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장정보
서가번호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소장처 | 대출가능여부 | 대출정보 | |
---|---|---|---|---|---|---|
0017365 | 520 성79ㄱ | 농림축산식품부 자료실 | 대출가능 |
* 대출중인 자료에 한하여 예약이 가능합니다. 예약을 원하시면 예약버튼을 클릭하십시오.
008090519s2009 ulka 000a kor
020 ▼a9788979470765▼g93520▼c\18000
056 ▼a520▼24
090 ▼a520▼b성79ㄱ
1001 ▼a성진근
24510▼a강한 농업으로의 길▼d성진근 외 공저
260 ▼a서울▼b농민신문사▼c2009
300 ▼a366 p.▼b삽도▼c26 cm.
7001 ▼a하인호
7001 ▼a설광언
7001 ▼a양주환
7001 ▼a이광우
9500 ▼b\18000
머리말 = 5
Ⅰ. 10년 후 세계 및 한국의 경제사회 변화 모습 / 하인호 = 21
1. 10년 후 지구상 세번째 대변혁의 모습 = 22
1) 대변혁의 특성 = 22
2) 대변혁 속의 멀티 플레이어 = 23
3) 대변혁의 속성 = 24
4) 다가오는 대변혁의 파장 = 27
2. 10년 후 과학기술 발전추세 = 32
1) 2020년 이전 교통문제 해결 : 농촌인구유입 가능시기 = 33
2) 2020년 최첨단 과학기술 실용화 = 34
3) 2020년 : 우주산업사회 출발 = 35
4) 2020년 신농업 패러다임 정착기 = 36
3. 10년 후 한국 : 15가지 사회 변화 = 37
1) 역사상 초유의 구조조정 = 41
2) 대대적인 인구이동 = 41
3) 홈스쿨링 보편화 = 42
4) 캐어스쿨링 정착 = 42
5) 새롭게 각광받는 노령화 계층 = 43
6) 기업체들 시골 이전 = 43
7) 재택근무 사무실 설치 = 43
8) 가족중심 친환경 의식주 생활 = 43
9) 돌봄 경제시대 도래 = 44
10) 젊은이들의 해외이주 급증 = 44
11) 꿈, 상상력 중심 레저산업 번창 = 45
12) 네어아날로그 비즈니스 부각 = 45
13) 경제의 정치 지배 = 46
14) 지식허브 설치 = 46
15) 우주 재테크 성행 = 46
4. 미래혁명 : 농촌사회 패러다임 = 47
1) 10년 후 농촌 환경 = 47
2) 10년 후 신개념 농촌가치 = 49
3) 신 라이프사이클 = 51
4) 농촌과 도시의 경쟁 = 54
5) 농촌의 텔레리빙 = 56
6) 농업 컨소시엄 = 57
7) 농산물 신자유 경쟁 시장 = 58
Ⅱ. 농업, 농촌의 새로운 역할과 변화 / 설광언 = 63
1. 농업의 새로운 역할 = 63
2. 농업변화의 본질과 주요 원인 = 66
1) 인구 변화 = 66
2) 식품 소비행태(Behavior)의 변화와 식품산업 = 68
3) 식품산업과 농업 = 70
4) 바이오에너지와 농업 = 72
5) 농업관련 분야의 기술혁신 = 74
6) 농산물 교역의 확대 = 78
7) 환경을 생각하는 지속가능한 농업 = 80
8) 주요국가의 농정방향 = 82
3. 농촌사회의 변화 = 84
4. 국내농업구조의 변화 = 86
Ⅲ. 글로벌시대 한국농업ㆍ농촌의 발전방향 / 설광언 = 91
1. 패러다임의 전환 = 91
2. 한국농업의 당면과제와 정책방향 = 97
1) 개방화에 대비한 농업의 체질 강화 = 97
2) 농가소득 문제의 해결 = 100
3) 쌀 과잉공급 구조의 해소 = 102
(1) 쌀 공급과잉의 현황 = 102
(2) 쌀 공급과잉구조의 원인 = 105
(3) 수급균형을 달성하기 위한 재배면적 전망 = 107
(4) 쌀 공급과잉구조의 해소가능성 = 108
4) 개방화에 따른 적절한 보상기준의 마련 = 111
5) 직접지불제도의 재검토 = 113
(1) 우리나라의 직불제 = 113
(2) 소득보전직불제 = 114
(3) 구조조정직불제 = 115
(4) 다원적 기능 제고를 위한 직접지불제도 = 116
(5) 직불제의 주요쟁점 검토 = 117
(6) 최근 논의되고 있는 직불제에 대한 검토 = 125
(7) 직접지불제에 대한 바람직한 접근방법 = 129
6) 추가적인 농정과제 = 131
7) 농촌 지역개발사업의 효율적 추진 = 133
8) 농정불신 해소와 농민단체의 역할 = 138
Ⅳ. 한국농업, 바닥치고 일어나는가 / 성진근 = 145
1. 농업ㆍ농촌 위축의 현장 = 145
1) 짙게 깔린 절망과 패배주의 = 145
2) 농업ㆍ농촌 위축의 경과 = 146
2. 농업ㆍ농촌 위축의 이유 = 155
1) 산업정책의 선택과 농업부문의 위축 = 156
2) 성장거점 개발정책의 선택과 농촌 위축 = 157
3) 개방화정책 선택과 비교열위산업의 한계 = 160
(1) 개방폭의 확대와 산업위축 = 160
(2) 개방대응정책의 선택과 산업위축 = 162
3. 농업경영환경과 정책환경의 변화 = 167
1) 전면개방으로 치닫고 있는 시장개방 = 167
2) 식품소비구조와 소비성향의 변화 = 172
3) 글로벌 규칙의 변화와 세계 농정의 전환 = 175
4. 정책전환의 방향을 선택하기 위한 단서 = 179
1) 시장개방되면 한국농업 망하는가? = 179
2) 도ㆍ농간 소득격차 확대-농업은 희망 없는 산업인가? = 188
3) 한국농산물에 대한 신수요(新需要)와 신시장 = 193
(1) 한국농산품에 대한 수요성장율을 높일 수는 없는가? = 194
(2) 한국농산물시장의 외연(外延)확장은 어려운가? = 195
4) X-비효율성(X-inefficiency)함정 탈출 = 196
Ⅴ. 강한 농업 지향적인 농정전환 방향 / 성진근 = 205
1. 개방대응 농정의 바람직한 틀(Frame) = 205
1) 농정 패러다임의 전환방향 = 205
2) 강한 농업을 지향하는 정책수단의 선택 = 209
(1) 경쟁력 있는 농업경영주체의 확보 = 210
(2) 경쟁력 향상에 초점을 맞춘 농지이용제도의 개선 = 211
(3) 농업생산 구조개선자금의 지속적인 공급체계 확보 = 213
2. 한국농업의 국제경쟁력 향상을 위한 전략적 접근 = 218
1) 국제경쟁력 향상 정책의 과제 = 218
2) 비가격적인 상품경쟁력의 강화 = 222
3) 농업자원 결합방식의 개선을 통한 가격경쟁력 향상 = 225
(1) 자본집약도를 높이기 위한 저이자율의 금융공급 확대 = 227
(2) 상품성 향상을 통한 농산물의 고부가가치화 = 230
3. 농업ㆍ농촌에 대한 신수요(新需要)와 신시장 확보 = 233
1) 농업ㆍ농촌의 신수요ㆍ신시장과 농업구조조정 = 233
2) 농업의 신수요와 바이오연료(Biofuel) = 237
3) 한국농업의 외연확장을 위한 해외농업 개발 = 240
(1) 왜 해외농업개발에 나서야 하는가? = 240
(2) 바람직한 해외농업진출 전략 = 244
(3) 농업해외 진출, 해볼만한 사업인가? = 247
4) 농촌공간의 휴양ㆍ정주 공간화 = 251
(1) 농촌공간의 새로운 가치 = 251
(2) 가치실천 수단으로서의 농촌ㆍ녹색관광(Green tourism) = 256
(3) 농촌ㆍ녹색관광의 수익모델(Business model) = 258
5) 식품산업을 새로운 성장동력화 = 260
6) 농업기술 개발(R&D)에 걸린 한국농업의 장래 = 269
4. 농업ㆍ농촌의 가치혁신과 농정전환 방향 = 274
1) 새롭게 음미해야 할 農(사람, 일, 터)의 가치 = 274
2) 농업ㆍ농촌의 가시혁신 방향 = 278
3) 농업정책수단과 추진체계의 혁신방향 = 280
Ⅵ. 강소농을 위한 농업경영의 혁신 / 양주환 ; 이광우 = 291
1. 국내 농산물 소비시장의 급속한 변화 = 291
2. 우리농업의 당면과제 = 292
1) 농산품 차별화 = 292
2) 신농업경영체의 집중적인 육성 = 293
3) 농산물 공급과잉 시대의 강소농(强小農) 도전 = 293
3. 농업경영과 농업경영체 = 295
1) 농업경영의 개념 = 295
2) 농업경영의 기본요소 = 295
3) 농업경영체의 유형과 현황 = 296
(1) 농업경영체의 유형 = 296
(2) 농업법인 경영체(약칭:농업법인) = 299
(3) 농업경영체의 현황 = 300
4. 농업경영의 혁신방향 = 303
1) 상품혁신(Process Innovation) = 304
(1) 본원상품 = 304
(2) 기대상품 = 305
(3) 확장상품 = 306
(4) 잠재상품 = 308
2) 프로세스 혁신(Product Innovation) = 310
3) 사람 혁신(People Innovation) = 312
5. 농업경영의 혁신사례 = 314
1) 세계경영에 나서고 있는 해외농업의 사례 = 314
2) 국내의 경영혁신 성공사례 = 335
6. 농업경영 혁신의 세부적인 실천전략 = 356
1) 상품 혁신 = 356
2) 프로세스 혁신 = 358
3) 사람 혁신 = 359
4) 강소농을 위한 혁신과제 = 362
참고문헌 = 364
Ⅰ. 10년 후 세계 및 한국의 경제사회 변화 모습 / 하인호 = 21
1. 10년 후 지구상 세번째 대변혁의 모습 = 22
1) 대변혁의 특성 = 22
2) 대변혁 속의 멀티 플레이어 = 23
3) 대변혁의 속성 = 24
4) 다가오는 대변혁의 파장 = 27
2. 10년 후 과학기술 발전추세 = 32
1) 2020년 이전 교통문제 해결 : 농촌인구유입 가능시기 = 33
2) 2020년 최첨단 과학기술 실용화 = 34
3) 2020년 : 우주산업사회 출발 = 35
4) 2020년 신농업 패러다임 정착기 = 36
3. 10년 후 한국 : 15가지 사회 변화 = 37
1) 역사상 초유의 구조조정 = 41
2) 대대적인 인구이동 = 41
3) 홈스쿨링 보편화 = 42
4) 캐어스쿨링 정착 = 42
5) 새롭게 각광받는 노령화 계층 = 43
6) 기업체들 시골 이전 = 43
7) 재택근무 사무실 설치 = 43
8) 가족중심 친환경 의식주 생활 = 43
9) 돌봄 경제시대 도래 = 44
10) 젊은이들의 해외이주 급증 = 44
11) 꿈, 상상력 중심 레저산업 번창 = 45
12) 네어아날로그 비즈니스 부각 = 45
13) 경제의 정치 지배 = 46
14) 지식허브 설치 = 46
15) 우주 재테크 성행 = 46
4. 미래혁명 : 농촌사회 패러다임 = 47
1) 10년 후 농촌 환경 = 47
2) 10년 후 신개념 농촌가치 = 49
3) 신 라이프사이클 = 51
4) 농촌과 도시의 경쟁 = 54
5) 농촌의 텔레리빙 = 56
6) 농업 컨소시엄 = 57
7) 농산물 신자유 경쟁 시장 = 58
Ⅱ. 농업, 농촌의 새로운 역할과 변화 / 설광언 = 63
1. 농업의 새로운 역할 = 63
2. 농업변화의 본질과 주요 원인 = 66
1) 인구 변화 = 66
2) 식품 소비행태(Behavior)의 변화와 식품산업 = 68
3) 식품산업과 농업 = 70
4) 바이오에너지와 농업 = 72
5) 농업관련 분야의 기술혁신 = 74
6) 농산물 교역의 확대 = 78
7) 환경을 생각하는 지속가능한 농업 = 80
8) 주요국가의 농정방향 = 82
3. 농촌사회의 변화 = 84
4. 국내농업구조의 변화 = 86
Ⅲ. 글로벌시대 한국농업ㆍ농촌의 발전방향 / 설광언 = 91
1. 패러다임의 전환 = 91
2. 한국농업의 당면과제와 정책방향 = 97
1) 개방화에 대비한 농업의 체질 강화 = 97
2) 농가소득 문제의 해결 = 100
3) 쌀 과잉공급 구조의 해소 = 102
(1) 쌀 공급과잉의 현황 = 102
(2) 쌀 공급과잉구조의 원인 = 105
(3) 수급균형을 달성하기 위한 재배면적 전망 = 107
(4) 쌀 공급과잉구조의 해소가능성 = 108
4) 개방화에 따른 적절한 보상기준의 마련 = 111
5) 직접지불제도의 재검토 = 113
(1) 우리나라의 직불제 = 113
(2) 소득보전직불제 = 114
(3) 구조조정직불제 = 115
(4) 다원적 기능 제고를 위한 직접지불제도 = 116
(5) 직불제의 주요쟁점 검토 = 117
(6) 최근 논의되고 있는 직불제에 대한 검토 = 125
(7) 직접지불제에 대한 바람직한 접근방법 = 129
6) 추가적인 농정과제 = 131
7) 농촌 지역개발사업의 효율적 추진 = 133
8) 농정불신 해소와 농민단체의 역할 = 138
Ⅳ. 한국농업, 바닥치고 일어나는가 / 성진근 = 145
1. 농업ㆍ농촌 위축의 현장 = 145
1) 짙게 깔린 절망과 패배주의 = 145
2) 농업ㆍ농촌 위축의 경과 = 146
2. 농업ㆍ농촌 위축의 이유 = 155
1) 산업정책의 선택과 농업부문의 위축 = 156
2) 성장거점 개발정책의 선택과 농촌 위축 = 157
3) 개방화정책 선택과 비교열위산업의 한계 = 160
(1) 개방폭의 확대와 산업위축 = 160
(2) 개방대응정책의 선택과 산업위축 = 162
3. 농업경영환경과 정책환경의 변화 = 167
1) 전면개방으로 치닫고 있는 시장개방 = 167
2) 식품소비구조와 소비성향의 변화 = 172
3) 글로벌 규칙의 변화와 세계 농정의 전환 = 175
4. 정책전환의 방향을 선택하기 위한 단서 = 179
1) 시장개방되면 한국농업 망하는가? = 179
2) 도ㆍ농간 소득격차 확대-농업은 희망 없는 산업인가? = 188
3) 한국농산물에 대한 신수요(新需要)와 신시장 = 193
(1) 한국농산품에 대한 수요성장율을 높일 수는 없는가? = 194
(2) 한국농산물시장의 외연(外延)확장은 어려운가? = 195
4) X-비효율성(X-inefficiency)함정 탈출 = 196
Ⅴ. 강한 농업 지향적인 농정전환 방향 / 성진근 = 205
1. 개방대응 농정의 바람직한 틀(Frame) = 205
1) 농정 패러다임의 전환방향 = 205
2) 강한 농업을 지향하는 정책수단의 선택 = 209
(1) 경쟁력 있는 농업경영주체의 확보 = 210
(2) 경쟁력 향상에 초점을 맞춘 농지이용제도의 개선 = 211
(3) 농업생산 구조개선자금의 지속적인 공급체계 확보 = 213
2. 한국농업의 국제경쟁력 향상을 위한 전략적 접근 = 218
1) 국제경쟁력 향상 정책의 과제 = 218
2) 비가격적인 상품경쟁력의 강화 = 222
3) 농업자원 결합방식의 개선을 통한 가격경쟁력 향상 = 225
(1) 자본집약도를 높이기 위한 저이자율의 금융공급 확대 = 227
(2) 상품성 향상을 통한 농산물의 고부가가치화 = 230
3. 농업ㆍ농촌에 대한 신수요(新需要)와 신시장 확보 = 233
1) 농업ㆍ농촌의 신수요ㆍ신시장과 농업구조조정 = 233
2) 농업의 신수요와 바이오연료(Biofuel) = 237
3) 한국농업의 외연확장을 위한 해외농업 개발 = 240
(1) 왜 해외농업개발에 나서야 하는가? = 240
(2) 바람직한 해외농업진출 전략 = 244
(3) 농업해외 진출, 해볼만한 사업인가? = 247
4) 농촌공간의 휴양ㆍ정주 공간화 = 251
(1) 농촌공간의 새로운 가치 = 251
(2) 가치실천 수단으로서의 농촌ㆍ녹색관광(Green tourism) = 256
(3) 농촌ㆍ녹색관광의 수익모델(Business model) = 258
5) 식품산업을 새로운 성장동력화 = 260
6) 농업기술 개발(R&D)에 걸린 한국농업의 장래 = 269
4. 농업ㆍ농촌의 가치혁신과 농정전환 방향 = 274
1) 새롭게 음미해야 할 農(사람, 일, 터)의 가치 = 274
2) 농업ㆍ농촌의 가시혁신 방향 = 278
3) 농업정책수단과 추진체계의 혁신방향 = 280
Ⅵ. 강소농을 위한 농업경영의 혁신 / 양주환 ; 이광우 = 291
1. 국내 농산물 소비시장의 급속한 변화 = 291
2. 우리농업의 당면과제 = 292
1) 농산품 차별화 = 292
2) 신농업경영체의 집중적인 육성 = 293
3) 농산물 공급과잉 시대의 강소농(强小農) 도전 = 293
3. 농업경영과 농업경영체 = 295
1) 농업경영의 개념 = 295
2) 농업경영의 기본요소 = 295
3) 농업경영체의 유형과 현황 = 296
(1) 농업경영체의 유형 = 296
(2) 농업법인 경영체(약칭:농업법인) = 299
(3) 농업경영체의 현황 = 300
4. 농업경영의 혁신방향 = 303
1) 상품혁신(Process Innovation) = 304
(1) 본원상품 = 304
(2) 기대상품 = 305
(3) 확장상품 = 306
(4) 잠재상품 = 308
2) 프로세스 혁신(Product Innovation) = 310
3) 사람 혁신(People Innovation) = 312
5. 농업경영의 혁신사례 = 314
1) 세계경영에 나서고 있는 해외농업의 사례 = 314
2) 국내의 경영혁신 성공사례 = 335
6. 농업경영 혁신의 세부적인 실천전략 = 356
1) 상품 혁신 = 356
2) 프로세스 혁신 = 358
3) 사람 혁신 = 359
4) 강소농을 위한 혁신과제 = 362
참고문헌 = 3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