생산 증진 및 소비 확대 방안 = 88
5.1. 보리 생산 증진 방안 : 정부 지원 강화, 비영리단체 조성 = 88
5.2. 소비 확대 방안 : 과학적 데이터 확보, 홍보 및 인식 개선 = 96
6. 결론 = 107
CHAPTER 3 귀리의 식품기능성과 곡물 확보 방안 = 113
1. 귀리 농업 현황 = 113
1.1 귀리 재배 역사 = 113
1.2 귀리 품종과 유전 육종 = 114
1.3 귀리 재배 및 수확 후 관리 기술 = 119
1.4 국가별 재배면적 및 생산량 = 120
1.5 국내 수입 현황 = 122
1.6 국내 식용귀리 재배면적 및 생산량 = 123
2. 귀리 곡물의 영양과 건강 = 125
2.1 귀리의 영양적 가치 = 125
2.2 귀리의 생리활성 성분 = 128
2.3 귀리의 건강기능성 = 132
3. 귀리 곡물 산업 = 141
3.1 사료용 귀리 곡물 산업 = 141
3.2 식품용 귀리 곡물 산업 = 147
4. 귀리 식품 산업 = 151
4.1 통곡 귀리 가공식품 = 151
4.2 귀리 겨 가공식품 = 157
4.3 귀리 β-글루칸 가공식품 = 164
4.4 β-Glucan 분리 및 추출기술 = 165
5 식량안보와 귀리 곡물 확보 방안 = 168
5.1 국내 귀리 산업의 가치사슬 단계별 이슈 진단 = 168
5.2 자급률 제고를 위한 귀리 확보 전략 = 169
5.3 소비 확대를 통한 농식품산업 성장강화 전략 = 174
6. 결론 = 178
CHAPTER 4 콩의 자급률 정책 방안 = 191
1. 서론 = 193
1.1. 콩 수급관리와 생산관련 정책의 변천과 현황 = 195
2. 콩 곡물 및 식량 자급률 영향 요인 = 198
2.1. 일원분산분석에 의한 시기 구분 독립변수 = 200
2.2. 다중회귀분석에 의한 콩 곡물 및 식량자급률 영향 요인 = 205
3. 콩 곡물 및 식량자급률 향상위한 정책적 방안 = 207
3.1. 콩 경지이용률 제고 방안 = 208
3.2. 콩 재배면적 확대 방안 = 209
3.3. 콩 생산량 증대 방안 = 210
3.4. 식용 및 가공용 콩 수요 확대 방안 = 212
4. 자급률 제고 위한 정책 및 신수요 제안 = 214
4.1. 전략작물직불제하에서의 개선사항 = 214
4.2. 다부처 공동 정책개발로 가공 및 소비촉진 = 217
4.3. 신수요 창출을 통한 국산콩 소비 확대 = 219
5. 결론 = 224
CHAPTER 5 고구마의 증산과 이용 확대 방안 = 227
1. 서론 = 229
2. 고구마의 기원 및 재배역사 = 231
2.1. 고구마의 특징 = 231
2.2. 고구마의 기원 = 232
2.3. 한국 고구마의 재배역사 = 233
3. 국내외 고구마 생산현황 = 235
3.1. 국내 고구마 생산현황 = 235
3.2. 고구마 재배면적 = 236
3.3. 국외 고구마 생산현황 = 238
4. 국내 고구마 품종 현황 = 239
4.1. 국내 고구마 품종 현황 = 239
4.2. 국내 주요 재배 고구마 품종의 특징 = 241
5. 국내 고구마 생산의 문제점 및 해결 방안 = 248
5.1. 고구마 육묘 생산 문제점 및 무병주 생산을 통한 생산성 및 품질 증대 = 248
5.2. 고구마 바이러스병 현황 및 조기 진단을 통한 품질 개선 방법 = 252
5.3. 고구마 품종판별 마커를 이용한 단일 품종 선별 및 품질 개선 = 254
5.4. 고구마의 저장성 향상과 저온내성 특성 규명 = 256
6. 고구마의 식품가공 및 산업적 이용 = 258
6.1. 고구마 전분의 특성 및 활용 = 259
6.2. 고구마 전분의 제조 공정 = 260
6.3. 고구마 전분 및 당면의 수출량 및 수입량 변화 추이 = 263
6.4. 고구마 전분산업의 활성화 방안 = 270
7. 고구마 지상부의 활용방안 = 272
7.1. 식품으로서의 고구마 가치 = 272
7.2. 식품으로서의 고구마 연구 동향 = 274
7.3. 국내 지상부 활용 고구마 현황 = 277
7.4. 국외 (일본) 고구마 지상부 활용현황 = 278
7.5. 고구마 용도별 가공품 개발 현황 = 278
7.6. 원예용 고구마의 육종을 통한 이용 범위 확대 = 280
8. 결론 = 281
부록
Ⅰ. 전문가 의견 = 293
Ⅱ.대한민국 식량안보특별법 초안 = 311
1. 우리나라 식량 정책의 흐름 = 3
1.1. 쌀 자급 이전의 식량정책 = 3
1.2. 쌀 자급 이후 쌀 시장 관세화 개방까지의 식량정책 = 4
1.3. 쌀 시장 관세화 개방 이후의 식량정책 = 11
2. 쌀값의 변화 양상과 그간의 안정화 대책 = 23
2.1. 쌀의 유통체계 = 23
2.2. 쌀값의 변화 양상과 실질가격의 변화 추세 = 25
2.3. 최근의 쌀값 변동 상황과 안정화 대책 = 28
3. 쌀값 안정화를 위한 대책과 방향 = 33
4. 쌀의 소비 확대 및 수요 창출 방안 = 39
4.1. 쌀의 소비 확대 방안 = 39
4.2. 쌀 수요 창출 방안 = 41
5. 결론 = 45
CHAPTER 2 보리의 증산을 위한 정책 방향과 수요 창출 = 49
1. 서론 = 51
1.1. 우리나라 맥류 생산과 수급정책의 변화와 현황 = 52
2. 세계 곡물시장 동향 및 보리 생산, 수출입 동향 = 54
2.1. 세계 곡물시장 동향 = 54
2.2. 국제 농산물 무역 전망 = 57
2.3. 국가별 농업 정책 = 60
2.4. 세계 보리 생산 및 수출입 동향 = 62
3. 국내 곡물시장 동향 및 보리 생산, 수출입 동향 = 67
3.1. 국내 곡물시장 동향 및 식량 안보 = 67
3.2. 국내 보리 생산 현황 및 수출입 동향 = 70
4. 국내 보리 품종 개발 현황 및 연구 동향 = 78
4.1. 국내 보리 품종 개발 현황 = 79
4.2. 보리의 기능성 연구 및 제품 개발 현황 = 84
5. 국산 보리 생산 증진 및 소비 확대 방안 = 88
5.1. 보리 생산 증진 방안 : 정부 지원 강화, 비영리단체 조성 = 88
5.2. 소비 확대 방안 : 과학적 데이터 확보, 홍보 및 인식 개선 = 96
6. 결론 = 107
CHAPTER 3 귀리의 식품기능성과 곡물 확보 방안 = 113
1. 귀리 농업 현황 = 113
1.1 귀리 재배 역사 = 113
1.2 귀리 품종과 유전 육종 = 114
1.3 귀리 재배 및 수확 후 관리 기술 = 119
1.4 국가별 재배면적 및 생산량 = 120
1.5 국내 수입 현황 = 122
1.6 국내 식용귀리 재배면적 및 생산량 = 123
2. 귀리 곡물의 영양과 건강 = 125
2.1 귀리의 영양적 가치 = 125
2.2 귀리의 생리활성 성분 = 128
2.3 귀리의 건강기능성 = 132
3. 귀리 곡물 산업 = 141
3.1 사료용 귀리 곡물 산업 = 141
3.2 식품용 귀리 곡물 산업 = 147
4. 귀리 식품 산업 = 151
4.1 통곡 귀리 가공식품 = 151
4.2 귀리 겨 가공식품 = 157
4.3 귀리 β-글루칸 가공식품 = 164
4.4 β-Glucan 분리 및 추출기술 = 165
5 식량안보와 귀리 곡물 확보 방안 = 168
5.1 국내 귀리 산업의 가치사슬 단계별 이슈 진단 = 168
5.2 자급률 제고를 위한 귀리 확보 전략 = 169
5.3 소비 확대를 통한 농식품산업 성장강화 전략 = 174
6. 결론 = 178
CHAPTER 4 콩의 자급률 정책 방안 = 191
1. 서론 = 193
1.1. 콩 수급관리와 생산관련 정책의 변천과 현황 = 195
2. 콩 곡물 및 식량 자급률 영향 요인 = 198
2.1. 일원분산분석에 의한 시기 구분 독립변수 = 200
2.2. 다중회귀분석에 의한 콩 곡물 및 식량자급률 영향 요인 = 205
3. 콩 곡물 및 식량자급률 향상위한 정책적 방안 = 207
3.1. 콩 경지이용률 제고 방안 = 208
3.2. 콩 재배면적 확대 방안 = 209
3.3. 콩 생산량 증대 방안 = 210
3.4. 식용 및 가공용 콩 수요 확대 방안 = 212
4. 자급률 제고 위한 정책 및 신수요 제안 = 214
4.1. 전략작물직불제하에서의 개선사항 = 214
4.2. 다부처 공동 정책개발로 가공 및 소비촉진 = 217
4.3. 신수요 창출을 통한 국산콩 소비 확대 = 219
5. 결론 = 224
CHAPTER 5 고구마의 증산과 이용 확대 방안 = 227
1. 서론 = 229
2. 고구마의 기원 및 재배역사 = 231
2.1. 고구마의 특징 = 231
2.2. 고구마의 기원 = 232
2.3. 한국 고구마의 재배역사 = 233
3. 국내외 고구마 생산현황 = 235
3.1. 국내 고구마 생산현황 = 235
3.2. 고구마 재배면적 = 236
3.3. 국외 고구마 생산현황 = 238
4. 국내 고구마 품종 현황 = 239
4.1. 국내 고구마 품종 현황 = 239
4.2. 국내 주요 재배 고구마 품종의 특징 = 241
5. 국내 고구마 생산의 문제점 및 해결 방안 = 248
5.1. 고구마 육묘 생산 문제점 및 무병주 생산을 통한 생산성 및 품질 증대 = 248
5.2. 고구마 바이러스병 현황 및 조기 진단을 통한 품질 개선 방법 = 252
5.3. 고구마 품종판별 마커를 이용한 단일 품종 선별 및 품질 개선 = 254
5.4. 고구마의 저장성 향상과 저온내성 특성 규명 = 256
6. 고구마의 식품가공 및 산업적 이용 = 258
6.1. 고구마 전분의 특성 및 활용 = 259
6.2. 고구마 전분의 제조 공정 = 260
6.3. 고구마 전분 및 당면의 수출량 및 수입량 변화 추이 = 263
6.4. 고구마 전분산업의 활성화 방안 = 270
7. 고구마 지상부의 활용방안 = 272
7.1. 식품으로서의 고구마 가치 = 272
7.2. 식품으로서의 고구마 연구 동향 = 274
7.3. 국내 지상부 활용 고구마 현황 = 277
7.4. 국외 (일본) 고구마 지상부 활용현황 = 278
7.5. 고구마 용도별 가공품 개발 현황 = 278
7.6. 원예용 고구마의 육종을 통한 이용 범위 확대 = 280
8. 결론 = 281
부록
Ⅰ. 전문가 의견 = 293
Ⅱ.대한민국 식량안보특별법 초안 = 3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