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장정보
서가번호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소장처 | 대출가능여부 | 대출정보 | |
---|---|---|---|---|---|---|
0003046 | 522.1 성79ㅅ | 농림축산식품부 자료실 | 대출가능 |
* 대출중인 자료에 한하여 예약이 가능합니다. 예약을 원하시면 예약버튼을 클릭하십시오.
008980320s1997 ulka d 000a kor
056 ▼a522.1▼23
090 ▼a522.1▼b성79ㅅ
1001 ▼a성진근
24500▼a신 농자 으뜸론▼d성진근 저
260 ▼a서울▼b신광▼c1997
300 ▼a268 p.▼b삽도▼c22 cm
44000▼a성진근 칼럼▼v2
9500 ▼b\8000
Ⅰ. 한국농업의 선택 = 9
1. 농업투자의 효율성 시비 = 11
2. 경제 살리기와 신 농자 으뜸론 = 15
가. 우리 경제위기, 어떤 정도인가? = 15
나. 후손에게 물려줄 유산은? = 18
다. 경제의 체질개선과 정경유착 = 21
라. 정책의 역할과 농업투자의 성격 = 24
마. 신 농자 으뜸론 = 27
3. 새로운 도약의 길, 제3의 농업혁명 = 31
4. 지역농업 부흥의 원년으로 = 39
5. 떨쳐버려야 할 패배감 = 43
6. 지역농산품의 브랜드화를 = 46
7. 대전환 21, 한국농업의 선택 = 49
8. 개방이후 농정목표 설정이 시급하다. = 51
9. UR 이후에 대한 안이한 처방을 경계한다 = 55
10. 한국농업의 회생을 위한 첫걸음 = 61
11. 한국농업의 폴란드 진출 필요성 = 72
12. 농어촌 후계세대에 거는 기대 = 80
Ⅱ. 농정 개혁의 길 = 89
1. 준농림지 전용완화 재고해야 = 91
2. 농업부문 투자축소 안된다 = 94
3. 농업투자 계속돼야 한다. = 97
4. 지역농업 활성화의 새 바탕 = 100
5. 인삼산업법, 이렇게 보완돼야 = 104
6. 농지개혁이 지향해야 할 기본방향 = 107
7. 『신농정』의 바람직한 목표와 과제 = 112
8. 새 정부, 새 농정에 거는 기대 = 121
9. 외양간 고치기의 수순 = 131
10. 개방대응 농산물 가격정책의 방향 = 138
11. 농외 소득원 개발정책의 방향 = 142
12. 쌀 수매제도 이렇게 개선돼야 = 145
13. 바람직한 개방대응 전략의 방향 = 149
가. 개방대응전략 수립의 전제조건 = 149
나. 농정의 신뢰성 회복 = 151
다. 개방대응 농정의 정책목표 = 154
라. 농정수행을 위한 재원 확보 = 157
마. 농정의 정책 우선순위 기준 = 159
바. 농업 회생에 대한 국민적 공감대와 식량안보 = 162
사. 환경보전 등 NTC 기능의 중요성 = 165
아. 가격 경쟁력 향상을 위한 전략 = 168
자. 품질 경쟁력과 가공수출 전략 = 171
차. 정책 당국자의 반성 = 174
카. 농민과 농업관련인의 자세 = 176
타. 개방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우리의 자세 = 179
Ⅲ. 우루과이라운드 협상 대응전략 = 183
1. UR 협상과 한국농업의 장래 = 185
2. UR 타결 임박, 농업대책은? = 192
3. 국내농업 포기할 순 없다 = 195
4. 『농업을 지키자』 범국민 대응할 때 = 198
5. UR협상대응 정부에 바란다 = 203
6. 개방화시대를 맞는 잎담배 산업의 발전방향 = 207
7. 쌀 시장, 개방되면 국민생존권 위태 = 216
8. 한국 농업의 시련과 새로운 도전 = 219
9. 쌀 기필코 지켜야 한다. = 227
10. 무분별한 『쌀 개방론(開放論)』을 슬퍼한다. = 231
11. 개방시대, 한국 농정의 바람직한 목표 = 235
12. 환경협상과 쌀 농사의 환경보전기능 = 239
13. Case of Korean Rice in UR Negotiation = 250
14. 쌀 문제의 본질과 수매제도 = 253
15. UR 협상타결과 식량자금율 확보 = 258
1. 농업투자의 효율성 시비 = 11
2. 경제 살리기와 신 농자 으뜸론 = 15
가. 우리 경제위기, 어떤 정도인가? = 15
나. 후손에게 물려줄 유산은? = 18
다. 경제의 체질개선과 정경유착 = 21
라. 정책의 역할과 농업투자의 성격 = 24
마. 신 농자 으뜸론 = 27
3. 새로운 도약의 길, 제3의 농업혁명 = 31
4. 지역농업 부흥의 원년으로 = 39
5. 떨쳐버려야 할 패배감 = 43
6. 지역농산품의 브랜드화를 = 46
7. 대전환 21, 한국농업의 선택 = 49
8. 개방이후 농정목표 설정이 시급하다. = 51
9. UR 이후에 대한 안이한 처방을 경계한다 = 55
10. 한국농업의 회생을 위한 첫걸음 = 61
11. 한국농업의 폴란드 진출 필요성 = 72
12. 농어촌 후계세대에 거는 기대 = 80
Ⅱ. 농정 개혁의 길 = 89
1. 준농림지 전용완화 재고해야 = 91
2. 농업부문 투자축소 안된다 = 94
3. 농업투자 계속돼야 한다. = 97
4. 지역농업 활성화의 새 바탕 = 100
5. 인삼산업법, 이렇게 보완돼야 = 104
6. 농지개혁이 지향해야 할 기본방향 = 107
7. 『신농정』의 바람직한 목표와 과제 = 112
8. 새 정부, 새 농정에 거는 기대 = 121
9. 외양간 고치기의 수순 = 131
10. 개방대응 농산물 가격정책의 방향 = 138
11. 농외 소득원 개발정책의 방향 = 142
12. 쌀 수매제도 이렇게 개선돼야 = 145
13. 바람직한 개방대응 전략의 방향 = 149
가. 개방대응전략 수립의 전제조건 = 149
나. 농정의 신뢰성 회복 = 151
다. 개방대응 농정의 정책목표 = 154
라. 농정수행을 위한 재원 확보 = 157
마. 농정의 정책 우선순위 기준 = 159
바. 농업 회생에 대한 국민적 공감대와 식량안보 = 162
사. 환경보전 등 NTC 기능의 중요성 = 165
아. 가격 경쟁력 향상을 위한 전략 = 168
자. 품질 경쟁력과 가공수출 전략 = 171
차. 정책 당국자의 반성 = 174
카. 농민과 농업관련인의 자세 = 176
타. 개방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우리의 자세 = 179
Ⅲ. 우루과이라운드 협상 대응전략 = 183
1. UR 협상과 한국농업의 장래 = 185
2. UR 타결 임박, 농업대책은? = 192
3. 국내농업 포기할 순 없다 = 195
4. 『농업을 지키자』 범국민 대응할 때 = 198
5. UR협상대응 정부에 바란다 = 203
6. 개방화시대를 맞는 잎담배 산업의 발전방향 = 207
7. 쌀 시장, 개방되면 국민생존권 위태 = 216
8. 한국 농업의 시련과 새로운 도전 = 219
9. 쌀 기필코 지켜야 한다. = 227
10. 무분별한 『쌀 개방론(開放論)』을 슬퍼한다. = 231
11. 개방시대, 한국 농정의 바람직한 목표 = 235
12. 환경협상과 쌀 농사의 환경보전기능 = 239
13. Case of Korean Rice in UR Negotiation = 250
14. 쌀 문제의 본질과 수매제도 = 253
15. UR 협상타결과 식량자금율 확보 = 2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