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료유형
- 전자자료
- KDC
- 520.7-4
- 청구기호
- 520.7 농239ㅅ
- 단체저자
- 농림수산식품부 양식산업과
- 서명/저자
- 수산동물질병 관리법령 지정 질병의 안정화 연구 / 농림수산식품부 양식산업과 ; 부경대학교 [공편]
- 발행사항
- [부산] : 부경대학교, 2011
- 형태사항
- 330 p. : 삽도 ; 전자파일
- 총서명
- 최종연구보고서
- 주기사항
- 연구책임자 : 정현도
- 주기사항
- 원문파일(pdf)로만 열람가능
- 주기사항
- 책자는 해양수산부 자료실로 이관한 자료임
- 주기사항
- 발간등록번호 : 11-1541000-000690-01
- 기타저자
- 정현도
- 기타저자
- 부경대학교
- 기타저자
- 농림부
- 기타저자
- 농수산부
- 기타저자
- 농림수산부
- 기타저자
- 농림축산식품부
- 가격
- 비매품
- Control Number
- maf:27708
소장정보
서가번호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소장처 | 대출가능여부 | 대출정보 | |
---|---|---|---|---|---|---|
EB01457 | EB : 520.7 농239ㅅ | 해양수산부 자료실로 이관 | 대출불가 |
* 대출중인 자료에 한하여 예약이 가능합니다. 예약을 원하시면 예약버튼을 클릭하십시오.
008110311s2011 bnk dGO a korIA
056 ▼a520.7▼24
090 ▼a520.7▼b농239ㅅ
110 ▼a농림수산식품부▼b양식산업과
24500▼a수산동물질병 관리법령 지정 질병의 안정화 연구▼d농림수산식품부 양식산업과▼e부경대학교 [공편]
260 ▼a[부산]▼b부경대학교▼c2011
300 ▼a330 p.▼b삽도▼c전자파일
44000▼a최종연구보고서
50000▼a연구책임자 : 정현도
50010▼a원문파일(pdf)로만 열람가능
50010▼a책자는 해양수산부 자료실로 이관한 자료임
50010▼a발간등록번호 : 11-1541000-000690-01
7001 ▼a정현도
710 ▼a부경대학교
710 ▼a농림부
710 ▼a농수산부
710 ▼a농림수산부
710 ▼a농림축산식품부
856 ▼uhttp://library.mafra.go.kr/skyblueimage/eb01457
9501 ▼a비매품
제1장 IRA의 실시 배경 및 국제 현황 = 23
제1절 IRA와 SPS 협정 = 23
1. IRA의 실시배경 = 23
2. SPS협정의 주요내용 = 25
제2절 IRA 관련 국제규정 및 관리체계 = 29
1. 국제수역사무국(OIE)의 조직 및 역할 = 29
2. 국제수역사무국(OIE) 수입위험분석 규정 = 30
3. 국제수역사무국(OIE) 수산물 수입위험분석 = 34
제3절 국외 사례분석 = 34
1. 호주의 연어사건 = 35
2. EC-호르몬 사건 = 39
3. Japan-Agricultural Products = 42
4. Japan - Apple 사건 = 43
5. EC-Approval and Marketing of Biotech Products = 45
6. 시사점 = 46
제4절 SPS협정의 과학적 원칙에 관한 일본 농림수산정책연구소 후지오카 노리오의 의견 = 48
제5절 국내 발생 보고 질병에 대한 분쟁 사례 = 52
1. 일본 = 52
2. 중국 = 52
3. 호주 = 53
제6절 육상동물의 Non-exotic disease 검역의 시사점 검토 구제역 사례 = 53
1. 구제역에 대한 국내법 = 54
2. 구제역에 대한 일본 법률 비교 분석 = 55
3. 국제수역사무국(OIE)의 육상동물위생규약 = 57
4. 대만과 영국 및 우리나라에서의 구제역 발생 조치 및 결과비교 = 60
5. 청정국 지위의 획득 및 유지 = 61
6. 구제역발생 관련 축산물의 수출입동향 [2010년 구제역 발생 기준] = 62
제2장 수산생물이동에 관한 국제 및 국내법 = 64
제1절 수입활어에 대한 국내 검역법 현황 분석 = 64
1. 개요 = 64
2. 국내 검역법 분석 = 64
3. 국내 검역 관련법의 총괄적 관리 범위의 비교 = 69
4. 새로운「수산생물 질병 관리법」에 의한 검역 문제점의 해결 = 70
5. 수산동물질병관리법의 수출입 지정검역물의 검역방법 및 기준의 모호성 = 71
제2절 새로운 EU의 수산생물관리법의 이해 = 88
1. Council Directive 2006/88/EC의 제정에 의한 EU의 수산생물관리 및 방역 = 88
2. COUNCIL DIRECTIVE 2006/88/EC에 따른 VACCINE 사용 제한 = 93
3. COUNCIL DIRECTIVE 2006/88/EC의 후속 조치 = 95
제3절 구획화 및 지역화 [Compartment and Zoning] = 97
1. 서론 = 97
2. 국제교역을 위한 지역 및 구획화의 구체적인 인정 확보 원칙 = 99
3. 육생 동물과 수행 동물, 식물의 지역 및 구역의 규정에 대한 비교 = 101
4. 무병 상태 [Disease Free]의 요약 = 106
5. 지역화 및 구획화에 대한 국가별 추진 상황 = 109
제3장 수입 활어로부터 발생하는 폐기물 및 폐수의 처리현황 및 문제점 = 111
제1절 국내·외 활어시장 현황 = 111
제2절 국내 수입활어 유통·소비의 문제점 = 115
1. 활어 수입 경로 = 115
2. 활어 불법유통 주요 사례 = 115
3. 수입활어의 문제점 = 116
4. 수입활어 사육수 무단배출 현황 = 117
제3절 수입활어 문제점에 대한 대책과 조치 = 117
1. 활어 취급현황 = 117
2. 활어 유통 대책 및 조치 = 118
3. 수산동물 검역 현황 = 119
4. 정부의 대책과 노력 = 125
5. 어류바이러스의 특성 = 127
6. 질병에 대한 대책 = 127
제4절 수입수산물의 수계환경오엽 위험성 = 128
1. 수계환경으로의 노출경로 = 128
2. 수계환경으로 유입되는 수입어류의 확률 = 128
3. 수입 수산품이 감염을 일으킬 확률 = 128
4. 지표사례[Index case]로 부터의 질병이 퍼질 확률 = 135
제5절 활어 취급시 발생되는 폐기물 및 폐수의 처리 현황 = 135
1. 국외 현황 = 135
2. 국내 현황 = 137
3. 활어 취급시 발생되는 폐기물 및 폐수의 처리 현황 = 138
제7절 결론: 활어에 대한 검역 필요성 = 139
제4장 수산동물질병 유입이 미치는 경제적인 영향 = 141
제1절 VHSV 유입에 따른 국내 양식산업의 경제적 영향 = 144
제2절 IHHNV 유입에 따른 국내 양식산업의 경제적 영향 = 146
제3절 RSIV 유입에 따른 국내 양식산업의 경제적 영향 = 147
제5장 VHSV 에 대한 위험 평가 = 150
제1절 VHSV 위해요소확인 = 150
1. Aetiology = 150
2. 국내현황 = 152
3. Epidemiology = 154
4. 숙주범위 = 158
5. 병원성 = 163
제2절 이론적 정성 평가 = 166
1. 총론 = 166
2. 정착 가능성 평가 = 166
3. 영향 평가 = 170
제3절 Model 적용에 의한 VHS의 준정량적 Risk Evaluation = 171
1. 정착 가능성 평가 = 171
2. 정착에 의한 영향 평가 = 173
3. 잠재 위험 추정 = 175
4. 위험성 평가 결과 = 175
제4절 참고문헌 = 178
제6장 활새우 수입에 따른 IHHNV에 대한 위험 평가 = 191
제1절 서론 = 191
제2절 호주의 IHHNV 관련 새우 수입 조치 = 200
1. BIOSECURITY AUSTRALIA POLICY MOMORANDUM 2007/16 = 200
2. BIOSECURITY AUSTRALIA ADVICE 2008/30 = 200
제3절 위험평가 [Risk assessment] = 201
1. 유입, 노츨 [Release and Exposure]평가 = 201
2. 결과평가 [Consequence assessment] = 205
3. 위험추정 [Risk estimation] = 210
4. 위험관리 = 214
제7장 RSIV에 대한 위험 평가 = 222
제1절 호주의 담수관상어류 수입시 이리도바이러스에 대한 IRA 사례 = 222
1. 호주의 관상어에 대한 검역 체계 = 222
2. 2005년 이전의 호주에서의 iridovirus = 222
3. 2005년 호주에서의 systemic iridovirus 질병 발생 = 223
4. 2009년 위험 평가 실시 및 이에 따른 조치 사항 = 223
5. IRA에 의한 결론 = 224
6. 시사점 = 225
제2절 RSIVD의 특성과 원인체의 정성적 분석 = 225
1. 대상 병원체의 개요 = 226
2. RSIV에 대한 감수성 종 [OIE 기준] = 227
3. 참돔이리도바이러스병 원인체의 분류 [Classification] = 228
4. RSIVD 관련 병원체의 병원성 = 233
5. RSIVD 병원체의 지역적 분포와 특성 비교 = 236
제3절 RSIVD의 Subgroup별 병원성 및 해산어에 대한 위해요소 확인 = 238
1. 병원체 특성 = 238
2. Subgroup별 위해 특성 = 239
3. 우리나라 RSIVD의 병원체 분포 분석 결과와 위험성 해석 = 242
4. Subgroup별 위해 특성의 요약 = 243
제4절 RSIV strains의 차이에 대한 OIE의 인식 = 244
1. RSIVD의 원인체에 대한 OIE의 결정에 대한 시사점 = 244
2. 표준 진단방법에 의한 RSIV strains의 차이에 대한 OIE의 인식 = 245
제5절 RSIVD의 위험 평가 = 247
1. 서론 = 247
제6절 RSIVD의 병원체에 대한 위해 분석에 대한 제언 = 256
1. RSIVD 관리의 경제적인 관점에서 본 국제 조화성 = 256
2. 검역 정비를 위한 RSIVD의 병원체에 대한 위해 분석의 요약 및 결론 = 258
제7절 Model 적용에 의한 RSIVD의 준정량적 위험 평가 = 260
1. 정착 가능성 평가 = 260
2. 정착에 의한 영향 평가 = 262
3. 잠재 위험 추정 = 265
4. 위험성 평가 결과 = 266
제8절 위험추정을 위한 Model과 응용 = 267
1. Humphrey Scoring System에서의 국내 위해 요소의 위험 추정 = 267
2. 전문가 집단과 관련 기관 내부 평가의 통합 위험 추정 = 270
제8장 전문가 검토 의견 분석 = 272
제1절 Viral hemorrhagic septicemia virus [VHSV] = 272
제2절 Red Seabream Iridovirus [RSIV] = 277
제3절 Infectious haematopoietic and Hypodermal Necrosis Virus [IHHNV] = 281
제4절 전문가 검토 의견 요약 = 286
제9장 국내 수산생물의 수입 위험 관리를 위한 방향 = 288
제1절 우리나라 수산 생물 관리를 위한 EU 법의 시사점 = 288
제2절 수산동물전염병의 분류 및 방역조치 = 290
1. 국내 방역을 위한 수산동물전염병의 리스트 및 방역지침 = 290
2. 국제적 흐름에 비추어 본 문제점 = 292
3. 총괄적 제안 = 294
제3절 RSIV의 감수성 어종 지정에 대한 제안 = 297
1. RSIV 감수성어종 지정 법령의 개요적 분석 = 297
2. 각 법령에서의 RSIV 감수성어종 지정의 상세 비교 분석과 해석 = 297
3. RSIV 감수성어종 지정에 대한 본 과제의 제안 = 303
제4절 RSIVD애 대한 무병 국가 또는 지역의 설정 및 유지의 실시 = 304
1. 현재 위생 규약에서의 RSIVD에 대한 규정과 무병지역 설정을 위한 조건 = 304
2. RSIVD 무병 공표가 확립된 수입국의 권리 [OIE, 2010] = 307
3. RSIV의 구획화 및 지역화에 대한 제언 = 309
제10장 수산동물질병 관리법의 안정화를 위한 제안 = 314
제1절 제안 Ⅰ = 314
제2절 제안 Ⅱ = 314
제3절 제안 Ⅲ = 316
제4절 제안 Ⅳ = 318
제11장 결언 = 324
제1절 IRA와 SPS 협정 = 23
1. IRA의 실시배경 = 23
2. SPS협정의 주요내용 = 25
제2절 IRA 관련 국제규정 및 관리체계 = 29
1. 국제수역사무국(OIE)의 조직 및 역할 = 29
2. 국제수역사무국(OIE) 수입위험분석 규정 = 30
3. 국제수역사무국(OIE) 수산물 수입위험분석 = 34
제3절 국외 사례분석 = 34
1. 호주의 연어사건 = 35
2. EC-호르몬 사건 = 39
3. Japan-Agricultural Products = 42
4. Japan - Apple 사건 = 43
5. EC-Approval and Marketing of Biotech Products = 45
6. 시사점 = 46
제4절 SPS협정의 과학적 원칙에 관한 일본 농림수산정책연구소 후지오카 노리오의 의견 = 48
제5절 국내 발생 보고 질병에 대한 분쟁 사례 = 52
1. 일본 = 52
2. 중국 = 52
3. 호주 = 53
제6절 육상동물의 Non-exotic disease 검역의 시사점 검토 구제역 사례 = 53
1. 구제역에 대한 국내법 = 54
2. 구제역에 대한 일본 법률 비교 분석 = 55
3. 국제수역사무국(OIE)의 육상동물위생규약 = 57
4. 대만과 영국 및 우리나라에서의 구제역 발생 조치 및 결과비교 = 60
5. 청정국 지위의 획득 및 유지 = 61
6. 구제역발생 관련 축산물의 수출입동향 [2010년 구제역 발생 기준] = 62
제2장 수산생물이동에 관한 국제 및 국내법 = 64
제1절 수입활어에 대한 국내 검역법 현황 분석 = 64
1. 개요 = 64
2. 국내 검역법 분석 = 64
3. 국내 검역 관련법의 총괄적 관리 범위의 비교 = 69
4. 새로운「수산생물 질병 관리법」에 의한 검역 문제점의 해결 = 70
5. 수산동물질병관리법의 수출입 지정검역물의 검역방법 및 기준의 모호성 = 71
제2절 새로운 EU의 수산생물관리법의 이해 = 88
1. Council Directive 2006/88/EC의 제정에 의한 EU의 수산생물관리 및 방역 = 88
2. COUNCIL DIRECTIVE 2006/88/EC에 따른 VACCINE 사용 제한 = 93
3. COUNCIL DIRECTIVE 2006/88/EC의 후속 조치 = 95
제3절 구획화 및 지역화 [Compartment and Zoning] = 97
1. 서론 = 97
2. 국제교역을 위한 지역 및 구획화의 구체적인 인정 확보 원칙 = 99
3. 육생 동물과 수행 동물, 식물의 지역 및 구역의 규정에 대한 비교 = 101
4. 무병 상태 [Disease Free]의 요약 = 106
5. 지역화 및 구획화에 대한 국가별 추진 상황 = 109
제3장 수입 활어로부터 발생하는 폐기물 및 폐수의 처리현황 및 문제점 = 111
제1절 국내·외 활어시장 현황 = 111
제2절 국내 수입활어 유통·소비의 문제점 = 115
1. 활어 수입 경로 = 115
2. 활어 불법유통 주요 사례 = 115
3. 수입활어의 문제점 = 116
4. 수입활어 사육수 무단배출 현황 = 117
제3절 수입활어 문제점에 대한 대책과 조치 = 117
1. 활어 취급현황 = 117
2. 활어 유통 대책 및 조치 = 118
3. 수산동물 검역 현황 = 119
4. 정부의 대책과 노력 = 125
5. 어류바이러스의 특성 = 127
6. 질병에 대한 대책 = 127
제4절 수입수산물의 수계환경오엽 위험성 = 128
1. 수계환경으로의 노출경로 = 128
2. 수계환경으로 유입되는 수입어류의 확률 = 128
3. 수입 수산품이 감염을 일으킬 확률 = 128
4. 지표사례[Index case]로 부터의 질병이 퍼질 확률 = 135
제5절 활어 취급시 발생되는 폐기물 및 폐수의 처리 현황 = 135
1. 국외 현황 = 135
2. 국내 현황 = 137
3. 활어 취급시 발생되는 폐기물 및 폐수의 처리 현황 = 138
제7절 결론: 활어에 대한 검역 필요성 = 139
제4장 수산동물질병 유입이 미치는 경제적인 영향 = 141
제1절 VHSV 유입에 따른 국내 양식산업의 경제적 영향 = 144
제2절 IHHNV 유입에 따른 국내 양식산업의 경제적 영향 = 146
제3절 RSIV 유입에 따른 국내 양식산업의 경제적 영향 = 147
제5장 VHSV 에 대한 위험 평가 = 150
제1절 VHSV 위해요소확인 = 150
1. Aetiology = 150
2. 국내현황 = 152
3. Epidemiology = 154
4. 숙주범위 = 158
5. 병원성 = 163
제2절 이론적 정성 평가 = 166
1. 총론 = 166
2. 정착 가능성 평가 = 166
3. 영향 평가 = 170
제3절 Model 적용에 의한 VHS의 준정량적 Risk Evaluation = 171
1. 정착 가능성 평가 = 171
2. 정착에 의한 영향 평가 = 173
3. 잠재 위험 추정 = 175
4. 위험성 평가 결과 = 175
제4절 참고문헌 = 178
제6장 활새우 수입에 따른 IHHNV에 대한 위험 평가 = 191
제1절 서론 = 191
제2절 호주의 IHHNV 관련 새우 수입 조치 = 200
1. BIOSECURITY AUSTRALIA POLICY MOMORANDUM 2007/16 = 200
2. BIOSECURITY AUSTRALIA ADVICE 2008/30 = 200
제3절 위험평가 [Risk assessment] = 201
1. 유입, 노츨 [Release and Exposure]평가 = 201
2. 결과평가 [Consequence assessment] = 205
3. 위험추정 [Risk estimation] = 210
4. 위험관리 = 214
제7장 RSIV에 대한 위험 평가 = 222
제1절 호주의 담수관상어류 수입시 이리도바이러스에 대한 IRA 사례 = 222
1. 호주의 관상어에 대한 검역 체계 = 222
2. 2005년 이전의 호주에서의 iridovirus = 222
3. 2005년 호주에서의 systemic iridovirus 질병 발생 = 223
4. 2009년 위험 평가 실시 및 이에 따른 조치 사항 = 223
5. IRA에 의한 결론 = 224
6. 시사점 = 225
제2절 RSIVD의 특성과 원인체의 정성적 분석 = 225
1. 대상 병원체의 개요 = 226
2. RSIV에 대한 감수성 종 [OIE 기준] = 227
3. 참돔이리도바이러스병 원인체의 분류 [Classification] = 228
4. RSIVD 관련 병원체의 병원성 = 233
5. RSIVD 병원체의 지역적 분포와 특성 비교 = 236
제3절 RSIVD의 Subgroup별 병원성 및 해산어에 대한 위해요소 확인 = 238
1. 병원체 특성 = 238
2. Subgroup별 위해 특성 = 239
3. 우리나라 RSIVD의 병원체 분포 분석 결과와 위험성 해석 = 242
4. Subgroup별 위해 특성의 요약 = 243
제4절 RSIV strains의 차이에 대한 OIE의 인식 = 244
1. RSIVD의 원인체에 대한 OIE의 결정에 대한 시사점 = 244
2. 표준 진단방법에 의한 RSIV strains의 차이에 대한 OIE의 인식 = 245
제5절 RSIVD의 위험 평가 = 247
1. 서론 = 247
제6절 RSIVD의 병원체에 대한 위해 분석에 대한 제언 = 256
1. RSIVD 관리의 경제적인 관점에서 본 국제 조화성 = 256
2. 검역 정비를 위한 RSIVD의 병원체에 대한 위해 분석의 요약 및 결론 = 258
제7절 Model 적용에 의한 RSIVD의 준정량적 위험 평가 = 260
1. 정착 가능성 평가 = 260
2. 정착에 의한 영향 평가 = 262
3. 잠재 위험 추정 = 265
4. 위험성 평가 결과 = 266
제8절 위험추정을 위한 Model과 응용 = 267
1. Humphrey Scoring System에서의 국내 위해 요소의 위험 추정 = 267
2. 전문가 집단과 관련 기관 내부 평가의 통합 위험 추정 = 270
제8장 전문가 검토 의견 분석 = 272
제1절 Viral hemorrhagic septicemia virus [VHSV] = 272
제2절 Red Seabream Iridovirus [RSIV] = 277
제3절 Infectious haematopoietic and Hypodermal Necrosis Virus [IHHNV] = 281
제4절 전문가 검토 의견 요약 = 286
제9장 국내 수산생물의 수입 위험 관리를 위한 방향 = 288
제1절 우리나라 수산 생물 관리를 위한 EU 법의 시사점 = 288
제2절 수산동물전염병의 분류 및 방역조치 = 290
1. 국내 방역을 위한 수산동물전염병의 리스트 및 방역지침 = 290
2. 국제적 흐름에 비추어 본 문제점 = 292
3. 총괄적 제안 = 294
제3절 RSIV의 감수성 어종 지정에 대한 제안 = 297
1. RSIV 감수성어종 지정 법령의 개요적 분석 = 297
2. 각 법령에서의 RSIV 감수성어종 지정의 상세 비교 분석과 해석 = 297
3. RSIV 감수성어종 지정에 대한 본 과제의 제안 = 303
제4절 RSIVD애 대한 무병 국가 또는 지역의 설정 및 유지의 실시 = 304
1. 현재 위생 규약에서의 RSIVD에 대한 규정과 무병지역 설정을 위한 조건 = 304
2. RSIVD 무병 공표가 확립된 수입국의 권리 [OIE, 2010] = 307
3. RSIV의 구획화 및 지역화에 대한 제언 = 309
제10장 수산동물질병 관리법의 안정화를 위한 제안 = 314
제1절 제안 Ⅰ = 314
제2절 제안 Ⅱ = 314
제3절 제안 Ⅲ = 316
제4절 제안 Ⅳ = 318
제11장 결언 = 3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