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료유형
- 단행본
- ISBN
- 9788957045268 93350\20000
- KDC
- 324.2-5
- 청구기호
- 324.2 한17ㅈ
- 단체저자
- 한국행정연구원
- 서명/저자
- 지역 사회통합과 발전을 위한 협동조합의 활용 및 활성화 방안 연구 / 한국행정연구원 [편]
- 발행사항
- 서울 : 한국행정연구원, 2013
- 형태사항
- xxxⅱ, 374 p. : 삽화, 도표 ; 26 cm
- 총서명
- KIPA 연구보고서 ; 2013-37
- 주기사항
- 권말부록으로 '서울·충남 협동조합의 현황 및 정책인식조사 설문지', '정책우선순위 조사 설문지', '사회적경제 네트워크 조사 설문지' 수록
- 주기사항
- 연구책임자: 채종헌
- 서지주기
- 참고문헌 : p.340-346
- 기타저자
- 채종헌
- 통일총서명
- KIPA 연구보고서(한국행정연구원) ; 2013-37
- 가격
- \20000
- Control Number
- maf:34721
소장정보
서가번호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소장처 | 대출가능여부 | 대출정보 | |
---|---|---|---|---|---|---|
0014525 | 324.2 한17ㅈ | 농림축산식품부 자료실 | 대출가능 |
* 대출중인 자료에 한하여 예약이 가능합니다. 예약을 원하시면 예약버튼을 클릭하십시오.
008140814s2013 ulkab 000a kor
020 ▼a9788957045268▼g93350▼c\20000
056 ▼a324.2▼25
090 ▼a324.2▼b한17ㅈ
110 ▼a한국행정연구원
24500▼a지역 사회통합과 발전을 위한 협동조합의 활용 및 활성화 방안 연구▼d한국행정연구원 [편]
260 ▼a서울▼b한국행정연구원▼c2013
300 ▼axxxⅱ, 374 p.▼b삽화, 도표▼c26 cm
49010▼aKIPA 연구보고서▼v2013-37
50010▼a권말부록으로 '서울·충남 협동조합의 현황 및 정책인식조사 설문지', '정책우선순위 조사 설문지', '사회적경제 네트워크 조사 설문지' 수록
50010▼a연구책임자: 채종헌
504 ▼a참고문헌 : p.340-346
7001 ▼a채종헌
830 0▼aKIPA 연구보고서(한국행정연구원)▼v2013-37
9500 ▼b\20000
제1장 서 론 [채종헌] = 1
제1절 연구의 배경 = 2
제2절 연구의 목적 = 4
제3절 연구범위와 방법 = 7
1. 연구 범위 = 7
2. 연구의 방법 = 9
제4절 연구의 기대효과 = 12
제2장 사회통합과 협동조합의 의의 [채종헌] = 15
제1절 사회통합과 지역사회 발전을 위한 과제 = 16
1. 지역사회발전을 위한 사회통합 = 16
2. 사회양극화와 지역 불균형 심화 = 20
3. 사회통합과 지역발전의 대안으로서 사회적경제 = 22
제2절 협동조합의 배경 및 의의 = 24
1. 시장경제의 한계와 사회적경제 = 244
2. 공동체주의 이론과 사회자본 = 30
3. 협동조합의 의의 = 41
제3장 협동조합의 사례 및 현황분석 [채종헌·김종수] = 59
제1절 협동조합의 제도적 현황 분석 = 60
1. 사회적 경제의 제도적 현황 = 60
2. 기존 협동조합의 한계와 문제점 = 70
3. 협동조합기본법 제정의 의의와 한계 = 75
제2절 국외 협동조합의 사례연구 = 82
1. 이탈리아(볼로냐) 협동조합 = 82
2. 스페인(몬드라곤) 협동조합 = 95
3. 스위스(미그로) 협동조합 = 113
4. 캐나다 퀘벡 협동조합 = 124
제3절 국내 협동조합의 사례연구 = 137
1. 우리나라 대표적 협동조합 사례 = 137
2. 원주시 협동사회경제네트워크 = 144
3. 충청남도 협동조합 = 155
4. 서울시 협동조합 지원정책 = 166
제4장 연구 설계 [채종헌] = 171
제1절 연구 설계 및 분석틀 = 172
1. 연구 설계 = 172
2. 연구 분석의 틀 = 174
제2절 협동조합의 사회적 인식조사 = 175
1. 협동조합 인식조사의 개요 = 175
2. 인식조사의 구성 = 76
제3절 AHP 분석 설계 = 178
1. 계층적 의사결정 기법의 도입 = 178
제4절 쟁점 분석 및 사회네트워크분석 설계 = 180
제5장 협동조합의 사회적 인식 분석 [채종헌·김종수] = 183
제1절 조사 개요 = 184
1. 설문의 구성 = 184
2. 자료 수집 및 분석 방법 = 186
3. 조사대상의 특성 = 187
제2절 서울지역 사회적기업과 협동조합의 인식 분석 = 190
1. 응답대상의 일반현황 분석 = 190
2. 협동조합의 7원칙 인식조사 분석 = 195
3. 직원(조합원)의 교육 훈련 및 증자 = 197
4. 사회적기업과 협동조합의 지역사회 기여 = 202
5. 정부 및 다른 협동조합과의 협력 관계 = 206
제3절 서울과 충남지역의 협동조합 인식조사 비교분석 = 212
1. 서울과 충남 응답대상의 일반현황 분석 = 212
2. 협동조합의 7원칙 비교분석 = 217
3. 조합원의 교육훈련 및 증자현황 = 220
4. 협동조합들의 지역사회 기여 인식현황 = 223
5. 협동조합의 행정기관 및 다른 협동조합과의 협력 = 227
제4절 협동조합 인식조사 분석 소결 = 232
1. 서울지역 협동조합과 사회적기업의 인식조사 분석 결과 = 232
2. 서울과 충청남도 협동조합들의 인식조사 비교 분석 = 234
제6장 협동조합 관련정책의 전문가 우선순위 분석 [채종헌] = 237
제1절 AHP 방법 소개 및 모형 구축 = 238
1. 계층적의사결정(Analytic Hierarchy Process)의 개념 = 238
2. AHP 분석의 단계 = 240
3. 협동조합 활성화를 위한 계층적 의사결정모형 도출 = 242
제2절 협동조합 활성화 정책 우선순위 분석 = 247
1. 조사개요 = 247
2. 정책우선순위의 단계별 평가기준의 분석 = 248
3. 정책우선순위 종합적 평가기준의 분석 = 256
제3절 전문가의 지역특성에 따른 정책우선순위 분석 = 260
1. 조사개요 = 260
2. 수도권지역 전문가 정책우선순위 분석 = 260
3. 비수도권지역 전문가 정책우선순위 분석 = 265
제4절 분석 소결 = 271
제7장 사회적경제 생태계 분석 [채종헌[ = 275
제1절 원주 사회적경제 생태계 조사 개요 = 276
제2절 원주 사회적경제 생태계 네트워크 분석 = 281
1. 전체 사회적경제 생태계 네트워크 분석 = 281
2. 운영지원 분야 = 284
3. 정보자원 분야 = 296
4. 교육활동 분야 = 303
5. 지역 네트워크 분야 = 308
제3절 분석 소결 = 313
제8장 결 론 [채종헌] = 315
제1절 연구 요약 = 316
제2절 정책 제언 = 322
1. 사회적경제 생태계 조성 = 323
2. 협동조합 운동과 정부 간 긴밀한 협력 = 324
3. 각 부처의 사회적경제 정책 협업 = 324
4. 협동조합 활성화를 위한 금융조달과 전문적 지원 = 325
5. 협동조합기본법의 정비 및 개정을 통한 문제 해결 = 327
6. 기존 협동조합 활용 및 연계 가능성 진단과 개선 = 328
7. 지역자원운영과 개발을 위한 협동조합의 활용 = 329
8. 협동조합 모형 차별화 전략 강구 = 330
9. 분야별 협동조합 도입 전략 차별화 = 330
10. 협동조합에 대한 홍보와 사회적 인식 확대 방안 = 332
11. 창업에 대한 협동조합의 지원과 유인 정책 활용 = 333
12. 협동조합 활성화를 위한 지역 대학의 활용 = 334
13. 협동조합운동과 사회적 자본에 대한 제도권의 교육 필요 = 335
14. 효과적인 사회적경제 작동을 위한 효과적 협의시스템 개발 및 교육 = 335
참고문헌 = 339
부 록 = 347
<부록 1> 서울·충남 협동조합의 현황 및 정책인식조사 설문지 = 348
<부록 2> 정책우선순위 조사 설문지 = 360
<부록 3> 사회적경제 네트워크 조사 설문지 = 371
제1절 연구의 배경 = 2
제2절 연구의 목적 = 4
제3절 연구범위와 방법 = 7
1. 연구 범위 = 7
2. 연구의 방법 = 9
제4절 연구의 기대효과 = 12
제2장 사회통합과 협동조합의 의의 [채종헌] = 15
제1절 사회통합과 지역사회 발전을 위한 과제 = 16
1. 지역사회발전을 위한 사회통합 = 16
2. 사회양극화와 지역 불균형 심화 = 20
3. 사회통합과 지역발전의 대안으로서 사회적경제 = 22
제2절 협동조합의 배경 및 의의 = 24
1. 시장경제의 한계와 사회적경제 = 244
2. 공동체주의 이론과 사회자본 = 30
3. 협동조합의 의의 = 41
제3장 협동조합의 사례 및 현황분석 [채종헌·김종수] = 59
제1절 협동조합의 제도적 현황 분석 = 60
1. 사회적 경제의 제도적 현황 = 60
2. 기존 협동조합의 한계와 문제점 = 70
3. 협동조합기본법 제정의 의의와 한계 = 75
제2절 국외 협동조합의 사례연구 = 82
1. 이탈리아(볼로냐) 협동조합 = 82
2. 스페인(몬드라곤) 협동조합 = 95
3. 스위스(미그로) 협동조합 = 113
4. 캐나다 퀘벡 협동조합 = 124
제3절 국내 협동조합의 사례연구 = 137
1. 우리나라 대표적 협동조합 사례 = 137
2. 원주시 협동사회경제네트워크 = 144
3. 충청남도 협동조합 = 155
4. 서울시 협동조합 지원정책 = 166
제4장 연구 설계 [채종헌] = 171
제1절 연구 설계 및 분석틀 = 172
1. 연구 설계 = 172
2. 연구 분석의 틀 = 174
제2절 협동조합의 사회적 인식조사 = 175
1. 협동조합 인식조사의 개요 = 175
2. 인식조사의 구성 = 76
제3절 AHP 분석 설계 = 178
1. 계층적 의사결정 기법의 도입 = 178
제4절 쟁점 분석 및 사회네트워크분석 설계 = 180
제5장 협동조합의 사회적 인식 분석 [채종헌·김종수] = 183
제1절 조사 개요 = 184
1. 설문의 구성 = 184
2. 자료 수집 및 분석 방법 = 186
3. 조사대상의 특성 = 187
제2절 서울지역 사회적기업과 협동조합의 인식 분석 = 190
1. 응답대상의 일반현황 분석 = 190
2. 협동조합의 7원칙 인식조사 분석 = 195
3. 직원(조합원)의 교육 훈련 및 증자 = 197
4. 사회적기업과 협동조합의 지역사회 기여 = 202
5. 정부 및 다른 협동조합과의 협력 관계 = 206
제3절 서울과 충남지역의 협동조합 인식조사 비교분석 = 212
1. 서울과 충남 응답대상의 일반현황 분석 = 212
2. 협동조합의 7원칙 비교분석 = 217
3. 조합원의 교육훈련 및 증자현황 = 220
4. 협동조합들의 지역사회 기여 인식현황 = 223
5. 협동조합의 행정기관 및 다른 협동조합과의 협력 = 227
제4절 협동조합 인식조사 분석 소결 = 232
1. 서울지역 협동조합과 사회적기업의 인식조사 분석 결과 = 232
2. 서울과 충청남도 협동조합들의 인식조사 비교 분석 = 234
제6장 협동조합 관련정책의 전문가 우선순위 분석 [채종헌] = 237
제1절 AHP 방법 소개 및 모형 구축 = 238
1. 계층적의사결정(Analytic Hierarchy Process)의 개념 = 238
2. AHP 분석의 단계 = 240
3. 협동조합 활성화를 위한 계층적 의사결정모형 도출 = 242
제2절 협동조합 활성화 정책 우선순위 분석 = 247
1. 조사개요 = 247
2. 정책우선순위의 단계별 평가기준의 분석 = 248
3. 정책우선순위 종합적 평가기준의 분석 = 256
제3절 전문가의 지역특성에 따른 정책우선순위 분석 = 260
1. 조사개요 = 260
2. 수도권지역 전문가 정책우선순위 분석 = 260
3. 비수도권지역 전문가 정책우선순위 분석 = 265
제4절 분석 소결 = 271
제7장 사회적경제 생태계 분석 [채종헌[ = 275
제1절 원주 사회적경제 생태계 조사 개요 = 276
제2절 원주 사회적경제 생태계 네트워크 분석 = 281
1. 전체 사회적경제 생태계 네트워크 분석 = 281
2. 운영지원 분야 = 284
3. 정보자원 분야 = 296
4. 교육활동 분야 = 303
5. 지역 네트워크 분야 = 308
제3절 분석 소결 = 313
제8장 결 론 [채종헌] = 315
제1절 연구 요약 = 316
제2절 정책 제언 = 322
1. 사회적경제 생태계 조성 = 323
2. 협동조합 운동과 정부 간 긴밀한 협력 = 324
3. 각 부처의 사회적경제 정책 협업 = 324
4. 협동조합 활성화를 위한 금융조달과 전문적 지원 = 325
5. 협동조합기본법의 정비 및 개정을 통한 문제 해결 = 327
6. 기존 협동조합 활용 및 연계 가능성 진단과 개선 = 328
7. 지역자원운영과 개발을 위한 협동조합의 활용 = 329
8. 협동조합 모형 차별화 전략 강구 = 330
9. 분야별 협동조합 도입 전략 차별화 = 330
10. 협동조합에 대한 홍보와 사회적 인식 확대 방안 = 332
11. 창업에 대한 협동조합의 지원과 유인 정책 활용 = 333
12. 협동조합 활성화를 위한 지역 대학의 활용 = 334
13. 협동조합운동과 사회적 자본에 대한 제도권의 교육 필요 = 335
14. 효과적인 사회적경제 작동을 위한 효과적 협의시스템 개발 및 교육 = 335
참고문헌 = 339
부 록 = 347
<부록 1> 서울·충남 협동조합의 현황 및 정책인식조사 설문지 = 348
<부록 2> 정책우선순위 조사 설문지 = 360
<부록 3> 사회적경제 네트워크 조사 설문지 = 3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