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료유형
- 연구용역보고서
- KDC
- 520.7-4
- 청구기호
- 520.7 농239ㅎ
- 단체저자
- 농림부
- 서명/저자
- 한국의 식생활교육추진법 제정을 위한 기초 연구 / 농어업·농어촌특별대책위원회 ; 대한영양사협회 [공편]
- 발행사항
- [서울] : 대한영양사협회, 2007
- 형태사항
- xi, 221 p. : 삽도 ; 30 cm
- 총서명
- 최종연구보고서
- 주기사항
- 연구책임자 : 김경주
- 서지주기
- 참고문헌: p.207-210
- 기타저자
- 김경주
- 기타저자
- 농어업·농어촌특별대책위원회
- 기타저자
- 대한영양사협회
- 기타저자
- 농림수산식품부
- 기타저자
- 농수산부
- 기타저자
- 농림수산부
- 기타저자
- 농림축산식품부
- 가격
- 비매품
- Control Number
- maf:26095
소장정보
서가번호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소장처 | 대출가능여부 | 대출정보 | |
---|---|---|---|---|---|---|
0002925 | 용 : 520.7 농239ㅎ v.2007-201 | 농림축산식품부 자료실 | 대출가능 |
* 대출중인 자료에 한하여 예약이 가능합니다. 예약을 원하시면 예약버튼을 클릭하십시오.
008100413s2007 ulka t 000a korIA
056 ▼a520.7▼24
090 ▼a520.7▼b농239ㅎ
110 ▼a농림부
24500▼a한국의 '식생활교육추진법' 제정을 위한 기초 연구▼d농어업·농어촌특별대책위원회▼e대한영양사협회 [공편]
260 ▼a[서울]▼b대한영양사협회▼c2007
300 ▼axi, 221 p.▼b삽도▼c30 cm
44000▼a최종연구보고서
50000▼a연구책임자 : 김경주
504 ▼a참고문헌: p.207-210
7001 ▼a김경주
710 ▼a농어업·농어촌특별대책위원회
710 ▼a대한영양사협회
710 ▼a농림수산식품부
710 ▼a농수산부
710 ▼a농림수산부
710 ▼a농림축산식품부
856 ▼uhttp://library.mafra.go.kr/skyblueimage/2925
9501 ▼a비매품
제1장 연구개요 = 1
1. 연구배경 및 목적 = 1
2. 연구내용 및 방법 = 3
제2장 연구결과 = 4
Ⅰ. 한국 식생활 문화의 현황 및 발전 방향 = 4
1. 한국 식생활 문화의 형성과 특징 = 4
가. 지중해 식사에 비견되는 건강한 한국 음식 = 5
나. 채식과 육식의 이상적인 비율 = 7
다. 약식동원의 음식 = 8
2. 한국 전통 음식문화의 범주 및 변천 = 12
가. 과거의 식생활 문화 변천 = 13
(1) 고대의 식생활 = 13
(2) 고려시대, 한식전통의 형성 = 17
(3) 조선시대, 한식의 완성 = 18
(4) 개항기와 일제시대 = 20
나. 현재의 식생활 문화 변천 = 20
(1) 사회경제적 변동에 따른 전통의 단절 : 식생활의 양극화와 서구화 과정 = 20
(2) 최근 한국인의 식생활 특징 = 22
(3) 전례 없이 빠른 속도로 변화하는 식생활 양상 = 26
(4) 가정식 감소와 외식의 증가 = 29
(5) 건강기능식품 폭증 = 31
다. 현대 음식 문화에 나타난 문제점 = 33
3. 세계 속의 한국 식생활 문화 - 현황과 과제 = 35
가. 세계 속에 자리 잡아가는 한국 음식 = 35
나. 함께 가는 한국 전통 음식 문화 - 음식, 그릇, 술 그리고 상차림의 미학 = 37
다. 앞으로 할 일 = 39
Ⅱ. 한국인 식생활 현황과 환경 = 41
1. 우리 국민의 식품 및 영양섭취 = 41
가. 식품 소비 실태 = 41
(1) 곡류 = 43
(2) 육류 = 44
(3) 채소 및 과일류 = 47
(4) 우유 및 유제품 = 48
나. 영양소 섭취 실태 = 49
(1) 열량 영양소 = 49
(2) 무기질과 비타민 = 51
다. 식생활 실태 = 56
(1) 결식 = 56
(2) 외식 = 58
(3) 탄산은료의 섭취 = 58
(4) 간식 = 61
(5) 음주 = 62
2. 우리 국민의 식생활 변화에 따른 질병구조의 변화 = 64
가. 우리나라 대사 관련 질환 현황 = 64
(1) 질병구조의 변화 = 64
(2) 비만 = 66
(3) 당뇨병 = 70
(4) 고혈압 = 71
(5) 고지혈증 = 73
(6) 대사증후군 = 76
나. 국민건강증진 목표 = 77
3. 식생활 변화의 환경적 요인과 영향 = 79
가. 인구 구조의 변화 = 79
나. 소규모 가정 및 여성 경제활동 인구의 증가 = 82
다. 노인 인구 및 경제력 저하에 따른 식생활의 영향 = 83
(1) 노인 가구의 증가와 고령자의 경제활동 상태 = 83
(2) 노인 의료비 규모 증가 추이 = 85
(3) 노인의 식생활과 건강의 문제점 = 87
(4) 노인의 건강보조식품, 약물 섭취실태 = 87
4. 우리나라 식량수급(자급률) 및 소비상황과 식품관련 산업 현황 = 88
가. 우리나라 식량자급률 = 88
(1) 식량자급률 = 88
(2) 식량자급률 목표 설정 및 소비측면에서의 식량자급률 제고 = 90
(3) 음식 폐기물 감소를 통한 식량 자급률 제고 = 92
나. 우리나라 식생활 환경 변화에 다른 식품관련 산업 = 94
(1) 식사의 외부화에 따른 식품산업의 확대 = 95
(2) 건강기능성 식품 산업의 확대 = 97
Ⅲ. 우리나라의 식생활 교육 및 정보제공 현황 = 99
1. 영유아 보육시설, 유치원, 초·중·고등교육에서의 식생활 교육 = 99
가. 교육과정 내 식생활 교육 = 99
(1) 유치원 교육 과정 = 99
(2) 초등교육 = 100
(3) 중등교육 - 중·고등학교 기술·가정 = 105
나. 단체급식과 식생활 교육 = 107
(1) 영·유아 보육시설 및 유치원 = 107
(2) 학교 급식 = 108
다. 영양교사 제도의 도입, 실태, 발전 방향 = 110
2. 언론에서의 영양 및 식생활 관련 정보 제공 현황 = 110
가. 매스미디어에서의 먹거리 관련 보도 실태 및 문제점 = 110
나. 인터넷 먹거리 관련 정보의 문제점 및 관리 방법 = 111
Ⅳ. 우리나라 식품·영양 관련 프로그램 및 관련법률 = 121
1. 식생활 관련 정책 및 프로그램 = 121
가. 우리나라 영양정책의 변천 = 121
(1) 보건복지부 = 122
(2) 식품의약품안전청 = 125
(3) 농림부 = 127
(4) 노동부 = 128
(5) 환경부 = 128
2. 우리나라 식품·영양정책(제도) 현황 및 관련법 = 130
가. 생애주기별 식생활 관련 법규 = 130
나. 식품 생산 단계별 관련 법규 = 135
3. 국민 식생활 관련 지역사회와 시민단체의 활동 내용과 발전 방향 = 139
가. 국민 식생활 관련 시민단체의 현황 = 139
(1) 생활 협동 부문 = 139
(2) 학교급식부문 = 141
(3) 대안운동부문 = 142
나. 식생활 관련 단체의 제한점 및 발전방안 = 143
(1) Local food system 의 정착과 문제점 = 143
(2) 바람직한 도-농 교류 모델 = 144
(3) 발전방안 = 145
Ⅴ. 외국의 국민 식생활 및 식문화 관련 프로그램 = 147
1. 미국의 국민 식생활 교육 관련 정책 및 행정체계 = 147
2. 일본 식육기본법과 식육정책 = 151
가. 일본에 식육이 법률(기본법)로 만들어진 배경 = 152
나. 내각부 조직과 식육담당의 = 153
(1) 2006년도 내각부 중점시책(8가지 새로운 과제와 3가지 중점과제) = 155
3. 일본에서의 식육과 식육기본법의 개요 = 155
4. 일본인의 식생활 및 영양상의 문제점과 식육에 대한 필요성 = 156
가. 영양상의 문제 = 156
(1) 영양의 편중 = 156
(2) 불규칙한 식사 = 156
(3) 비만 = 156
(4) 과도의 저체중 지향 = 157
(5) 생활습관병의 증가 = 157
나. 식생활상의 문제 = 157
다. 식량경제 및 식의 해외의존도 문제 = 158
라. 식의 안전상의 문제 = 158
마. 식문화 전승과 사회경제적인 구조 변화 = 158
5. 일본 식육기본법에 의한 식육추진기본계획 = 159
가. 식육추진기본계획이란 = 159
나. 식육추진기본계획책정의 경위 = 159
다. 식육의 추진에 관한 시책에 대한 기본적인 방침 = 159
라. 식육 추진의 목표에 관한 사항 = 160
마. 식육추진기본계획의 구성과 개요 = 160
(1) 서론 = 160
(2) 기본적인 방침 = 161
(3) 식육추진목표 = 161
(4) 식육의 종합적인 촉진 = 162
바. 식육추진기본계획 작성 = 163
사. 식육의 종합적인 촉진에 관한 사항 = 163
(1) 가정에 있어 식육의 추진 = 163
(2) 학교, 보육소 등에 대한 식육의 추진 = 164
(3) 지역에 있어 식생활의 개선을 위한 추진 = 164
(4) 식육추진운동의 전개(식육월간 (매년 6월), 식육의 날 (매월 19일)) = 166
(5) 생산자와 소비자와의 교류 촉진, 환경과 조화를 갖춘 농림어업의 활성화 등 = 166
(6) 식문화 계승을 위한 활동에 대한 지원 등 = 167
(7) 식품의 안전성, 영양 기타 식생활에 관한 조사, 연구, 정보의 제공 및 국제교류를 추진 = 168
(8) 식육추진회의 = 169
6. 식육을 국민운동으로 하여 얻고자 하는 점 = 169
(1) 국민의 심신의 건강 증진 = 169
(2) 풍요로운 인간 형성 = 170
(3) 식에 대한 감사 마음과 이해 등 = 170
(4) 국민운동에 대한 기대 = 170
7. 국가·지방 공공단체 등의 추진 체제 = 171
가. 식육기본법 시행 후의 국가의 추진체제 = 171
나. 지방공공단체의 추진체제 = 171
다. 전국규모의 추진체제 = 172
8. 일본 정부 관련부성의 식육관계 추진 사항 = 173
가. 각 기관별 식육추진 내용 = 173
나. 관계성청의 연계에 의한 대처 = 174
다. 식육기본법 시행 이전의 대처 = 174
(1) 식품안전위원회의 대처 = 174
(2) 문부과학성의 대처 = 176
(3) 후생노동성의 대처 = 177
(4) 농림수산성의 대처 = 178
(5) 지방공공단체 및 관계단체의 대처 = 179
라. 일본 농림수산성의 식육 추진 = 180
(1) 일본의 식량자급률 향상과 일본형 식생활 = 180
(2) 식량, 농업, 농촌 시책의 확립 = 181
(3) 농림수산성의 "식육" 관계 시책 = 181
(4) 농림수산성의 하는 '식육' (생애·유통·소비 각 단계를 통한 식육의 추진) = 182
마. 문부과학성의 식육 추진 = 184
(1) 문부과학성에 있어 식육 추진의 기본적 사고 = 184
(2) 학교에서의 급식 및 영양교사와 식육 추진 = 184
(3) 학교 급식과 지산지소 = 185
바. 지방공공단체(동경도)에 있어 식육에 대하여 = 186
(1) 동경농업·어업의 개요 = 186
(2) 동경도의 식생활 관련 내용 = 186
(3) 동경의 식을 둘러싼 문제 = 188
(4) 동경도 식육추진검토회의 = 188
(5) 동경도에서의 식육의 중점적 추진 체제 = 189
(6) 동경에서의 식육(구체적인 대처) = 190
9. 식육추진시책의 실시상황 = 192
가. 가정에서의 식육추진 = 192
(1) 생활리듬의 향상 = 192
(2) 어린이 비만예방추진 = 193
(3) 바람직한 식습관과 지식 습득 = 193
(4) 임산부와 영유아에 관한 영양지도 = 193
(5) 가정과 지역에서의 영양교사를 중심으로한 대처 = 193
(6) 청소년 및 보호자 대상의 식육 추진 = 13
나. 학교, 보육원 등에서의 식육 추진 = 193
(1) 지도체제 철저 = 193
(2) 어린이 대상 지도 = 193
(3) 학교급식의 철저 = 193
(4) 식육을 통한 건강상태 개선의 추진 = 193
(5) 보육원에서의 식육추진 = 193
다. 지역에서의 식생활개선 추진 = 194
(1) 영양적으로 균형잡힌 "일본형 식생활"의 실천 = 194
(2) "식생활 지침"과 "식사 밸런스 가이드"의 활용 촉진 = 194
(3) 전문적인 지식을 갖는 인재양성과 활용 = 194
(4) 건강가꾸기와 의학교육 등에 있어 식육 추진 = 194
(5) 식품관련 사업자등에 의한 식육추진 = 194
라. 식육추진운동의 전개 = 194
(1) 식육월간의 설정과 실시 = 194
(2) 계속적인 식육추진운동 = 194
(3) 각종단체등과의 연계, 협력체제의 확립 = 194
(4) 민간의 대처 등에 대한 표장 실시 = 194
(5) 국민운동에 이바지하는 조사연구와 정보제공 = 194
(6) 식육에 관한 국민의 이해 증진 = 194
(7) 버란티어 활동에 대한 지원 = 194
마. 생산자와 소비자와의 교류 촉진, 환경과 조화된 농림어업의 활성화 등 = 194
(1) 도시와 농산어촌의 공생 대류를 통한 도시주민과 농림어업자의 교류 촉진 = 194
(2) 어린이를 중심으로 한 농림어업 체험활동의 촉진과 소비자에게 정보 제공 = 194
(3) 농림어업자 등에 의한 식육 추진 = 195
(4) 지산지소의 추진 = 195
(5) 바이오매스이용과 식품리사이클의 추진 = 195
바. 식문화 계승을 위한 활동에 대 = 195
(1) 버란티어 활동 등에 대한 대처 = 195
(2) 학교급식에서의 향토요리 적극적인 도입과 이벤트에 활용 = 195
(3) 전문조리사등의 활용 = 195
(4) 관련정보 수집과 발신 = 195
사. 식품의 안전성, 영양 기타 식생활에 관한 조사, 연구, 정보제공 및 국제교류의추진 = 195
(1) 리스크커뮤니케이션의 철저 = 195
(2) 식품의 안전성과 영양 등에 관한 정보제공 = 195
(3) 기초적인 조사 연구 등의 실시 = 195
(4) 식품정보에 관한 제도 보급 개발 = 195
(5) 지방공공단체 등에 대처 = 196
(6) 식육의 해외전개와 해외조사 추진 = 196
(7) 국제적인 정보교환 등 = 196
10. 실시 1년 후 일본에서의 식육의 평가
Ⅵ. 식생활교육추진법(가칭) 제정 준비를 위한 제언 = 198
1. 21세기 바람직한 한국인 식생활과 식문화 모델 = 198
가. 바람직한 식생활문화의 미래상 = 198
(1) 식품수급의 전망 = 198
(2) 식사예절과 민속 = 198
(3) 가족문화의 변화 = 198
(4) 환경문제와 안전성 확보 = 199
(5) 바람직한 소비자 형태 = 199
(6) 미래의 영양과 식단 = 199
나. 한국형 식생활 패턴 유지 정책 및 교육 = 200
2. 식생활교육추진법(가칭) 입법의 필요성 = 202
3. 식생활교육추진법(가칭)의 구성 = 203
4. 식생활교육 추진 체계 = 205
참고문헌 = 207
부록 = 211
1. 연구배경 및 목적 = 1
2. 연구내용 및 방법 = 3
제2장 연구결과 = 4
Ⅰ. 한국 식생활 문화의 현황 및 발전 방향 = 4
1. 한국 식생활 문화의 형성과 특징 = 4
가. 지중해 식사에 비견되는 건강한 한국 음식 = 5
나. 채식과 육식의 이상적인 비율 = 7
다. 약식동원의 음식 = 8
2. 한국 전통 음식문화의 범주 및 변천 = 12
가. 과거의 식생활 문화 변천 = 13
(1) 고대의 식생활 = 13
(2) 고려시대, 한식전통의 형성 = 17
(3) 조선시대, 한식의 완성 = 18
(4) 개항기와 일제시대 = 20
나. 현재의 식생활 문화 변천 = 20
(1) 사회경제적 변동에 따른 전통의 단절 : 식생활의 양극화와 서구화 과정 = 20
(2) 최근 한국인의 식생활 특징 = 22
(3) 전례 없이 빠른 속도로 변화하는 식생활 양상 = 26
(4) 가정식 감소와 외식의 증가 = 29
(5) 건강기능식품 폭증 = 31
다. 현대 음식 문화에 나타난 문제점 = 33
3. 세계 속의 한국 식생활 문화 - 현황과 과제 = 35
가. 세계 속에 자리 잡아가는 한국 음식 = 35
나. 함께 가는 한국 전통 음식 문화 - 음식, 그릇, 술 그리고 상차림의 미학 = 37
다. 앞으로 할 일 = 39
Ⅱ. 한국인 식생활 현황과 환경 = 41
1. 우리 국민의 식품 및 영양섭취 = 41
가. 식품 소비 실태 = 41
(1) 곡류 = 43
(2) 육류 = 44
(3) 채소 및 과일류 = 47
(4) 우유 및 유제품 = 48
나. 영양소 섭취 실태 = 49
(1) 열량 영양소 = 49
(2) 무기질과 비타민 = 51
다. 식생활 실태 = 56
(1) 결식 = 56
(2) 외식 = 58
(3) 탄산은료의 섭취 = 58
(4) 간식 = 61
(5) 음주 = 62
2. 우리 국민의 식생활 변화에 따른 질병구조의 변화 = 64
가. 우리나라 대사 관련 질환 현황 = 64
(1) 질병구조의 변화 = 64
(2) 비만 = 66
(3) 당뇨병 = 70
(4) 고혈압 = 71
(5) 고지혈증 = 73
(6) 대사증후군 = 76
나. 국민건강증진 목표 = 77
3. 식생활 변화의 환경적 요인과 영향 = 79
가. 인구 구조의 변화 = 79
나. 소규모 가정 및 여성 경제활동 인구의 증가 = 82
다. 노인 인구 및 경제력 저하에 따른 식생활의 영향 = 83
(1) 노인 가구의 증가와 고령자의 경제활동 상태 = 83
(2) 노인 의료비 규모 증가 추이 = 85
(3) 노인의 식생활과 건강의 문제점 = 87
(4) 노인의 건강보조식품, 약물 섭취실태 = 87
4. 우리나라 식량수급(자급률) 및 소비상황과 식품관련 산업 현황 = 88
가. 우리나라 식량자급률 = 88
(1) 식량자급률 = 88
(2) 식량자급률 목표 설정 및 소비측면에서의 식량자급률 제고 = 90
(3) 음식 폐기물 감소를 통한 식량 자급률 제고 = 92
나. 우리나라 식생활 환경 변화에 다른 식품관련 산업 = 94
(1) 식사의 외부화에 따른 식품산업의 확대 = 95
(2) 건강기능성 식품 산업의 확대 = 97
Ⅲ. 우리나라의 식생활 교육 및 정보제공 현황 = 99
1. 영유아 보육시설, 유치원, 초·중·고등교육에서의 식생활 교육 = 99
가. 교육과정 내 식생활 교육 = 99
(1) 유치원 교육 과정 = 99
(2) 초등교육 = 100
(3) 중등교육 - 중·고등학교 기술·가정 = 105
나. 단체급식과 식생활 교육 = 107
(1) 영·유아 보육시설 및 유치원 = 107
(2) 학교 급식 = 108
다. 영양교사 제도의 도입, 실태, 발전 방향 = 110
2. 언론에서의 영양 및 식생활 관련 정보 제공 현황 = 110
가. 매스미디어에서의 먹거리 관련 보도 실태 및 문제점 = 110
나. 인터넷 먹거리 관련 정보의 문제점 및 관리 방법 = 111
Ⅳ. 우리나라 식품·영양 관련 프로그램 및 관련법률 = 121
1. 식생활 관련 정책 및 프로그램 = 121
가. 우리나라 영양정책의 변천 = 121
(1) 보건복지부 = 122
(2) 식품의약품안전청 = 125
(3) 농림부 = 127
(4) 노동부 = 128
(5) 환경부 = 128
2. 우리나라 식품·영양정책(제도) 현황 및 관련법 = 130
가. 생애주기별 식생활 관련 법규 = 130
나. 식품 생산 단계별 관련 법규 = 135
3. 국민 식생활 관련 지역사회와 시민단체의 활동 내용과 발전 방향 = 139
가. 국민 식생활 관련 시민단체의 현황 = 139
(1) 생활 협동 부문 = 139
(2) 학교급식부문 = 141
(3) 대안운동부문 = 142
나. 식생활 관련 단체의 제한점 및 발전방안 = 143
(1) Local food system 의 정착과 문제점 = 143
(2) 바람직한 도-농 교류 모델 = 144
(3) 발전방안 = 145
Ⅴ. 외국의 국민 식생활 및 식문화 관련 프로그램 = 147
1. 미국의 국민 식생활 교육 관련 정책 및 행정체계 = 147
2. 일본 식육기본법과 식육정책 = 151
가. 일본에 식육이 법률(기본법)로 만들어진 배경 = 152
나. 내각부 조직과 식육담당의 = 153
(1) 2006년도 내각부 중점시책(8가지 새로운 과제와 3가지 중점과제) = 155
3. 일본에서의 식육과 식육기본법의 개요 = 155
4. 일본인의 식생활 및 영양상의 문제점과 식육에 대한 필요성 = 156
가. 영양상의 문제 = 156
(1) 영양의 편중 = 156
(2) 불규칙한 식사 = 156
(3) 비만 = 156
(4) 과도의 저체중 지향 = 157
(5) 생활습관병의 증가 = 157
나. 식생활상의 문제 = 157
다. 식량경제 및 식의 해외의존도 문제 = 158
라. 식의 안전상의 문제 = 158
마. 식문화 전승과 사회경제적인 구조 변화 = 158
5. 일본 식육기본법에 의한 식육추진기본계획 = 159
가. 식육추진기본계획이란 = 159
나. 식육추진기본계획책정의 경위 = 159
다. 식육의 추진에 관한 시책에 대한 기본적인 방침 = 159
라. 식육 추진의 목표에 관한 사항 = 160
마. 식육추진기본계획의 구성과 개요 = 160
(1) 서론 = 160
(2) 기본적인 방침 = 161
(3) 식육추진목표 = 161
(4) 식육의 종합적인 촉진 = 162
바. 식육추진기본계획 작성 = 163
사. 식육의 종합적인 촉진에 관한 사항 = 163
(1) 가정에 있어 식육의 추진 = 163
(2) 학교, 보육소 등에 대한 식육의 추진 = 164
(3) 지역에 있어 식생활의 개선을 위한 추진 = 164
(4) 식육추진운동의 전개(식육월간 (매년 6월), 식육의 날 (매월 19일)) = 166
(5) 생산자와 소비자와의 교류 촉진, 환경과 조화를 갖춘 농림어업의 활성화 등 = 166
(6) 식문화 계승을 위한 활동에 대한 지원 등 = 167
(7) 식품의 안전성, 영양 기타 식생활에 관한 조사, 연구, 정보의 제공 및 국제교류를 추진 = 168
(8) 식육추진회의 = 169
6. 식육을 국민운동으로 하여 얻고자 하는 점 = 169
(1) 국민의 심신의 건강 증진 = 169
(2) 풍요로운 인간 형성 = 170
(3) 식에 대한 감사 마음과 이해 등 = 170
(4) 국민운동에 대한 기대 = 170
7. 국가·지방 공공단체 등의 추진 체제 = 171
가. 식육기본법 시행 후의 국가의 추진체제 = 171
나. 지방공공단체의 추진체제 = 171
다. 전국규모의 추진체제 = 172
8. 일본 정부 관련부성의 식육관계 추진 사항 = 173
가. 각 기관별 식육추진 내용 = 173
나. 관계성청의 연계에 의한 대처 = 174
다. 식육기본법 시행 이전의 대처 = 174
(1) 식품안전위원회의 대처 = 174
(2) 문부과학성의 대처 = 176
(3) 후생노동성의 대처 = 177
(4) 농림수산성의 대처 = 178
(5) 지방공공단체 및 관계단체의 대처 = 179
라. 일본 농림수산성의 식육 추진 = 180
(1) 일본의 식량자급률 향상과 일본형 식생활 = 180
(2) 식량, 농업, 농촌 시책의 확립 = 181
(3) 농림수산성의 "식육" 관계 시책 = 181
(4) 농림수산성의 하는 '식육' (생애·유통·소비 각 단계를 통한 식육의 추진) = 182
마. 문부과학성의 식육 추진 = 184
(1) 문부과학성에 있어 식육 추진의 기본적 사고 = 184
(2) 학교에서의 급식 및 영양교사와 식육 추진 = 184
(3) 학교 급식과 지산지소 = 185
바. 지방공공단체(동경도)에 있어 식육에 대하여 = 186
(1) 동경농업·어업의 개요 = 186
(2) 동경도의 식생활 관련 내용 = 186
(3) 동경의 식을 둘러싼 문제 = 188
(4) 동경도 식육추진검토회의 = 188
(5) 동경도에서의 식육의 중점적 추진 체제 = 189
(6) 동경에서의 식육(구체적인 대처) = 190
9. 식육추진시책의 실시상황 = 192
가. 가정에서의 식육추진 = 192
(1) 생활리듬의 향상 = 192
(2) 어린이 비만예방추진 = 193
(3) 바람직한 식습관과 지식 습득 = 193
(4) 임산부와 영유아에 관한 영양지도 = 193
(5) 가정과 지역에서의 영양교사를 중심으로한 대처 = 193
(6) 청소년 및 보호자 대상의 식육 추진 = 13
나. 학교, 보육원 등에서의 식육 추진 = 193
(1) 지도체제 철저 = 193
(2) 어린이 대상 지도 = 193
(3) 학교급식의 철저 = 193
(4) 식육을 통한 건강상태 개선의 추진 = 193
(5) 보육원에서의 식육추진 = 193
다. 지역에서의 식생활개선 추진 = 194
(1) 영양적으로 균형잡힌 "일본형 식생활"의 실천 = 194
(2) "식생활 지침"과 "식사 밸런스 가이드"의 활용 촉진 = 194
(3) 전문적인 지식을 갖는 인재양성과 활용 = 194
(4) 건강가꾸기와 의학교육 등에 있어 식육 추진 = 194
(5) 식품관련 사업자등에 의한 식육추진 = 194
라. 식육추진운동의 전개 = 194
(1) 식육월간의 설정과 실시 = 194
(2) 계속적인 식육추진운동 = 194
(3) 각종단체등과의 연계, 협력체제의 확립 = 194
(4) 민간의 대처 등에 대한 표장 실시 = 194
(5) 국민운동에 이바지하는 조사연구와 정보제공 = 194
(6) 식육에 관한 국민의 이해 증진 = 194
(7) 버란티어 활동에 대한 지원 = 194
마. 생산자와 소비자와의 교류 촉진, 환경과 조화된 농림어업의 활성화 등 = 194
(1) 도시와 농산어촌의 공생 대류를 통한 도시주민과 농림어업자의 교류 촉진 = 194
(2) 어린이를 중심으로 한 농림어업 체험활동의 촉진과 소비자에게 정보 제공 = 194
(3) 농림어업자 등에 의한 식육 추진 = 195
(4) 지산지소의 추진 = 195
(5) 바이오매스이용과 식품리사이클의 추진 = 195
바. 식문화 계승을 위한 활동에 대 = 195
(1) 버란티어 활동 등에 대한 대처 = 195
(2) 학교급식에서의 향토요리 적극적인 도입과 이벤트에 활용 = 195
(3) 전문조리사등의 활용 = 195
(4) 관련정보 수집과 발신 = 195
사. 식품의 안전성, 영양 기타 식생활에 관한 조사, 연구, 정보제공 및 국제교류의추진 = 195
(1) 리스크커뮤니케이션의 철저 = 195
(2) 식품의 안전성과 영양 등에 관한 정보제공 = 195
(3) 기초적인 조사 연구 등의 실시 = 195
(4) 식품정보에 관한 제도 보급 개발 = 195
(5) 지방공공단체 등에 대처 = 196
(6) 식육의 해외전개와 해외조사 추진 = 196
(7) 국제적인 정보교환 등 = 196
10. 실시 1년 후 일본에서의 식육의 평가
Ⅵ. 식생활교육추진법(가칭) 제정 준비를 위한 제언 = 198
1. 21세기 바람직한 한국인 식생활과 식문화 모델 = 198
가. 바람직한 식생활문화의 미래상 = 198
(1) 식품수급의 전망 = 198
(2) 식사예절과 민속 = 198
(3) 가족문화의 변화 = 198
(4) 환경문제와 안전성 확보 = 199
(5) 바람직한 소비자 형태 = 199
(6) 미래의 영양과 식단 = 199
나. 한국형 식생활 패턴 유지 정책 및 교육 = 200
2. 식생활교육추진법(가칭) 입법의 필요성 = 202
3. 식생활교육추진법(가칭)의 구성 = 203
4. 식생활교육 추진 체계 = 205
참고문헌 = 207
부록 = 2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