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료유형
- 전자자료
- KDC
- 520.7-4
- 청구기호
- 520.7 농239ㄷ
- 단체저자
- 농림수산식품부
- 서명/저자
- (2007년도) 동·서·제주바다목장사업보고서 : 2단계 2차년도 보고서 / 농림수산식품부 ; 국립수산과학원 [공편]
- 발행사항
- [부산] : 국립수산과학원, 2008
- 형태사항
- clⅶ, 1062 p. : 삽도 ; 전자파일
- 총서명
- 최종연구보고서
- 주기사항
- 연구책임자 : 김윤
- 주기사항
- 원문파일(pdf)로만 열람가능
- 서지주기
- 참고문헌 수록
- 기타저자
- 김윤
- 기타저자
- 농림부
- 기타저자
- 농림축산식품부
- 기타저자
- 농수산부
- 기타저자
- 농림수산부
- 기타저자
- 국립수산과학원
- 가격
- 비매품
- Control Number
- maf:27857
소장정보
서가번호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소장처 | 대출가능여부 | 대출정보 | |
---|---|---|---|---|---|---|
EB00625 | EB : 520.7 농239ㄷ | 농림축산식품부 자료실 | 대출불가 |
* 대출중인 자료에 한하여 예약이 가능합니다. 예약을 원하시면 예약버튼을 클릭하십시오.
008110411s2008 bnk a korIA
056 ▼a520.7▼24
090 ▼a520.7▼b농239ㄷ
110 ▼a농림수산식품부
24520▼a(2007년도) 동·서·제주바다목장사업보고서▼b2단계 2차년도 보고서▼d농림수산식품부▼e국립수산과학원 [공편]
260 ▼a[부산]▼b국립수산과학원▼c2008
300 ▼aclⅶ, 1062 p.▼b삽도▼c전자파일
44000▼a최종연구보고서
50010▼a연구책임자 : 김윤
50010▼a원문파일(pdf)로만 열람가능
504 ▼a참고문헌 수록
7001 ▼a김윤
710 ▼a농림부
710 ▼a농림축산식품부
710 ▼a농수산부
710 ▼a농림수산부
710 ▼a국립수산과학원
856 ▼uhttp://library.mafra.go.kr/skyblueimage/eb00625
9501 ▼a비매품
제1장 총괄관리 = 161
제1절 서론 = 163
제2절 사업추진 계획수립 = 164
1. 필요성 및 개념 = 164
가. 필요성 = 164
나. 개념 = 164
2. 중점목표 및 세부추진 방향 = 166
가. 중점목표 = 166
나. 세부추진 방향 = 166
제3절 로드맵 수립 = 168
1. 기본계획 = 168
가. 동해바다목장 = 168
나. 서해바다목장 = 169
다. 제주바다목장 = 170
2. 추진방향 = 170
가. 동해바다목장 = 170
1) 연구개발사업 = 170
2) 시설사업 = 172
나. 서해바다목장 = 173
1) 연구개발사업 = 173
2) 시설사업 = 175
다. 제주바다목장 = 175
1) 연구개발사업 = 175
2) 시설사업 = 177
3. 로드맵 수립 = 178
가. 동해바다목장 = 178
나. 서해바다목장 = 180
다. 제주바다목장 = 181
4. 연구개발사업 세부 추진계획 수립 = 182
가. 분야별 흐름도 = 182
1) 해양환경 및 자원평가(그림 1-3-8) = 182
2) 어장조성(그림 1-3-9) = 182
3) 자원조성(그림 1-3-10) = 186
4) 이용관리(그림 1-3-11) = 187
나. 분야별 세부 추진계획 = 189
1) 해양환경 = 189
2) 자원조사 및 평가 = 190
제4절 업무편람 = 192
1. 운영관리 규정 = 192
가. 운영협의회 = 192
나. 지역협의회 = 192
다. 지역관리사무소 = 192
2. 연구개발사업 업무편람 = 193
가. 업무 흐름도(그림 1-4-1) = 193
나. 연구용역 선정 세부절차 = 193
다. 진도관리 및 평가 = 195
라. 연구 성과 활용 및 관리 = 195
마. 성과 평가 = 195
바. 성과물 관리(연구성과물, 지적재산권) 196
3. 시설·방류사업 업무편람 = 196
가. 인공어초 시설사업(그림 1-4-2) = 196
1) 시설계획 수립 = 196
2) 어초 기술자문단 검토 = 196
3) 운영위원회 심의(사업계획 승인) = 196
4) 실시 설계서 작성 = 196
5) 실시 설계서 검토 = 196
6) 발주의뢰 = 198
7) 계약 체결 = 198
8) 공사 감독관 임명 및 임무 = 199
9) 검사관 지정 및 제작검사 = 200
10) 시설 투하 및 준공 = 200
나. 종묘방류 사업(그림 1-4-3) = 202
1) 방류대상 어종 및 수량 확정 = 202
2) 계약의뢰 = 202
3) 입찰공고 및 등록 = 205
4) 입찰 및 낙찰 예정자 통보 = 206
5) 감독관 임명 = 206
6) 사전 현지 확인 = 206
7) 방류를 위한 가검수 = 208
8) 방류를 위한 본검수 = 208
9) 방류 = 208
다. 기타 시설사업(그림 1-4-4) = 208
1) 해양환경 관측부이 = 208
2) 잘피장 조성 = 209
3) Seed bank 조성 = 209
제5절 결론 및 고찰 = 212
제2장 동해(울진)바다목장사업 = 215
제1절 서론 = 217
제2절 연구개발사업 = 220
1. 인공어초 효과조사 및 건강종묘 기술개발 = 220
가. 서론 = 220
나. 재료 및 방법 = 220
1) 2007 시설예정지 사전 기초조사 = 220
2) 인공어초 효과조사 = 221
3) 건강도 판정기법 개발 = 222
가) 건강도 회복 상실점 판별 시험 = 222
(1) 생태학적 조사 = 222
(2) RNA/DNA 정량분석 = 222
(3) 혈액학적 분석 = 222
(4) 소화효소 활성분석 = 222
(5) 생화학적 분석 = 223
나) 자연산(방류어) 강도다리 건강도 판정 = 223
4) 표지 방류 기법개발(감성돔, 강도다리) = 223
다. 결과 및 고찰 = 224
1) 2007 시설예정지 사전 기초조사 = 224
가) 2007 인공어초 시설예정지 좌표설정 = 224
나) 시설지의 퇴적물 입도분포 = 226
다) 인공어초 시설지 주변 연성저질에 서식하는 생물 = 227
2) 인공어초 효과조사 = 227
가) 어획시험 결과 = 227
나) 기 시설 인공어초와 2007 어초 시설지 주변 암반에 부착한 저서동물 = 227
다) 기 시설 인공어초와 2007 어초 시설지 주변 암반의 해조류 서식량 = 229
라) 각 인공어초별 위집어류 = 230
3) 건강도 판정기법 개발 = 231
가) 건강도 회복 상실점 판별 시험(강도다리) = 231
(1) 생태학적 측정 = 231
(2) RNA/DNA 정량분석 = 231
(3) 혈액학적 분석 = 232
(4) 소화효소 활성분석 = 232
(5) 생화학적 분석 = 232
나) 자연산(방류어) 강도다리 건강도 판정 = 233
(1) 생태학적 특성 = 233
(2) RNA/DNA 정량분석 = 234
(3) 혈액학적 분석 = 234
(4) 소화효소 활성분석 = 234
(5) 생화학적 분석 = 235
4) 표지 방류 기법개발 = 235
가) 감성돔 표지어 건강도 변화조사 = 235
(1) 생태학적 특성 = 235
(2) RNA/DNA 정량분석 = 236
(3) 혈액학적 분석 = 236
(4) 소화효소 활성분석 = 238
(5) 생화학적 분석 = 238
나) 강도다리 표지어 건강도 변화조사 = 239
(1) 생태학적 특성 = 239
(2) RNA/DNA 정량분석 = 239
(3) 혈액학적 분석 = 240
(4) 소화효소 활성분석 = 240
(5) 생화학적 분석 = 241
다) 표지표 부착률 및 사망률 = 241
라) 표지표 부착부위 회복력 = 241
(1) 원통형 표지 = 241
(2) 미늘형 표지 = 242
라. 참고문헌 = 243
2. 중간육성 시험 및 방류효과 조사 = 244
가. 서론 = 244
나. 재료 및 방법 = 244
1) 구조물과 행동 특성 = 244
가) 방류어의 수조 내 행동 실험 = 244
나) 강도다리와 넙치의 수조 내에서의 텃새 및 Intraspecific 행동특성 = 244
다) 구조물에 대한 행동 특성 = 244
2) 중간육성 타당성 및 야성화 = 245
가) 강도다리의 순치 실험 = 245
(1) 공시어 = 245
(2) 순치실험 장치 = 245
(3) 실험 방법 = 245
나) 넙치의 순치실험 = 247
(1) 공시어 = 247
(2) 순치실험 장치 = 247
(3) 실험 방법 = 247
3) 방류효과조사 = 247
4) 방류어의 유전 특성 조사 = 248
가) 시험어 = 248
나) Genomic DNA 분리 및 정제 = 248
다) 미토콘드리아 DNA의 12S 및 16S ribosomal RNA 유전자 분석 = 249
라) 강도다리 PCR 증폭산물의 제한효소 처리 및 전기영동 = 249
마) 강도다리 미토콘드리아 DNA 16S rRNA 유전자 영역의 염기서열 분석 = 249
바) 쥐노래미의 유전적 다양성 조사 = 250
(1) 개놈 DNA 추출 = 250
(2) DNA 증폭, 클로닝, 시퀸싱 = 250
(3) 염기서열 분석 = 252
5) 생물달력 작성 = 253
다. 결과 및 고찰 = 253
1) 구조물과 행동 특성 = 253
가) 방류어의 수조 내 행동 실험 = 253
(1) 강도다리 = 253
(2) 넙치 = 253
나) 강도다리와 넙치의 수조내에서의 텃새 및 Intraspecific 행동특성 = 254
다) 구조물에 대한 행동 특성 = 255
(1) 강도다리 = 255
(2) 쥐노래미 = 255
(3) 볼락, 조피볼락 = 256
(4) 인상어 = 257
(5) 전갱이, 멸치 = 257
(6) 방류한 강도다리의 추적 조사 = 257
2) 중간육성 타당성 및 야성화 = 259
가) 강도다리의 순치실험 = 259
(1) 순치사육 중 성장 = 259
(2) 생존율 = 260
(3) 위 내용물 평가 = 261
나) 넙치의 순치실험 = 261
(1) 사육 결과 = 261
(2) 생존율 = 262
(3) 위 내용물 평가 = 263
다) 순치실험 결과 평가 = 263
(1) 기본 여건 = 263
(2) 순치 실험의 의의 = 264
라) 건의 = 265
3) 방류효과조사 = 265
4) 방류어의 유전 특성 조사 = 268
가) 강도다리 미토콘드리아 DNA의 12S rRNA 및 16S rRNA 유전자 영역의 PCR-RFLP = 268
나) 강도다리 미토콘드리아 DNA의 16S rRNA 유전자 영역의 염기서열 = 268
5) COI 유전자의 다형성과 계군 특성 = 272
6) COIII-ND3-ND4L 유전자 다형성과 계군 특성 = 282
7) 생물달력 작성 = 287
가) 2007년 7월의 생물 = 287
나) 2007년 8월의 생물 = 288
다) 2007년 9월의 생물 = 288
라) 2007년 10월의 생물 = 289
마/라) 2007년 11월의 생물 = 290
라. 결론 = 290
마. 참고 문헌 = 291
3. 강도다리 무안측 흑색반문 억제 기술개발 = 292
가. 서론 = 292
1) 연구의 필요성 = 292
2) 문헌 연구 = 292
나. 재료 및 방법 = 296
1) 조직학적 방법 = 296
가) 광학현미경 관찰용 피부 조직표본 제작 = 296
나) 전자현미경 관찰용 피부 조직표본 제작 = 297
2) 사육밀도에 따른 강도다리 치어의 성장과 흑화 발현 = 297
가) 실험 어류 = 297
나) 실험 사육 시스템 = 297
다) 사육관리 및 실험 방법 = 297
라) 통계 분석 = 299
다. 결과 = 300
1) 강도다리 피부의 구조적 변화 = 300
가) 일반적 구조(광학현미경 관찰) = 300
나) 일반적 구조(투과전자현미경 관찰) = 301
다) 흑화 발현 개체의 구조적 변화 = 303
2) 사육밀도에 따른 강도다리 치어의 성장과 흑화 발현 = 304
가) 사육 수질과 강도다리 치어의 성장 = 304
나) 사육 밀도에 따른 강도다리 치어의 무안측 흑화 발현율 및 발현 양상 = 306
라. 고찰 = 313
마. 참고문헌 = 314
4. 해중림 조성 효과조사 = 317
가. 서론 = 317
나. 재료 및 방법 = 317
1) 해중림 해역의 생태조사 = 317
가) 조사 시기 및 장소 = 317
나) 조사방법 = 319
(1) 종조성 = 319
(2) 현존량 = 319
(3) 종다양성 지수 = 319
(4) 갯녹음해역의 특성과 해조숲 조성 = 319
2) 해조초 투하지점 선정 = 319
가) 투하지점의 해조 생태 = 319
나) 해중림초 조성 효과 = 319
다. 결과 및 고찰 = 319
1) 해중림 해역의 생태조사 = 319
가) 해조류의 종조성 = 319
나) 해조류의 현존량 분석 = 321
다) 종다양성 분석 = 323
라) 갯녹음 해역의 특성과 해조숲 조성 = 327
2) 해조초 투하지점 선정 = 328
가) 조사 해역 특성 = 328
나) 해중림초 시설 = 336
3) 개선안, 추진방법 및 기대효과 = 336
라. 참고문헌 = 338
5. 해앙환경 변동특성 연구 = 339
가. 서론 = 339
나. 재료 및 방법 = 339
1) 수질 및 퇴적물 환경 변동 특성 조사 = 339
2) 해수유동 조사 = 339
3) 부유생물 조사 = 340
4) 수온변동 조사 = 340
다. 결과 및 토의 = 341
1) 수질 및 퇴적물 환경변동 특성 조사 = 341
가) 수질 환경 조사 = 341
(1) 수온 = 341
(2) 염분 = 342
(3) 용존산소 = 342
(4) pH = 342
(5) 화학적산소요구량 = 344
(6) 용존무기질소 = 344
(7) 용존무기인 = 344
(8) 규산규소 = 344
(9) 클로로필-a = 344
(10) 부유물질 = 344
나) 퇴적물 환경 조사 = 346
2) 해수유동 조사 = 347
가) 장기연속관측 = 347
나) 탁월주기분석 = 348
다) 조류분석 = 348
3) 부유생물 조사 = 350
가) 식물플랑크톤 = 350
나) 동물플랑크톤 = 351
4) 수온변동 조사 = 353
가) 수온 연속 관측 = 353
나) 바다목장 해역의 광역 수온 분포 = 354
(1) 2월 = 354
(2) 4월 = 354
(3) 6월 = 354
(4) 8월 = 355
(5) 10월 = 355
(6) 12월 = 355
라. 참고문헌 = 355
6. 생물군집 특성조사 = 362
가. 서론 = 362
나. 재료 및 방법 = 362
1) 생물자원량 변동조사 = 362
가) 암반조하대 부착동물 조사 = 362
2) 해조류에 의한 생산력 추정 = 363
가) 해조류의 종 조성 및 우점종 = 363
나) 해조류 현존량 = 364
다) 이전 자료와의 비교(주요 해조류의 생산력 추정) = 364
다. 결과 및 토의 = 364
1) 생물자원량 변동조사 = 364
가) 암반조하대 부착동물 조사 = 364
(1) 출현 종수, 개체수 및 생체량 = 364
(2) 조사 시기별 부착동물의 군집구조와 생물량 = 367
2) 해조류에 의한 생산력 추정 = 381
가) 해조류의 종 조성 및 우점종 = 381
나) 해조류 현존량 = 384
다) 이전 자료와의 비교(주요 해조류의 생산력 추정) = 386
라) 인공자연석 투하에 의한 해조류 생산현황 = 390
(1) 조사방법 = 390
(2) 조사결과 = 390
라. 참고문헌 = 394
7. 자원조사 및 평가 = 396
가. 서론 = 396
나. 재료 및 방법 = 396
다. 결과 = 398
1) 어종별 현존량 변동조사 = 398
가) 출현종수 = 398
나) 종조성 = 398
(1) 분류군별 = 398
(2) 어종별 = 399
다) 주요종의 어종별 개체수 및 어획량 = 400
(1) 9월 = 400
(2) 10월 = 400
(3) 11월 = 401
(4) 12월 = 401
(5) 전체 = 401
라) 주요종의 면적당 개체수(개체/㎢) 및 자원밀도(kg/㎢) = 401
(1) 9월 = 401
(2) 10월 = 402
(3) 11월 = 402
(4) 12월 = 402
(5) 전체 = 402
마) 난자치어 조사결과 = 414
2) 자원생물·생태학적 조사 = 414
가) 주요종의 체장조성 = 414
나) 주요종의 체장-체중 관계 = 416
3) 어업실태조사 = 417
가) 어선척수 = 417
나) 어획량 = 417
라. 고찰 = 420
마. 참고문헌 = 420
8. 패류자원조사 = 421
가. 서론 = 421
나. 재료 및 방법 = 421
다. 결과 및 고찰 = 422
1) 어장환경조사 = 422
2) 형망에 어획된 출현종 = 424
3) 어획량 변동조사 = 427
4) 각장, 습중량 조성 조사 = 431
5) 연령조성조사 = 455
6) 상대 성장도 조사 = 457
가) 각장과 습중량 관계 = 457
나) 각장과 각고, 각폭의 관계 = 460
7) 2005년도 조사결과와의 비교 검토 = 464
8) 개선안 = 465
9) 추진방향 및 기대효과 = 465
라. 참고문헌 = 465
9. 먹이생물조사 = 466
가. 서론 = 466
나. 재료 및 방법 = 466
다. 결과 및 고찰 = 468
1) 강도다리(Platichthys stellatus) = 468
가) 체장분포 = 468
나) 위내용물 조성 = 468
2) 기름가자미(Glyptocephalus stelleri) = 471
가) 체장분포 = 471
나) 위내용물 조성 = 471
라. 참고문헌 = 474
10. 이용관리에 관한 연구 = 475
가. 서론 = 475
나. 재료 및 방법 = 475
1) 바다목장 관리이용 조직 구성 및 조직력 강화 = 475
2) 울진바다목장 모델 재검토 = 476
다. 결과 및 고찰 = 476
1) 울진바다목장 관리이용 조직 구성 = 476
가) 조직 구성 = 476
(1) 어업인 조직 : 자율관리위원 구성 = 477
(2) 민관학연 조직 : 관리 이용협의회 구성 추진 = 480
나) 관리이용 조직 역량 강화 = 483
(1) 울진바다목장 자율관리공동체 추진 방향 = 483
(2) 바다목장 자율관리위원회 교류회 = 487
2) 울진바다목장 모델 평가 = 489
가) 울진바다목장 모델 검토 = 489
나) 추진실적 및 과제 = 493
(1) 분야별 계획 추진의 연계성 결여 = 495
(2) 사업투자 실적 미약 = 495
(3) 체계적 자료 수집 및 모니터링 미흡 = 495
(4) 관리이용 조직의 역량 부족 = 495
다) 향후 추진 방향 = 495
(1) 이용관리체계 관련 추진과제 = 495
(2) 관광분야 검토 과제 = 497
라. 참고문헌 = 498
제3절 시설·방류사업 = 499
1. 서론 = 499
2. 인공어초 시설사업 = 500
가. 기본 계획 = 500
나. 세부 계획 = 500
1) 해중림 조성용(암반) 어초 배치 = 500
2) 해중림 조성용(사질) 어초 배치 = 501
3) 테마관광 레저용 어초 배치 = 501
4) 자원유도형 어초 배치 = 501
다. 사업 결과 = 506
3. 종묘방류사업 = 506
가. 기본 계획 = 506
나. 세부 계획 = 507
다. 사업 결과 = 507
4. 기타 시설사업 = 509
가. 기본 계획 = 509
나. 세부 계획 = 510
다. 사업 결과 = 512
5. 결론 및 고찰 = 513
제4절 종합고찰 = 515
제3장 서해(태안)바다목장사업 = 519
제1절 서론 = 521
제2절 연구개발사업 = 524
1. 인공어초 적지선정 및 효과조사 연구 = 524
가. 서론 = 524
나. 재료 및 방법 = 524
1) 시설해역 해양환경 = 524
2) 해조류 = 525
3) 부착저서동물 = 525
4) 어획효과조사 = 526
가) 삼중자망을 이용한 어획효과 및 위집조사(사각어초, 잠보형어초, 대형전주어초, 자연초) = 526
나) 통발을 이용한 어획효과 및 위집조사(사각어초, 잠보형어초, 대형전주어초, 자연초) = 526
5) 인공어초 시설위치 선정 = 526
가) 퇴적물 입도분석 = 526
다. 결과 및 고찰 = 527
1) 시설해역 해양환경 = 527
2) 해조류 = 527
3) 부착저서동물 = 528
가) 인공어초의 대형저서동물 현황 = 528
나) 출현종 = 534
다) 어초별 출현개체수 및 생체량 = 536
(1) 사각형어초(상) = 536
(2) 사각형어초(하) = 536
(3) 잠보형어초(상) = 541
(4) 잠보형어초(하) = 541
(5) 대형전주어초(상) = 546
(6) 대형전주어초(하) = 546
(7) 자연초(상) = 548
(8) 자연초(하) = 548
라) 부착저서동물 개체수 우점종 = 553
마/라) 부착저서동물 생체량 우점종 = 554
바) 부착저서동물 생태지수 = 555
사) 정점간 유사도 = 558
4) 어획효과조사 = 568
가) 삼중자망을 이용한 어획효과 및 위집조사 = 568
(1) 사각형어초 = 568
(2) 잠보형어초 = 568
(3) 대형전주어초 = 568
(4) 자연초 = 568
나) 통발을 이용한 어획효과 및 위집조사 = 577
(1) 사각형어초 = 577
(2) 잠보형어초 = 577
(3) 대형전주어초 = 577
(4) 자연초 = 577
5) 인공어초 시설위치 선정 = 579
가) 퇴적물 입도분석 = 579
라. 고찰 = 581
1) 시설해역 무기 해양환경 = 581
2) 해조류 생육 = 581
3) 어초별 부착저서동물 현황 = 581
4) 삼중자망을 이용한 어획효과조사 = 582
5) 통발을 이용한 어획효과조사 = 582
마. 참고문헌 = 583
2. 중간육성 시험 및 방류효과조사 = 584
가. 서론 = 584
나. 재료 및 방법 = 585
1) 방류어의 구조물과 군집행동 = 585
2) 방류어의 유전특성 조사 = 585
가) 조피볼락 자연산 및 방류어의 유전적 다양성 조사를 위한 시험어 = 585
나) Genomic DNA 분리 및 정제 = 585
다) 조피볼락의 mitochondrial DNA 조절영역(D-loop) 증폭 = 585
라) PCR 증폭산물의 제한효소 처리 및 전기영동 = 586
마) Microsatellite marker를 이용한 방류집단과 자연집단 비교 = 586
바) Cytochrome b 유전자 증폭 및 염기서열 결정 = 587
(1) Cytochrome b 유전자 증폭 = 587
(2) 증폭된 DNA의 정제 및 염기서열 결정 = 588
3) 방류효과조사 = 588
4) 종묘 중간육성 타당성 및 야성화 조사 = 589
5) 수중음탐에 의한 투입어초의 안정성 조사 = 589
가) 조사개요 = 589
나) 조사선의 DGPS 운영 = 589
다) 단빔 수심조사에 의한 어초 확인 = 592
라) 해저면 음향영상 조사 = 592
다. 결과 및 고찰 = 593
1) 방류어의 구조물과 군집행동 = 593
가) 전주어초에서의 행동 = 593
나) 사각어초에서의 행동 = 593
다) 자연암반 및 피복석에서의 행동 = 594
라) 구조물에 대한 상대 위치와 군집행동 = 595
(1) 조피볼락 치어처럼 어초의 상층부 위가 막힌 곳의 아래에 무리를 짓는 것 = 596
(2) 비교적 큰 조피볼락처럼 어초 중앙부의 비교적 개방된 부분에서 유영하는 것 = 596
(3) 쥐노래미처럼 어초 하부의 저질 바닥 위나, 어초 뼈대의 위에서 머무는 것 = 596
2) 방류어의 유전특성 조사 = 597
가) 조피볼락 미토콘드리아 DNA의 조절영역(D-loop) 다양성 분석 및 연관성 = 597
나) Microsatellite marker를 이용한 유전적 다양성 분석 = 598
(1) 분석된 microsatellite loci별 특성 = 598
(2) 각 집단내 유전적 다양성 분석 = 599
(3) 각 집단간 유전적 거리 및 유연관계 분석 = 599
다) 조피볼락 cytochrome b 유전자의 염기서열 분석 = 604
3) 조피볼락 방류효과 = 616
가) 방류어의 초기 행동 = 616
나) 방류어의 체포 조사 = 617
4) 종묘 중간육성 타당성 및 야성화 조사 = 619
가) 중간육성의 필요성 = 619
(1) 어류의 중간육성 = 620
(2) 전복중간육성 = 621
나) 태안바다목장에서의 종묘방류 문제점 = 622
5) 수중음탐에 의한 투입어초의 안정성 조사 = 623
가) 지형분포 = 623
나) 해저면 음향영상 분포 = 624
다) 모자이크 해저영상 = 625
라) 투하 어초의 위치 및 기록 확인 = 627
라. 참고문헌 = 629
3. 쥐노래미 건강종묘 생산기술 개발 = 631
가. 서론 = 631
나. 재료 및 방법 = 632
1) 종묘생산 기술개발(2006) = 632
가) 쥐노래미 친어 확보 및 관리 = 632
나) 쥐노래미 종묘생산 시 대량감모 원인 규명 = 632
다) 부화율 향상을 위한 부화방법 개발 = 632
라) 쥐노래미의 성장특성 조사 = 633
마) 쥐노래미 건강종묘생산(2007) = 633
2) 쥐노래미 유전변이 및 유전다양성 분석(2007) = 633
가) 쥐노래미 확보 = 633
나) Genomic DNA 추출 = 633
다) DNA 절단 및 adapter ligation = 633
라) PCR 증폭조건 및 전기영동 = 634
마) 통계처리 = 635
바) 개체별 유전다양성 분석에 따른 유의성 검정 = 635
다. 결과 및 고찰 = 635
1) 종묘생산 기술개발(2006) = 635
가) 쥐노래미 친어 확보 및 관리 = 635
나) 쥐노래미 종묘생산 시 대량감모 원인 규명 = 636
다) 부화율 향상을 위한 부화방법 개발 = 641
라) 쥐노래미의 성장특성 조사 = 643
마) 쥐노래미 건강종묘생산(2007년도) = 646
2) 쥐노래미 집단 유전적 분석 및 유전 다양성 분석(2007) = 647
가) Genomic DNA 추출 = 647
나) 쥐노래미 집단의 유연관계 = 650
다) 쥐노래미 유전다양성 분석 = 654
라) 개체별 유전 다양성 분석에 따른 유의성 검정 = 656
라. 참고문헌 = 657
4. 해양환경 변동 특성 연구 = 660
가. 서론 = 660
나. 재료 및 방법 = 660
1) 수질 특성 = 660
2) 퇴적물 특성 = 660
3) 생물학적 특성 = 660
4) 자료 통계적 처리 = 661
다. 결과 및 고찰 = 662
1) 수심과 투명도 = 662
2) 수질 항목별 변동 특성 = 662
가) 수온 = 662
나) 염분 = 663
다) 수소이온농도 = 664
라) 용존산소 = 664
마) 화학적산소요구량 = 665
바) 부유입자물질 = 665
사) 암모니아 질소 = 666
아) 아질산 질소 = 667
자) 질산 질소 = 667
차) 용존 무기질소 = 668
카) 총 질소 = 668
타) 인산 인 = 669
파) 총 인 = 669
하) 규산 규소 = 670
거) 클로로필 a = 670
3) 수질의 공간적 변동 특성 = 671
4) 퇴적물 환경 = 673
가) 입도조성 = 673
나) 산휘발성 황화물 = 674
다) 화학적산소요구량 = 674
라) 감열감량 = 675
5) 생물학적 환경 = 675
가) 식물플랑크톤 = 675
나) 동물플랑크톤 = 679
라. 참고문헌 = 681
5. 생물군집 특성조사 = 683
가. 서론 = 683
나. 재료 및 방법 = 686
1) 갯벌환경 = 686
가) 조사 시기 및 장소 = 686
나) 수질환경 = 687
(1) 수온, 염분, 용존산소, pH = 687
(2) 영양염류, 총질소, 총인 = 687
(3) 해수 중금속원소 = 688
다) 퇴적물환경 = 688
(1) 입도와 퇴적상 = 688
(2) 강열감량 = 690
(3) 퇴적물 중금속원소 = 690
2) 저서동물 = 691
가) 경성기질 조간대 = 691
나) 연성기질 조간대 = 692
다) 해조류 = 694
3) 이매패 유생의 시·공간적 분포 = 695
4) Denaturing Gel Gradient Eletrophoresis (DGGE) 기법을 이용한 이매패 부유유생의 시공간적 포 연구 = 696
가) 부유유생 채집 = 696
나) DNA 추출 = 696
다) DNA 증폭(PCR) = 697
라) DGGE 분석 = 697
5) 바지락 생산성 향상을 위한 방안과 효과 = 698
가) 상자(basket)와 망(netting)을 이용한 포식자 제어 = 698
나) 가입 단계에서의 포식의 영향 = 700
6) 애기잘피밭 복원 연구 = 701
가) 현장조사 = 701
나) 자료의 분석 = 701
다. 결과 및 고찰 = 705
1) 갯벌환경 = 705
가) 수질환경 = 705
(1) 수온, 염분, 용존산소, pH = 707
(2) 영양염류, 총질소, 총인 = 708
(3) 해수 중금속원소 = 709
나) 퇴적물환경 = 711
(1) 입도와 퇴적상 = 711
(2) 강열감량 = 711
(3) 퇴적물 중금속원소 = 711
2) 저서동물 = 716
가) 경성기질 조간대 = 716
(1) 경성기질 조간대 서식종 = 716
(2) 경성기질 부착생물 군집의 종별 공간 점유 비율(%) = 720
(3) 경성기질 부착생물의 변동 양상 = 725
나) 연성기질 조간대 = 728
(1) 각 동물군별 저서동물의 출현량 = 728
(2) 저서동물의 공간적 분포양상 = 731
(3) 군집생태지수 = 734
(4) 우점종 = 734
(5) 집괴분석 = 737
(6) 저서군집의 시간적 변화 = 739
다) 해조류 = 742
(1) 종 조성 = 742
(2) 피도분석 = 743
3) 이매패 유생의 시·공간적 분포 = 745
가) 환경요인 = 745
나) 이매패 부유유생의 출현량 = 749
다) 이매패 부유유생의 종별 분포 특성 = 751
4) Denaturing Gel Gradient Eletrophoresis (DGGE) 기법을 이용한 이매패 부유유생의 시공간적 분포 연구 = 757
가) DGGE 분석을 통한 바지락 유생의 시공간적 분포 = 757
나) ITS primer를 이용한 이매패류 유생의 시공간적 분포 = 757
다) DGGE 분석을 통한 50㎛ 이상의 진핵생물의 분포 = 760
5) 바지락 생산성 향상을 위한 방안과 효과 = 767
가) 상자(basket)와 망(netting)을 이용한 포식자 제어 = 767
(1) 양성 상자(basket) 실험 = 767
(2) 포식자 제어용 망(netting) 실험 = 781
(3) 상자(basket)와 망(netting)에서 양성된 바지락의 생체량 = 787
(4) 가입 단계에서의 포식의 영향 = 789
(5) 양성상자 확대설치 = 794
6) 애기잘피밭 복원 연구 = 795
가) 애기잘피의 조사시기별 생물량 비교 = 795
나) 저서동물의 생물량 비교 = 798
(1) 3회 조사결과 각 동물군별 저서등물의 출현량 = 798
(2) 저서생물의 시·공간적 분포양상 = 801
(3) 군집생태지수 = 802
(4) 우점종 = 803
(5) 집괴분석 = 806
(6) 저서동물 군집의 이차생산력 = 807
라. 종합 고찰 = 809
마. 참고문헌 = 811
6. 자원조사 및 평가 = 816
가. 서론 = 816
나. 재료 및 방법 = 816
1) 어업실태 조사 = 816
2) 어업자원의 직접 조사 = 816
3) 주요 어업자원의 생물학적 특성조사 = 817
4) 어류의 난자치어 조사 = 817
다. 결과 및 고찰 = 818
1) 어업실태 = 818
가) 어업별 어선세력 = 818
나) 어종별 어획량 변동 = 818
다) 주요 어업의 어획실태 = 820
(1) 통발어업 = 820
(2) 자망어업 = 821
2) 어업자원의 직접 조사 결과 = 824
가) 해양환경 특성 = 824
나) 트롤 어획조사 결과 = 824
(1) 조사 개요 = 824
(2) 출현종 및 어획비율 = 824
(3) 주요 어업자원의 분포 밀도 = 828
(4) 어업자원의 군집구조 = 830
(5) 주요 어획종의 생물학적 조사 결과 = 832
다) 자망 어획조사 결과 = 832
(1) 출현 종 및 어획비율 = 832
(2) 단위노력당 어획량 = 833
(3) 주요 어업자원의 생물학적 특성 = 834
3) 상업적 주요 어업자원의 생물학적 특성 = 834
가) 꽃게 blue crab, Portunus trtuberculatus = 34
나) 대하 Korean shrimp, Fenneropenaeus chinensis = 835
다) 민꽃게 Tock crab, Charybdis japonica = 836
라) 문치가자미 Marbled sole, Pleuronetes yokohamae = 836
마) 홍어 Ocellate spot skate, Okamejei kenojei = 837
4) 어류의 난자치어 조사결과 = 837
5) 조사해역의 주요 어업자원 = 838
라. 참고문헌 = 839
7. 먹이생물 조사 = 840
가. 서론 = 840
나. 재료 및 방법 = 840
다. 결과 및 고찰 = 842
1) 조피볼락(Sebastes schlegelii) = 842
가) 체장분포 = 842
나) 위내용물 조성 = 842
2) 쥐노래미(Hexagrammos otakii) = 845
가) 체장분포 = 845
나) 위내용물 조성 = 846
라. 참고문헌 = 851
8. 이용관리에 관한 연구 = 852
가. 서론 = 852
나. 재료 및 방법 = 853
1) 태안바다목장 이용·관리 체제 보완 및 조직의 역량 강화 = 853
2) 갯벌 생태 체험장 조성 계획 검토 = 853
3) 바다목장 모델 재검토 = 853
다. 결과 및 고찰 = 854
1) 태안바다목장 이용·관리 체제 보완 및 역량 강화 = 854
가) 조직구성에 대한 현황과 문제점 = 854
(1) 자율관리위원회 = 854
(2) 관리이용협의회 = 857
나) 조직구성의 추진 방향 = 857
다) 조직의 역량 강화 = 858
(1) 태안바다목장 자율관리위원회 조직구성과 운영규정(안) = 858
(2) 자율관리위원회 교류회 = 860
(3) 관리이용협의회 운영규정 = 862
2) 갯벌 생태 체험장 = 864
가) 태안바다목장 갯벌생태 현황 = 864
(1) 갯벌의 현황 및 분포 = 864
(2) 바다목장 사업지역 갯벌의 현황 = 864
나) 태안바다목장 갯벌생태체험장 기본방향 = 866
(1) 갯벌이용의 실태 = 866
(2) 기본목표 및 전략 = 867
(3) 유형화 및 적합모델 검토 = 868
(4) 환경교육형 갯벌생태체험장 추진방향 = 869
3) 태안바다목장 모델 재검토 = 873
가) 태안바다목장 모델검토 = 873
나) 추진실적 및 문제점 = 876
다) 향후 추진방향 = 878
라. 참고문헌 = 880
제3절 시설·방류사업 = 881
1. 서론 = 881
2. 인공어초 시설사업 = 882
가. 기본 계획 = 882
나. 세부 계획 = 882
1) 패류용(사질) 어초 배치 = 883
2) 어류용 어초 배치 = 883
다. 사업 결과 = 884
3. 종묘당류 사업 = 885
가. 기본 계획 = 885
나. 세부 계획 = 885
다. 사업 결과 = 887
4. 기타 시설사업 = 888
가. 기본 계획 = 888
나. 세부 계획 = 888
다. 사업 결과 = 890
5. 결론 및 고찰 = 892
제4절 종합고찰 = 893
제4장 제주바다목장사업 = 897
제1절 서론 = 899
제2절 연구개발사업 = 902
1. 인공어초 효과조사 및 산호장 조성 기술개발 = 902
가. 서론 = 902
나. 재료 및 방법 = 903
1) 인공어초 시설위치 선정을 위한 기초조사 = 903
2) 해중림 조성 기반조사 = 904
3) 어류용 인공어초 기술개발 = 904
4) 산호류 분포특성조사 및 인공번식시험 = 904
가) 분포 및 생태학적 특성조사 = 904
나) 인공번식 기술개발 = 905
다. 결과 및 고찰 = 906
1) 인공어초 시설위치 선정을 위한 기초조사 = 906
가) 목적별 인공어초 시설해역의 특성 = 906
나) 인공어초 시설예정해역의 생물학적 특성 = 910
다) 해중림 및 어패류 위집효과 제고를 위한 인공어초 시설모식도 = 912
2) 해중림 조성 기반조사(감태(Eklonia cava) 종묘생산) = 913
3) 어류용 인공어초 기술 개발 = 913
4) 정자형 인공어초 구조변경 및 실용신안등록 신청 = 914
5) 산호류 분포특성조사 및 인공번식시험 = 915
가) 분포 및 생태학적 특성조사 = 915
(1) 출현종수 = 915
(2) 해역별 출현 종 = 918
(3) 우점종 = 919
(4) 야외 이식시험 = 920
나) 인공번식 기초기술개발 = 921
(1) 실내 순치사육 산호 종류 = 921
(2) 실내 사육수온에 따른 산호류의 생존율 = 922
(3) 광 조절에 따른 생존율 = 923
(4) 수류 및 부착 기질 = 923
라. 참고문헌 = 924
2. 중간육성 시험 및 방류효과 조사 = 925
가. 서론 = 925
나. 재료 및 방법 = 927
1) 구조물과 행동 특성 = 927
가) 자바리의 종내 텃세 = 927
(1) 실험 1(예비실험) = 927
(2) 실험 2(은신처가 없는 경우) = 927
(3) 실험 3(은신처가 있는 경우) = 928
나) 은신처 실험 = 928
다) 자연에서의 행동 특성 = 930
(1) 방류어(0세어) = 930
(2) 자연산 = 930
라) 바다목장 해역 내 자연암반과 인공어초어장에서의 자원동태 = 931
(1) 바다목장 해역 내 기 시설된 인공어초의 자원동태 = 931
(2) 자연암반과 인공어초 조사정점 = 932
2) 중간육성 타당성 및 야성화(야간점등에 의한 먹이생물 유도효과) = 933
3) 방류 효과 조사 = 933
가) 자바리 = 933
나) 까막전복 = 935
4) 생물지도 작성 = 935
5) 방류어의 유전 특성 조사 = 935
가) 시험어 = 935
나) Genomic DNA 분리 및 정제 = 936
다) 쏨뱅이 미토콘드리아 DNA 증폭 및 분석 = 936
라) 쏨뱅이 S7 protein 유전자의 염기서열 분석 = 936
마) Microsatellite marker를 이용 적합성 파악 = 936
사) 자바리 미토콘트리아 DNA 증폭 및 분석 = 937
다. 결과 및 토의 = 938
1) 구조물과 행동 특성 = 938
가) 자바리의 종내 텃세 = 938
(1) 실험 1 = 938
(2) 실험 2 = 940
(3) 실험 3 = 945
나) 은신처 실험 = 948
(1) 구조물 높이에 따른 선택성 = 948
(2) 구조물 폭에 따른 자바리 선택성 실험결과 = 949
다) 자연에서의 행동 특성 = 951
(1) 방류어(0세어) = 951
(2) 자연산 = 954
라) 바다목장 해역 내 자연암반과 인공어초어장에서의 자원동태 = 955
(1) 바다목장 해역 내 기 시설된 인공어초의 자원동태 = 955
(2) 자연암반과 인공어초 조사정점 = 960
2) 중간육성 타당성 및 야성화 = 966
가) 제주특별자치도의 종묘방류 사업(야성화 훈련 사업) = 966
나) 야간점등에 의한 먹이생물 유도효과 = 967
다) 건의 = 970
3) 방류효과 조사 = 970
가) 자바리의 방류효과 조사 = 970
(1) 방류 해역의 환경 = 970
(2) 자바리의 방류 후 환경적응 = 970
(3) 통발에 의한 자바리의 재포 = 973
(4) 자바리 종묘방류 문제점(기형어) = 974
나) 까막전복 방류효과 조사 = 976
4) 생물지도 작성 = 977
가) 고산 수월봉 연안 = 977
나) 신창리 연안 = 978
다) 용수 앞 연안 = 979
5) 방류어의 유전 특성 조사 = 981
가) 쏨뱅이 미토콘드리아 DNA의 cytochrome b 유전자 분석 = 981
나) 쏨뱅이 미토콘드리아 DNA의 조절영역 분석 = 983
다) 쏨뱅이 S7 protein 유전자의 염기서열 분석 = 986
라) Microsatellite maker의 이용한 쏨뱅이 집단의 유전적 다양성 분석 = 987
(1) 분석된 microsatellite loci별 특성 = 987
(2) 방류집단과 자연집단 내 유전적 다양성 분석 = 989
(3) 방류집단과 자연집단 간 유전적 거리 = 989
마) 자바리 미토콘드리아 DNA의 염기서열 비교 분석 = 989
라. 참고문헌 = 993
3. 건강종묘생산 및 기술개발 = 996
가. 서론 = 996
나. 재료 및 방법 = 996
1) 건강종묘생산 및 기술개발 = 996
가) 쏨뱅이 건강종묘 대량생산 = 996
(1) 추계 자연산 친어구입 및 계통 확립을 위한 과학적 사육관리 = 996
(2) 추계산 쏨뱅이 어미의 성숙도 조사 = 996
(3) 종묘 크기별 방류환경(유속) 적응력 조사 = 998
나) 바리과 어류 종묘생산 기술개발 = 999
(1) 자바리 친어 후보군 수집 = 999
(2) 친어 계통 확립을 위한 과학적 사육관리 = 999
(3) 자바리 종묘 성장 및 바이러스 감염조사 = 1000
다. 결과 및 고찰 = 1001
1) 건강종묘생산 및 기술개발 = 1001
가) 쏨뱅이 건강종묘 대량생산 = 1001
(1) 추계 자연산 친어구입 및 계통확립을 위한 과학적 사육관리 = 1001
(2) 추계산 쏨뱅이 어미의 성숙도 조사 = 1001
(3) 종묘 크기별 방류환경(유속) 적응력 조사 = 1004
나) 바리과 어류 종묘생산 기술개발 = 1006
(1) 자바리 친어 후보군 수집 = 1006
(2) 친어 계통 확립을 위한 과학적 사육관리 = 1006
(3) 자바리 종묘 성장 및 바이러스 감염조사 = 1006
라. 참고문헌 = 1010
4. 붉바리 종묘생산 기술개발 = 1011
가. 서론 = 1011
나. 재료 및 방법 = 1011
1) 어미 확보 및 사육관리 = 1011
2) 성비 = 1012
3) 성 성숙 유도 = 1012
가) 인위적 성성숙 유도 및 인공 채란 = 1012
(1) 생식소 발달 조사 = 1013
(2) HCG 처리에 의한 난 성숙 및 배란 유도 = 1013
나) 성 성숙도 조사 = 1013
4) 수정란 생산 = 1014
5) 난 및 자어 발달 = 1014
가) 난 발생 및 부화 = 1014
나) 발생속도와 부화 자어 특성 = 1014
다) 자어의 형태발달과 성장 = 1015
(1) 난황흡수 및 개구시간 = 1015
(2) 부화자어의 전장과 입 크기 변화 = 1015
6) 광주기 조절을 통한 조기 성성숙 유도 = 1015
다. 결과 = 1016
1) 어미 확보 및 사육관리 = 1016
가) 어미확보 = 1016
나) 사육 수조 내 성장 = 1017
(1) 사육 환경 변화 = 1017
(2) 순치사육에 따른 성장변화 = 1018
2) 성비 = 1019
3) 인위적 성성숙 유도 및 인공 채란 = 1021
가) 성성숙 및 배란 유도 = 1021
(1) 생식소 발달 조사 = 1021
(2) 호르몬 처리에 의한 난 성숙 및 배란 유도 = 1021
나) 수정란 = 1022
다) 성 성숙도 조사 = 1023
4) 난 발생 및 자어 발달 = 1024
가) 난 발생 = 1024
나) 난황흡수 및 개구시간 = 1025
다) 부화자어의 입 크기 변화 = 1026
5) 성장 = 1026
라. 고찰 = 1027
1) 성비 = 1027
2) 수정란 생산 = 1028
3) 난 발생 및 자어발달 = 1029
4) 광주기 조절을 통한 조기 성숙 유도 = 1030
마. 참고문헌 = 1031
5. 해양환경 및 기초생산력 조사 = 1035
가. 서론 = 1035
나. 재료 및 방법= 1035
1) 물리환경 = 1035
가) 조사 시기 및 장소 = 1035
나) 조사방법 = 1035
2) 수질환경 = 1035
가) 조사 시기 및 장소 = 1035
나) 조사방법 = 1035
3) 저서·퇴적환경 = 1036
가) 조사 시기 및 장소 = 1036
나) 조사방법 = 1036
4) 식물플랑크톤 = 1038
가) 조사 시기 및 장소 = 1038
나) 조사방법 = 1038
5) 동물플랑크톤 = 1038
가) 조사 시기 및 장소 = 1038
나) 조사방법 = 1038
6) 난·자치어 = 1039
가) 조사 시기 및 장소 = 1039
나) 조사방법 = 1039
다. 결과 및 고찰 = 1040
1) 물리환경 = 1040
가) 계절별 수온·염분 수평분포 = 1040
2) 수질환경 = 1049
가) pH = 1049
나) 용존산소(DO) = 1049
다) 화학적산소요구량(COD) = 1049
라) 부유물질(SS) = 1049
마) 영양염류 = 1049
(1) 총 무기질소(TIN) = 1049
(2) 인산염 인(PO43--P(이미지참조)) = 1050
바) 용존유기탄소 = 1050
3) 저서·퇴적환경 = 1057
가) pH = 1057
나) COD = 1057
다) TOC = 1057
라) TON = 1057
마) IL = 1057
바) CaCO₃ = 1057
사) 평균입도 = 1058
4) 식물플랑크톤 = 1061
가) 출현종의 조성 및 종 다양성 = 1061
나) 현존량 및 우점종 분포 = 1061
다) 엽록소량 분포 = 1062
5) 동물플랑크톤 = 1064
가) 종조성 및 개체수 = 1064
나) 우점종 = 1064
다) 동물플랑크톤 분포 특성 = 1065
6) 난·자치어 = 1075
가) 계절별 난·자치어 출현 밀도 현황 = 1075
나) 자치어 전체 출현 목록 = 1075
다) 정점별, 시기별 자치어 출현종수 = 1076
라) 정점별, 시기별 자치어 출현량 = 1076
라. 참고문헌 = 1081
마. 부록 = 1085
6. 생물군집 특성 조사 = 1092
가. 서론 = 1092
나. 재료 및 방법 = 1092
1) 생물 자원량 변동조사 = 1092
2) 해조류에 의한 생산력 추정 = 1094
3) 소라개체군 변동조사 = 1094
다. 결과 및 고찰 = 1094
1) 생물 자원량 변동 조사 = 1094
가) 암반조하대 부착생물 조사 = 1094
(1) 출현 종수, 개체수 및 생체량 = 1094
(2) 조사 시기별 부착생물의 군집구조와 생물량 = 1097
2) 해조류에 의한 생산력 추정 = 1104
가) 종 조성 및 우점종 = 1104
나) 현존량 = 1106
3) 소라개체군 변동조사 = 1107
가) 유용 수산생물(소라) = 1107
(1) 소라(Batillus cornutus)의 생물학적 특징 = 1107
(2) 소라의 정량 채집결과 = 1108
(3) 소라의 정성 채집결과 = 1109
라. 참고문헌 = 1111
7. 자원조사 및 평가 = 1113
가 . 서론 = 1113
나. 재료 및 방법 = 1113
1) 어획시기 및 시험어구 = 1113
2) 생물 측정 = 1114
3) 과학어탐조사 = 1114
가) 음향 시스템 = 1115
나) 음향 자료 처리 기법 = 1116
(1) 표층~해저면 위 5m = 1117
(2) 해저면 부근 = 1118
(3) 개체수/길이 및 생체량(biomass) 추정 = 1119
다. 결과 및 고찰 = 1121
1) 삼중자망 및 통발 어획시험 조사 = 1121
가) 지역별 어획상황 = 1121
나) 월별 분류군별 어획상황 = 1122
다) 월별 어구별 어획 상황 = 1122
2) 단위노력당 어획량 = 1122
3) 주요 분류군별 어종별 어획량 = 1123
4) 어획물 크기조성 = 1126
5) 주요종의 체장-체중 관계 = 1128
6) 어구별 월별 출현 종조성 = 1129
가) 삼중자망 = 1129
나) 통발 = 1131
7) 군집분석 = 1133
8) 과학어탐에 의한 유영생물의 풍도조사 = 1133
가) 어군의 수직 분포 특성 = 1133
(1) 표층~해저면 위 5m = 1133
(2) 해저면 부근 = 1135
나) 어군의 수평 분포 특성 = 1136
다) TS를 이용한 어군 개체수 및 체장 추정 = 1138
라) 저층 어군의 총 생체량(Biomass) 추정 = 1141
라. 참고문헌 = 1142
8. 먹이생물 조사 = 1143
가. 서론 = 1143
나. 재료 및 방법 = 1143
다. 결과 및 고찰 = 1145
1) 돌돔(Oplegnathus fasciatus) = 1145
가) 체장분포 = 1145
나) 위내용물 조성 = 1145
2) 쏨뱅이(Sebatiscus marmoratus) = 1148
가) 체장분포 = 1148
나) 위내용물 조성 = 1148
라. 참고문헌 = 1152
9. 수중로봇을 이용한 방류어의 환경적응 모니터링 = 1153
가. 서론 = 1153
나. 재료 및 방법 = 1153
1) 주요 사용 장비 = 1153
가) ROV = 1153
나) 비디오카메라 = 1155
다) GPS = 1156
2) 실험 방법 및 항목 = 1156
가) ROV 시험 운행(예비실험) = 1156
나) 수조 내 어류행동 분석 = 1156
다) 쏨뱅이 치어의 방류 후 환경 생태 특성 분석 = 1156
라) ROV를 이용한 인공어초 촬영 = 1157
마) 어류의 개체 추적 = 1158
바) 까막전복(Haliotis discus discis) 방류현장 모니터링 = 1158
사) ROV 활용도 점검을 위한 CTD센서를 이용한 국소적 환경변화 분석 = 1158
다. 결과 및 고찰 = 1159
1) ROV 시험 운행(예비실험) = 1159
가) 제주대학교 소형 수조 = 1159
나) 해양과학환경연구소 대형 수조 = 1159
다) 실해역에서의 ROV 실험 = 1160
2) 수조 내 어류행동 분석 = 1161
가) ROV와 쏨뱅이 행동특성 분석 = 1161
나) 쏨뱅이 치어의 방류 후 환경 생태 특성 분석 = 1162
3) ROV를 이용한 인공어초 촬영 = 1166
가) St. 1의 육교형어초 = 1166
나) St. 2의 육교형 어초 = 1168
다) St. 3의 사각형 어초 = 1170
4) 어류 개체 추적 = 1170
5) 까막전복 방류 현장 모니터링 = 1172
6) ROV 활용도 점검을 위한 CTD센서를 이용한 국소적 환경변화 분석 = 1176
7) ROV의 향후 가능성 = 1177
라. 참고문헌 = 1178
10. 이용관리에 관한 연구 = 1179
가. 서론 = 1179
나. 재료 및 방법 = 1179
다. 결과 및 고찰 = 1180
1) 제주바다목장 이용관리체제 보완 = 1180
가) 이용관리체제의 현황 및 문제점 = 1180
(1) 자율관리위원회 구성 전 경과사항 = 1181
(2) 자율관리위원회 조직구성 상의 문제점 및 개선 과제 = 1183
나) 이용관리조직의 역량 강화 = 1186
(1) 제주바다목장 자율관리위원회 구성 및 운영구정(안) = 1186
(2) 제주바다목장 자율관리위원회 교류회 추진 = 1189
(3) 제주바다목장 관리이용협의회 구성 = 1191
2) 제주바다목장 모델 재검토 = 1193
가) 제주바다목장 모델 검토 = 1193
나) 추진실적 및 문제점 = 1198
다) 향후 추진방향 = 1201
(1) 이용관리 관련 추진방향 = 1201
(2) 관광활성화 관련 추진방향 = 1203
라. 참고문헌 = 1204
제3절 시설·방류사업 = 1205
1. 서론 = 1205
2. 인공어초 시설사업 = 1206
가. 기본 계획 = 1206
나. 세부 계획 = 1206
1) 해중림 인공어초 배치 = 1207
2) 해중림 및 패조류 복합형 인공어초 배치 = 1208
3) 어류용 어초 배치 = 1209
다. 사업 결과 = 1210
3. 종묘방류사업 = 1210
가. 기본 계획 = 1211
나. 세부 계획 = 1212
다. 사업 결과 = 1212
4. 기타 시설사업 = 1214
가. 기본 계획 = 1215
나. 세부 계획 = 1216
다. 사업 결과 = 1217
5. 결론 및 고찰 = 1219
제4절 종합고찰 = 1220
제1절 서론 = 163
제2절 사업추진 계획수립 = 164
1. 필요성 및 개념 = 164
가. 필요성 = 164
나. 개념 = 164
2. 중점목표 및 세부추진 방향 = 166
가. 중점목표 = 166
나. 세부추진 방향 = 166
제3절 로드맵 수립 = 168
1. 기본계획 = 168
가. 동해바다목장 = 168
나. 서해바다목장 = 169
다. 제주바다목장 = 170
2. 추진방향 = 170
가. 동해바다목장 = 170
1) 연구개발사업 = 170
2) 시설사업 = 172
나. 서해바다목장 = 173
1) 연구개발사업 = 173
2) 시설사업 = 175
다. 제주바다목장 = 175
1) 연구개발사업 = 175
2) 시설사업 = 177
3. 로드맵 수립 = 178
가. 동해바다목장 = 178
나. 서해바다목장 = 180
다. 제주바다목장 = 181
4. 연구개발사업 세부 추진계획 수립 = 182
가. 분야별 흐름도 = 182
1) 해양환경 및 자원평가(그림 1-3-8) = 182
2) 어장조성(그림 1-3-9) = 182
3) 자원조성(그림 1-3-10) = 186
4) 이용관리(그림 1-3-11) = 187
나. 분야별 세부 추진계획 = 189
1) 해양환경 = 189
2) 자원조사 및 평가 = 190
제4절 업무편람 = 192
1. 운영관리 규정 = 192
가. 운영협의회 = 192
나. 지역협의회 = 192
다. 지역관리사무소 = 192
2. 연구개발사업 업무편람 = 193
가. 업무 흐름도(그림 1-4-1) = 193
나. 연구용역 선정 세부절차 = 193
다. 진도관리 및 평가 = 195
라. 연구 성과 활용 및 관리 = 195
마. 성과 평가 = 195
바. 성과물 관리(연구성과물, 지적재산권) 196
3. 시설·방류사업 업무편람 = 196
가. 인공어초 시설사업(그림 1-4-2) = 196
1) 시설계획 수립 = 196
2) 어초 기술자문단 검토 = 196
3) 운영위원회 심의(사업계획 승인) = 196
4) 실시 설계서 작성 = 196
5) 실시 설계서 검토 = 196
6) 발주의뢰 = 198
7) 계약 체결 = 198
8) 공사 감독관 임명 및 임무 = 199
9) 검사관 지정 및 제작검사 = 200
10) 시설 투하 및 준공 = 200
나. 종묘방류 사업(그림 1-4-3) = 202
1) 방류대상 어종 및 수량 확정 = 202
2) 계약의뢰 = 202
3) 입찰공고 및 등록 = 205
4) 입찰 및 낙찰 예정자 통보 = 206
5) 감독관 임명 = 206
6) 사전 현지 확인 = 206
7) 방류를 위한 가검수 = 208
8) 방류를 위한 본검수 = 208
9) 방류 = 208
다. 기타 시설사업(그림 1-4-4) = 208
1) 해양환경 관측부이 = 208
2) 잘피장 조성 = 209
3) Seed bank 조성 = 209
제5절 결론 및 고찰 = 212
제2장 동해(울진)바다목장사업 = 215
제1절 서론 = 217
제2절 연구개발사업 = 220
1. 인공어초 효과조사 및 건강종묘 기술개발 = 220
가. 서론 = 220
나. 재료 및 방법 = 220
1) 2007 시설예정지 사전 기초조사 = 220
2) 인공어초 효과조사 = 221
3) 건강도 판정기법 개발 = 222
가) 건강도 회복 상실점 판별 시험 = 222
(1) 생태학적 조사 = 222
(2) RNA/DNA 정량분석 = 222
(3) 혈액학적 분석 = 222
(4) 소화효소 활성분석 = 222
(5) 생화학적 분석 = 223
나) 자연산(방류어) 강도다리 건강도 판정 = 223
4) 표지 방류 기법개발(감성돔, 강도다리) = 223
다. 결과 및 고찰 = 224
1) 2007 시설예정지 사전 기초조사 = 224
가) 2007 인공어초 시설예정지 좌표설정 = 224
나) 시설지의 퇴적물 입도분포 = 226
다) 인공어초 시설지 주변 연성저질에 서식하는 생물 = 227
2) 인공어초 효과조사 = 227
가) 어획시험 결과 = 227
나) 기 시설 인공어초와 2007 어초 시설지 주변 암반에 부착한 저서동물 = 227
다) 기 시설 인공어초와 2007 어초 시설지 주변 암반의 해조류 서식량 = 229
라) 각 인공어초별 위집어류 = 230
3) 건강도 판정기법 개발 = 231
가) 건강도 회복 상실점 판별 시험(강도다리) = 231
(1) 생태학적 측정 = 231
(2) RNA/DNA 정량분석 = 231
(3) 혈액학적 분석 = 232
(4) 소화효소 활성분석 = 232
(5) 생화학적 분석 = 232
나) 자연산(방류어) 강도다리 건강도 판정 = 233
(1) 생태학적 특성 = 233
(2) RNA/DNA 정량분석 = 234
(3) 혈액학적 분석 = 234
(4) 소화효소 활성분석 = 234
(5) 생화학적 분석 = 235
4) 표지 방류 기법개발 = 235
가) 감성돔 표지어 건강도 변화조사 = 235
(1) 생태학적 특성 = 235
(2) RNA/DNA 정량분석 = 236
(3) 혈액학적 분석 = 236
(4) 소화효소 활성분석 = 238
(5) 생화학적 분석 = 238
나) 강도다리 표지어 건강도 변화조사 = 239
(1) 생태학적 특성 = 239
(2) RNA/DNA 정량분석 = 239
(3) 혈액학적 분석 = 240
(4) 소화효소 활성분석 = 240
(5) 생화학적 분석 = 241
다) 표지표 부착률 및 사망률 = 241
라) 표지표 부착부위 회복력 = 241
(1) 원통형 표지 = 241
(2) 미늘형 표지 = 242
라. 참고문헌 = 243
2. 중간육성 시험 및 방류효과 조사 = 244
가. 서론 = 244
나. 재료 및 방법 = 244
1) 구조물과 행동 특성 = 244
가) 방류어의 수조 내 행동 실험 = 244
나) 강도다리와 넙치의 수조 내에서의 텃새 및 Intraspecific 행동특성 = 244
다) 구조물에 대한 행동 특성 = 244
2) 중간육성 타당성 및 야성화 = 245
가) 강도다리의 순치 실험 = 245
(1) 공시어 = 245
(2) 순치실험 장치 = 245
(3) 실험 방법 = 245
나) 넙치의 순치실험 = 247
(1) 공시어 = 247
(2) 순치실험 장치 = 247
(3) 실험 방법 = 247
3) 방류효과조사 = 247
4) 방류어의 유전 특성 조사 = 248
가) 시험어 = 248
나) Genomic DNA 분리 및 정제 = 248
다) 미토콘드리아 DNA의 12S 및 16S ribosomal RNA 유전자 분석 = 249
라) 강도다리 PCR 증폭산물의 제한효소 처리 및 전기영동 = 249
마) 강도다리 미토콘드리아 DNA 16S rRNA 유전자 영역의 염기서열 분석 = 249
바) 쥐노래미의 유전적 다양성 조사 = 250
(1) 개놈 DNA 추출 = 250
(2) DNA 증폭, 클로닝, 시퀸싱 = 250
(3) 염기서열 분석 = 252
5) 생물달력 작성 = 253
다. 결과 및 고찰 = 253
1) 구조물과 행동 특성 = 253
가) 방류어의 수조 내 행동 실험 = 253
(1) 강도다리 = 253
(2) 넙치 = 253
나) 강도다리와 넙치의 수조내에서의 텃새 및 Intraspecific 행동특성 = 254
다) 구조물에 대한 행동 특성 = 255
(1) 강도다리 = 255
(2) 쥐노래미 = 255
(3) 볼락, 조피볼락 = 256
(4) 인상어 = 257
(5) 전갱이, 멸치 = 257
(6) 방류한 강도다리의 추적 조사 = 257
2) 중간육성 타당성 및 야성화 = 259
가) 강도다리의 순치실험 = 259
(1) 순치사육 중 성장 = 259
(2) 생존율 = 260
(3) 위 내용물 평가 = 261
나) 넙치의 순치실험 = 261
(1) 사육 결과 = 261
(2) 생존율 = 262
(3) 위 내용물 평가 = 263
다) 순치실험 결과 평가 = 263
(1) 기본 여건 = 263
(2) 순치 실험의 의의 = 264
라) 건의 = 265
3) 방류효과조사 = 265
4) 방류어의 유전 특성 조사 = 268
가) 강도다리 미토콘드리아 DNA의 12S rRNA 및 16S rRNA 유전자 영역의 PCR-RFLP = 268
나) 강도다리 미토콘드리아 DNA의 16S rRNA 유전자 영역의 염기서열 = 268
5) COI 유전자의 다형성과 계군 특성 = 272
6) COIII-ND3-ND4L 유전자 다형성과 계군 특성 = 282
7) 생물달력 작성 = 287
가) 2007년 7월의 생물 = 287
나) 2007년 8월의 생물 = 288
다) 2007년 9월의 생물 = 288
라) 2007년 10월의 생물 = 289
마/라) 2007년 11월의 생물 = 290
라. 결론 = 290
마. 참고 문헌 = 291
3. 강도다리 무안측 흑색반문 억제 기술개발 = 292
가. 서론 = 292
1) 연구의 필요성 = 292
2) 문헌 연구 = 292
나. 재료 및 방법 = 296
1) 조직학적 방법 = 296
가) 광학현미경 관찰용 피부 조직표본 제작 = 296
나) 전자현미경 관찰용 피부 조직표본 제작 = 297
2) 사육밀도에 따른 강도다리 치어의 성장과 흑화 발현 = 297
가) 실험 어류 = 297
나) 실험 사육 시스템 = 297
다) 사육관리 및 실험 방법 = 297
라) 통계 분석 = 299
다. 결과 = 300
1) 강도다리 피부의 구조적 변화 = 300
가) 일반적 구조(광학현미경 관찰) = 300
나) 일반적 구조(투과전자현미경 관찰) = 301
다) 흑화 발현 개체의 구조적 변화 = 303
2) 사육밀도에 따른 강도다리 치어의 성장과 흑화 발현 = 304
가) 사육 수질과 강도다리 치어의 성장 = 304
나) 사육 밀도에 따른 강도다리 치어의 무안측 흑화 발현율 및 발현 양상 = 306
라. 고찰 = 313
마. 참고문헌 = 314
4. 해중림 조성 효과조사 = 317
가. 서론 = 317
나. 재료 및 방법 = 317
1) 해중림 해역의 생태조사 = 317
가) 조사 시기 및 장소 = 317
나) 조사방법 = 319
(1) 종조성 = 319
(2) 현존량 = 319
(3) 종다양성 지수 = 319
(4) 갯녹음해역의 특성과 해조숲 조성 = 319
2) 해조초 투하지점 선정 = 319
가) 투하지점의 해조 생태 = 319
나) 해중림초 조성 효과 = 319
다. 결과 및 고찰 = 319
1) 해중림 해역의 생태조사 = 319
가) 해조류의 종조성 = 319
나) 해조류의 현존량 분석 = 321
다) 종다양성 분석 = 323
라) 갯녹음 해역의 특성과 해조숲 조성 = 327
2) 해조초 투하지점 선정 = 328
가) 조사 해역 특성 = 328
나) 해중림초 시설 = 336
3) 개선안, 추진방법 및 기대효과 = 336
라. 참고문헌 = 338
5. 해앙환경 변동특성 연구 = 339
가. 서론 = 339
나. 재료 및 방법 = 339
1) 수질 및 퇴적물 환경 변동 특성 조사 = 339
2) 해수유동 조사 = 339
3) 부유생물 조사 = 340
4) 수온변동 조사 = 340
다. 결과 및 토의 = 341
1) 수질 및 퇴적물 환경변동 특성 조사 = 341
가) 수질 환경 조사 = 341
(1) 수온 = 341
(2) 염분 = 342
(3) 용존산소 = 342
(4) pH = 342
(5) 화학적산소요구량 = 344
(6) 용존무기질소 = 344
(7) 용존무기인 = 344
(8) 규산규소 = 344
(9) 클로로필-a = 344
(10) 부유물질 = 344
나) 퇴적물 환경 조사 = 346
2) 해수유동 조사 = 347
가) 장기연속관측 = 347
나) 탁월주기분석 = 348
다) 조류분석 = 348
3) 부유생물 조사 = 350
가) 식물플랑크톤 = 350
나) 동물플랑크톤 = 351
4) 수온변동 조사 = 353
가) 수온 연속 관측 = 353
나) 바다목장 해역의 광역 수온 분포 = 354
(1) 2월 = 354
(2) 4월 = 354
(3) 6월 = 354
(4) 8월 = 355
(5) 10월 = 355
(6) 12월 = 355
라. 참고문헌 = 355
6. 생물군집 특성조사 = 362
가. 서론 = 362
나. 재료 및 방법 = 362
1) 생물자원량 변동조사 = 362
가) 암반조하대 부착동물 조사 = 362
2) 해조류에 의한 생산력 추정 = 363
가) 해조류의 종 조성 및 우점종 = 363
나) 해조류 현존량 = 364
다) 이전 자료와의 비교(주요 해조류의 생산력 추정) = 364
다. 결과 및 토의 = 364
1) 생물자원량 변동조사 = 364
가) 암반조하대 부착동물 조사 = 364
(1) 출현 종수, 개체수 및 생체량 = 364
(2) 조사 시기별 부착동물의 군집구조와 생물량 = 367
2) 해조류에 의한 생산력 추정 = 381
가) 해조류의 종 조성 및 우점종 = 381
나) 해조류 현존량 = 384
다) 이전 자료와의 비교(주요 해조류의 생산력 추정) = 386
라) 인공자연석 투하에 의한 해조류 생산현황 = 390
(1) 조사방법 = 390
(2) 조사결과 = 390
라. 참고문헌 = 394
7. 자원조사 및 평가 = 396
가. 서론 = 396
나. 재료 및 방법 = 396
다. 결과 = 398
1) 어종별 현존량 변동조사 = 398
가) 출현종수 = 398
나) 종조성 = 398
(1) 분류군별 = 398
(2) 어종별 = 399
다) 주요종의 어종별 개체수 및 어획량 = 400
(1) 9월 = 400
(2) 10월 = 400
(3) 11월 = 401
(4) 12월 = 401
(5) 전체 = 401
라) 주요종의 면적당 개체수(개체/㎢) 및 자원밀도(kg/㎢) = 401
(1) 9월 = 401
(2) 10월 = 402
(3) 11월 = 402
(4) 12월 = 402
(5) 전체 = 402
마) 난자치어 조사결과 = 414
2) 자원생물·생태학적 조사 = 414
가) 주요종의 체장조성 = 414
나) 주요종의 체장-체중 관계 = 416
3) 어업실태조사 = 417
가) 어선척수 = 417
나) 어획량 = 417
라. 고찰 = 420
마. 참고문헌 = 420
8. 패류자원조사 = 421
가. 서론 = 421
나. 재료 및 방법 = 421
다. 결과 및 고찰 = 422
1) 어장환경조사 = 422
2) 형망에 어획된 출현종 = 424
3) 어획량 변동조사 = 427
4) 각장, 습중량 조성 조사 = 431
5) 연령조성조사 = 455
6) 상대 성장도 조사 = 457
가) 각장과 습중량 관계 = 457
나) 각장과 각고, 각폭의 관계 = 460
7) 2005년도 조사결과와의 비교 검토 = 464
8) 개선안 = 465
9) 추진방향 및 기대효과 = 465
라. 참고문헌 = 465
9. 먹이생물조사 = 466
가. 서론 = 466
나. 재료 및 방법 = 466
다. 결과 및 고찰 = 468
1) 강도다리(Platichthys stellatus) = 468
가) 체장분포 = 468
나) 위내용물 조성 = 468
2) 기름가자미(Glyptocephalus stelleri) = 471
가) 체장분포 = 471
나) 위내용물 조성 = 471
라. 참고문헌 = 474
10. 이용관리에 관한 연구 = 475
가. 서론 = 475
나. 재료 및 방법 = 475
1) 바다목장 관리이용 조직 구성 및 조직력 강화 = 475
2) 울진바다목장 모델 재검토 = 476
다. 결과 및 고찰 = 476
1) 울진바다목장 관리이용 조직 구성 = 476
가) 조직 구성 = 476
(1) 어업인 조직 : 자율관리위원 구성 = 477
(2) 민관학연 조직 : 관리 이용협의회 구성 추진 = 480
나) 관리이용 조직 역량 강화 = 483
(1) 울진바다목장 자율관리공동체 추진 방향 = 483
(2) 바다목장 자율관리위원회 교류회 = 487
2) 울진바다목장 모델 평가 = 489
가) 울진바다목장 모델 검토 = 489
나) 추진실적 및 과제 = 493
(1) 분야별 계획 추진의 연계성 결여 = 495
(2) 사업투자 실적 미약 = 495
(3) 체계적 자료 수집 및 모니터링 미흡 = 495
(4) 관리이용 조직의 역량 부족 = 495
다) 향후 추진 방향 = 495
(1) 이용관리체계 관련 추진과제 = 495
(2) 관광분야 검토 과제 = 497
라. 참고문헌 = 498
제3절 시설·방류사업 = 499
1. 서론 = 499
2. 인공어초 시설사업 = 500
가. 기본 계획 = 500
나. 세부 계획 = 500
1) 해중림 조성용(암반) 어초 배치 = 500
2) 해중림 조성용(사질) 어초 배치 = 501
3) 테마관광 레저용 어초 배치 = 501
4) 자원유도형 어초 배치 = 501
다. 사업 결과 = 506
3. 종묘방류사업 = 506
가. 기본 계획 = 506
나. 세부 계획 = 507
다. 사업 결과 = 507
4. 기타 시설사업 = 509
가. 기본 계획 = 509
나. 세부 계획 = 510
다. 사업 결과 = 512
5. 결론 및 고찰 = 513
제4절 종합고찰 = 515
제3장 서해(태안)바다목장사업 = 519
제1절 서론 = 521
제2절 연구개발사업 = 524
1. 인공어초 적지선정 및 효과조사 연구 = 524
가. 서론 = 524
나. 재료 및 방법 = 524
1) 시설해역 해양환경 = 524
2) 해조류 = 525
3) 부착저서동물 = 525
4) 어획효과조사 = 526
가) 삼중자망을 이용한 어획효과 및 위집조사(사각어초, 잠보형어초, 대형전주어초, 자연초) = 526
나) 통발을 이용한 어획효과 및 위집조사(사각어초, 잠보형어초, 대형전주어초, 자연초) = 526
5) 인공어초 시설위치 선정 = 526
가) 퇴적물 입도분석 = 526
다. 결과 및 고찰 = 527
1) 시설해역 해양환경 = 527
2) 해조류 = 527
3) 부착저서동물 = 528
가) 인공어초의 대형저서동물 현황 = 528
나) 출현종 = 534
다) 어초별 출현개체수 및 생체량 = 536
(1) 사각형어초(상) = 536
(2) 사각형어초(하) = 536
(3) 잠보형어초(상) = 541
(4) 잠보형어초(하) = 541
(5) 대형전주어초(상) = 546
(6) 대형전주어초(하) = 546
(7) 자연초(상) = 548
(8) 자연초(하) = 548
라) 부착저서동물 개체수 우점종 = 553
마/라) 부착저서동물 생체량 우점종 = 554
바) 부착저서동물 생태지수 = 555
사) 정점간 유사도 = 558
4) 어획효과조사 = 568
가) 삼중자망을 이용한 어획효과 및 위집조사 = 568
(1) 사각형어초 = 568
(2) 잠보형어초 = 568
(3) 대형전주어초 = 568
(4) 자연초 = 568
나) 통발을 이용한 어획효과 및 위집조사 = 577
(1) 사각형어초 = 577
(2) 잠보형어초 = 577
(3) 대형전주어초 = 577
(4) 자연초 = 577
5) 인공어초 시설위치 선정 = 579
가) 퇴적물 입도분석 = 579
라. 고찰 = 581
1) 시설해역 무기 해양환경 = 581
2) 해조류 생육 = 581
3) 어초별 부착저서동물 현황 = 581
4) 삼중자망을 이용한 어획효과조사 = 582
5) 통발을 이용한 어획효과조사 = 582
마. 참고문헌 = 583
2. 중간육성 시험 및 방류효과조사 = 584
가. 서론 = 584
나. 재료 및 방법 = 585
1) 방류어의 구조물과 군집행동 = 585
2) 방류어의 유전특성 조사 = 585
가) 조피볼락 자연산 및 방류어의 유전적 다양성 조사를 위한 시험어 = 585
나) Genomic DNA 분리 및 정제 = 585
다) 조피볼락의 mitochondrial DNA 조절영역(D-loop) 증폭 = 585
라) PCR 증폭산물의 제한효소 처리 및 전기영동 = 586
마) Microsatellite marker를 이용한 방류집단과 자연집단 비교 = 586
바) Cytochrome b 유전자 증폭 및 염기서열 결정 = 587
(1) Cytochrome b 유전자 증폭 = 587
(2) 증폭된 DNA의 정제 및 염기서열 결정 = 588
3) 방류효과조사 = 588
4) 종묘 중간육성 타당성 및 야성화 조사 = 589
5) 수중음탐에 의한 투입어초의 안정성 조사 = 589
가) 조사개요 = 589
나) 조사선의 DGPS 운영 = 589
다) 단빔 수심조사에 의한 어초 확인 = 592
라) 해저면 음향영상 조사 = 592
다. 결과 및 고찰 = 593
1) 방류어의 구조물과 군집행동 = 593
가) 전주어초에서의 행동 = 593
나) 사각어초에서의 행동 = 593
다) 자연암반 및 피복석에서의 행동 = 594
라) 구조물에 대한 상대 위치와 군집행동 = 595
(1) 조피볼락 치어처럼 어초의 상층부 위가 막힌 곳의 아래에 무리를 짓는 것 = 596
(2) 비교적 큰 조피볼락처럼 어초 중앙부의 비교적 개방된 부분에서 유영하는 것 = 596
(3) 쥐노래미처럼 어초 하부의 저질 바닥 위나, 어초 뼈대의 위에서 머무는 것 = 596
2) 방류어의 유전특성 조사 = 597
가) 조피볼락 미토콘드리아 DNA의 조절영역(D-loop) 다양성 분석 및 연관성 = 597
나) Microsatellite marker를 이용한 유전적 다양성 분석 = 598
(1) 분석된 microsatellite loci별 특성 = 598
(2) 각 집단내 유전적 다양성 분석 = 599
(3) 각 집단간 유전적 거리 및 유연관계 분석 = 599
다) 조피볼락 cytochrome b 유전자의 염기서열 분석 = 604
3) 조피볼락 방류효과 = 616
가) 방류어의 초기 행동 = 616
나) 방류어의 체포 조사 = 617
4) 종묘 중간육성 타당성 및 야성화 조사 = 619
가) 중간육성의 필요성 = 619
(1) 어류의 중간육성 = 620
(2) 전복중간육성 = 621
나) 태안바다목장에서의 종묘방류 문제점 = 622
5) 수중음탐에 의한 투입어초의 안정성 조사 = 623
가) 지형분포 = 623
나) 해저면 음향영상 분포 = 624
다) 모자이크 해저영상 = 625
라) 투하 어초의 위치 및 기록 확인 = 627
라. 참고문헌 = 629
3. 쥐노래미 건강종묘 생산기술 개발 = 631
가. 서론 = 631
나. 재료 및 방법 = 632
1) 종묘생산 기술개발(2006) = 632
가) 쥐노래미 친어 확보 및 관리 = 632
나) 쥐노래미 종묘생산 시 대량감모 원인 규명 = 632
다) 부화율 향상을 위한 부화방법 개발 = 632
라) 쥐노래미의 성장특성 조사 = 633
마) 쥐노래미 건강종묘생산(2007) = 633
2) 쥐노래미 유전변이 및 유전다양성 분석(2007) = 633
가) 쥐노래미 확보 = 633
나) Genomic DNA 추출 = 633
다) DNA 절단 및 adapter ligation = 633
라) PCR 증폭조건 및 전기영동 = 634
마) 통계처리 = 635
바) 개체별 유전다양성 분석에 따른 유의성 검정 = 635
다. 결과 및 고찰 = 635
1) 종묘생산 기술개발(2006) = 635
가) 쥐노래미 친어 확보 및 관리 = 635
나) 쥐노래미 종묘생산 시 대량감모 원인 규명 = 636
다) 부화율 향상을 위한 부화방법 개발 = 641
라) 쥐노래미의 성장특성 조사 = 643
마) 쥐노래미 건강종묘생산(2007년도) = 646
2) 쥐노래미 집단 유전적 분석 및 유전 다양성 분석(2007) = 647
가) Genomic DNA 추출 = 647
나) 쥐노래미 집단의 유연관계 = 650
다) 쥐노래미 유전다양성 분석 = 654
라) 개체별 유전 다양성 분석에 따른 유의성 검정 = 656
라. 참고문헌 = 657
4. 해양환경 변동 특성 연구 = 660
가. 서론 = 660
나. 재료 및 방법 = 660
1) 수질 특성 = 660
2) 퇴적물 특성 = 660
3) 생물학적 특성 = 660
4) 자료 통계적 처리 = 661
다. 결과 및 고찰 = 662
1) 수심과 투명도 = 662
2) 수질 항목별 변동 특성 = 662
가) 수온 = 662
나) 염분 = 663
다) 수소이온농도 = 664
라) 용존산소 = 664
마) 화학적산소요구량 = 665
바) 부유입자물질 = 665
사) 암모니아 질소 = 666
아) 아질산 질소 = 667
자) 질산 질소 = 667
차) 용존 무기질소 = 668
카) 총 질소 = 668
타) 인산 인 = 669
파) 총 인 = 669
하) 규산 규소 = 670
거) 클로로필 a = 670
3) 수질의 공간적 변동 특성 = 671
4) 퇴적물 환경 = 673
가) 입도조성 = 673
나) 산휘발성 황화물 = 674
다) 화학적산소요구량 = 674
라) 감열감량 = 675
5) 생물학적 환경 = 675
가) 식물플랑크톤 = 675
나) 동물플랑크톤 = 679
라. 참고문헌 = 681
5. 생물군집 특성조사 = 683
가. 서론 = 683
나. 재료 및 방법 = 686
1) 갯벌환경 = 686
가) 조사 시기 및 장소 = 686
나) 수질환경 = 687
(1) 수온, 염분, 용존산소, pH = 687
(2) 영양염류, 총질소, 총인 = 687
(3) 해수 중금속원소 = 688
다) 퇴적물환경 = 688
(1) 입도와 퇴적상 = 688
(2) 강열감량 = 690
(3) 퇴적물 중금속원소 = 690
2) 저서동물 = 691
가) 경성기질 조간대 = 691
나) 연성기질 조간대 = 692
다) 해조류 = 694
3) 이매패 유생의 시·공간적 분포 = 695
4) Denaturing Gel Gradient Eletrophoresis (DGGE) 기법을 이용한 이매패 부유유생의 시공간적 포 연구 = 696
가) 부유유생 채집 = 696
나) DNA 추출 = 696
다) DNA 증폭(PCR) = 697
라) DGGE 분석 = 697
5) 바지락 생산성 향상을 위한 방안과 효과 = 698
가) 상자(basket)와 망(netting)을 이용한 포식자 제어 = 698
나) 가입 단계에서의 포식의 영향 = 700
6) 애기잘피밭 복원 연구 = 701
가) 현장조사 = 701
나) 자료의 분석 = 701
다. 결과 및 고찰 = 705
1) 갯벌환경 = 705
가) 수질환경 = 705
(1) 수온, 염분, 용존산소, pH = 707
(2) 영양염류, 총질소, 총인 = 708
(3) 해수 중금속원소 = 709
나) 퇴적물환경 = 711
(1) 입도와 퇴적상 = 711
(2) 강열감량 = 711
(3) 퇴적물 중금속원소 = 711
2) 저서동물 = 716
가) 경성기질 조간대 = 716
(1) 경성기질 조간대 서식종 = 716
(2) 경성기질 부착생물 군집의 종별 공간 점유 비율(%) = 720
(3) 경성기질 부착생물의 변동 양상 = 725
나) 연성기질 조간대 = 728
(1) 각 동물군별 저서동물의 출현량 = 728
(2) 저서동물의 공간적 분포양상 = 731
(3) 군집생태지수 = 734
(4) 우점종 = 734
(5) 집괴분석 = 737
(6) 저서군집의 시간적 변화 = 739
다) 해조류 = 742
(1) 종 조성 = 742
(2) 피도분석 = 743
3) 이매패 유생의 시·공간적 분포 = 745
가) 환경요인 = 745
나) 이매패 부유유생의 출현량 = 749
다) 이매패 부유유생의 종별 분포 특성 = 751
4) Denaturing Gel Gradient Eletrophoresis (DGGE) 기법을 이용한 이매패 부유유생의 시공간적 분포 연구 = 757
가) DGGE 분석을 통한 바지락 유생의 시공간적 분포 = 757
나) ITS primer를 이용한 이매패류 유생의 시공간적 분포 = 757
다) DGGE 분석을 통한 50㎛ 이상의 진핵생물의 분포 = 760
5) 바지락 생산성 향상을 위한 방안과 효과 = 767
가) 상자(basket)와 망(netting)을 이용한 포식자 제어 = 767
(1) 양성 상자(basket) 실험 = 767
(2) 포식자 제어용 망(netting) 실험 = 781
(3) 상자(basket)와 망(netting)에서 양성된 바지락의 생체량 = 787
(4) 가입 단계에서의 포식의 영향 = 789
(5) 양성상자 확대설치 = 794
6) 애기잘피밭 복원 연구 = 795
가) 애기잘피의 조사시기별 생물량 비교 = 795
나) 저서동물의 생물량 비교 = 798
(1) 3회 조사결과 각 동물군별 저서등물의 출현량 = 798
(2) 저서생물의 시·공간적 분포양상 = 801
(3) 군집생태지수 = 802
(4) 우점종 = 803
(5) 집괴분석 = 806
(6) 저서동물 군집의 이차생산력 = 807
라. 종합 고찰 = 809
마. 참고문헌 = 811
6. 자원조사 및 평가 = 816
가. 서론 = 816
나. 재료 및 방법 = 816
1) 어업실태 조사 = 816
2) 어업자원의 직접 조사 = 816
3) 주요 어업자원의 생물학적 특성조사 = 817
4) 어류의 난자치어 조사 = 817
다. 결과 및 고찰 = 818
1) 어업실태 = 818
가) 어업별 어선세력 = 818
나) 어종별 어획량 변동 = 818
다) 주요 어업의 어획실태 = 820
(1) 통발어업 = 820
(2) 자망어업 = 821
2) 어업자원의 직접 조사 결과 = 824
가) 해양환경 특성 = 824
나) 트롤 어획조사 결과 = 824
(1) 조사 개요 = 824
(2) 출현종 및 어획비율 = 824
(3) 주요 어업자원의 분포 밀도 = 828
(4) 어업자원의 군집구조 = 830
(5) 주요 어획종의 생물학적 조사 결과 = 832
다) 자망 어획조사 결과 = 832
(1) 출현 종 및 어획비율 = 832
(2) 단위노력당 어획량 = 833
(3) 주요 어업자원의 생물학적 특성 = 834
3) 상업적 주요 어업자원의 생물학적 특성 = 834
가) 꽃게 blue crab, Portunus trtuberculatus = 34
나) 대하 Korean shrimp, Fenneropenaeus chinensis = 835
다) 민꽃게 Tock crab, Charybdis japonica = 836
라) 문치가자미 Marbled sole, Pleuronetes yokohamae = 836
마) 홍어 Ocellate spot skate, Okamejei kenojei = 837
4) 어류의 난자치어 조사결과 = 837
5) 조사해역의 주요 어업자원 = 838
라. 참고문헌 = 839
7. 먹이생물 조사 = 840
가. 서론 = 840
나. 재료 및 방법 = 840
다. 결과 및 고찰 = 842
1) 조피볼락(Sebastes schlegelii) = 842
가) 체장분포 = 842
나) 위내용물 조성 = 842
2) 쥐노래미(Hexagrammos otakii) = 845
가) 체장분포 = 845
나) 위내용물 조성 = 846
라. 참고문헌 = 851
8. 이용관리에 관한 연구 = 852
가. 서론 = 852
나. 재료 및 방법 = 853
1) 태안바다목장 이용·관리 체제 보완 및 조직의 역량 강화 = 853
2) 갯벌 생태 체험장 조성 계획 검토 = 853
3) 바다목장 모델 재검토 = 853
다. 결과 및 고찰 = 854
1) 태안바다목장 이용·관리 체제 보완 및 역량 강화 = 854
가) 조직구성에 대한 현황과 문제점 = 854
(1) 자율관리위원회 = 854
(2) 관리이용협의회 = 857
나) 조직구성의 추진 방향 = 857
다) 조직의 역량 강화 = 858
(1) 태안바다목장 자율관리위원회 조직구성과 운영규정(안) = 858
(2) 자율관리위원회 교류회 = 860
(3) 관리이용협의회 운영규정 = 862
2) 갯벌 생태 체험장 = 864
가) 태안바다목장 갯벌생태 현황 = 864
(1) 갯벌의 현황 및 분포 = 864
(2) 바다목장 사업지역 갯벌의 현황 = 864
나) 태안바다목장 갯벌생태체험장 기본방향 = 866
(1) 갯벌이용의 실태 = 866
(2) 기본목표 및 전략 = 867
(3) 유형화 및 적합모델 검토 = 868
(4) 환경교육형 갯벌생태체험장 추진방향 = 869
3) 태안바다목장 모델 재검토 = 873
가) 태안바다목장 모델검토 = 873
나) 추진실적 및 문제점 = 876
다) 향후 추진방향 = 878
라. 참고문헌 = 880
제3절 시설·방류사업 = 881
1. 서론 = 881
2. 인공어초 시설사업 = 882
가. 기본 계획 = 882
나. 세부 계획 = 882
1) 패류용(사질) 어초 배치 = 883
2) 어류용 어초 배치 = 883
다. 사업 결과 = 884
3. 종묘당류 사업 = 885
가. 기본 계획 = 885
나. 세부 계획 = 885
다. 사업 결과 = 887
4. 기타 시설사업 = 888
가. 기본 계획 = 888
나. 세부 계획 = 888
다. 사업 결과 = 890
5. 결론 및 고찰 = 892
제4절 종합고찰 = 893
제4장 제주바다목장사업 = 897
제1절 서론 = 899
제2절 연구개발사업 = 902
1. 인공어초 효과조사 및 산호장 조성 기술개발 = 902
가. 서론 = 902
나. 재료 및 방법 = 903
1) 인공어초 시설위치 선정을 위한 기초조사 = 903
2) 해중림 조성 기반조사 = 904
3) 어류용 인공어초 기술개발 = 904
4) 산호류 분포특성조사 및 인공번식시험 = 904
가) 분포 및 생태학적 특성조사 = 904
나) 인공번식 기술개발 = 905
다. 결과 및 고찰 = 906
1) 인공어초 시설위치 선정을 위한 기초조사 = 906
가) 목적별 인공어초 시설해역의 특성 = 906
나) 인공어초 시설예정해역의 생물학적 특성 = 910
다) 해중림 및 어패류 위집효과 제고를 위한 인공어초 시설모식도 = 912
2) 해중림 조성 기반조사(감태(Eklonia cava) 종묘생산) = 913
3) 어류용 인공어초 기술 개발 = 913
4) 정자형 인공어초 구조변경 및 실용신안등록 신청 = 914
5) 산호류 분포특성조사 및 인공번식시험 = 915
가) 분포 및 생태학적 특성조사 = 915
(1) 출현종수 = 915
(2) 해역별 출현 종 = 918
(3) 우점종 = 919
(4) 야외 이식시험 = 920
나) 인공번식 기초기술개발 = 921
(1) 실내 순치사육 산호 종류 = 921
(2) 실내 사육수온에 따른 산호류의 생존율 = 922
(3) 광 조절에 따른 생존율 = 923
(4) 수류 및 부착 기질 = 923
라. 참고문헌 = 924
2. 중간육성 시험 및 방류효과 조사 = 925
가. 서론 = 925
나. 재료 및 방법 = 927
1) 구조물과 행동 특성 = 927
가) 자바리의 종내 텃세 = 927
(1) 실험 1(예비실험) = 927
(2) 실험 2(은신처가 없는 경우) = 927
(3) 실험 3(은신처가 있는 경우) = 928
나) 은신처 실험 = 928
다) 자연에서의 행동 특성 = 930
(1) 방류어(0세어) = 930
(2) 자연산 = 930
라) 바다목장 해역 내 자연암반과 인공어초어장에서의 자원동태 = 931
(1) 바다목장 해역 내 기 시설된 인공어초의 자원동태 = 931
(2) 자연암반과 인공어초 조사정점 = 932
2) 중간육성 타당성 및 야성화(야간점등에 의한 먹이생물 유도효과) = 933
3) 방류 효과 조사 = 933
가) 자바리 = 933
나) 까막전복 = 935
4) 생물지도 작성 = 935
5) 방류어의 유전 특성 조사 = 935
가) 시험어 = 935
나) Genomic DNA 분리 및 정제 = 936
다) 쏨뱅이 미토콘드리아 DNA 증폭 및 분석 = 936
라) 쏨뱅이 S7 protein 유전자의 염기서열 분석 = 936
마) Microsatellite marker를 이용 적합성 파악 = 936
사) 자바리 미토콘트리아 DNA 증폭 및 분석 = 937
다. 결과 및 토의 = 938
1) 구조물과 행동 특성 = 938
가) 자바리의 종내 텃세 = 938
(1) 실험 1 = 938
(2) 실험 2 = 940
(3) 실험 3 = 945
나) 은신처 실험 = 948
(1) 구조물 높이에 따른 선택성 = 948
(2) 구조물 폭에 따른 자바리 선택성 실험결과 = 949
다) 자연에서의 행동 특성 = 951
(1) 방류어(0세어) = 951
(2) 자연산 = 954
라) 바다목장 해역 내 자연암반과 인공어초어장에서의 자원동태 = 955
(1) 바다목장 해역 내 기 시설된 인공어초의 자원동태 = 955
(2) 자연암반과 인공어초 조사정점 = 960
2) 중간육성 타당성 및 야성화 = 966
가) 제주특별자치도의 종묘방류 사업(야성화 훈련 사업) = 966
나) 야간점등에 의한 먹이생물 유도효과 = 967
다) 건의 = 970
3) 방류효과 조사 = 970
가) 자바리의 방류효과 조사 = 970
(1) 방류 해역의 환경 = 970
(2) 자바리의 방류 후 환경적응 = 970
(3) 통발에 의한 자바리의 재포 = 973
(4) 자바리 종묘방류 문제점(기형어) = 974
나) 까막전복 방류효과 조사 = 976
4) 생물지도 작성 = 977
가) 고산 수월봉 연안 = 977
나) 신창리 연안 = 978
다) 용수 앞 연안 = 979
5) 방류어의 유전 특성 조사 = 981
가) 쏨뱅이 미토콘드리아 DNA의 cytochrome b 유전자 분석 = 981
나) 쏨뱅이 미토콘드리아 DNA의 조절영역 분석 = 983
다) 쏨뱅이 S7 protein 유전자의 염기서열 분석 = 986
라) Microsatellite maker의 이용한 쏨뱅이 집단의 유전적 다양성 분석 = 987
(1) 분석된 microsatellite loci별 특성 = 987
(2) 방류집단과 자연집단 내 유전적 다양성 분석 = 989
(3) 방류집단과 자연집단 간 유전적 거리 = 989
마) 자바리 미토콘드리아 DNA의 염기서열 비교 분석 = 989
라. 참고문헌 = 993
3. 건강종묘생산 및 기술개발 = 996
가. 서론 = 996
나. 재료 및 방법 = 996
1) 건강종묘생산 및 기술개발 = 996
가) 쏨뱅이 건강종묘 대량생산 = 996
(1) 추계 자연산 친어구입 및 계통 확립을 위한 과학적 사육관리 = 996
(2) 추계산 쏨뱅이 어미의 성숙도 조사 = 996
(3) 종묘 크기별 방류환경(유속) 적응력 조사 = 998
나) 바리과 어류 종묘생산 기술개발 = 999
(1) 자바리 친어 후보군 수집 = 999
(2) 친어 계통 확립을 위한 과학적 사육관리 = 999
(3) 자바리 종묘 성장 및 바이러스 감염조사 = 1000
다. 결과 및 고찰 = 1001
1) 건강종묘생산 및 기술개발 = 1001
가) 쏨뱅이 건강종묘 대량생산 = 1001
(1) 추계 자연산 친어구입 및 계통확립을 위한 과학적 사육관리 = 1001
(2) 추계산 쏨뱅이 어미의 성숙도 조사 = 1001
(3) 종묘 크기별 방류환경(유속) 적응력 조사 = 1004
나) 바리과 어류 종묘생산 기술개발 = 1006
(1) 자바리 친어 후보군 수집 = 1006
(2) 친어 계통 확립을 위한 과학적 사육관리 = 1006
(3) 자바리 종묘 성장 및 바이러스 감염조사 = 1006
라. 참고문헌 = 1010
4. 붉바리 종묘생산 기술개발 = 1011
가. 서론 = 1011
나. 재료 및 방법 = 1011
1) 어미 확보 및 사육관리 = 1011
2) 성비 = 1012
3) 성 성숙 유도 = 1012
가) 인위적 성성숙 유도 및 인공 채란 = 1012
(1) 생식소 발달 조사 = 1013
(2) HCG 처리에 의한 난 성숙 및 배란 유도 = 1013
나) 성 성숙도 조사 = 1013
4) 수정란 생산 = 1014
5) 난 및 자어 발달 = 1014
가) 난 발생 및 부화 = 1014
나) 발생속도와 부화 자어 특성 = 1014
다) 자어의 형태발달과 성장 = 1015
(1) 난황흡수 및 개구시간 = 1015
(2) 부화자어의 전장과 입 크기 변화 = 1015
6) 광주기 조절을 통한 조기 성성숙 유도 = 1015
다. 결과 = 1016
1) 어미 확보 및 사육관리 = 1016
가) 어미확보 = 1016
나) 사육 수조 내 성장 = 1017
(1) 사육 환경 변화 = 1017
(2) 순치사육에 따른 성장변화 = 1018
2) 성비 = 1019
3) 인위적 성성숙 유도 및 인공 채란 = 1021
가) 성성숙 및 배란 유도 = 1021
(1) 생식소 발달 조사 = 1021
(2) 호르몬 처리에 의한 난 성숙 및 배란 유도 = 1021
나) 수정란 = 1022
다) 성 성숙도 조사 = 1023
4) 난 발생 및 자어 발달 = 1024
가) 난 발생 = 1024
나) 난황흡수 및 개구시간 = 1025
다) 부화자어의 입 크기 변화 = 1026
5) 성장 = 1026
라. 고찰 = 1027
1) 성비 = 1027
2) 수정란 생산 = 1028
3) 난 발생 및 자어발달 = 1029
4) 광주기 조절을 통한 조기 성숙 유도 = 1030
마. 참고문헌 = 1031
5. 해양환경 및 기초생산력 조사 = 1035
가. 서론 = 1035
나. 재료 및 방법= 1035
1) 물리환경 = 1035
가) 조사 시기 및 장소 = 1035
나) 조사방법 = 1035
2) 수질환경 = 1035
가) 조사 시기 및 장소 = 1035
나) 조사방법 = 1035
3) 저서·퇴적환경 = 1036
가) 조사 시기 및 장소 = 1036
나) 조사방법 = 1036
4) 식물플랑크톤 = 1038
가) 조사 시기 및 장소 = 1038
나) 조사방법 = 1038
5) 동물플랑크톤 = 1038
가) 조사 시기 및 장소 = 1038
나) 조사방법 = 1038
6) 난·자치어 = 1039
가) 조사 시기 및 장소 = 1039
나) 조사방법 = 1039
다. 결과 및 고찰 = 1040
1) 물리환경 = 1040
가) 계절별 수온·염분 수평분포 = 1040
2) 수질환경 = 1049
가) pH = 1049
나) 용존산소(DO) = 1049
다) 화학적산소요구량(COD) = 1049
라) 부유물질(SS) = 1049
마) 영양염류 = 1049
(1) 총 무기질소(TIN) = 1049
(2) 인산염 인(PO43--P(이미지참조)) = 1050
바) 용존유기탄소 = 1050
3) 저서·퇴적환경 = 1057
가) pH = 1057
나) COD = 1057
다) TOC = 1057
라) TON = 1057
마) IL = 1057
바) CaCO₃ = 1057
사) 평균입도 = 1058
4) 식물플랑크톤 = 1061
가) 출현종의 조성 및 종 다양성 = 1061
나) 현존량 및 우점종 분포 = 1061
다) 엽록소량 분포 = 1062
5) 동물플랑크톤 = 1064
가) 종조성 및 개체수 = 1064
나) 우점종 = 1064
다) 동물플랑크톤 분포 특성 = 1065
6) 난·자치어 = 1075
가) 계절별 난·자치어 출현 밀도 현황 = 1075
나) 자치어 전체 출현 목록 = 1075
다) 정점별, 시기별 자치어 출현종수 = 1076
라) 정점별, 시기별 자치어 출현량 = 1076
라. 참고문헌 = 1081
마. 부록 = 1085
6. 생물군집 특성 조사 = 1092
가. 서론 = 1092
나. 재료 및 방법 = 1092
1) 생물 자원량 변동조사 = 1092
2) 해조류에 의한 생산력 추정 = 1094
3) 소라개체군 변동조사 = 1094
다. 결과 및 고찰 = 1094
1) 생물 자원량 변동 조사 = 1094
가) 암반조하대 부착생물 조사 = 1094
(1) 출현 종수, 개체수 및 생체량 = 1094
(2) 조사 시기별 부착생물의 군집구조와 생물량 = 1097
2) 해조류에 의한 생산력 추정 = 1104
가) 종 조성 및 우점종 = 1104
나) 현존량 = 1106
3) 소라개체군 변동조사 = 1107
가) 유용 수산생물(소라) = 1107
(1) 소라(Batillus cornutus)의 생물학적 특징 = 1107
(2) 소라의 정량 채집결과 = 1108
(3) 소라의 정성 채집결과 = 1109
라. 참고문헌 = 1111
7. 자원조사 및 평가 = 1113
가 . 서론 = 1113
나. 재료 및 방법 = 1113
1) 어획시기 및 시험어구 = 1113
2) 생물 측정 = 1114
3) 과학어탐조사 = 1114
가) 음향 시스템 = 1115
나) 음향 자료 처리 기법 = 1116
(1) 표층~해저면 위 5m = 1117
(2) 해저면 부근 = 1118
(3) 개체수/길이 및 생체량(biomass) 추정 = 1119
다. 결과 및 고찰 = 1121
1) 삼중자망 및 통발 어획시험 조사 = 1121
가) 지역별 어획상황 = 1121
나) 월별 분류군별 어획상황 = 1122
다) 월별 어구별 어획 상황 = 1122
2) 단위노력당 어획량 = 1122
3) 주요 분류군별 어종별 어획량 = 1123
4) 어획물 크기조성 = 1126
5) 주요종의 체장-체중 관계 = 1128
6) 어구별 월별 출현 종조성 = 1129
가) 삼중자망 = 1129
나) 통발 = 1131
7) 군집분석 = 1133
8) 과학어탐에 의한 유영생물의 풍도조사 = 1133
가) 어군의 수직 분포 특성 = 1133
(1) 표층~해저면 위 5m = 1133
(2) 해저면 부근 = 1135
나) 어군의 수평 분포 특성 = 1136
다) TS를 이용한 어군 개체수 및 체장 추정 = 1138
라) 저층 어군의 총 생체량(Biomass) 추정 = 1141
라. 참고문헌 = 1142
8. 먹이생물 조사 = 1143
가. 서론 = 1143
나. 재료 및 방법 = 1143
다. 결과 및 고찰 = 1145
1) 돌돔(Oplegnathus fasciatus) = 1145
가) 체장분포 = 1145
나) 위내용물 조성 = 1145
2) 쏨뱅이(Sebatiscus marmoratus) = 1148
가) 체장분포 = 1148
나) 위내용물 조성 = 1148
라. 참고문헌 = 1152
9. 수중로봇을 이용한 방류어의 환경적응 모니터링 = 1153
가. 서론 = 1153
나. 재료 및 방법 = 1153
1) 주요 사용 장비 = 1153
가) ROV = 1153
나) 비디오카메라 = 1155
다) GPS = 1156
2) 실험 방법 및 항목 = 1156
가) ROV 시험 운행(예비실험) = 1156
나) 수조 내 어류행동 분석 = 1156
다) 쏨뱅이 치어의 방류 후 환경 생태 특성 분석 = 1156
라) ROV를 이용한 인공어초 촬영 = 1157
마) 어류의 개체 추적 = 1158
바) 까막전복(Haliotis discus discis) 방류현장 모니터링 = 1158
사) ROV 활용도 점검을 위한 CTD센서를 이용한 국소적 환경변화 분석 = 1158
다. 결과 및 고찰 = 1159
1) ROV 시험 운행(예비실험) = 1159
가) 제주대학교 소형 수조 = 1159
나) 해양과학환경연구소 대형 수조 = 1159
다) 실해역에서의 ROV 실험 = 1160
2) 수조 내 어류행동 분석 = 1161
가) ROV와 쏨뱅이 행동특성 분석 = 1161
나) 쏨뱅이 치어의 방류 후 환경 생태 특성 분석 = 1162
3) ROV를 이용한 인공어초 촬영 = 1166
가) St. 1의 육교형어초 = 1166
나) St. 2의 육교형 어초 = 1168
다) St. 3의 사각형 어초 = 1170
4) 어류 개체 추적 = 1170
5) 까막전복 방류 현장 모니터링 = 1172
6) ROV 활용도 점검을 위한 CTD센서를 이용한 국소적 환경변화 분석 = 1176
7) ROV의 향후 가능성 = 1177
라. 참고문헌 = 1178
10. 이용관리에 관한 연구 = 1179
가. 서론 = 1179
나. 재료 및 방법 = 1179
다. 결과 및 고찰 = 1180
1) 제주바다목장 이용관리체제 보완 = 1180
가) 이용관리체제의 현황 및 문제점 = 1180
(1) 자율관리위원회 구성 전 경과사항 = 1181
(2) 자율관리위원회 조직구성 상의 문제점 및 개선 과제 = 1183
나) 이용관리조직의 역량 강화 = 1186
(1) 제주바다목장 자율관리위원회 구성 및 운영구정(안) = 1186
(2) 제주바다목장 자율관리위원회 교류회 추진 = 1189
(3) 제주바다목장 관리이용협의회 구성 = 1191
2) 제주바다목장 모델 재검토 = 1193
가) 제주바다목장 모델 검토 = 1193
나) 추진실적 및 문제점 = 1198
다) 향후 추진방향 = 1201
(1) 이용관리 관련 추진방향 = 1201
(2) 관광활성화 관련 추진방향 = 1203
라. 참고문헌 = 1204
제3절 시설·방류사업 = 1205
1. 서론 = 1205
2. 인공어초 시설사업 = 1206
가. 기본 계획 = 1206
나. 세부 계획 = 1206
1) 해중림 인공어초 배치 = 1207
2) 해중림 및 패조류 복합형 인공어초 배치 = 1208
3) 어류용 어초 배치 = 1209
다. 사업 결과 = 1210
3. 종묘방류사업 = 1210
가. 기본 계획 = 1211
나. 세부 계획 = 1212
다. 사업 결과 = 1212
4. 기타 시설사업 = 1214
가. 기본 계획 = 1215
나. 세부 계획 = 1216
다. 사업 결과 = 1217
5. 결론 및 고찰 = 1219
제4절 종합고찰 = 12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