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정보

HOME > 상세정보

韓國古代의 水田農業과 水利施設 / 한국고고환경연구소 편
  • 국적:한국
자료유형
단행본
ISBN
9788960620551 94900\42000
KDC
520.911-4
청구기호
520.911 한17ㅎ
단체저자
한국고고환경연구소
서명/저자
韓國古代의 水田農業과 水利施設 / 한국고고환경연구소 편
발행사항
서울 : 서경문화사, 2010
형태사항
544 p. : 삽화 ; 27 cm
총서명
한국고고환경연구소학술총서 ; 8
주기사항
집필책임자: 노중국
주기사항
공동집필자: 박수진, 공우석, 안재호, 조현종, 이홍종, 곽종철, 전덕재, 성정용, 이현혜, 김재홍, 주보돈
주기사항
권말부록으로 '각 지역의 경작 유구', '시대별·지역별 각종 수리시설' 수록
서지주기
참고문헌 : p.536-540, 색인수록
키워드
한국 고대농업 수전농업 수리시설 수리 농업사
기타저자
노중국
기타저자
박수진
기타저자
공우석
기타저자
안재호
기타저자
조현종
기타저자
이홍종
기타저자
곽종철
기타저자
전덕재
기타저자
성정용
기타저자
이현혜
기타저자
김재홍
기타저자
주보돈
가격
\42000
Control Number
maf:27269

소장정보

 
소장자료
서가번호 등록번호 청구기호 소장처 대출가능여부 대출정보
0019576 520.911 한17ㅎ   농림축산식품부 자료실 대출가능    
* 대출중인 자료에 한하여 예약이 가능합니다. 예약을 원하시면 예약버튼을 클릭하십시오.
신규검색 간략정보이동 상세정보출력 마크정보

 008101201s2010    ulka          001a  kor
 020  ▼a9788960620551▼g94900▼c\42000
 056  ▼a520.911▼24
 090  ▼a520.911▼b한17ㅎ
 110  ▼a한국고고환경연구소
 24510▼a韓國古代의 水田農業과 水利施設▼d한국고고환경연구소 편
 260  ▼a서울▼b서경문화사▼c2010
 300  ▼a544 p.▼b삽화▼c27 cm
 44000▼a한국고고환경연구소학술총서▼v8
 50000▼a집필책임자: 노중국
 50000▼a공동집필자: 박수진, 공우석, 안재호, 조현종, 이홍종, 곽종철, 전덕재, 성정용, 이현혜, 김재홍, 주보돈
 50000▼a권말부록으로 '각 지역의 경작 유구', '시대별·지역별 각종 수리시설' 수록
 504  ▼a참고문헌 : p.536-540, 색인수록
 653  ▼a한국▼a고대농업▼a수전농업▼a수리시설▼a수리▼a농업사
 7001 ▼a노중국
 7001 ▼a박수진
 7001 ▼a공우석
 7001 ▼a안재호
 7001 ▼a조현종
 7001 ▼a이홍종
 7001 ▼a곽종철
 7001 ▼a전덕재
 7001 ▼a성정용
 7001 ▼a이현혜
 7001 ▼a김재홍
 7001 ▼a주보돈
 9500 ▼b\42000
목차정보보기
도론

1. 한국고대의 수리시설과 농경에 대한 몇 가지 검토 / 노중국 = 11

 1. 수리시설ㆍ저수지 자료 = 11

 2. 금석문ㆍ목간에 보이는 水利시설ㆍ稻作 관련 용어 검토 = 19

 3. 저수지 축조와 노동력 동원 = 28

 4. 농경의례와 祭儀 神體 = 40


1장 - 자연환경과 농경

 1. 한반도 지형의 발달사적 특성과 전통수리시설의 입지 / 박수진 = 51

  1. 한반도의 지형발달 과정 = 52

  2. 한반도의 지형체계 = 60

  3. 수리시설의 입지와 지형과의 관계 = 72

 2. 고대의 기후와 생태 / 공우석 = 89

  1. 기후와 기후 변화 = 89

  2. 과거 식생 = 90

  3. 고기후 = 105


2장 - 마을의 형성과 수전농경

 1. 掘立柱建物이 있는 청동기시대 聚落相 / 안재호 = 115

  1. 한반도 水田農耕 開始期의 社會相 = 115

  2. 掘立柱建物址를 가진 취락 = 121

  3. 高床建物의 사회성 = 159

 2. 한반도 농경의 시작과 도작의 수용 / 조현종 = 169

  1. 한반도의 初期農耕 = 169

  2. 도작의 기원과 수용 = 194

  3. 要約 = 201

 3. 도작문화의 정착과 확산 / 이흥종 = 206

  1. 도작농경과 환경 = 206

  2. 도작농경의 정착과 확산 = 211

  3. 일본으로의 진출과정 = 217


3장 - 수리시설과 수리기술의 발달

 1. 청동기시대∼초기철기시대의 수리시설 / 곽종철 = 231

  1. 用水源 = 231

  2. 集水시설 = 235

  3. 水路 = 241

  4. 저수지(제방) = 262

  5. 하천제방 = 284

  6. 防潮堤 = 298

  7. 토성(나성)의 體城 = 309

 2. 삼국 및 통일신라의 수리시설 / 전덕재 = 316

  1. 삼국초기의 수리시설과 수전경영 = 316

  2. 삼국 중ㆍ후반기 堤堰의 축조와 수전의 확대 = 320

  3. 통일신라 수리관개기술과 수전농업의 발달 = 328

 3. 동아시아 고대 수리토목기술의 발달과 확산 / 성정용 = 340

  1. 한국 수리 토목기술의 양상 = 341

  2. 中國과 日本의 고대 수리토목시설 = 349

  3. 고대 수리토목기술의 확산과정과 그 의의 = 356


4장 - 농업기술의 발전과 농경의례

 1. 토지활용방식을 통해 본 한국고대 농업기술의 발전과정 / 이현혜 = 365

  1. 농업기술의 발달과 토지활용방식의 변화 = 365

  2. 신석기시대의 토지활용방식 = 366

  3. 청동기시대의 토지활용방식 = 371

  4. 삼국시대 휴한농업의 확립 = 381

  5. 통일신라시대의 토지활용방식 = 387

 2. 철제 농기구의 발전과 지역성 / 김재홍 = 394

  1. 농기구의 종류와 기능 = 394

  2. 철제 농기구의 발전과정 = 402

  3. 철제 농기구의 지역성 = 411

  4. 철제 농기구와 수리시설의 발전 = 416

 3. 한국고대의 농경의례와 그 변화 / 주보돈 = 423

  1. 농경의례의 의미 = 423

  2. 國家形性期의 농경의례 = 425

  3. 初期國家의 成立과 농경의례 = 432

  4. 貴族國家의 祭祀와 농경의례 = 444


부록

 1. 각 지역의 경작 유구 / 안재호 = 459

 2. 시대별ㆍ지역별 각종 수리시설 / 곽종철 = 494


찾아보기 = 5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