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장정보
서가번호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소장처 | 대출가능여부 | 대출정보 | |
---|---|---|---|---|---|---|
0019982 | 381.75 주64ㅇ | 농림축산식품부 자료실 | 대출가능 |
* 대출중인 자료에 한하여 예약이 가능합니다. 예약을 원하시면 예약버튼을 클릭하십시오.
008110511s2011 ulkabj 001a kor
020 ▼a9788958623946▼g93900▼c\30000
056 ▼a381.75▼24
090 ▼a381.75▼b주64ㅇ
1001 ▼a주영하
24510▼a음식인문학▼b음식으로 본 한국의 역사와 문화▼d주영하 지음.
260 ▼a서울▼b휴머니스트▼c2011.
300 ▼a559 p.▼b삽도, 지도, 연대표▼c22 cm.
49000▼aHuman library.
50010▼a한자서명은 "飮食人文學"임
504 ▼a참고문헌 : p.532-547, 색인수록
653 ▼a한국음식▼a한국음식문화▼a음식역사▼a음식▼a요리
9500 ▼b\30000
책을 펴내며 = 5
일러두기 = 8
서설|인문의 시선으로 읽는 음식학 = 15
음식의 역사를 읽는 다양한 방법 = 17
히스토리컬 레시피 연구는 왜 필요한가 = 23
음식에 대한 문화적 접근은 왜 필요한가 = 28
'음식학'의 가능성을 타진하다 = 31
현재에서 과거로, 과거에서 현재로 - 이 책의 구성 = 37
1부 오늘의 한국음식을 보다
1장 식구론 - 주택과 가족제도의 변화가 음식 소비에 미친 영향 = 43
주택의 변화가 음식에 미친 영향 = 48
주거 공간의 변화와 좌석 배치 = 58
이중적인 식구집단 = 63
지속과 해체의 길목에 선 어머니의 맛 = 66
2장 기대와 현실의 괴리, 한류와 한국음식 = 69
〈겨울연가〉가 해체시킨 호루몬야키 = 74
베이징의 한류와 조선ㆍ한국 음식점 = 84
에스닉과 내셔널 사이에 선 한식 세계화 = 90
3장 한국음식의 매운맛은 어떻게 진화했는가 - 거슬러 올라가는 매운맛의 역사 = 97
한국의 매운맛, 칼칼한 맛과 얼얼한 맛 = 100
한반도에 유입된 고추의 역사 = 107
후추와 천초를 지나 고추를 만나다 = 112
왜 고추가 한반도에 널리 퍼졌는가 = 118
매운맛 유행의 문화적 의미 = 124
4장 비빔밥의 진화와 담론 연구 = 127
조리법의 진화로 읽는 비빔밥의 역사 = 130
먹기에 좋은 음식, 비빔밥 = 140
비빔밥 담론에 담긴 이데올로기 = 144
음식의 진화로 읽는 사회문화사 = 155
2부 한국음식, 그리고 근대
5장 식탁 위의 근대 -〈조선통상장정 기념 연회도〉를 중심으로 = 161
그림을 통한 역사 읽기 = 165
근대화되는 조선, 조선인 - 연회의 참여자와 사건 = 170
조선의 틀에 담긴 서양 - 연회의 주식(酒食)과 식사방법 = 177
연회를 보는 서로 다른 시선 = 185
보편성 획득에 실패한 식탁 위의 근대 = 190
6장 주막의 근대 - 만들어진 전통의 이미지, 주막 = 193
전근대 시기 주막의 모습 = 199
숙박에서 주점으로, 주막의 근대적 분화 = 206
주막, 근대 법률에 포섭되다 = 210
외식의 탄생, 음식점의 변용 = 214
7장 생선 소비와 근대 - 민물생선에서 바다생선으로 = 217
20세기 초 한강 하류의 어업력과 어로방법 = 221
밥상에서 사라진 민물생선 = 231
역사가 기억하지 않는 고래고기 = 235
기름에서 고기로, 고래의 변용 = 241
민물에서 바다로, 생선 소비의 변화 = 247
8장 타자화된 조선음식 - 일본인의 눈에 비친 조선음식을 중심으로 = 249
일본인의 눈으로 본 조선음식 = 251
《조선만화》속 신선로, 일본인을 매료시키다 = 253
《내선융화요체》에 묘사된 조선인의 식사 = 260
조선음식의 상징이 되어버린 신선로 = 274
9장 한국음식이란 무엇인가 = 279
식민지하의 조선음식론 = 283
한국음식은 '향토음식'의 조합인가 = 289
근대화 과정과 한국음식론 = 298
21세기, 한국인은 어떻게 음식을 소비하는가 = 305
변화하는 한국음식의 역사문화적 구조 = 311
3부 한국음식, 오래된 것과의 만남
10장 도구의 닮음과 문화의 다름 = 321
콰이즈를 만든 중국, 콰이즈가 만든 중국 = 326
일본음식과 문화를 빚어낸 와리바시 = 338
스테인리스 수저에 담긴 한국의 성리학 = 343
수저의 역사 - 동일한 출발점과 각기 다른 도착점 = 348
11장 음식문화에 나타난 유교적 질서와 일상화 = 351
유교와 음식의 오래된 관계 = 355
여전히 굳건한 유교적 음식 관념 = 358
유교적 '가(家)'와 식구 = 366
죽음에 대한 인식과 음식 = 375
유교문화권의 음식학 연구를 위한 일제언 = 387
12장 제물, 인간과 신령의 연결고리 - 서울 밤섬 도당굿에 오른 무속음식을 중심으로 = 391
제물 마련과 음식 준비 = 394
엄격한 상차림을 통한 제물의 진설 = 406
제물 소비의 의미와 구조 = 420
13장 상상 속의 조선음식 - 소설《임꺽정》에 묘사된 조선음식을 중심으로 = 427
백성의 주식에 대한 오해 = 433
고추장을 먹는 임꺽정, 벽초의 의도된 실수 = 439
전혀 '민중' 적이지 않은 의례음식들 = 444
여전히 강조되는 조선적인 것 = 450
보론|한국음식의 역사와 문화에 대한 연구사 50년 = 455
1960∼1970년대, 한국음식의 역사에 대한 식품학적 접근 = 460
1980년대, 식품학에서의 인문학적 접근 = 468
1990년대 이후, 식품학에서 인문사회과학으로 확장 = 480
21세기, '음식학'의 탄생을 위하여 = 490
본문의 주 = 495
도판 목록 및 출처 = 530
참고문헌 = 532
찾아보기 = 548
일러두기 = 8
서설|인문의 시선으로 읽는 음식학 = 15
음식의 역사를 읽는 다양한 방법 = 17
히스토리컬 레시피 연구는 왜 필요한가 = 23
음식에 대한 문화적 접근은 왜 필요한가 = 28
'음식학'의 가능성을 타진하다 = 31
현재에서 과거로, 과거에서 현재로 - 이 책의 구성 = 37
1부 오늘의 한국음식을 보다
1장 식구론 - 주택과 가족제도의 변화가 음식 소비에 미친 영향 = 43
주택의 변화가 음식에 미친 영향 = 48
주거 공간의 변화와 좌석 배치 = 58
이중적인 식구집단 = 63
지속과 해체의 길목에 선 어머니의 맛 = 66
2장 기대와 현실의 괴리, 한류와 한국음식 = 69
〈겨울연가〉가 해체시킨 호루몬야키 = 74
베이징의 한류와 조선ㆍ한국 음식점 = 84
에스닉과 내셔널 사이에 선 한식 세계화 = 90
3장 한국음식의 매운맛은 어떻게 진화했는가 - 거슬러 올라가는 매운맛의 역사 = 97
한국의 매운맛, 칼칼한 맛과 얼얼한 맛 = 100
한반도에 유입된 고추의 역사 = 107
후추와 천초를 지나 고추를 만나다 = 112
왜 고추가 한반도에 널리 퍼졌는가 = 118
매운맛 유행의 문화적 의미 = 124
4장 비빔밥의 진화와 담론 연구 = 127
조리법의 진화로 읽는 비빔밥의 역사 = 130
먹기에 좋은 음식, 비빔밥 = 140
비빔밥 담론에 담긴 이데올로기 = 144
음식의 진화로 읽는 사회문화사 = 155
2부 한국음식, 그리고 근대
5장 식탁 위의 근대 -〈조선통상장정 기념 연회도〉를 중심으로 = 161
그림을 통한 역사 읽기 = 165
근대화되는 조선, 조선인 - 연회의 참여자와 사건 = 170
조선의 틀에 담긴 서양 - 연회의 주식(酒食)과 식사방법 = 177
연회를 보는 서로 다른 시선 = 185
보편성 획득에 실패한 식탁 위의 근대 = 190
6장 주막의 근대 - 만들어진 전통의 이미지, 주막 = 193
전근대 시기 주막의 모습 = 199
숙박에서 주점으로, 주막의 근대적 분화 = 206
주막, 근대 법률에 포섭되다 = 210
외식의 탄생, 음식점의 변용 = 214
7장 생선 소비와 근대 - 민물생선에서 바다생선으로 = 217
20세기 초 한강 하류의 어업력과 어로방법 = 221
밥상에서 사라진 민물생선 = 231
역사가 기억하지 않는 고래고기 = 235
기름에서 고기로, 고래의 변용 = 241
민물에서 바다로, 생선 소비의 변화 = 247
8장 타자화된 조선음식 - 일본인의 눈에 비친 조선음식을 중심으로 = 249
일본인의 눈으로 본 조선음식 = 251
《조선만화》속 신선로, 일본인을 매료시키다 = 253
《내선융화요체》에 묘사된 조선인의 식사 = 260
조선음식의 상징이 되어버린 신선로 = 274
9장 한국음식이란 무엇인가 = 279
식민지하의 조선음식론 = 283
한국음식은 '향토음식'의 조합인가 = 289
근대화 과정과 한국음식론 = 298
21세기, 한국인은 어떻게 음식을 소비하는가 = 305
변화하는 한국음식의 역사문화적 구조 = 311
3부 한국음식, 오래된 것과의 만남
10장 도구의 닮음과 문화의 다름 = 321
콰이즈를 만든 중국, 콰이즈가 만든 중국 = 326
일본음식과 문화를 빚어낸 와리바시 = 338
스테인리스 수저에 담긴 한국의 성리학 = 343
수저의 역사 - 동일한 출발점과 각기 다른 도착점 = 348
11장 음식문화에 나타난 유교적 질서와 일상화 = 351
유교와 음식의 오래된 관계 = 355
여전히 굳건한 유교적 음식 관념 = 358
유교적 '가(家)'와 식구 = 366
죽음에 대한 인식과 음식 = 375
유교문화권의 음식학 연구를 위한 일제언 = 387
12장 제물, 인간과 신령의 연결고리 - 서울 밤섬 도당굿에 오른 무속음식을 중심으로 = 391
제물 마련과 음식 준비 = 394
엄격한 상차림을 통한 제물의 진설 = 406
제물 소비의 의미와 구조 = 420
13장 상상 속의 조선음식 - 소설《임꺽정》에 묘사된 조선음식을 중심으로 = 427
백성의 주식에 대한 오해 = 433
고추장을 먹는 임꺽정, 벽초의 의도된 실수 = 439
전혀 '민중' 적이지 않은 의례음식들 = 444
여전히 강조되는 조선적인 것 = 450
보론|한국음식의 역사와 문화에 대한 연구사 50년 = 455
1960∼1970년대, 한국음식의 역사에 대한 식품학적 접근 = 460
1980년대, 식품학에서의 인문학적 접근 = 468
1990년대 이후, 식품학에서 인문사회과학으로 확장 = 480
21세기, '음식학'의 탄생을 위하여 = 490
본문의 주 = 495
도판 목록 및 출처 = 530
참고문헌 = 532
찾아보기 = 5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