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장정보
서가번호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소장처 | 대출가능여부 | 대출정보 | |
---|---|---|---|---|---|---|
0015056 | 522.1 한17ㅋ | 농림축산식품부 자료실 | 대출가능 |
* 대출중인 자료에 한하여 예약이 가능합니다. 예약을 원하시면 예약버튼을 클릭하십시오.
008150513s2014 ulka 000a kor
020 ▼a9788960137189▼g93520
056 ▼a522.1▼25
090 ▼a522.1▼b한17ㅋ
110 ▼a한국농촌경제연구원
24510▼aKREI 미래농정포럼 2014▼d한국농촌경제연구원 [편]
260 ▼a서울▼b한국농촌경제연구원▼c2014
300 ▼axⅱ, 444 p.▼b삽도▼c26 cm
49010▼a연구자료▼vD386
653 ▼a임업관측
830 0▼a연구자료(한국농촌경제연구원)▼vD386
9501 ▼a비매품
제1장 KREI 미래농정포럼 운영 및 활동
1. 운영 및 구성 = 1
2. 2014년도 활동 주요 일지 = 4
3. 분과별 주요 활동 = 6
제2장 농업분과 주요 발굴 이슈
1. 농업·농촌 패러다임의 변화 = 9
제1장 머리말 = 10
제2장 농업패러다임의 변화 - 세계적 맥락 = 11
제3장 맺음말 - 다기능 농업 패러다임의 전망 = 41
1. 미래 농업 발전을 위한 농업 R&D 설정 방향 = 50
제1장 농업 과학기술과 미래 농업 = 50
제2장 농업 R&D의 주요특징 = 56
제3장 네덜란드 농업경쟁력과 농업기술혁신 = 59
제4장 한국 농업 R&D의 발전을 위한 제언 = 71
제3장 농촌분과 주요 발굴 이슈
1. 농촌정책이 추구할 새로운 가치로의 전환 = 83
제1장 농촌 정의의 고찰 = 84
제2장 농촌의 가치: 농자천하지대본(건강한 생명의 순환) = 90
제3장 정책적 함의: 法古創新 = 100
2. 지역에서의 농촌정책 추진주체에 관한 발전방향 모색 = 110
제1장 배경 및 목적 = 110
제2장 정책 추진주체에 관한 고찰 = 112
제3장 지역의 농촌정책 추진주체 형태와 협력 시스템 = 118
제4장 시사점과 정책 제안 = 133
3. 농촌공간의 재구조화 방안 = 141
제1장 농촌공간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 142
제2장 농촌공간의 현황 = 146
제3장 지속가능한 미래 농촌공간의 재구조화 방안 = 154
제4장 맺음말 = 174
제4장 식품·유통분과 주요 발굴 이슈
1. 기후변화와 푸드시스템 = 179
제1장 서론 = 180
제2장 푸드시스템에 있어서의 온실가스 발생의 주요 원인 = 182
제3장 기후변화가 푸드시스템에 미치는 영향 = 188
제4장 적응 및 경감 전략 = 199
제5장 향후 전망 = 205
2. 미래의 농산물 수급관리 시스템 = 213
제1장 농산물 수급관리의 필요성 = 213
제2장 우리나라의 농산물 수급관리 체계 = 216
제3장 미래의 농산물 수급관리 시스템 = 225
부록: 마케팅 보드와 제주 감귤 유통행정명령제 = 230
3. 동반성장을 위한 과제 = 233
제1장 농산물유통과 불공정거래 = 234
제2장 농산물 유통체계의 변화와 불공정거래 = 236
제3장 소비지 유통주체의 농산물 거래실태 = 241
제4장 동반성장과 상생협력의 필요성 = 246
제5장 동반성장과 상생협력의 과제 = 248
4. 대형유통업체와 식품가공업체의 거래공정화에 관한 연구 = 251
제1장 서론 = 251
제2장 식품산업의 변화 현황 = 252
제3장 식품 유통구조의 변화 = 255
제4장 대형유통업체와 식품제조업체의 거래 갈등과 주요 이슈진단 = 263
제4장 거래공정화를 위한 정책방향 = 266
5. 식품 포장 및 디자인의 향후 전망 = 272
제1장 식품 포장 및 디자인의 중요성 = 272
제2장 식품 포장 및 디자인 산업 = 274
제3장 식품 포장 및 디자인의 기술 = 277
제4장 식품 포장 및 디자인의 정책 방향 = 271
6. 외식산업의 미래 = 295
제1장 연구 필요성 = 295
제2장 국내 외식산업의 현재 = 296
제3장 미래를 변화시키는 주요 환경요인 = 301
제4장 외식(식품) 소비시장 트렌드 = 311
제5장 외식산업에 주는 시사점 = 320
제6장 정책적 제언 = 322
7. 가구차원의 식품보장(Food Security) 실태와 개선 방향 = 327
제1장 서론 = 327
제2장 식품보장 개념에 대한 논의 동향 = 328
제3장 식품보장실태 = 330
제4장 식품보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 337
제5장 가계차원의 식품보장 확보를 위한 방향 = 346
8. 식품표시 제도 현황과 소비자 이슈 = 353
제1장 연구 필요성 = 353
제2장 식품표시 관련 법제 = 355
제3장 식품 표시에 대한 소비자 인식 = 360
제4장 식품 표시 관련 소비자문제 이슈 = 363
제5장 결론 및 제언 = 367
9. 식생활 양상과 미래 전망 = 370
제1장 문제 제기 = 370
제2장 영양소 섭취 및 식푸수급상의 동향변화 = 372
제3장 건강 및 질병상의 변화양상 = 381
제4장 현대 식생활의 특징 = 385
제5장 향후 식생활 전망 = 394
세6장 시사점 및 제언 = 396
부록: 1. 농업분과 분과회의 결과보고 = 401
2. 농촌분과 분과회의 결과보고 = 410
3. 식품·유통분과 분과회의 결과보고 = 428
1. 운영 및 구성 = 1
2. 2014년도 활동 주요 일지 = 4
3. 분과별 주요 활동 = 6
제2장 농업분과 주요 발굴 이슈
1. 농업·농촌 패러다임의 변화 = 9
제1장 머리말 = 10
제2장 농업패러다임의 변화 - 세계적 맥락 = 11
제3장 맺음말 - 다기능 농업 패러다임의 전망 = 41
1. 미래 농업 발전을 위한 농업 R&D 설정 방향 = 50
제1장 농업 과학기술과 미래 농업 = 50
제2장 농업 R&D의 주요특징 = 56
제3장 네덜란드 농업경쟁력과 농업기술혁신 = 59
제4장 한국 농업 R&D의 발전을 위한 제언 = 71
제3장 농촌분과 주요 발굴 이슈
1. 농촌정책이 추구할 새로운 가치로의 전환 = 83
제1장 농촌 정의의 고찰 = 84
제2장 농촌의 가치: 농자천하지대본(건강한 생명의 순환) = 90
제3장 정책적 함의: 法古創新 = 100
2. 지역에서의 농촌정책 추진주체에 관한 발전방향 모색 = 110
제1장 배경 및 목적 = 110
제2장 정책 추진주체에 관한 고찰 = 112
제3장 지역의 농촌정책 추진주체 형태와 협력 시스템 = 118
제4장 시사점과 정책 제안 = 133
3. 농촌공간의 재구조화 방안 = 141
제1장 농촌공간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 142
제2장 농촌공간의 현황 = 146
제3장 지속가능한 미래 농촌공간의 재구조화 방안 = 154
제4장 맺음말 = 174
제4장 식품·유통분과 주요 발굴 이슈
1. 기후변화와 푸드시스템 = 179
제1장 서론 = 180
제2장 푸드시스템에 있어서의 온실가스 발생의 주요 원인 = 182
제3장 기후변화가 푸드시스템에 미치는 영향 = 188
제4장 적응 및 경감 전략 = 199
제5장 향후 전망 = 205
2. 미래의 농산물 수급관리 시스템 = 213
제1장 농산물 수급관리의 필요성 = 213
제2장 우리나라의 농산물 수급관리 체계 = 216
제3장 미래의 농산물 수급관리 시스템 = 225
부록: 마케팅 보드와 제주 감귤 유통행정명령제 = 230
3. 동반성장을 위한 과제 = 233
제1장 농산물유통과 불공정거래 = 234
제2장 농산물 유통체계의 변화와 불공정거래 = 236
제3장 소비지 유통주체의 농산물 거래실태 = 241
제4장 동반성장과 상생협력의 필요성 = 246
제5장 동반성장과 상생협력의 과제 = 248
4. 대형유통업체와 식품가공업체의 거래공정화에 관한 연구 = 251
제1장 서론 = 251
제2장 식품산업의 변화 현황 = 252
제3장 식품 유통구조의 변화 = 255
제4장 대형유통업체와 식품제조업체의 거래 갈등과 주요 이슈진단 = 263
제4장 거래공정화를 위한 정책방향 = 266
5. 식품 포장 및 디자인의 향후 전망 = 272
제1장 식품 포장 및 디자인의 중요성 = 272
제2장 식품 포장 및 디자인 산업 = 274
제3장 식품 포장 및 디자인의 기술 = 277
제4장 식품 포장 및 디자인의 정책 방향 = 271
6. 외식산업의 미래 = 295
제1장 연구 필요성 = 295
제2장 국내 외식산업의 현재 = 296
제3장 미래를 변화시키는 주요 환경요인 = 301
제4장 외식(식품) 소비시장 트렌드 = 311
제5장 외식산업에 주는 시사점 = 320
제6장 정책적 제언 = 322
7. 가구차원의 식품보장(Food Security) 실태와 개선 방향 = 327
제1장 서론 = 327
제2장 식품보장 개념에 대한 논의 동향 = 328
제3장 식품보장실태 = 330
제4장 식품보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 337
제5장 가계차원의 식품보장 확보를 위한 방향 = 346
8. 식품표시 제도 현황과 소비자 이슈 = 353
제1장 연구 필요성 = 353
제2장 식품표시 관련 법제 = 355
제3장 식품 표시에 대한 소비자 인식 = 360
제4장 식품 표시 관련 소비자문제 이슈 = 363
제5장 결론 및 제언 = 367
9. 식생활 양상과 미래 전망 = 370
제1장 문제 제기 = 370
제2장 영양소 섭취 및 식푸수급상의 동향변화 = 372
제3장 건강 및 질병상의 변화양상 = 381
제4장 현대 식생활의 특징 = 385
제5장 향후 식생활 전망 = 394
세6장 시사점 및 제언 = 396
부록: 1. 농업분과 분과회의 결과보고 = 401
2. 농촌분과 분과회의 결과보고 = 410
3. 식품·유통분과 분과회의 결과보고 = 4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