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장정보
서가번호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소장처 | 대출가능여부 | 대출정보 | |
---|---|---|---|---|---|---|
0005026 | 522.2 김53ㄴ | 농림축산식품부 자료실 | 대출가능 |
* 대출중인 자료에 한하여 예약이 가능합니다. 예약을 원하시면 예약버튼을 클릭하십시오.
008010104s2000 ulk d 001a kor
020 ▼a8976961188▼g93910▼c\18000
056 ▼a522.2▼23
090 ▼a522.2▼b김53ㄴ
1001 ▼a김성보
24510▼a남북한 경제구조의 기원과 전개▼b북한 농업체제의 형성을 중심으로▼d김성보 지음
260 ▼a서울▼b역사비평사▼c2000.
300 ▼a404 p.▼c23 cm
44000▼a역비한국학연구총서▼v17
504 ▼a참고문헌 : p.376-397, 색인 수록
9500 ▼b\18000
책을 내면서 = 5
서론 = 15
제1부. 남북한 농업개혁의 역사적 배경
제1장. 농민적 농업개혁론의 전통과 발전 = 31
1. 농민적 농업개혁론의 전통과 대동사상 = 31
1) 조선 후기·한말 농업개혁론의 추이 = 31
2) 대동사상적 전통의 근대적 전환 = 36
2. 일제하 농업개혁론의 분화와 발전 = 41
1) 사회민주주의·사회주의 농업개혁론 = 41
2) 중소농주의적 자본주의 농업개혁론 = 50
제2장. 일제하 농업 문제의 심화와 농민 = 54
1. 지주제의 확대와 지역적 특징 = 54
1) 지주제의 확대와 소작농 증가 = 54
2) 지역적 특징 = 57
2. 농민의 경제사정 저락과 농민운동의 성장 = 62
제3장. 일제 말·해방 후 인민민주주의 농업개혁론의 설립 = 65
1. 1920∼30년대 사회주의세력의 혁명노선 변화 = 65
1) 부르주아 민주주의 혁명론과 토지혁명론 = 65
2) 인민전선론의 수용 = 70
2. 해방 전후 사회주의 각 계열의 국가건설론과 농업개혁론 = 76
1) 국가건설의 전망과 통일전선론 = 76
2) 토지 문제 인식과 농업개혁론 = 83
제2부. 토지개혁
제1장. 8·15해방과 농민의 진출 = 91
1. 농민조합 결성 = 92
2. 인민위원회의 토지관리와 3·7제 시행 = 95
제2장. 토지개혁 논의와 법령 제정 = 102
1. 해방 직후 각 정치세력의 토지개혁관 = 102
1) 조선공산당의 초기 토지개혁관 = 102
2) 조선민주당 등 민족·자본주의세력의 토지개혁관 = 110
2. 소련의 대한(對韓)정책과 토지개혁 구상 = 114
1) 제2차세계대전 후 소련의 대한정책 = 114
2) 1945년 후반 조선공산당과 소련주둔군의 토지개혁 구상 = 122
3. 토지개혁법령의 제정 = 135
1) 토지개혁 방안의 급진화와 법령 제정(1946년 3월) = 135
2) 토지개혁의 입법 취지 = 144
제3장. 토지개혁의 전개 = 151
1. 토지몰수와 지주층의 소멸 = 151
1) 토지몰수의 원칙과 시행 = 151
2) 지주층의 저항과 소멸 = 156
2. 토지분배와 농민의 계층 구성 변동 = 168
1) 토지분배의 원칙과 시행 = 168
2) 농민의 토지소유·계층 구성 변동 = 173
3) 지역별 사례 = 186
(1) 도작지대 및 상업적 농업지역 = 187
(2) 고원지대 = 190
제4장. 북한 토지개혁의 비교사적 특징 = 195
1. 반제국주의 반봉건형(型)으로서의 토지개혁 = 195
2. 근로농민적 토지소유권의 성립 = 199
제3부 토지개혁 이후 국가관리 소농체계의 성립
제1장 토지개혁 이후의 농업정책론 = 209
1. 인민민주주의 경제정책론의 성립 = 209
2. 농공균형발전론 = 217
3. 국가의 계획적 소농경제 관리론 = 223
제2장 국가의 농업생산 관리 = 233
1. 생산반·생산돌격대의 운영 = 233
2. 소겨리·품앗이반의 확대와 다수확 경쟁운동 = 237
제3장 국가의 농산물유통 관리 = 242
1. 농업현물세 = 243
2. 소비조합과 양곡수매사업 = 254
3. 시장과 양곡유통구조 = 258
제4부 전쟁 이후 농업정책의 전환과 농업협동화
제1장 농업협동화론의 대두와 논의 = 265
1. 전시 농업생산기반의 붕괴와 농공 불균형 문제 = 265
1) 농업생산기반의 붕괴와 자작소농제의 위기 = 265
2) 농촌계층 분화와 농공불균형 문제 = 270
2. 농업협동화 논의와 사회주의 이행 문제 = 277
1) 전쟁 이전 농업협동화론의 도달점 = 277
2) 후기 인민민주주의론의 대두 = 282
3) 반제반봉건단계 유지론과 사회주의체제 건설론의 대립 = 286
4) 농업협동화론의 분화와 조정 = 293
제2장 농업협동화 과정의 원칙과 특징 = 305
1. 협동조합의 3형태 = 307
2. 주요 생산도구의 유상통합 = 314
3. 농민의 토지소유권 보존방침 시행과 변경 = 317
제3장 농촌사회의 갈등과 변동 = 321
1. 비공식적 촌락질서 = 324
2. 농업협동화에 대한 부분적 저항과 북한 정부의 대응 = 328
1) 농민의 저항 형태 = 328
2) 북한 정부의 대응 = 334
3. 협동조합의 주도권 경쟁과 촌락질서 재편 = 336
1) 협동조합의 주도권 경쟁 = 336
2) 북한 정부의 촌락질서 재편 = 342
제4장 분단농업구조의 정립 = 349
결론 = 361
참고문헌 = 376
찾아보기 = 398
서론 = 15
제1부. 남북한 농업개혁의 역사적 배경
제1장. 농민적 농업개혁론의 전통과 발전 = 31
1. 농민적 농업개혁론의 전통과 대동사상 = 31
1) 조선 후기·한말 농업개혁론의 추이 = 31
2) 대동사상적 전통의 근대적 전환 = 36
2. 일제하 농업개혁론의 분화와 발전 = 41
1) 사회민주주의·사회주의 농업개혁론 = 41
2) 중소농주의적 자본주의 농업개혁론 = 50
제2장. 일제하 농업 문제의 심화와 농민 = 54
1. 지주제의 확대와 지역적 특징 = 54
1) 지주제의 확대와 소작농 증가 = 54
2) 지역적 특징 = 57
2. 농민의 경제사정 저락과 농민운동의 성장 = 62
제3장. 일제 말·해방 후 인민민주주의 농업개혁론의 설립 = 65
1. 1920∼30년대 사회주의세력의 혁명노선 변화 = 65
1) 부르주아 민주주의 혁명론과 토지혁명론 = 65
2) 인민전선론의 수용 = 70
2. 해방 전후 사회주의 각 계열의 국가건설론과 농업개혁론 = 76
1) 국가건설의 전망과 통일전선론 = 76
2) 토지 문제 인식과 농업개혁론 = 83
제2부. 토지개혁
제1장. 8·15해방과 농민의 진출 = 91
1. 농민조합 결성 = 92
2. 인민위원회의 토지관리와 3·7제 시행 = 95
제2장. 토지개혁 논의와 법령 제정 = 102
1. 해방 직후 각 정치세력의 토지개혁관 = 102
1) 조선공산당의 초기 토지개혁관 = 102
2) 조선민주당 등 민족·자본주의세력의 토지개혁관 = 110
2. 소련의 대한(對韓)정책과 토지개혁 구상 = 114
1) 제2차세계대전 후 소련의 대한정책 = 114
2) 1945년 후반 조선공산당과 소련주둔군의 토지개혁 구상 = 122
3. 토지개혁법령의 제정 = 135
1) 토지개혁 방안의 급진화와 법령 제정(1946년 3월) = 135
2) 토지개혁의 입법 취지 = 144
제3장. 토지개혁의 전개 = 151
1. 토지몰수와 지주층의 소멸 = 151
1) 토지몰수의 원칙과 시행 = 151
2) 지주층의 저항과 소멸 = 156
2. 토지분배와 농민의 계층 구성 변동 = 168
1) 토지분배의 원칙과 시행 = 168
2) 농민의 토지소유·계층 구성 변동 = 173
3) 지역별 사례 = 186
(1) 도작지대 및 상업적 농업지역 = 187
(2) 고원지대 = 190
제4장. 북한 토지개혁의 비교사적 특징 = 195
1. 반제국주의 반봉건형(型)으로서의 토지개혁 = 195
2. 근로농민적 토지소유권의 성립 = 199
제3부 토지개혁 이후 국가관리 소농체계의 성립
제1장 토지개혁 이후의 농업정책론 = 209
1. 인민민주주의 경제정책론의 성립 = 209
2. 농공균형발전론 = 217
3. 국가의 계획적 소농경제 관리론 = 223
제2장 국가의 농업생산 관리 = 233
1. 생산반·생산돌격대의 운영 = 233
2. 소겨리·품앗이반의 확대와 다수확 경쟁운동 = 237
제3장 국가의 농산물유통 관리 = 242
1. 농업현물세 = 243
2. 소비조합과 양곡수매사업 = 254
3. 시장과 양곡유통구조 = 258
제4부 전쟁 이후 농업정책의 전환과 농업협동화
제1장 농업협동화론의 대두와 논의 = 265
1. 전시 농업생산기반의 붕괴와 농공 불균형 문제 = 265
1) 농업생산기반의 붕괴와 자작소농제의 위기 = 265
2) 농촌계층 분화와 농공불균형 문제 = 270
2. 농업협동화 논의와 사회주의 이행 문제 = 277
1) 전쟁 이전 농업협동화론의 도달점 = 277
2) 후기 인민민주주의론의 대두 = 282
3) 반제반봉건단계 유지론과 사회주의체제 건설론의 대립 = 286
4) 농업협동화론의 분화와 조정 = 293
제2장 농업협동화 과정의 원칙과 특징 = 305
1. 협동조합의 3형태 = 307
2. 주요 생산도구의 유상통합 = 314
3. 농민의 토지소유권 보존방침 시행과 변경 = 317
제3장 농촌사회의 갈등과 변동 = 321
1. 비공식적 촌락질서 = 324
2. 농업협동화에 대한 부분적 저항과 북한 정부의 대응 = 328
1) 농민의 저항 형태 = 328
2) 북한 정부의 대응 = 334
3. 협동조합의 주도권 경쟁과 촌락질서 재편 = 336
1) 협동조합의 주도권 경쟁 = 336
2) 북한 정부의 촌락질서 재편 = 342
제4장 분단농업구조의 정립 = 349
결론 = 361
참고문헌 = 376
찾아보기 = 3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