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장정보
서가번호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소장처 | 대출가능여부 | 대출정보 | |
---|---|---|---|---|---|---|
0017149 | 522.1 농815ㅎ v.제1권 | 농림축산식품부 자료실 | 대출가능 |
* 대출중인 자료에 한하여 예약이 가능합니다. 예약을 원하시면 예약버튼을 클릭하십시오.
008090205s2008 ggkad 000a korIC
056 ▼a522.1▼24
090 ▼a522.1▼b농815ㅎ
110 ▼a농촌진흥청
24510▼a농업 근대화의 여명▼b한국농업 근현대사▼d농촌진흥청 [편]▼n제1권
260 ▼a수원▼b농촌진흥청▼c2008.
300 ▼axⅵ, 512 p.▼b삽도, 챠트▼c31 cm.
44000▼a한국농업 근현대사▼v제1권
504 ▼a참고문헌 수록
9501 ▼a비매품
제1부 조선후기
제1장 농업정책의 시행과 농업생산력의 발달
1. 농업정책의 시행 = 3
1.1 권농정책과 개간 장려 = 3
1.2 농형파악과 감농정책의 시행 = 6
1.3 흉년과 구황정책의 실행 = 9
1.4 정조시대 화성 축조와 농업진흥책 = 16
2. 농업생산력의 발달 = 21
2.1 벼농사 기술의 발달(이앙버의 보급) = 21
2.2 밭 이모작 경작방식의 고도화 = 29
2.3 논과 밭의 시비법 발달 = 32
2.4 농기구와 수리시설의 발달 = 36
3. 농서 편찬 = 41
3.1 산림경제의 편찬과 증보 = 41
3.2 정조의 농서대전 편찬 추진 = 47
3.3 서유구의 임원경제지 편찬 = 51
제2장 농업경영의 변화와 농촌사회의 변동
1. 지주제와 소농경영의 변동 = 58
1.1 지주경영의 변동 = 58
1.2 소농경영의 변화 = 68
2. 궁방전과 아문둔전의 경영변화 = 74
3. 농촌시장의 발달과 상업적 농업 = 82
3.1 장시의 발달과 장시망의 형성 = 82
3.2 상업적 농업경영의 추이 = 92
4. 농민층의 분화와 농촌사회의 변동 = 98
4.1 농민층의 분화 = 98
4.2 농촌조직의 양상 = 105
4.3 세시풍속과 농사의례 = 110
제3장 농민항쟁과 농업개혁론의 추이
1. 19세기 농민항재의 전개 = 115
1.1 농민항쟁 발생의 배경 = 115
1.2 1811년 농민전쟁의 발달 = 123
1.3 1862년 전국적인 농민항쟁의 전개 = 128
2. 농정개선론의 추이 = 136
2.1 양전시행론 = 136
2.2 수리시설 개혁론과 농기구 변통론 = 143
3. 실학파의 농업 개혁론 = 149
3.1 유형원의 국가 개혁론 = 149
3.2 박지원의 농업개혁론 = 152
3.3 박제가의 기술수용론 = 158
3.4 정약용의 농업 개혁론 = 162
3.5 서유구의 농업론 = 164
제2부 개항이후
제4장 개항기와 대한제국의 농업정책
1. 개항기 농업정책의 시행 = 170
1.1 대원군의 농촌 수습책 = 170
1.2 개항이후 농업정책의 실시 = 174
1.3 갑오개혁의 농업정책 = 186
2. 대한제국의 농어정책 = 196
2.1 광무개혁과 양전ㆍ지계 사업 = 196
2.2 역둔토 정리사업의 실시 = 204
2.3 식산흥업책과 실업교육 = 207
2.4 광무정권이 개간 정책 = 210
2.5 농림관련 회사의 설립 = 215
제5장 농업경영과 농촌사회의 변화
1. 개항과 농촌사회의 변화 = 221
1.1 개항과 유통질서의 변화 = 221
1.2 곡물가격의 지역별, 연도별 변화 추세 = 227
1.3 방곡령의 실시와 좌절 = 235
2. 지주제의 성장과 식민지 지주제로의 전화 = 240
2.1 미곡상품화의 진전과 지주제의 강화 = 240
2.2 한말∼일제초 지주제 경영사례 = 244
3. 상업적농업의 발전과 부농경영의 성쇠 = 255
3.1 개항기 부농경영의 사례와 비율 = 255
3.2 개항기 면화농업의 성장과 쇠퇴 = 256
3.3 개항기 연초농업이 성장과 쇠퇴 = 264
제6장 농민항쟁과 농민전쟁의 전개
1. 갑오농민전쟁의 사회적 배경 = 274
1.1 생산력의 발전과 계급구성의 변화 = 274
1.2 향촌사회와 부세운영의 변화 = 276
1.3 동학의 확산과 민중의식의 변화 = 284
2. 갑오농민전쟁의 전개과정 = 296
2.1 교조신원(敎祖伸寃)운동 = 296
2.2 고부농민항쟁과 1차봉기 = 301
2.3 집강소 개혁과 2차봉기 = 309
3. 농민전쟁 이후 정부의 대응과 농민운동의 양상 = 322
3.1 개화파의 농민전쟁에 대한 대응과 수습대책 = 322
3.2 농민전쟁 이후 동학농민의 동향 = 326
3.3 대한제국기의 농민운동 = 330
제7장 서양농업과학기술이 도입
1. 개화사상과 문호개방 = 336
2. 개화기구로서 농상사(農桑司)의 설치 = 338
3. 서양 농업과학기술의 도입 = 341
3.1 동양의 경험농학과 서양의 실험농학 = 341
3.2 개화기 이전 서양 농업과학기술의 도입 = 343
3.3 신사유람단의 파견과 농정신편의 편찬 = 344
3.4 농정촬요와 중맥설의 공기(空氣)인식 = 349
3.5 기타 개화기의 여러 실험농학서 = 351
3.6 개화기 농서들의 특징 = 353
4. 개화기의 농사시험연구 = 355
4.1 보빙사(報聘使)의 파견과 견문 = 355
4.2 농무목축시험장과 종목국 = 356
4.3 잠상시험장의 설치와 그 운영 = 360
4.4 가축모범사육장의 설치 = 362
4.5 농상공학교 부속 농사시험장 = 364
4.6 원예모범장의 개설과 운영 = 366
4.7 권업모범장의 설치와 시험연구 = 369
5. 개화기 유럽의 실험농합교육 = 376
5.1 개화초기 농업교육과 농상공학교 = 376
5.2 농상공부소관 농림학교 = 379
5.3 지방농업교육과 농업강습소 = 382
5.4 해외농업유학 = 383
5.5 외국농학자의 초빙 = 385
6. 개화기 외국인에 의한 작물도입과 농업단체 = 389
6.1 선교사 등 외국인에 의한 새로운 작물의도입 = 389
6.2 개화기의 농업단체와 그 역할 = 392
제8장 조선후기와 대한제국의 농업생산
1. 조선후기 및 대한제국의 농촌실정 = 400
2. 농업생산과소비 = 404
2.1 생산품목 = 404
2.2 농산물 생산액 = 413
2.3 농산물 수출입 = 418
2.4 농산물 시장과 소비 = 420
2.5 농업생산 기반조건 = 425
3. 농업생산성 = 429
4. 농업기술 = 435
4.1 관행농사법 = 435
4.2 작부체계 = 438
4.3 작목별 기술 = 443
5. 농업기술의 근대화 = 503
6. 농업의 기술보급ㆍ교육 = 506
제1장 농업정책의 시행과 농업생산력의 발달
1. 농업정책의 시행 = 3
1.1 권농정책과 개간 장려 = 3
1.2 농형파악과 감농정책의 시행 = 6
1.3 흉년과 구황정책의 실행 = 9
1.4 정조시대 화성 축조와 농업진흥책 = 16
2. 농업생산력의 발달 = 21
2.1 벼농사 기술의 발달(이앙버의 보급) = 21
2.2 밭 이모작 경작방식의 고도화 = 29
2.3 논과 밭의 시비법 발달 = 32
2.4 농기구와 수리시설의 발달 = 36
3. 농서 편찬 = 41
3.1 산림경제의 편찬과 증보 = 41
3.2 정조의 농서대전 편찬 추진 = 47
3.3 서유구의 임원경제지 편찬 = 51
제2장 농업경영의 변화와 농촌사회의 변동
1. 지주제와 소농경영의 변동 = 58
1.1 지주경영의 변동 = 58
1.2 소농경영의 변화 = 68
2. 궁방전과 아문둔전의 경영변화 = 74
3. 농촌시장의 발달과 상업적 농업 = 82
3.1 장시의 발달과 장시망의 형성 = 82
3.2 상업적 농업경영의 추이 = 92
4. 농민층의 분화와 농촌사회의 변동 = 98
4.1 농민층의 분화 = 98
4.2 농촌조직의 양상 = 105
4.3 세시풍속과 농사의례 = 110
제3장 농민항쟁과 농업개혁론의 추이
1. 19세기 농민항재의 전개 = 115
1.1 농민항쟁 발생의 배경 = 115
1.2 1811년 농민전쟁의 발달 = 123
1.3 1862년 전국적인 농민항쟁의 전개 = 128
2. 농정개선론의 추이 = 136
2.1 양전시행론 = 136
2.2 수리시설 개혁론과 농기구 변통론 = 143
3. 실학파의 농업 개혁론 = 149
3.1 유형원의 국가 개혁론 = 149
3.2 박지원의 농업개혁론 = 152
3.3 박제가의 기술수용론 = 158
3.4 정약용의 농업 개혁론 = 162
3.5 서유구의 농업론 = 164
제2부 개항이후
제4장 개항기와 대한제국의 농업정책
1. 개항기 농업정책의 시행 = 170
1.1 대원군의 농촌 수습책 = 170
1.2 개항이후 농업정책의 실시 = 174
1.3 갑오개혁의 농업정책 = 186
2. 대한제국의 농어정책 = 196
2.1 광무개혁과 양전ㆍ지계 사업 = 196
2.2 역둔토 정리사업의 실시 = 204
2.3 식산흥업책과 실업교육 = 207
2.4 광무정권이 개간 정책 = 210
2.5 농림관련 회사의 설립 = 215
제5장 농업경영과 농촌사회의 변화
1. 개항과 농촌사회의 변화 = 221
1.1 개항과 유통질서의 변화 = 221
1.2 곡물가격의 지역별, 연도별 변화 추세 = 227
1.3 방곡령의 실시와 좌절 = 235
2. 지주제의 성장과 식민지 지주제로의 전화 = 240
2.1 미곡상품화의 진전과 지주제의 강화 = 240
2.2 한말∼일제초 지주제 경영사례 = 244
3. 상업적농업의 발전과 부농경영의 성쇠 = 255
3.1 개항기 부농경영의 사례와 비율 = 255
3.2 개항기 면화농업의 성장과 쇠퇴 = 256
3.3 개항기 연초농업이 성장과 쇠퇴 = 264
제6장 농민항쟁과 농민전쟁의 전개
1. 갑오농민전쟁의 사회적 배경 = 274
1.1 생산력의 발전과 계급구성의 변화 = 274
1.2 향촌사회와 부세운영의 변화 = 276
1.3 동학의 확산과 민중의식의 변화 = 284
2. 갑오농민전쟁의 전개과정 = 296
2.1 교조신원(敎祖伸寃)운동 = 296
2.2 고부농민항쟁과 1차봉기 = 301
2.3 집강소 개혁과 2차봉기 = 309
3. 농민전쟁 이후 정부의 대응과 농민운동의 양상 = 322
3.1 개화파의 농민전쟁에 대한 대응과 수습대책 = 322
3.2 농민전쟁 이후 동학농민의 동향 = 326
3.3 대한제국기의 농민운동 = 330
제7장 서양농업과학기술이 도입
1. 개화사상과 문호개방 = 336
2. 개화기구로서 농상사(農桑司)의 설치 = 338
3. 서양 농업과학기술의 도입 = 341
3.1 동양의 경험농학과 서양의 실험농학 = 341
3.2 개화기 이전 서양 농업과학기술의 도입 = 343
3.3 신사유람단의 파견과 농정신편의 편찬 = 344
3.4 농정촬요와 중맥설의 공기(空氣)인식 = 349
3.5 기타 개화기의 여러 실험농학서 = 351
3.6 개화기 농서들의 특징 = 353
4. 개화기의 농사시험연구 = 355
4.1 보빙사(報聘使)의 파견과 견문 = 355
4.2 농무목축시험장과 종목국 = 356
4.3 잠상시험장의 설치와 그 운영 = 360
4.4 가축모범사육장의 설치 = 362
4.5 농상공학교 부속 농사시험장 = 364
4.6 원예모범장의 개설과 운영 = 366
4.7 권업모범장의 설치와 시험연구 = 369
5. 개화기 유럽의 실험농합교육 = 376
5.1 개화초기 농업교육과 농상공학교 = 376
5.2 농상공부소관 농림학교 = 379
5.3 지방농업교육과 농업강습소 = 382
5.4 해외농업유학 = 383
5.5 외국농학자의 초빙 = 385
6. 개화기 외국인에 의한 작물도입과 농업단체 = 389
6.1 선교사 등 외국인에 의한 새로운 작물의도입 = 389
6.2 개화기의 농업단체와 그 역할 = 392
제8장 조선후기와 대한제국의 농업생산
1. 조선후기 및 대한제국의 농촌실정 = 400
2. 농업생산과소비 = 404
2.1 생산품목 = 404
2.2 농산물 생산액 = 413
2.3 농산물 수출입 = 418
2.4 농산물 시장과 소비 = 420
2.5 농업생산 기반조건 = 425
3. 농업생산성 = 429
4. 농업기술 = 435
4.1 관행농사법 = 435
4.2 작부체계 = 438
4.3 작목별 기술 = 443
5. 농업기술의 근대화 = 503
6. 농업의 기술보급ㆍ교육 = 5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