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료유형
- 연구용역보고서
- KDC
- 520.7-4
- 청구기호
- 520.7 농239ㄱ
- 단체저자
- 농림수산식품부 농업기반과
- 서명/저자
- 기후변화에 따른 농업용수 영향평가 연구(Ⅱ) / 농림수산식품부 농업기반과 ; 한국농어촌공사 [공편]
- 발행사항
- [경기] : 한국농어촌공사, 2010
- 형태사항
- 213 p. : 삽도 ; 26 cm
- 총서명
- 최종연구보고서
- 주기사항
- 연구책임자 : 윤동균
- 주기사항
- 발간등록번호 : 11-1541000-000351-10
- 서지주기
- 참고문헌 : p.129-131
- 기타저자
- 윤동균
- 기타저자
- 한국농어촌공사
- 기타저자
- 농림부
- 기타저자
- 농수산부
- 기타저자
- 농림수산부
- 기타저자
- 농림축산식품부
- 가격
- 비매품
- Control Number
- maf:29203
소장정보
서가번호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소장처 | 대출가능여부 | 대출정보 | |
---|---|---|---|---|---|---|
0004020 | 용 : 520.7 농239ㄱ v.2010-182 | 농림축산식품부 자료실 | 대출가능 |
* 대출중인 자료에 한하여 예약이 가능합니다. 예약을 원하시면 예약버튼을 클릭하십시오.
008120117s2010 ggka t 000a korIA
056 ▼a520.7▼24
090 ▼a520.7▼b농239ㄱ
110 ▼a농림수산식품부▼b농업기반과
24500▼a기후변화에 따른 농업용수 영향평가 연구(Ⅱ)▼d농림수산식품부 농업기반과▼e한국농어촌공사 [공편]
260 ▼a[경기]▼b한국농어촌공사▼c2010
300 ▼a213 p.▼b삽도▼c26 cm
44000▼a최종연구보고서
50000▼a연구책임자 : 윤동균
50010▼a발간등록번호 : 11-1541000-000351-10
504 ▼a참고문헌 : p.129-131
7001 ▼a윤동균
710 ▼a한국농어촌공사
710 ▼a농림부
710 ▼a농수산부
710 ▼a농림수산부
710 ▼a농림축산식품부
856 ▼uhttp://library.mafra.go.kr/skyblueimage/4020
9501 ▼a비매품
1장. 서론 = 1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 1
1.1 기후변화와 토지이용변화 = 1
1.2 기후변화와 농업 = 2
1.3 기후변화와 농업 수자원 = 3
1.4 연구개발의 필요성 = 3
2. 기후변화에 대한 연구 동향 = 4
2.1 기후변화와 토지이용변화 = 4
1) 국내 연구동향 = 4
2) 해외 연구동향 = 5
2.2 기후변화와 농업분야 = 5
1) 국내 연구동향 = 5
2) 해외 연구동향 = 6
3) 국내주요기관의 연구 결과 = 7
2.3 기후변화와 농업 수자원 = 9
1) 국내 연구 동향 = 9
2) 해외 연구 동향 = 9
2장. 연구방법 = 11
1. 전체 연구방법 개념도 = 11
1.1 토지이용 및 논벼작부체계 변화 분석 = 11
1.2 논벼 기준작물증발산량 산정 및 필요수량 분석 = 11
1.3 논벼 작물계수 적용에 따른 영향 분석 = 11
1.4 연구 대상지 = 12
2. 토지이용 변화 모델링 = 13
2.1 CLUE (Conversion of Land Use and its Effects modeling framework) = 13
2.2 토지이용변화 시나리오 설정 = 16
1) SRES (Special Report on Emissions Scenarios) = 16
2) AIM (Asia-Pacific Integrated Model) = 16
2.3 CLUE 모델링 = 19
3. 논벼 작부체계 변화 분석 = 20
3.1 기후변화 데이터의 활용 = 21
3.2 시기별 기상자료 구축 = 22
3.3 논벼의 작부체계 변화 분석항목 설정 = 22
3.4 논벼의 작물계수 설정 = 24
1) 작물계수 = 24
2) 작물계수 산정 방법 = 25
3) 초기단계 작물계수(Kc ini) = 26
4) 중기단계 작물계수(Kc mid) = 26
5) 후기단계 작물계수(Kc end) = 28
4. 논벼 물수지 분석 = 29
4.1 저수지 물수지 분석방법 = 29
4.2 필요저수량 결정 = 30
4.3 논 용수 수요량 = 31
1) 증발산량 = 31
2) 침투량 = 32
3) 유효우량 = 32
4) 재배관리 용수량 = 33
4.4 저수지 유입량 산정 방법 = 33
5. 미래 기상자료 구축 및 신뢰성 분석 = 36
5.1 "기후변화 기상발생기" 프로그램 구축 = 36
5.2 "기후변화 기상발생기" 프로그램 검정 = 39
1) 상관관계 분석 = 39
2) 춘천관측소 실체 측정 자료와 프로그램 생성 자료 비교 = 42
가) 일별자료 비교 = 42
나) 월별자료 비교 = 43
3장. LARS-WG방법을 이용한 증발산량 및 필요수량 산정 = 45
1. LARS-WG 상세화 방법을 선정 = 45
2. 증발산량 산정 결과 = 46
3. 필요수량 산정 결과 = 48
3.1 2020s 필요수량 = 48
3.2 2050s 필요수량 = 50
3.3 2080s 필요수량 = 52
4장. 논벼 재배 지역의 변화 예측 = 55
1. 토지이요변화 시나리오 = 55
1.1 경기(마둔 저수지) = 56
1.2 충남(고풍 저수지)/경남(남성 저수지) = 57
1.3 강원/충북/전북/전남/경북 = 57
2. 토지피복별 위치 특성 = 58
2.1 경기도 (마둔 저수지) = 58
2.2 충청북도 (원남 저수지) = 60
2.3 기타 = 61
3.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토지피복변화 분포 = 63
3.1 마둔 저수지 = 63
3.2 원창 저수지 = 68
3.3 원남 저수지 = 71
3.4 고풍 저수지 = 74
3.5 백석 저수지 = 77
3.6 대포 저수지 = 80
3.7 마북 저수지 = 83
3.8 남성 저수지 = 86
5장. 논벼 재배 지역의 변화 예측 = 89
1. 지역별 작부시기의 변화 = 89
1.1 재배가능기간의 변화 = 89
1.2 적산온도에 따른 생육기간의 변화 = 90
1.3 품종별 생육기간의 변화 = 91
1.4 지역별 작부시기 및 안전출수기의 변화 = 95
2. 작물계수의 변화 = 99
2.1 지역별 용수공급 기준일의 변화 = 99
2.2 작물계수 산정 결과 = 99
6장. 작물증발산량 및 필요수량 분석 = 103
1. 10년빈도 작물증발산량 = 103
2. 순용수량 산정 결과 = 104
3. 저수지 물수지 분석 결과 = 106
3.1 물수지 분석 입력자료 구축 = 106
3.2 물수지 분석 결과 = 108
1) 연최대 필요저수량의 빈도분석 결과 = 108
2) 저수지 일별 수위 변화 분석 = 110
7장. 결론 = 127
<부록>
1. 기후변화 기상발생기(CCWG) 프로그램 사용설명서 = 135
2. 각 도별 대표 저수지 연도별 필요수량 및 물수지 분석 = 149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 1
1.1 기후변화와 토지이용변화 = 1
1.2 기후변화와 농업 = 2
1.3 기후변화와 농업 수자원 = 3
1.4 연구개발의 필요성 = 3
2. 기후변화에 대한 연구 동향 = 4
2.1 기후변화와 토지이용변화 = 4
1) 국내 연구동향 = 4
2) 해외 연구동향 = 5
2.2 기후변화와 농업분야 = 5
1) 국내 연구동향 = 5
2) 해외 연구동향 = 6
3) 국내주요기관의 연구 결과 = 7
2.3 기후변화와 농업 수자원 = 9
1) 국내 연구 동향 = 9
2) 해외 연구 동향 = 9
2장. 연구방법 = 11
1. 전체 연구방법 개념도 = 11
1.1 토지이용 및 논벼작부체계 변화 분석 = 11
1.2 논벼 기준작물증발산량 산정 및 필요수량 분석 = 11
1.3 논벼 작물계수 적용에 따른 영향 분석 = 11
1.4 연구 대상지 = 12
2. 토지이용 변화 모델링 = 13
2.1 CLUE (Conversion of Land Use and its Effects modeling framework) = 13
2.2 토지이용변화 시나리오 설정 = 16
1) SRES (Special Report on Emissions Scenarios) = 16
2) AIM (Asia-Pacific Integrated Model) = 16
2.3 CLUE 모델링 = 19
3. 논벼 작부체계 변화 분석 = 20
3.1 기후변화 데이터의 활용 = 21
3.2 시기별 기상자료 구축 = 22
3.3 논벼의 작부체계 변화 분석항목 설정 = 22
3.4 논벼의 작물계수 설정 = 24
1) 작물계수 = 24
2) 작물계수 산정 방법 = 25
3) 초기단계 작물계수(Kc ini) = 26
4) 중기단계 작물계수(Kc mid) = 26
5) 후기단계 작물계수(Kc end) = 28
4. 논벼 물수지 분석 = 29
4.1 저수지 물수지 분석방법 = 29
4.2 필요저수량 결정 = 30
4.3 논 용수 수요량 = 31
1) 증발산량 = 31
2) 침투량 = 32
3) 유효우량 = 32
4) 재배관리 용수량 = 33
4.4 저수지 유입량 산정 방법 = 33
5. 미래 기상자료 구축 및 신뢰성 분석 = 36
5.1 "기후변화 기상발생기" 프로그램 구축 = 36
5.2 "기후변화 기상발생기" 프로그램 검정 = 39
1) 상관관계 분석 = 39
2) 춘천관측소 실체 측정 자료와 프로그램 생성 자료 비교 = 42
가) 일별자료 비교 = 42
나) 월별자료 비교 = 43
3장. LARS-WG방법을 이용한 증발산량 및 필요수량 산정 = 45
1. LARS-WG 상세화 방법을 선정 = 45
2. 증발산량 산정 결과 = 46
3. 필요수량 산정 결과 = 48
3.1 2020s 필요수량 = 48
3.2 2050s 필요수량 = 50
3.3 2080s 필요수량 = 52
4장. 논벼 재배 지역의 변화 예측 = 55
1. 토지이요변화 시나리오 = 55
1.1 경기(마둔 저수지) = 56
1.2 충남(고풍 저수지)/경남(남성 저수지) = 57
1.3 강원/충북/전북/전남/경북 = 57
2. 토지피복별 위치 특성 = 58
2.1 경기도 (마둔 저수지) = 58
2.2 충청북도 (원남 저수지) = 60
2.3 기타 = 61
3.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토지피복변화 분포 = 63
3.1 마둔 저수지 = 63
3.2 원창 저수지 = 68
3.3 원남 저수지 = 71
3.4 고풍 저수지 = 74
3.5 백석 저수지 = 77
3.6 대포 저수지 = 80
3.7 마북 저수지 = 83
3.8 남성 저수지 = 86
5장. 논벼 재배 지역의 변화 예측 = 89
1. 지역별 작부시기의 변화 = 89
1.1 재배가능기간의 변화 = 89
1.2 적산온도에 따른 생육기간의 변화 = 90
1.3 품종별 생육기간의 변화 = 91
1.4 지역별 작부시기 및 안전출수기의 변화 = 95
2. 작물계수의 변화 = 99
2.1 지역별 용수공급 기준일의 변화 = 99
2.2 작물계수 산정 결과 = 99
6장. 작물증발산량 및 필요수량 분석 = 103
1. 10년빈도 작물증발산량 = 103
2. 순용수량 산정 결과 = 104
3. 저수지 물수지 분석 결과 = 106
3.1 물수지 분석 입력자료 구축 = 106
3.2 물수지 분석 결과 = 108
1) 연최대 필요저수량의 빈도분석 결과 = 108
2) 저수지 일별 수위 변화 분석 = 110
7장. 결론 = 127
<부록>
1. 기후변화 기상발생기(CCWG) 프로그램 사용설명서 = 135
2. 각 도별 대표 저수지 연도별 필요수량 및 물수지 분석 = 1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