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료유형
- 단행본
- ISBN
- 8986808803 93520\6500
- KDC
- 522.63-3
- 청구기호
- 522.63 한17ㅇ
- 단체저자
- 한국여성개발원
- 서명/저자
- 21C 여성농업인의 전문인력화를 위한 정책연구 / 한국여성개발원 [편]
- 발행사항
- 서울 : 한국여성개발원, 1999
- 형태사항
- 225 p. ; 26 cm
- 총서명
- '99 연구보고서 ; 230-14
- 주기사항
- 연구자 : 김영옥, 김이선
- 서지주기
- 참고문헌 : p.223-225
- 기타저자
- 김영옥
- 기타저자
- 김이선
- 통일총서명
- '99 연구보고서(한국여성개발원) ; 214
- 기타서명
- 이십일세기 여성농업인의 전문인력화를 위한 정책연구
- 가격
- \6500
- Control Number
- maf:26139
소장정보
서가번호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소장처 | 대출가능여부 | 대출정보 | |
---|---|---|---|---|---|---|
0004016 | 522.63 한17ㅇ | 농림축산식품부 자료실 | 대출가능 |
* 대출중인 자료에 한하여 예약이 가능합니다. 예약을 원하시면 예약버튼을 클릭하십시오.
008100503s1999 ulk 000a kor
020 ▼a8986808803▼g93520▼c\6500
056 ▼a522.63▼23
090 ▼a522.63▼b한17ㅇ
110 ▼a한국여성개발원
24500▼a21C 여성농업인의 전문인력화를 위한 정책연구▼d한국여성개발원 [편]
260 ▼a서울▼b한국여성개발원▼c1999
300 ▼a225 p.▼c26 cm
49010▼a'99 연구보고서▼v230-14
50000▼a연구자 : 김영옥, 김이선
504 ▼a참고문헌 : p.223-225
7001 ▼a김영옥
7001 ▼a김이선
830 0▼a'99 연구보고서(한국여성개발원)▼v214
940 ▼a이십일세기 여성농업인의 전문인력화를 위한 정책연구
9500 ▼b\6500
Ⅰ. 서론 = 1
1. 연구배경 = 3
2. 여성농업인에 대한 선행연구 = 5
가. 외국에서의 연구 = 5
나. 국내의 연구 = 12
3. 연구목적과 연구대상 = 13
4. 연구의 내용과 방법 = 16
Ⅱ. 농업생산부문과 농가인구의 구조 = 19
1. 농업생산부문의 구조 변화 = 21
가. 농업생산부문의비중 감소 = 21
나. 농업생산부문의 구조변화 = 22
1) 경영규모의 확대 = 22
2) 겸업농가의 증가 = 24
3) 새로운 영농형태의 확산 = 25
2. 농가 여성인구의 공급구조 = 28
가. 농가인구의 감소와 구성변화 = 28
1) 노령화 = 29
2) 농가 가족원 수의 감소 = 31
나. 농가인구의 학력 = 33
3. 성별 영농인구의 추이와 특성 = 35
가. 농림어업 취업자의 감소 = 35
나. 농업종사자의 유형 = 36
다. 농업종사자의 일반적 특성 = 37
Ⅲ. 여성농업인의 농업참가 현황 = 41
1. 「농업총조사」분석 결과 = 43
가. 여성의 농업참가 유형 = 43
나. 여성경영주의 특성 = 46
1) 일반적 특성 = 46
2) 생산 및 유통현황 = 48
3) 향후 영농 계획 = 55
다. 영농승계자 현황 = 55
2. 사례조사 결과 = 59
가. 사례선정 및 조사내용 = 60
나.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 61
1) 연령 및 학력 = 61
2) 가족관계 및 취업경력 = 64
다. 농업취업동기 및 농업종사배경 = 65
1) 농업취업동기 = 65
2) 그간 농업젼화 = 66
라. 농업생산 및 유통현황 = 67
1) 작부체계 = 67
2) 주작물 = 68
3) 경영규모 = 68
4) 노동력 구성 = 71
5) 판로 = 71
6) 농업채산성 및 생활비 = 72
7) 부채 = 74
마. 농가경영상의 역할 = 75
1) 농업노동 = 75
2) 경영결정 = 77
3) 정보파악 = 79
4) 회계관리 = 82
5) 가사노동 = 82
바. 인적자본수준 = 83
1) 기계조작기술 = 83
2) 새로운 작물·기술·시설에 대한 관심도 = 84
3) 농업동향 및 정책에 대한 관심도 = 85
사. 생산자조직 및 여성단체활동 = 87
1) 생산자조직활동 = 87
2) 여성단체활동 = 89
아. 농업만족도와 전망 = 92
1) 농업과 농촌생활의 장점 = 92
2) 농업과 농촌생활의 어려움 = 94
3) 농업에 대한 사회적 인식 = 95
4) 전직의사 = 97
5) 새로운 농업시도 의사 = 98
6) 자녀 영농승계 의사 = 99
3. 소결 = 100
가. 여성의 농업편입 현황 = 100
나. 총량분석에서 나타난 여성경영주 현황 = 101
다. 여성농업인의 현재 위치 = 102
라. 전문여성농업인의 발전 가능성 = 103
Ⅳ. 여성농업인 관련정책 현황과 평가 = 105
1. 정부 및 유관기관의 정책현황 = 107
가. 중앙정부 = 107
1) 여성농업인정책부서 설치 및 정책결정 참여 = 107
2) 여성농업인 정책 기본계획 수립 = 109
3) 여성농업인정책 기본계획 추진 현황 = 110
나. 지압자치단체 = 114
1) 교육과 여성단체 지원 = 114
2) 여성농업인 후계자 = 115
3) 농업관련 위원회 참가 = 116
4) 읍면지역 보육시설 지원 = 117
다. 농업진흥청 = 119
1) 농촌진흥청(중앙단위) = 122
2) 도단위 농업기술원 = 123
3) 시군단위 농업기술센터 = 126
라. 농업협동조합 = 128
1) 조합원 및 복수조합원 현황 = 128
2) 농협운영 참여 = 130
3) 교육사업 = 132
4) 농가도우미 시범사업 = 134
5) 조직화사업 = 134
2. 여성농업인의 정책 수혜경험 및 평가 = 135
가. 교육 = 137
1) 교육체계 = 137
2) 교육기회 = 139
3) 교육내용 = 140
4) 교육효과 = 142
5) 요구 = 147
나. 생활개선사업 = 149
1) 수혜기회 = 149
2) 사업효과 = 151
3) 요구 = 153
다. 협동조합 = 154
1) 복수조합원 제도 = 154
2) 농협금융이용 = 157
3) 여성대상사업 = 158
4) 요구 = 159
라. 후계자(농업경영인)지원 = 160
1) 선정현황 및 신청시 애로사항 = 160
2) 지원내용 = 161
3) 후계자활동 = 162
4) 요구 = 163
마. 보건·복지서비스 = 164
1) 유아보육서비스 = 164
2) 보건서비스 = 165
3) 농어민연금 = 167
4) 농가도우미제도 = 168
바. 여성농업인위원회(가칭) 설립에 대한 의견 = 170
3. 소결 = 171
가. 정책추진체계 = 171
나. 전문인력육성 = 172
1) 후계인력육성 = 172
2) 교육훈련 = 173
3) 농기계개발 = 174
다. 노동복지향상 = 175
1) 도우미제도 = 175
2) 유아보육시설 = 176
3) 건강관리서비스 = 176
4) 출산보조금지원 = 177
5) 생활환경개선사업 = 177
라. 의사결정참여 = 178
마. 단체활동 지원 = 179
Ⅴ. 결론 및 정책과제 = 181
1. 주요 결과 = 183
가. 여성농업종사자의 증가추이 = 183
나. 여성농업종사자의 농업편입 현황 = 184
다. 전문여성농업인의 발전 가능성 = 186
라. 여성농업인 관련 정책 현황 = 187
2. 국제기구와 외국의 정책 = 195
가. 국제기구의 여성농업인정책 = 195
나. 각국의 여성농어인 정책 = 197
1) 일본 = 198
2) 유럽연합(EU) 회원국가 = 202
3. 정책과제 = 208
가. 정책목표 = 208
나. 정책방향 = 210
다. 세부 정책과제 = 213
참고문헌 = 223
1. 연구배경 = 3
2. 여성농업인에 대한 선행연구 = 5
가. 외국에서의 연구 = 5
나. 국내의 연구 = 12
3. 연구목적과 연구대상 = 13
4. 연구의 내용과 방법 = 16
Ⅱ. 농업생산부문과 농가인구의 구조 = 19
1. 농업생산부문의 구조 변화 = 21
가. 농업생산부문의비중 감소 = 21
나. 농업생산부문의 구조변화 = 22
1) 경영규모의 확대 = 22
2) 겸업농가의 증가 = 24
3) 새로운 영농형태의 확산 = 25
2. 농가 여성인구의 공급구조 = 28
가. 농가인구의 감소와 구성변화 = 28
1) 노령화 = 29
2) 농가 가족원 수의 감소 = 31
나. 농가인구의 학력 = 33
3. 성별 영농인구의 추이와 특성 = 35
가. 농림어업 취업자의 감소 = 35
나. 농업종사자의 유형 = 36
다. 농업종사자의 일반적 특성 = 37
Ⅲ. 여성농업인의 농업참가 현황 = 41
1. 「농업총조사」분석 결과 = 43
가. 여성의 농업참가 유형 = 43
나. 여성경영주의 특성 = 46
1) 일반적 특성 = 46
2) 생산 및 유통현황 = 48
3) 향후 영농 계획 = 55
다. 영농승계자 현황 = 55
2. 사례조사 결과 = 59
가. 사례선정 및 조사내용 = 60
나.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 61
1) 연령 및 학력 = 61
2) 가족관계 및 취업경력 = 64
다. 농업취업동기 및 농업종사배경 = 65
1) 농업취업동기 = 65
2) 그간 농업젼화 = 66
라. 농업생산 및 유통현황 = 67
1) 작부체계 = 67
2) 주작물 = 68
3) 경영규모 = 68
4) 노동력 구성 = 71
5) 판로 = 71
6) 농업채산성 및 생활비 = 72
7) 부채 = 74
마. 농가경영상의 역할 = 75
1) 농업노동 = 75
2) 경영결정 = 77
3) 정보파악 = 79
4) 회계관리 = 82
5) 가사노동 = 82
바. 인적자본수준 = 83
1) 기계조작기술 = 83
2) 새로운 작물·기술·시설에 대한 관심도 = 84
3) 농업동향 및 정책에 대한 관심도 = 85
사. 생산자조직 및 여성단체활동 = 87
1) 생산자조직활동 = 87
2) 여성단체활동 = 89
아. 농업만족도와 전망 = 92
1) 농업과 농촌생활의 장점 = 92
2) 농업과 농촌생활의 어려움 = 94
3) 농업에 대한 사회적 인식 = 95
4) 전직의사 = 97
5) 새로운 농업시도 의사 = 98
6) 자녀 영농승계 의사 = 99
3. 소결 = 100
가. 여성의 농업편입 현황 = 100
나. 총량분석에서 나타난 여성경영주 현황 = 101
다. 여성농업인의 현재 위치 = 102
라. 전문여성농업인의 발전 가능성 = 103
Ⅳ. 여성농업인 관련정책 현황과 평가 = 105
1. 정부 및 유관기관의 정책현황 = 107
가. 중앙정부 = 107
1) 여성농업인정책부서 설치 및 정책결정 참여 = 107
2) 여성농업인 정책 기본계획 수립 = 109
3) 여성농업인정책 기본계획 추진 현황 = 110
나. 지압자치단체 = 114
1) 교육과 여성단체 지원 = 114
2) 여성농업인 후계자 = 115
3) 농업관련 위원회 참가 = 116
4) 읍면지역 보육시설 지원 = 117
다. 농업진흥청 = 119
1) 농촌진흥청(중앙단위) = 122
2) 도단위 농업기술원 = 123
3) 시군단위 농업기술센터 = 126
라. 농업협동조합 = 128
1) 조합원 및 복수조합원 현황 = 128
2) 농협운영 참여 = 130
3) 교육사업 = 132
4) 농가도우미 시범사업 = 134
5) 조직화사업 = 134
2. 여성농업인의 정책 수혜경험 및 평가 = 135
가. 교육 = 137
1) 교육체계 = 137
2) 교육기회 = 139
3) 교육내용 = 140
4) 교육효과 = 142
5) 요구 = 147
나. 생활개선사업 = 149
1) 수혜기회 = 149
2) 사업효과 = 151
3) 요구 = 153
다. 협동조합 = 154
1) 복수조합원 제도 = 154
2) 농협금융이용 = 157
3) 여성대상사업 = 158
4) 요구 = 159
라. 후계자(농업경영인)지원 = 160
1) 선정현황 및 신청시 애로사항 = 160
2) 지원내용 = 161
3) 후계자활동 = 162
4) 요구 = 163
마. 보건·복지서비스 = 164
1) 유아보육서비스 = 164
2) 보건서비스 = 165
3) 농어민연금 = 167
4) 농가도우미제도 = 168
바. 여성농업인위원회(가칭) 설립에 대한 의견 = 170
3. 소결 = 171
가. 정책추진체계 = 171
나. 전문인력육성 = 172
1) 후계인력육성 = 172
2) 교육훈련 = 173
3) 농기계개발 = 174
다. 노동복지향상 = 175
1) 도우미제도 = 175
2) 유아보육시설 = 176
3) 건강관리서비스 = 176
4) 출산보조금지원 = 177
5) 생활환경개선사업 = 177
라. 의사결정참여 = 178
마. 단체활동 지원 = 179
Ⅴ. 결론 및 정책과제 = 181
1. 주요 결과 = 183
가. 여성농업종사자의 증가추이 = 183
나. 여성농업종사자의 농업편입 현황 = 184
다. 전문여성농업인의 발전 가능성 = 186
라. 여성농업인 관련 정책 현황 = 187
2. 국제기구와 외국의 정책 = 195
가. 국제기구의 여성농업인정책 = 195
나. 각국의 여성농어인 정책 = 197
1) 일본 = 198
2) 유럽연합(EU) 회원국가 = 202
3. 정책과제 = 208
가. 정책목표 = 208
나. 정책방향 = 210
다. 세부 정책과제 = 213
참고문헌 = 2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