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료유형
- 단행본
- ISBN
- 9788941137276 93520\15000
- KDC
- 522.16-4
- 청구기호
- 522.16 최57ㄴ
- 저자명
- 최수명
- 서명/저자
- 농촌계획학 / 최수명 [등]저
- 판사항
- 개정판
- 발행사항
- 서울 : 동명사, 2011
- 형태사항
- 313 p. : 삽도 ; 24 cm
- 주기사항
- 공저자 : 리신호, 김기성, 황한철, 김대식, 김영주, 정남수
- 서지주기
- 참고문헌수록
- 키워드
- 농촌계획
- 기타저자
- 리신호
- 기타저자
- 김기성
- 기타저자
- 황한철
- 기타저자
- 김대식
- 기타저자
- 김영주
- 기타저자
- 정남수
- 가격
- \15000
- Control Number
- maf:28081
소장정보
서가번호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소장처 | 대출가능여부 | 대출정보 | |
---|---|---|---|---|---|---|
0019910 | 522.16 최57ㄴ | 농림축산식품부 자료실 | 대출가능 |
* 대출중인 자료에 한하여 예약이 가능합니다. 예약을 원하시면 예약버튼을 클릭하십시오.
008110511s2011 ulka 000a kor
020 ▼a9788941137276▼g93520▼c\15000
056 ▼a522.16▼24
090 ▼a522.16▼b최57ㄴ
1001 ▼a최수명
24510▼a농촌계획학▼d최수명 [등]저
250 ▼a개정판
260 ▼a서울▼b동명사▼c2011
300 ▼a313 p.▼b삽도▼c24 cm
50000▼a공저자 : 리신호, 김기성, 황한철, 김대식, 김영주, 정남수
504 ▼a참고문헌수록
653 ▼a농촌계획
7001 ▼a리신호
7001 ▼a김기성
7001 ▼a황한철
7001 ▼a김대식
7001 ▼a김영주
7001 ▼a정남수
9500 ▼b\15000
Chapter 1 총설
1.1 메가트랜드의 변화와 농촌의 재구성 = 1
1.1.1 메가트랜드의 변화 : 지식기반사회화 = 1
1.1.2 농촌사회의 변화 = 3
1.1.3 미래농촌의 전망 = 5
1.1.4 농촌의 재구성 = 9
1.2 현대 농촌공간의 특성 = 13
1.2.1 농촌의 정의 = 13
1.2.2 농촌공간에 대한 ㅅ요변화와 농촌의 새로운 역할과 기능 = 14
1.3 농촌정비 및 계획의 의의 및 필요성 = 16
1.3.1 농촌계획의 의의 및 필요성 = 16
1.3.2 국토계획체계상 농촌계획의 위상과 역할 = 17
1.4 농촌정비 및 계획의 역사 = 21
1.4.1 근대화 이전의 농촌정비 = 21
1.4.2 지역사회개발 : 1950~60년대 = 24
1.4.3 새마을사업 : 1970년대 = 26
1.4.4 농어촌지역종합개발 : 1980년대 = 27
1.4.5 농촌정비사업의 제도적 정착 : 1990년대 = 28
1.4.6 도농통합적 농촌개발 : 2000년대 = 29
1.5 선진국의 농촌정비·계획 = 30
1.5.1 유럽연ㅇ합의 농촌개발정책·제도 = 30
1.5.2 영국의 농촌계획제도 및 농촌개발사업 = 31
1.5.3 독일의 농촌공간정비사업 = 33
1.5.4 프랑스의 농촌개발제도 및 관련사업 = 35
1.5.5 네덜란드의 농촌공간정비사업과 간척지 신농촌건설 = 36
1.5.6 일본의 농촌계획제도와 농촌정비사업 = 38
Chapter 2 농촌계획의 체계와 계획수립방법
2.1 계획의 이론적 고찰 = 43
2.1.1 계획의 의미 = 43
2.1.2 입지론과 불균형 발전론 = 44
2.2 주민참여 방법론 = 46
2.2.1 주민참여의 의의 = 46
2.2.2 주민참여형 개발의 중요성 = 47
2.3 시스템계획 기법 = 48
2.3.1 시스템계획의 의미 및 절차 = 48
2.3.2 실태분석 = 50
2.3.3 목표분석 = 52
2.3.4 계획안 작성 및 평가 = 58
2.4 농촌계획의 수립 = 66
2.4.1 농촌계획의 영역 및 계획수립 = 66
2.4.2 기본구상 = 67
2.4.3 추진계획 = 76
Chapter 3 농촌공간계획
3.1 지역공간과 시스템 = 81
3.1.1 시스템의 이해 = 81
3.1.2 시스템 모델링 및 분석 = 84
3.1.3 시스템과 지역공간 = 90
3.1.4 지역공간의 시스템 계획 = 102
3.2 공간분석 및 모델링 = 103
3.2.1 공간 자기상관(spatial autocorrelation) 분석 = 103
3.2.2 공간적 상호작용 모델 = 106
3.3 입지배분 모델과 중심지 선정 = 109
3.3.1 입지이론의 발달 = 109
3.3.2 입지이론에 의한 공간적 중심지 = 111
3.3.3 공간확산 모델 = 118
Chapter 4 농촌토지이용계획
4.1 농촌토지이용계획의 의의와 과제 = 131
4.1.1 국토의 이용과 변화 = 131
4.1.2 농촌의 토지수요 변화와 토지이용방법 = 135
4.1.3 농촌토지이용계획의 의의와 과제 = 137
4.2 토지이용계획의 체계 = 140
4.2.1 농촌계획과 토지이용계획 = 140
4.2.2 토지이용계획의 종류와 내용 = 142
4.2.3 법정토지이용계획의 체계 = 147
4.3 토지이용계획과 토지적성평가 = 155
4.3.1 토지적성평가의 필요성 = 155
4.3.2 토지이용계획 종류별 토지적성평가의 성격 = 157
4.3.3 토지적성평가의 사례 = 158
4.4 환지에 의한 토지이용조정 = 164
4.4.1 경지정리의 기능 = 164
4.4.2 환지에 의한 토지이용조정 = 165
4.5 농지이용계획 = 167
4.5.1 농지이용계획의 목표와 기분 방향 = 167
4.5.2 농지이용계획수립의 기본 내용 = 168
Chapter 5 생활환경정비계획
5.1 생활환경정비의 개념 = 173
5.1.1 생활환경정비의 특징과 필요성 = 173
5.1.2 생활환경정비의 범위와 내용 = 174
5.2 농촌생활환경 조사 및 분석 = 174
5.2.1 생활환경 현황조사 = 175
5.2.2 생활환경의 평가분석 = 177
5.3 농촌생활환경정비의 기본구상 = 178
5.3.1 생활환경정비계획의 의의 = 178
5.3.2 생활환경정비계획의 고려사항 = 182
5.3.3 생활환경정비계획의 방법 = 186
5.4 농촌생활환경시설의 정비계획 = 190
5.4.1 기초생활시설 = 190
5.4.2 문화복지시설 = 194
5.4.3 주거시설 = 194
5.4.4 휴양운동시설 = 198
5.4.5 방재시설 = 199
5.4.6 기타시설 = 201
5.5 농촌생활환경시설의 유지관리와 운영방법 = 201
5.5.1 유지관리의 목적과 범위 = 201
5.5.2 유지관리체계 = 201
5.5.3 운영방법 = 202
Chapter 6 자연환경보전과 경관형성
6.1 농촌 환경과 자원 = 205
6.1.1 농촌 환경을 둘러싼 동향 = 205
6.1.2 농업·농촌의 다원적 기능 = 206
6.1.3 농촌 어메니티 자원 = 213
6.1.4 신재생 에너지와 녹색성장 = 218
6.2 농촌생태계의 보전과 관리 = 222
6.2.1 자연을 배려한 토지이용에 의한 농촌환경 보전 = 222
6.2.2 생물 다양성과 농업생태계 = 224
6.2.3 비오톱 = 229
6.2.4 자연형 하천 및 복원 = 232
6.3 농촌경관의 형성 및 보전 = 235
6.3.1 농촌경관의 특성 = 235
6.3.2 농촌경관의 형성 및 보전 = 241
6.3.3 농촌경관과 농촌정비 = 246
6.3.4 경과계획수립 관련 지침, 법규 = 260
6.3.5 경관계획의 수립 = 267
6.3.6 경관계획과 환경성 평가 = 270
Chapter 7 농촌사회 활성화
7.1 농촌공간의 특성과 공익적 기능 = 277
7.1.1 농촌공간의 특성 = 277
7.1.2 농촌공간의 공익적 기능 = 278
7.1.3 공익적 기능의 가치 = 280
7.2 농촌사회 활성화의 필요성 = 284
7.2.1 농촌활성화의 배경 = 284
7.2.2 농촌활성화의 효과 및 과제 = 285
7.3 농촌사회 활성화 대책 = 286
7.3.1 도시농촌 교류 = 286
7.3.2 농촌마을 개편 = 301
7.3.3 농촌소득기회의 창출 = 306
1.1 메가트랜드의 변화와 농촌의 재구성 = 1
1.1.1 메가트랜드의 변화 : 지식기반사회화 = 1
1.1.2 농촌사회의 변화 = 3
1.1.3 미래농촌의 전망 = 5
1.1.4 농촌의 재구성 = 9
1.2 현대 농촌공간의 특성 = 13
1.2.1 농촌의 정의 = 13
1.2.2 농촌공간에 대한 ㅅ요변화와 농촌의 새로운 역할과 기능 = 14
1.3 농촌정비 및 계획의 의의 및 필요성 = 16
1.3.1 농촌계획의 의의 및 필요성 = 16
1.3.2 국토계획체계상 농촌계획의 위상과 역할 = 17
1.4 농촌정비 및 계획의 역사 = 21
1.4.1 근대화 이전의 농촌정비 = 21
1.4.2 지역사회개발 : 1950~60년대 = 24
1.4.3 새마을사업 : 1970년대 = 26
1.4.4 농어촌지역종합개발 : 1980년대 = 27
1.4.5 농촌정비사업의 제도적 정착 : 1990년대 = 28
1.4.6 도농통합적 농촌개발 : 2000년대 = 29
1.5 선진국의 농촌정비·계획 = 30
1.5.1 유럽연ㅇ합의 농촌개발정책·제도 = 30
1.5.2 영국의 농촌계획제도 및 농촌개발사업 = 31
1.5.3 독일의 농촌공간정비사업 = 33
1.5.4 프랑스의 농촌개발제도 및 관련사업 = 35
1.5.5 네덜란드의 농촌공간정비사업과 간척지 신농촌건설 = 36
1.5.6 일본의 농촌계획제도와 농촌정비사업 = 38
Chapter 2 농촌계획의 체계와 계획수립방법
2.1 계획의 이론적 고찰 = 43
2.1.1 계획의 의미 = 43
2.1.2 입지론과 불균형 발전론 = 44
2.2 주민참여 방법론 = 46
2.2.1 주민참여의 의의 = 46
2.2.2 주민참여형 개발의 중요성 = 47
2.3 시스템계획 기법 = 48
2.3.1 시스템계획의 의미 및 절차 = 48
2.3.2 실태분석 = 50
2.3.3 목표분석 = 52
2.3.4 계획안 작성 및 평가 = 58
2.4 농촌계획의 수립 = 66
2.4.1 농촌계획의 영역 및 계획수립 = 66
2.4.2 기본구상 = 67
2.4.3 추진계획 = 76
Chapter 3 농촌공간계획
3.1 지역공간과 시스템 = 81
3.1.1 시스템의 이해 = 81
3.1.2 시스템 모델링 및 분석 = 84
3.1.3 시스템과 지역공간 = 90
3.1.4 지역공간의 시스템 계획 = 102
3.2 공간분석 및 모델링 = 103
3.2.1 공간 자기상관(spatial autocorrelation) 분석 = 103
3.2.2 공간적 상호작용 모델 = 106
3.3 입지배분 모델과 중심지 선정 = 109
3.3.1 입지이론의 발달 = 109
3.3.2 입지이론에 의한 공간적 중심지 = 111
3.3.3 공간확산 모델 = 118
Chapter 4 농촌토지이용계획
4.1 농촌토지이용계획의 의의와 과제 = 131
4.1.1 국토의 이용과 변화 = 131
4.1.2 농촌의 토지수요 변화와 토지이용방법 = 135
4.1.3 농촌토지이용계획의 의의와 과제 = 137
4.2 토지이용계획의 체계 = 140
4.2.1 농촌계획과 토지이용계획 = 140
4.2.2 토지이용계획의 종류와 내용 = 142
4.2.3 법정토지이용계획의 체계 = 147
4.3 토지이용계획과 토지적성평가 = 155
4.3.1 토지적성평가의 필요성 = 155
4.3.2 토지이용계획 종류별 토지적성평가의 성격 = 157
4.3.3 토지적성평가의 사례 = 158
4.4 환지에 의한 토지이용조정 = 164
4.4.1 경지정리의 기능 = 164
4.4.2 환지에 의한 토지이용조정 = 165
4.5 농지이용계획 = 167
4.5.1 농지이용계획의 목표와 기분 방향 = 167
4.5.2 농지이용계획수립의 기본 내용 = 168
Chapter 5 생활환경정비계획
5.1 생활환경정비의 개념 = 173
5.1.1 생활환경정비의 특징과 필요성 = 173
5.1.2 생활환경정비의 범위와 내용 = 174
5.2 농촌생활환경 조사 및 분석 = 174
5.2.1 생활환경 현황조사 = 175
5.2.2 생활환경의 평가분석 = 177
5.3 농촌생활환경정비의 기본구상 = 178
5.3.1 생활환경정비계획의 의의 = 178
5.3.2 생활환경정비계획의 고려사항 = 182
5.3.3 생활환경정비계획의 방법 = 186
5.4 농촌생활환경시설의 정비계획 = 190
5.4.1 기초생활시설 = 190
5.4.2 문화복지시설 = 194
5.4.3 주거시설 = 194
5.4.4 휴양운동시설 = 198
5.4.5 방재시설 = 199
5.4.6 기타시설 = 201
5.5 농촌생활환경시설의 유지관리와 운영방법 = 201
5.5.1 유지관리의 목적과 범위 = 201
5.5.2 유지관리체계 = 201
5.5.3 운영방법 = 202
Chapter 6 자연환경보전과 경관형성
6.1 농촌 환경과 자원 = 205
6.1.1 농촌 환경을 둘러싼 동향 = 205
6.1.2 농업·농촌의 다원적 기능 = 206
6.1.3 농촌 어메니티 자원 = 213
6.1.4 신재생 에너지와 녹색성장 = 218
6.2 농촌생태계의 보전과 관리 = 222
6.2.1 자연을 배려한 토지이용에 의한 농촌환경 보전 = 222
6.2.2 생물 다양성과 농업생태계 = 224
6.2.3 비오톱 = 229
6.2.4 자연형 하천 및 복원 = 232
6.3 농촌경관의 형성 및 보전 = 235
6.3.1 농촌경관의 특성 = 235
6.3.2 농촌경관의 형성 및 보전 = 241
6.3.3 농촌경관과 농촌정비 = 246
6.3.4 경과계획수립 관련 지침, 법규 = 260
6.3.5 경관계획의 수립 = 267
6.3.6 경관계획과 환경성 평가 = 270
Chapter 7 농촌사회 활성화
7.1 농촌공간의 특성과 공익적 기능 = 277
7.1.1 농촌공간의 특성 = 277
7.1.2 농촌공간의 공익적 기능 = 278
7.1.3 공익적 기능의 가치 = 280
7.2 농촌사회 활성화의 필요성 = 284
7.2.1 농촌활성화의 배경 = 284
7.2.2 농촌활성화의 효과 및 과제 = 285
7.3 농촌사회 활성화 대책 = 286
7.3.1 도시농촌 교류 = 286
7.3.2 농촌마을 개편 = 301
7.3.3 농촌소득기회의 창출 = 3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