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정보

HOME > 상세정보

수산물 유통 효율화를 위한 비용절감 방안 연구 / 농림수산식품부 수산정책과 ; 한국해양수산개...
  • 국적:한국
자료유형
전자자료
KDC
520.7-4
청구기호
520.7 농239ㅈ
단체저자
농림수산식품부 수산정책과
서명/저자
수산물 유통 효율화를 위한 비용절감 방안 연구 / 농림수산식품부 수산정책과 ; 한국해양수산개발원 [공편]
발행사항
[부산] : 한국해양수산개발원, 2010
형태사항
ⅶ, (22), 156 p. : 삽도 ; 전자파일
총서명
최종연구보고서
주기사항
연구책임자 : 강종호
주기사항
원문파일(pdf)로만 열람가능
주기사항
책자는 해양수산부 자료실로 이관한 자료임
서지주기
참고문헌 : p.153-156
기타저자
강종호
기타저자
한국해양수산개발원
기타저자
농림부
기타저자
농수산부
기타저자
농림수산부
기타저자
농림축산식품부
원문 보기
원문정보보기
가격
비매품
Control Number
maf:27705

소장정보

 
소장자료
서가번호 등록번호 청구기호 소장처 대출가능여부 대출정보
EB01455 EB :  520.7 농239ㅈ   해양수산부 자료실로 이관 대출불가    
* 대출중인 자료에 한하여 예약이 가능합니다. 예약을 원하시면 예약버튼을 클릭하십시오.
신규검색 간략정보이동 상세정보출력 마크정보

 008110310s2010    bnk       d      a  korIA
 056  ▼a520.7▼24
 090  ▼a520.7▼b농239ㅈ
 110  ▼a농림수산식품부▼b수산정책과
 24500▼a수산물 유통 효율화를 위한 비용절감 방안 연구▼d농림수산식품부 수산정책과▼e한국해양수산개발원 [공편]
 260  ▼a[부산]▼b한국해양수산개발원▼c2010
 300  ▼aⅶ, (22), 156 p.▼b삽도▼c전자파일
 44000▼a최종연구보고서
 50000▼a연구책임자 : 강종호
 50010▼a원문파일(pdf)로만 열람가능
 50010▼a책자는 해양수산부 자료실로 이관한 자료임
 504  ▼a참고문헌 : p.153-156
 7001 ▼a강종호
 710  ▼a한국해양수산개발원
 710  ▼a농림부
 710  ▼a농수산부
 710  ▼a농림수산부
 710  ▼a농림축산식품부
 856  ▼uhttp://library.mafra.go.kr/skyblueimage/eb01455
 9501 ▼a비매품
목차정보보기
제1장  서론 = 3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3
  1. 연구의 배경 = 3
  2. 연구목적 = 4
 제2절  연구 추진체계 = 5
  1. 연구범위 = 5
  2. 연구의 구성과 추진체계 = 5

제2잘  수산물 유통구조 및 소비자의 변화 = 9
 제1절  수산물의 시장구조 = 9
  1. 수산물의 유통량 = 0
  2. 수산물의 단계별 유통경로와 실태 = 10
 제2절  소비지 대형소매점의 조달구조 = 18
  1. 수산물 유통의 구매자 주도 시장화 = 18
  2. 대형소매점의 수산물 조달구조 = 21
 제3절  소비자의 가치소비와 신소비운동 = 27
  1. 소비자의 가치소비 = 27
  2. 식품소비 트렌드 변화 및 신소비운동 = 29
 제4절  수산물 유통의 패러다임 분석 = 35
 제5절  수산물 유통정책 = 38

제3장  수산물 유통의 문제점 = 45
 제1절  상적 유통구조의 문제점 = 45
 제2절  물적 유통구조의 문제점 = 50
 제3절  품질 및 위생관리의 문제점 = 56
 제4절  정책 및 제도의 문제점 = 63
  1. 수산물유통 법규의 문제점 = 63
  2. 수산물유통 정책의 문제점 = 67

제4장  국내외 유통 효율화 선진사례 = 71
 제1절  국내사례 = 71
  1. 수협 B2B 사업 = 71
  2. 참다례 유통사업단 = 72
  3. 안성마춤 한우 = 73
  4. 김천 자두(남면농협) = 75
 제2절  국외사례 = 77
  1. 일본 사례 = 77
  2. 네덜란드 사례 : 푸드밸리(Food Valley) = 81
  3. 미국 사례 : 썬키스트 오렌지협동조합 = 84

제5장  수산물 유통 효율화를 위한 유통구조 개선방안 = 89
 제1절  기본방향 = 89
  1. 수산물 유통의 신 패러다임 = 89
  2. 수산물 유통의 환경 분석 = 91
  3. 비전과 목표 = 95
 제2절  부문별 유통구조 개선방안 = 99
  1. 신(新) 계통판매시스템 구축 = 99
  2. 위생품질관리형 수산물 시장 도입 = 102
  3. 다기능형 수산물시장 재편 = 106
  4. 생산자주도 소비지 분산 물류센터 도입사업 = 110
  5. 생산자 연합마케팅사업 = 112
  6. 친(親) 소비자 수협 공동브랜드 구축사업 = 114
  7. 소통(疏通) 중심의 소비자 지향적 직거래체계 구축 = 115
  8. 수산식품 글로벌 거점 Seafood Valley 설립 = 117
  9. Local Food 운동 발현과 공간마케팅의 도입 = 119
  10. 6차 산업형 산지 개편 = 123
  11. 신(新) 어획후 처리 개혁 사업 = 124
  12. 수산물 유통 융복합 기술 사업화 = 127
  13. 수산물유통 법제도 개선 = 129

제6장  수산물 유통구조 개선 로드맵 및 투자계획 = 139
 제1절  수산물 유통구조 개선 로드맵 = 139
 제2절  투자계획 = 143

제7장  결론 = 147

참고문헌 = 1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