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료유형
- 단행본
- ISBN
- 9788975278860 14520\13000
- 언어부호
- 본문언어 - kor, 원저작언어 - jpn
- KDC
- 524.2-5
- 청구기호
- 524.2 이211ㅁ
- 저자명
- 이나바 미쓰쿠니 1944-
- 서명/저자
- 무농약 유기벼농사 : 논생물을 이용한 억초법과 다수확 재배법 / 이나바 미쓰쿠니 지음 ; 김준영 옮김
- 발행사항
- 파주 : 들녘, 2013
- 형태사항
- 303 p. : 삽화(일부천연색), 도표 ; 22 cm
- 총서명
- 농부가 세상을 바꾼다! 귀농총서 ; 33
- 주기사항
- 권말부록으로 “무논의 주요한 유용 미생물의 기능과 증식 조건” 등 수록
- 원서명/원저자명
- あなたにもできる無農薬·有機のイネつくり
- 원서명/원저자명
- 稻葉光國 /
- 기타저자
- 김준영
- 기타저자
- 도엽광국 1944-
- 가격
- \13000
- Control Number
- maf:32798
소장정보
서가번호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소장처 | 대출가능여부 | 대출정보 | |
---|---|---|---|---|---|---|
0021732 | 524.2 이211ㅁ | 농림축산식품부 자료실 | 대출가능 |
* 대출중인 자료에 한하여 예약이 가능합니다. 예약을 원하시면 예약버튼을 클릭하십시오.
008131025s2013 ggkad 000a kor
020 ▼a9788975278860▼g14520▼c\13000
0411 ▼akor▼hjpn
056 ▼a524.2▼25
090 ▼a524.2▼b이211ㅁ
1001 ▼a이나바 미쓰쿠니▼d1944-
24500▼a무농약 유기벼농사▼b논생물을 이용한 억초법과 다수확 재배법▼d이나바 미쓰쿠니 지음▼e김준영 옮김
260 ▼a파주▼b들녘▼c2013
300 ▼a303 p.▼b삽화(일부천연색), 도표▼c22 cm
44000▼a농부가 세상을 바꾼다! 귀농총서▼v33
50000▼a권말부록으로 “무논의 주요한 유용 미생물의 기능과 증식 조건” 등 수록
50710▼tあなたにもできる無農薬·有機のイネつくり
50710▼a稻葉光國
653 ▼a벼농사▼a유기농법
7001 ▼a김준영
90010▼a도엽광국▼d1944-
9500 ▼b\13000
한국의 독자분들에게 = 8
들어가는 말 = 12
서장|관행재배에서 무농약 유기재배로
'빼앗긴 미래'로부터의 탈출과 유기벼농사 = 20
유기농 쌀의 성분 특성과 알레르기, 저출산 문제 = 22
무농약ㆍ유기농=저수확ㆍ다노동력으로 비난받는 시대는 끝났다 = 23
유기벼농사는 논의 생물상을 풍부하게 한다 = 24
도복과 냉해, 혹서에도 강한 무농약 유기벼농사 = 26
관행재배를 뛰어넘는 수량 실현 = 27
되살아나는 논의 다면적 기능과 환경직불제 = 29
우리 농업의 전망을 열어주는 것은 유기벼농사 농민이다 = 30
제1장 성공과 실패 사례로 보는 무농약ㆍ유기벼농사의 포인트
1. 유기 벼농사의 성공 사례 = 32
(1) 화산재토양의 논 4헥타르를 짓다 = 32
(2) 번식우의 쇠두엄을 이용한 8헥타르의 유기벼농사 = 34
(3) 3년째 조기담수+콩 그루갈이로 성공 = 35
2. 실패 사례 - 그 원인과 개선 방향 = 38
(1) 풀을 막지 못하고 잡초가 무성 = 38
(2) 생육이 빈약하여 수확이 격감 = 48
(3) 경비와 노력이 너무 많이 든다 = 55
3. 누구나 가능한 무농약ㆍ유기벼농사=실패하지 않기 위한 순서 = 58
(1) 60일간 물을 안정하게 댈 수 있는 논부터 시작 = 58
(2) 파종량 60g 이하, 35일 이상 기른 성묘 이식 = 58
(3) 쌀겨 중심의 발효비료를 쓴다 = 60
(4) 기본 기술을 지키면 경비와 노력이 들지 않는다 = 61
제2장 논 생명의 다양성을 활용한 억초기술
1. 제초에서 억초로, 발상의 전환부터 = 64
2. 논 잡초의 형태와 특성 = 64
(1) 습생잡초 : 피 = 64
(2) 수생잡초 : 물달개비 = 66
(3) 숙근성잡초 : 벗풀, 올방개 = 67
(4) 부유잡초 = 67
3. 억초기술의 기본은 피의 방제 = 68
(1) 피 방제의 역사와 이식재배 = 68
(2) 담수ㆍ심수관리에 의한 피 방제 메커니즘 = 70
(3) 심수관리의 유의점 = 72
(4) 심수관리로 다이옥신 함유 제초제를 일소하자 = 76
(5) 심수관리로 안정 다수확 실현 = 77
4. 연구ㆍ개발된 다양한 물달개비 억초기술 = 79
(1) 어려운 물달개비 방제법 = 79
(2) 정착된 물달개비, 물옥잠 방제법 = 81
5. 논 생물의 다양성을 활용한 물달개비 억초법 = 83
(1) 논에서 나고 자라는 생물을 늘리는 물달개비 억초법 = 83
(2) 동계담수, 조기담수, 심수관리로 풍부해진 논 생물 = 88
(3) 조기담수와 쌀겨콩싸라기를 이용한 물달개비 방제의 실제 = 89
(4) 번식우의 쇠두엄과 쌀겨로 생기는 끈적끈적한 토양층에 의한 물달개비 방제 = 106
(5) 주목받는 콩-벼 그루갈이에 의한 억초의 실제 = 109
(6) 자운영, 보리, 유채 등을 갈아 넣는 물달개비 방제의 실제 = 113
6. 연구 개발된 다양한 올방개, 벗풀 억초법 = 118
(1) 심하게 번성하지 않으므로 발생 초기에 김을 매준다 = 118
(2) 플라우 경운으로 건조 동결시키는 방제 = 118
(3) 동계담수ㆍ조기담수로 오리나 들새의 먹이로 = 120
(4) 조기담수로 발아시켜 이겨 넣는다 = 120
7. 토양과 기상 조건에 따라 다른 억초기술의 포인트 = 121
(1) 끈적끈적한 토양층이 일찍 형성되는 화산재토양 = 121
(2) 물달개비 방제가 곤란한 충적토양 = 122
(3) 간토 이남 지방의 물관리와 억초법 = 122
(4) 도호쿠, 홋카이도, 중산간지역의 물관리와 억초법 = 123
제3장 무농약ㆍ유기벼농사의 기본 기술 - 저비용의 성묘 기르기 기술
1. 유기벼농사에서 모 기르기는 가장 중요한 기술 = 128
2. 왜 성묘가 필요한가 = 128
(1) 농약을 쓰지 않고도 육묘할 수 있다 = 128
(2) 품이 들지 않는 잡초 방제법=초기 심수관리에 견딜 수 있는 모 = 130
(3) 병충해와 도복을 방지할 수 있는 모 = 132
(4) 냉해를 이겨내고 안정 다수확이 가능한 모 = 135
3. 황경창조형 벼농사가 지향하는 모의 품질 = 136
(1) 4.5엽 이상의 튼튼한 묘가 기본조건 = 136
(2) 전분 축적이 많은 모 = 137
(3) 한 상자에 40∼60g 파종하여 기른다 = 138
4. 육묘 노동력과 육묘 자재를 크게 절약하는 웅덩이육묘법 = 139
(1) 성묘 기르기가 품이 많이 든다는 생각은 이미 옛말 = 139
(2) 간토 이남 지역은 하우스육묘가 필요 없다 - 하우스육묘를 중지하여 다이옥신 발생원을 없앤다 = 140
5. 유기 육묘의 볍씨 처리 포인트 = 141
(1) 볍씨의 입수와 갱수 및 선별 = 141
(2) 온탕침법과 유의점 = 144
(3) 침종은 저온, 장시간이 원칙 = 151
(4) 싹틔우기 방법과 싹튼 볍씨의 보존 = 152
6. 웅덩이 성묘 기르기의 포인트 = 154
(1) 상토 준비 = 155
(2) 웅덩이 설치 = 158
(3) 매트모의 파종 작업 = 162
(4) 포트모이 파종 작업 = 167
(5) 발아 준비 작업 = 169
(6) 발아 판단과 고르지 못한 발아의 대책 = 172
(7) 웅덩이육묘 기간의 수위와 온도 관리 = 173
(8) 벼의 생리와 웅덩이육묘의 장점 = 174
7. 웅덩이육묘의 모 품질과 이식 작업의 주의점 = 177
(1) 웅덩이육묘의 모 품질 = 177
(2) 이식 작업의 주의점 = 178
제4장 토양 만들기의 새로운 관점과 비배관리
1. 자연순환 기능을 풍부하게 하는 유기벼농사의 비배관리이론 = 182
(1) 심경ㆍ건토 효과에서 천경ㆍ미생물 발생을 촉진하는 관리로 = 182
(2) 많은 화학비료의 사용에서 아미노산상태 질소의 적량 시비로 = 185
(3) 주변 자재를 활용한 자가 생산이 기본 = 189
(4) 목표는 무비료 재배 = 190
2. 재배 순서와 비배관리 = 192
(1) 수확 직후부터 시작하는 토양 만들기 = 193
(2) 조기담수에서 밑거름의 시용 = 197
(3) 동계담수가 가능한 지역에서 토양 만들기와 밑거름의 시용 = 197
(4) 모내기와 동시에 또는 직후에 쌀겨ㆍ콩싸라기 혼합 펠릿을 뿌린다 = 199
(5) 그물말이 모내기 직후부터 다시 발생한 경우의 물관리 = 200
(6) 모내기 10일째의 생물 조사와 생육 진단 = 201
(7) 모내기 후 10∼20일에 하는 중경 = 204
(8) 줄기수 늘리는 방법 = 204
(9) 이삭패기 45일 전의 진단과 추비(경비) = 207
(10) 생물 조사와 비오토프의 관리 = 211
(11) 장마 이후의 물관리와 등숙기의 관리 - 등숙을 높여 밥맛을 좋게 한다 = 214
제5장 병해충이 생기지 않는 벼농사와 대책
1. 해충의 발생 방지와 발생시의 대책 = 219
(1) 벼물바구미의 발생 방지 = 219
(2) 벼잎벌레는 과잉 질소가 원인 = 221
(3) 멸구, 매미충의 방제법 = 222
(4) 노린재 방제법 = 223
2. 도복, 도열병, 냉해를 피하는 법 = 229
(1) 도복 문제는 이식 포기수의 감소가 기본 = 229
(2) 도열병의 방제는 밀식ㆍ다비를 피하는 것 = 230
(3) 지연형, 장해형 모두 극복할 수 있다 = 232
제6장 유기재배로 안정 다수확을 이루는 새로운 벼농사 기술의 가능성
1. 무농약ㆍ유기재배로 안정 다수확을 이루기 위해서는 기술 재검토가 필요 = 238
(1) 관행 기술로는 한계가 있다 = 238
(2) 이삭수보다는 1이삭 당 낟알수를 중시하는 벼농사로 = 239
2. 1이삭 당 낟알수를 중시한 벼농사의 과제 = 241
(1) 무농약으로 관행 수량을 넘어서기 위해서는 이삭수의 감소를 막을 것 = 241
(2) 이삭수는 최적엽면적지수로 결정된다 = 242
(3) 재배법으로 달라지는 유효 이삭수 = 244
3. 1이삭 당 엽면적을 줄이기 위한 재배법 = 246
(1) 엽면적이 많아지는 원인 = 246
(2) 간토 이남 지역의 하엽을 줄이는 재배법 = 248
(3) 1이삭 당 잎의 매수를 줄이는 재배법 = 248
4. 밥맛이 떨어지지 않는 다수확을 위해서는 최종분열을 신장시킬 것 = 254
5. 유기벼농사에서 비배관리의 새로운 관점 = 256
제7장 일본 벼농사의 새로운 패러다임 _ 무논의 공익적 가치의 관점에서
1. 관행재배에 의한 규모 확대는 먹을거리의 안전ㆍ환경ㆍ생산자와 건강을 파괴하고 경영을 파탄시킨다 = 260
2. 유기농업에 의한 일본농업 재건의 가능성 = 263
3. 유기벼농사를 핵으로 한 환경재생계획과 환경직불제 = 267
4. 유기재배 논을 핵으로 한 21세기 농업ㆍ농민의 모습 = 269
(1) 유기벼농사를 핵으로 하는 농장 전체의 생태관리 = 269
(2) 바람직한 논둑 관리 = 270
(3) 무논 속의 비오토프나 간이어도 설치와 생물조사 = 274
(4) 지역 전체와 농장 전체의 생태계 관리 = 271
맺는 말 - 유기벼농사의 목표와 전망 = 276
부록 1 무논의 주요한 유용 미생물의 기능과 증식 조건 = 289
부록 2 주위에서 구할 수 있는 발효비료의 재료와 특징 = 290
부록 3 발효비료 만드는 방법 = 293
수확 후 사용으로 생볏짚의 분해나 누룩균, 효모균의 정착을 위한 발효비료 = 293
모내기 40일 전에 뿌리는 발효비료 - 밑거름 = 294
모내기와 동시에 또는 직후에 뿌리는 억초 자재 = 295
웃거름(경비)용 발효비료 = 295
부록 4 유기벼농사의 재배 다이어리 = 296
조기담수 ① - 홋카이도ㆍ도호쿠ㆍ호쿠리쿠ㆍ고랭지 = 296
조기담수 ② - 간토 이남 = 299
동계담수ㆍ무경운 = 301
들어가는 말 = 12
서장|관행재배에서 무농약 유기재배로
'빼앗긴 미래'로부터의 탈출과 유기벼농사 = 20
유기농 쌀의 성분 특성과 알레르기, 저출산 문제 = 22
무농약ㆍ유기농=저수확ㆍ다노동력으로 비난받는 시대는 끝났다 = 23
유기벼농사는 논의 생물상을 풍부하게 한다 = 24
도복과 냉해, 혹서에도 강한 무농약 유기벼농사 = 26
관행재배를 뛰어넘는 수량 실현 = 27
되살아나는 논의 다면적 기능과 환경직불제 = 29
우리 농업의 전망을 열어주는 것은 유기벼농사 농민이다 = 30
제1장 성공과 실패 사례로 보는 무농약ㆍ유기벼농사의 포인트
1. 유기 벼농사의 성공 사례 = 32
(1) 화산재토양의 논 4헥타르를 짓다 = 32
(2) 번식우의 쇠두엄을 이용한 8헥타르의 유기벼농사 = 34
(3) 3년째 조기담수+콩 그루갈이로 성공 = 35
2. 실패 사례 - 그 원인과 개선 방향 = 38
(1) 풀을 막지 못하고 잡초가 무성 = 38
(2) 생육이 빈약하여 수확이 격감 = 48
(3) 경비와 노력이 너무 많이 든다 = 55
3. 누구나 가능한 무농약ㆍ유기벼농사=실패하지 않기 위한 순서 = 58
(1) 60일간 물을 안정하게 댈 수 있는 논부터 시작 = 58
(2) 파종량 60g 이하, 35일 이상 기른 성묘 이식 = 58
(3) 쌀겨 중심의 발효비료를 쓴다 = 60
(4) 기본 기술을 지키면 경비와 노력이 들지 않는다 = 61
제2장 논 생명의 다양성을 활용한 억초기술
1. 제초에서 억초로, 발상의 전환부터 = 64
2. 논 잡초의 형태와 특성 = 64
(1) 습생잡초 : 피 = 64
(2) 수생잡초 : 물달개비 = 66
(3) 숙근성잡초 : 벗풀, 올방개 = 67
(4) 부유잡초 = 67
3. 억초기술의 기본은 피의 방제 = 68
(1) 피 방제의 역사와 이식재배 = 68
(2) 담수ㆍ심수관리에 의한 피 방제 메커니즘 = 70
(3) 심수관리의 유의점 = 72
(4) 심수관리로 다이옥신 함유 제초제를 일소하자 = 76
(5) 심수관리로 안정 다수확 실현 = 77
4. 연구ㆍ개발된 다양한 물달개비 억초기술 = 79
(1) 어려운 물달개비 방제법 = 79
(2) 정착된 물달개비, 물옥잠 방제법 = 81
5. 논 생물의 다양성을 활용한 물달개비 억초법 = 83
(1) 논에서 나고 자라는 생물을 늘리는 물달개비 억초법 = 83
(2) 동계담수, 조기담수, 심수관리로 풍부해진 논 생물 = 88
(3) 조기담수와 쌀겨콩싸라기를 이용한 물달개비 방제의 실제 = 89
(4) 번식우의 쇠두엄과 쌀겨로 생기는 끈적끈적한 토양층에 의한 물달개비 방제 = 106
(5) 주목받는 콩-벼 그루갈이에 의한 억초의 실제 = 109
(6) 자운영, 보리, 유채 등을 갈아 넣는 물달개비 방제의 실제 = 113
6. 연구 개발된 다양한 올방개, 벗풀 억초법 = 118
(1) 심하게 번성하지 않으므로 발생 초기에 김을 매준다 = 118
(2) 플라우 경운으로 건조 동결시키는 방제 = 118
(3) 동계담수ㆍ조기담수로 오리나 들새의 먹이로 = 120
(4) 조기담수로 발아시켜 이겨 넣는다 = 120
7. 토양과 기상 조건에 따라 다른 억초기술의 포인트 = 121
(1) 끈적끈적한 토양층이 일찍 형성되는 화산재토양 = 121
(2) 물달개비 방제가 곤란한 충적토양 = 122
(3) 간토 이남 지방의 물관리와 억초법 = 122
(4) 도호쿠, 홋카이도, 중산간지역의 물관리와 억초법 = 123
제3장 무농약ㆍ유기벼농사의 기본 기술 - 저비용의 성묘 기르기 기술
1. 유기벼농사에서 모 기르기는 가장 중요한 기술 = 128
2. 왜 성묘가 필요한가 = 128
(1) 농약을 쓰지 않고도 육묘할 수 있다 = 128
(2) 품이 들지 않는 잡초 방제법=초기 심수관리에 견딜 수 있는 모 = 130
(3) 병충해와 도복을 방지할 수 있는 모 = 132
(4) 냉해를 이겨내고 안정 다수확이 가능한 모 = 135
3. 황경창조형 벼농사가 지향하는 모의 품질 = 136
(1) 4.5엽 이상의 튼튼한 묘가 기본조건 = 136
(2) 전분 축적이 많은 모 = 137
(3) 한 상자에 40∼60g 파종하여 기른다 = 138
4. 육묘 노동력과 육묘 자재를 크게 절약하는 웅덩이육묘법 = 139
(1) 성묘 기르기가 품이 많이 든다는 생각은 이미 옛말 = 139
(2) 간토 이남 지역은 하우스육묘가 필요 없다 - 하우스육묘를 중지하여 다이옥신 발생원을 없앤다 = 140
5. 유기 육묘의 볍씨 처리 포인트 = 141
(1) 볍씨의 입수와 갱수 및 선별 = 141
(2) 온탕침법과 유의점 = 144
(3) 침종은 저온, 장시간이 원칙 = 151
(4) 싹틔우기 방법과 싹튼 볍씨의 보존 = 152
6. 웅덩이 성묘 기르기의 포인트 = 154
(1) 상토 준비 = 155
(2) 웅덩이 설치 = 158
(3) 매트모의 파종 작업 = 162
(4) 포트모이 파종 작업 = 167
(5) 발아 준비 작업 = 169
(6) 발아 판단과 고르지 못한 발아의 대책 = 172
(7) 웅덩이육묘 기간의 수위와 온도 관리 = 173
(8) 벼의 생리와 웅덩이육묘의 장점 = 174
7. 웅덩이육묘의 모 품질과 이식 작업의 주의점 = 177
(1) 웅덩이육묘의 모 품질 = 177
(2) 이식 작업의 주의점 = 178
제4장 토양 만들기의 새로운 관점과 비배관리
1. 자연순환 기능을 풍부하게 하는 유기벼농사의 비배관리이론 = 182
(1) 심경ㆍ건토 효과에서 천경ㆍ미생물 발생을 촉진하는 관리로 = 182
(2) 많은 화학비료의 사용에서 아미노산상태 질소의 적량 시비로 = 185
(3) 주변 자재를 활용한 자가 생산이 기본 = 189
(4) 목표는 무비료 재배 = 190
2. 재배 순서와 비배관리 = 192
(1) 수확 직후부터 시작하는 토양 만들기 = 193
(2) 조기담수에서 밑거름의 시용 = 197
(3) 동계담수가 가능한 지역에서 토양 만들기와 밑거름의 시용 = 197
(4) 모내기와 동시에 또는 직후에 쌀겨ㆍ콩싸라기 혼합 펠릿을 뿌린다 = 199
(5) 그물말이 모내기 직후부터 다시 발생한 경우의 물관리 = 200
(6) 모내기 10일째의 생물 조사와 생육 진단 = 201
(7) 모내기 후 10∼20일에 하는 중경 = 204
(8) 줄기수 늘리는 방법 = 204
(9) 이삭패기 45일 전의 진단과 추비(경비) = 207
(10) 생물 조사와 비오토프의 관리 = 211
(11) 장마 이후의 물관리와 등숙기의 관리 - 등숙을 높여 밥맛을 좋게 한다 = 214
제5장 병해충이 생기지 않는 벼농사와 대책
1. 해충의 발생 방지와 발생시의 대책 = 219
(1) 벼물바구미의 발생 방지 = 219
(2) 벼잎벌레는 과잉 질소가 원인 = 221
(3) 멸구, 매미충의 방제법 = 222
(4) 노린재 방제법 = 223
2. 도복, 도열병, 냉해를 피하는 법 = 229
(1) 도복 문제는 이식 포기수의 감소가 기본 = 229
(2) 도열병의 방제는 밀식ㆍ다비를 피하는 것 = 230
(3) 지연형, 장해형 모두 극복할 수 있다 = 232
제6장 유기재배로 안정 다수확을 이루는 새로운 벼농사 기술의 가능성
1. 무농약ㆍ유기재배로 안정 다수확을 이루기 위해서는 기술 재검토가 필요 = 238
(1) 관행 기술로는 한계가 있다 = 238
(2) 이삭수보다는 1이삭 당 낟알수를 중시하는 벼농사로 = 239
2. 1이삭 당 낟알수를 중시한 벼농사의 과제 = 241
(1) 무농약으로 관행 수량을 넘어서기 위해서는 이삭수의 감소를 막을 것 = 241
(2) 이삭수는 최적엽면적지수로 결정된다 = 242
(3) 재배법으로 달라지는 유효 이삭수 = 244
3. 1이삭 당 엽면적을 줄이기 위한 재배법 = 246
(1) 엽면적이 많아지는 원인 = 246
(2) 간토 이남 지역의 하엽을 줄이는 재배법 = 248
(3) 1이삭 당 잎의 매수를 줄이는 재배법 = 248
4. 밥맛이 떨어지지 않는 다수확을 위해서는 최종분열을 신장시킬 것 = 254
5. 유기벼농사에서 비배관리의 새로운 관점 = 256
제7장 일본 벼농사의 새로운 패러다임 _ 무논의 공익적 가치의 관점에서
1. 관행재배에 의한 규모 확대는 먹을거리의 안전ㆍ환경ㆍ생산자와 건강을 파괴하고 경영을 파탄시킨다 = 260
2. 유기농업에 의한 일본농업 재건의 가능성 = 263
3. 유기벼농사를 핵으로 한 환경재생계획과 환경직불제 = 267
4. 유기재배 논을 핵으로 한 21세기 농업ㆍ농민의 모습 = 269
(1) 유기벼농사를 핵으로 하는 농장 전체의 생태관리 = 269
(2) 바람직한 논둑 관리 = 270
(3) 무논 속의 비오토프나 간이어도 설치와 생물조사 = 274
(4) 지역 전체와 농장 전체의 생태계 관리 = 271
맺는 말 - 유기벼농사의 목표와 전망 = 276
부록 1 무논의 주요한 유용 미생물의 기능과 증식 조건 = 289
부록 2 주위에서 구할 수 있는 발효비료의 재료와 특징 = 290
부록 3 발효비료 만드는 방법 = 293
수확 후 사용으로 생볏짚의 분해나 누룩균, 효모균의 정착을 위한 발효비료 = 293
모내기 40일 전에 뿌리는 발효비료 - 밑거름 = 294
모내기와 동시에 또는 직후에 뿌리는 억초 자재 = 295
웃거름(경비)용 발효비료 = 295
부록 4 유기벼농사의 재배 다이어리 = 296
조기담수 ① - 홋카이도ㆍ도호쿠ㆍ호쿠리쿠ㆍ고랭지 = 296
조기담수 ② - 간토 이남 = 299
동계담수ㆍ무경운 = 3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