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료유형
- 단행본
- ISBN
- 9788996782636 03330\16000
- KDC
- 522.7-5
- 청구기호
- 522.7 이813ㅎ
- 저자명
- 이철호
- 서명/저자
- 한반도 통일과 식량안보 / 이철호 [외] 공저
- 발행사항
- 서울 : 식안연, 2012
- 형태사항
- 295 p. : 도표, 지도 ; 23 cm
- 주기사항
- 공저자 : 문헌팔, 김용택, 김세권, 박태균, 권익부
- 서지주기
- 참고문헌 수록
- 기타저자
- 문헌팔
- 기타저자
- 김용택
- 기타저자
- 김세권
- 기타저자
- 박태균
- 기타저자
- 권익부
- 기타저자
- 한국식량안보연구재단
- 가격
- \16000
- Control Number
- maf:31510
소장정보
서가번호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소장처 | 대출가능여부 | 대출정보 | |
---|---|---|---|---|---|---|
0021252 | 522.7 이813ㅎ | 농림축산식품부 자료실 | 대출가능 |
* 대출중인 자료에 한하여 예약이 가능합니다. 예약을 원하시면 예약버튼을 클릭하십시오.
008130204s2012 ulkbd 000a kor
020 ▼a9788996782636▼g03330▼c\16000
056 ▼a522.7▼25
090 ▼a522.7 ▼b이813ㅎ
1001 ▼a이철호
24500▼a한반도 통일과 식량안보▼d이철호 [외] 공저
260 ▼a서울▼b식안연▼c2012
300 ▼a295 p.▼b도표, 지도▼c23 cm
50010▼a공저자 : 문헌팔, 김용택, 김세권, 박태균, 권익부
504 ▼a참고문헌 수록
653 ▼a식량안보▼a식품산업
7001 ▼a문헌팔
7001 ▼a김용택
7001 ▼a김세권
7001 ▼a박태균
7001 ▼a권익부
710 ▼a한국식량안보연구재단
9500 ▼b\16000
제1장 서론 = 11
1.1. 한반도 통일의 조건 = 11
1.2. 대북 식량지원 = 14
1.3. 한반도 통일 여건 = 18
1.4. 남ㆍ북한 인구와 산업구조의 변화 = 23
참고문헌 = 26
제2장 남ㆍ북한의 식량 및 영양 현황 = 27
2.1. 남ㆍ북한 국민의 보건 영양상태 비교 = 27
2.1.1. 분단 이전의 한반도 식량사정 = 27
2.1.2. 남한의 식량 및 영양 상태 변화 = 30
2.1.3. 북한의 식량 영양 상태 변화 = 40
2.2. 남ㆍ북한 식량 공급 구조와 현황 = 53
2.2.1. 남한의 식량 공급 구조와 현황 = 53
2.2.2. 북한의 식량 공급 구조와 현황 = 65
2.3. 한국인 식량 및 영양 최적화 모델 = 72
참고문헌 = 76
제3장 한반도 식량생산 잠재력 평가 = 77
3.1. 북한의 식량생산 현황 및 여건 = 77
3.1.1. 북한의 식량부족현상 및 원인 = 77
3.1.2. 북한의 농업생산기반 = 82
3.1.3. 북한의 경지면적 및 이용 = 89
3.1.4. 식량작물 단위 생산량 = 98
3.1.5. 북한의 농업생산자재 수급추이 = 102
3.1.6. 북한의 농업기계화 = 112
3.1.7. 북한의 농업기반정비 = 116
3.1.8. 북한 교역의 편중화 = 121
3.2. 북한의 식량생산 현황과 증산방안 = 122
3.2.1. 북한의 식량사정 및 소비형태 = 122
3.2.2. 북한의 식량 증산 방안 = 125
3.2.3. 생산구조 및 경영체계 개선 = 127
3.3. 남한의 식량증산 방안 = 130
3.3.1. 남한의 식량생산 현황과 증산방안 = 130
3.3.2. 쌀의 증산 방안 = 132
3.4.3. 콩 생산과 증산방안 = 137
3.4. 통일 후 식량 증산 방안 = 140
3.4.1. 남ㆍ북한의 생산 상위 20대 농산물 = 140
3.4.2. 통일후 식량생산 접근 방안 = 143
참고문헌 = 149
제4장 남ㆍ북한 어업생산 잠재력 평가 = 151
4.1. 남ㆍ북한의 수산물 수급 현황 = 151
4.1.1. 남한의 수산물 수급 현황 = 151
4.1.2. 북한의 수산물 수급 현황 = 153
4.2. 북한의 어업생산 잠재력 평가 = 155
4.2.1. 북한의 수산자원 = 156
4.2.2. 북한의 수산업 생산력 = 158
4.2.3. 북한의 양식 생산력 = 158
4.3. 통일 후 수산업의 지역 특성화와 경쟁력 예측 = 161
4.3.1. 남포특구 = 163
4.3.2. 신의주 특구 = 164
4.4. 통일을 대비한 수산정책 = 165
4.4.1. 북한 수산업의 현황과 문제점 = 168
4.4.2. 남ㆍ북한 수산협력 추진 경과 = 170
4.4.3. 남ㆍ북한 수산협력 방안 = 171
4.4.4. 수산협력 정책과제 = 172
4.4.5. 통일 후 북한 수산업 발전에 대한 주변 여건 = 178
참고문헌 = 180
제5장 통일 이후 한반도 식량수급 전망 = 181
5.1. 북한의 식량수급 전망 = 181
5.1.1. 북한의 식량수급 전망 방법 = 181
5.1.2. 북한의 식량수급량 전망을 위한 가정 = 184
5.1.3. 현재 북한의 식량수급 실태 = 185
5.1.4. 통일 이후 북한의 식량수급량 전망 = 188
5.2. 남한의 식량수급 전망 = 193
5.2.1. 남한의 식량수급량 추정 방법 = 193
5.2.2. 남한의 식량수급량 추정 결과 = 197
5.3. 한반도 식량수급 전망 = 199
5.4. 요약 및 정책 시사 = 201
참고문헌 = 204
제6장 남ㆍ북한 식품산업 현황과 식량안보적 기능 = 205
6.1. 남한의 식품산업 현황 = 205
6.1.1. 남한의 식품제조업 = 206
6.1.2. 남한의 음식점업 = 212
6.2. 북한의 식품산업 현황 = 214
6.2.1. 북한의 식품가공 공장 = 215
6.2.2. 북한 언론에 보도된 식품공업(2010∼2011) = 219
6.3 식품산업의 식량안보적 기능 = 224
6.3.1. 식량공급사슬과 식품산업 = 224
6.3.2. 식품산업의 원료 수입 기능 = 226
6.3.3. 남한의 해외농업 개발 = 227
6.3.4. 일본의 해외농업 개발 사례 = 230
참고문헌 = 233
제7장 통일 후 식품산업 규모변화와 발전 방향 = 235
7.1. 통일 이후 식품산업 규모변화 예측 = 235
7.2. 통일 후 식품소재 산업 전망 = 238
7.2.1. 제분산업 = 238
7.2.2. 전분당산업 = 239
7.2.3. 원당산업 = 241
7.2.4. 식용유산업 = 241
7.3. 북한의 항구 현황 = 242
7.3.1. 서해지구 : 남포항, 신의주항 = 242
7.3.2. 동해지구 : 나진항, 선봉항, 청진항, 흥남항 = 244
7.4. 한반도 전력 현황과 전망 = 246
7.4.1. 남한의 전력 현황 = 246
7.4.2. 북한의 전력 현황 = 247
7.5. 통일 후 식품산업 전망 = 248
7.5.1. 식품 제조업 전망 = 248
7.5.2. 북한 식품산업의 현대화 = 250
7.5.3. 수산물 가공 산업 = 250
7.5.4. 프랜차이즈업 = 251
참고문헌 = 252
제8장 한반도 통일과 식량안보에 대한 전문가 의견 = 253
8.1. 권태진[한국농촌경제연구원 선임연구위원] = 253
8.2. 김응본[농림수식품부 식량정책과 과장] = 258
8.3. 최근원[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식량관리처장] = 271
8.4. 김경량[강원대학교 농업자원경제학과 교수] = 274
8.5. 양승룡[고려대학교 식품자원경제학과 교수] = 279
8.6. 강명옥[민족사랑나눔 사무총장] = 282
8.7. 윤지현[서울대하교 식품영양학과 교수] = 285
8.8. Marc. Simkins[우송대 Culinary-MBA 대학원장] = 288
제9장 정책제언 = 291
저자소개
1.1. 한반도 통일의 조건 = 11
1.2. 대북 식량지원 = 14
1.3. 한반도 통일 여건 = 18
1.4. 남ㆍ북한 인구와 산업구조의 변화 = 23
참고문헌 = 26
제2장 남ㆍ북한의 식량 및 영양 현황 = 27
2.1. 남ㆍ북한 국민의 보건 영양상태 비교 = 27
2.1.1. 분단 이전의 한반도 식량사정 = 27
2.1.2. 남한의 식량 및 영양 상태 변화 = 30
2.1.3. 북한의 식량 영양 상태 변화 = 40
2.2. 남ㆍ북한 식량 공급 구조와 현황 = 53
2.2.1. 남한의 식량 공급 구조와 현황 = 53
2.2.2. 북한의 식량 공급 구조와 현황 = 65
2.3. 한국인 식량 및 영양 최적화 모델 = 72
참고문헌 = 76
제3장 한반도 식량생산 잠재력 평가 = 77
3.1. 북한의 식량생산 현황 및 여건 = 77
3.1.1. 북한의 식량부족현상 및 원인 = 77
3.1.2. 북한의 농업생산기반 = 82
3.1.3. 북한의 경지면적 및 이용 = 89
3.1.4. 식량작물 단위 생산량 = 98
3.1.5. 북한의 농업생산자재 수급추이 = 102
3.1.6. 북한의 농업기계화 = 112
3.1.7. 북한의 농업기반정비 = 116
3.1.8. 북한 교역의 편중화 = 121
3.2. 북한의 식량생산 현황과 증산방안 = 122
3.2.1. 북한의 식량사정 및 소비형태 = 122
3.2.2. 북한의 식량 증산 방안 = 125
3.2.3. 생산구조 및 경영체계 개선 = 127
3.3. 남한의 식량증산 방안 = 130
3.3.1. 남한의 식량생산 현황과 증산방안 = 130
3.3.2. 쌀의 증산 방안 = 132
3.4.3. 콩 생산과 증산방안 = 137
3.4. 통일 후 식량 증산 방안 = 140
3.4.1. 남ㆍ북한의 생산 상위 20대 농산물 = 140
3.4.2. 통일후 식량생산 접근 방안 = 143
참고문헌 = 149
제4장 남ㆍ북한 어업생산 잠재력 평가 = 151
4.1. 남ㆍ북한의 수산물 수급 현황 = 151
4.1.1. 남한의 수산물 수급 현황 = 151
4.1.2. 북한의 수산물 수급 현황 = 153
4.2. 북한의 어업생산 잠재력 평가 = 155
4.2.1. 북한의 수산자원 = 156
4.2.2. 북한의 수산업 생산력 = 158
4.2.3. 북한의 양식 생산력 = 158
4.3. 통일 후 수산업의 지역 특성화와 경쟁력 예측 = 161
4.3.1. 남포특구 = 163
4.3.2. 신의주 특구 = 164
4.4. 통일을 대비한 수산정책 = 165
4.4.1. 북한 수산업의 현황과 문제점 = 168
4.4.2. 남ㆍ북한 수산협력 추진 경과 = 170
4.4.3. 남ㆍ북한 수산협력 방안 = 171
4.4.4. 수산협력 정책과제 = 172
4.4.5. 통일 후 북한 수산업 발전에 대한 주변 여건 = 178
참고문헌 = 180
제5장 통일 이후 한반도 식량수급 전망 = 181
5.1. 북한의 식량수급 전망 = 181
5.1.1. 북한의 식량수급 전망 방법 = 181
5.1.2. 북한의 식량수급량 전망을 위한 가정 = 184
5.1.3. 현재 북한의 식량수급 실태 = 185
5.1.4. 통일 이후 북한의 식량수급량 전망 = 188
5.2. 남한의 식량수급 전망 = 193
5.2.1. 남한의 식량수급량 추정 방법 = 193
5.2.2. 남한의 식량수급량 추정 결과 = 197
5.3. 한반도 식량수급 전망 = 199
5.4. 요약 및 정책 시사 = 201
참고문헌 = 204
제6장 남ㆍ북한 식품산업 현황과 식량안보적 기능 = 205
6.1. 남한의 식품산업 현황 = 205
6.1.1. 남한의 식품제조업 = 206
6.1.2. 남한의 음식점업 = 212
6.2. 북한의 식품산업 현황 = 214
6.2.1. 북한의 식품가공 공장 = 215
6.2.2. 북한 언론에 보도된 식품공업(2010∼2011) = 219
6.3 식품산업의 식량안보적 기능 = 224
6.3.1. 식량공급사슬과 식품산업 = 224
6.3.2. 식품산업의 원료 수입 기능 = 226
6.3.3. 남한의 해외농업 개발 = 227
6.3.4. 일본의 해외농업 개발 사례 = 230
참고문헌 = 233
제7장 통일 후 식품산업 규모변화와 발전 방향 = 235
7.1. 통일 이후 식품산업 규모변화 예측 = 235
7.2. 통일 후 식품소재 산업 전망 = 238
7.2.1. 제분산업 = 238
7.2.2. 전분당산업 = 239
7.2.3. 원당산업 = 241
7.2.4. 식용유산업 = 241
7.3. 북한의 항구 현황 = 242
7.3.1. 서해지구 : 남포항, 신의주항 = 242
7.3.2. 동해지구 : 나진항, 선봉항, 청진항, 흥남항 = 244
7.4. 한반도 전력 현황과 전망 = 246
7.4.1. 남한의 전력 현황 = 246
7.4.2. 북한의 전력 현황 = 247
7.5. 통일 후 식품산업 전망 = 248
7.5.1. 식품 제조업 전망 = 248
7.5.2. 북한 식품산업의 현대화 = 250
7.5.3. 수산물 가공 산업 = 250
7.5.4. 프랜차이즈업 = 251
참고문헌 = 252
제8장 한반도 통일과 식량안보에 대한 전문가 의견 = 253
8.1. 권태진[한국농촌경제연구원 선임연구위원] = 253
8.2. 김응본[농림수식품부 식량정책과 과장] = 258
8.3. 최근원[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식량관리처장] = 271
8.4. 김경량[강원대학교 농업자원경제학과 교수] = 274
8.5. 양승룡[고려대학교 식품자원경제학과 교수] = 279
8.6. 강명옥[민족사랑나눔 사무총장] = 282
8.7. 윤지현[서울대하교 식품영양학과 교수] = 285
8.8. Marc. Simkins[우송대 Culinary-MBA 대학원장] = 288
제9장 정책제언 = 291
저자소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