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장정보
서가번호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소장처 | 대출가능여부 | 대출정보 | |
---|---|---|---|---|---|---|
0015183 | 521.509 농63ㄴ | 농림축산식품부 자료실 | 대출가능 |
* 대출중인 자료에 한하여 예약이 가능합니다. 예약을 원하시면 예약버튼을 클릭하십시오.
008080402s1996 ggka 000a korWA
056 ▼a521.509▼23
090 ▼a521.509▼b농63ㄴ
110 ▼a농어촌진흥공사
24500▼a농공기술50년사▼d농어촌진흥공사 [편]
260 ▼a경기▼b농어촌진흥공사▼c1996
300 ▼a1283 p.▼b삽도▼c30 cm
9501 ▼a비매품
제1편 총론
제1장 농공기술의 사적개관
제1절 서론
1. 농공기술의 개관 = 65
2. 역사의 구성 = 67
제2절 시대적 변천상
1. 삼국시대 = 69
2. 통일신라 및 고려시대 = 71
3. 조선시대 = 73
4. 일정시대 = 79
5. 광복이후 = 87
제3절 농어업 관련 정책 추이
1. 농어업 관련 정책 = 105
2. 농어업 관련법 = 106
3. 농어업분야 건설 관련법 = 114
4. 관계 법령의 제정 및 개정 = 119
제2장 농공기술 사업의 전개
제1절 광복초기 수리사업
1. 미군정기 = 130
2. 외국원조와 수리시설 = 133
제2절 경제개발계획 추이(1960년대)
1. 국토건설을 위한 수리사업의 태동 = 140
2. 간척 = 145
3. 경지정리 = 153
4. 전천후 농업용수 개발과 지하수 개발 = 158
제3절 농촌근대화 구현(1970년대)
1. 대단위 농업종합개발 = 167
2. 대규모 야산 개발 = 196
3. 배수개선 = 200
제4절 농업기반 현대화(1980년대)
1. 내한능력조사와 농업용수개발 = 206
2. 농어촌 지역종합개발사업 시도 = 212
3. 농공기술의 해외진출 = 215
4. 원예 주산 단지 조성 = 218
제5절 농업기계화 사업의 전개
1. 농업기계 보급 = 220
2. 농업기계화 자금 지원 = 223
제3장 농어촌의 선진화(1990년대)
제1절 생산기반 조성
1. 농어촌 용수개발 = 225
2. 농지생산기반 종합정비 = 233
3. 밭기반정비 = 237
4. 한계농지정비 = 240
5. 농지규모화 = 241
제2절 농어촌 소득기반 확충
1. 첨단농업시설 = 245
2. 지하암반 저장시설 = 247
3. 저온저장 시설 = 252
4. 농공단지 = 253
5. 축산단지 = 260
6. 미곡 종합처리장, 청과물 종합유통시설 = 261
제3절 농어촌 생활환경 개선
1. 정주생활권 개발 = 263
2. 농어촌 생활환경 정비 = 266
3. 농산어촌 마을 정비 = 268
4. 농어촌 소득원도로 건설 = 270
5. 농어촌 도로정비 = 271
6. 기계화 경작로 확·포장 = 271
제2편 기술의 발전
제1장 농업토목분야
제1절 농업용수 개발 및 이용
1. 지표수개발 개관 = 281
2. 저수지 = 285
3. 보 = 303
4. 양·배수장 = 305
5. 지하수개발 및 지하댐 = 314
6. 용·배수로 = 321
7. 경지정리 = 330
8. 지표 및 지하 배수 = 337
9. 개간 = 339
제2절 간척
1. 간척자원 조사 = 341
2. 간척기술 개관 = 349
3. 방조제 = 352
4. 배수갑문 = 369
5. 제염시설 = 375
6. 어도 = 378
7. 간척지개답 및 포락방지 = 380
제3절 기술의 실패 및 극복
1. 조사 및 설계 = 387
2. 시공 = 398
제2장 기계, 전기 및 기타
제1절 기계, 전기 분야
1. 기계 = 410
2. 전기 = 416
3. 건축 = 420
제2절 전문기초 분야
1. 수문 및 해상 = 422
2. 재료 및 토질 = 430
3. 토양 = 434
4. 수리실험 = 439
5. 지질 = 442
6. 농업 = 448
7. 농업경제 = 451
제3절 수리시설물의 유지관리
1. 유지관리 = 452
2. 시설물의 안전진단 = 455
3. 유지관리 및 보수 = 462
4. 물관리 = 466
제3장 농업기계화
제1절 농업기계화의 변천
1. 시대별 변천 = 468
2. 농기계의 표준화 및 검사 = 482
3. 농업기계 생산 = 485
4. 농업기계 제조업 = 488
5. 농업기계 유통 = 490
제2절 경종의 기계화
1. 경운정지 기계화 = 494
2. 파종·이양 기계화 = 496
3. 방제관리 작업 기계화 = 498
4. 수확작업 기계화 = 500
제3절 농업기계의 이용
1. 농업기계 이용조직 = 503
2. 농업기계 훈련 = 505
3. 농업기계 사후관리 = 507
4. 농업기계화 시범 농장 = 509
제4장 기준화 및 전산화
제1절 설계기술의 기준화
1. 계획설계 기준 정비 = 515
2. 시설물 표준도 개발 및 정비 = 519
3. 농어촌주택의 표준화 = 520
4. 수로구조물의 조립식화 = 522
제2절 농공기술의 전산화
1. 컴퓨터 활용 = 524
2. 설계의 전산화(CAD) = 530
3. 시공관리의 전산화 = 531
4. 지형정보시스템의 활용(GIS) = 535
제5장 장비 및 공법
제1절 조사시험장비 및 기기
1. 조사측량장비 = 539
2. 해상측량기술의 변천 = 543
3. 재료 및 토질조사 시험기기 = 548
4. 환경조사 장비 및 시험기기 = 556
5. 지질조사 장비 및 물리탐사 기기 = 560
6. 수리시험 장비 및 기기 = 564
제2절 건설장비
1. 농지개량사업의 기계화 시공 = 568
2. 건설장비(댐, 간척 등) = 571
3. 농공분야 전용 장비 = 580
4. 기기 및 초기의 공사용 자재 = 581
제3절 시공기술 및 공법
1. 축제공법 = 583
2. 방조제 축조공법 = 596
3. 시추 및 착정공법 = 600
4. 개간공법 = 602
5. 경지정리 공법 = 604
제6장 환경
제1절 환경영향 평가
1. 제도 도입 및 변천 = 605
2. 평가 = 609
3. 환경영향평가서의 협의 = 619
제2절 사후 환경영향 조사
1. 제도 도입 = 620
2. 조사 = 622
제3절 환경보전과 오염대책
1. 수질조사 및 보전 = 624
2. 농어촌 환경보존과 오염대책 = 627
제7장 기술의 국제적 진출
제1절 국제기술용역 및 기술지원
1. 해외 기술지원 및 자문 = 629
2. 국제 기술용역 = 633
제2절 국제연합 한국사업기구
1. 국제연합 한국재건단(UNKRA) = 639
2. 국제연합 한국간척사업기구(UNTID) = 641
3. 국제연합 한국개간사업기구(UNKUP) = 642
4. 국제연합 한국관정관개사업기구 = 643
5. 경사지개발 및 유역관리사업기구와 산림조사개발 사업기구 = 644
6. 국제연합 한국배수개선사업기구(UNDIPOK) = 644
7. UNDP 한국수리시험사업기구 = 646
제8장 북한의 농공기술
제1절 수자원 이용
1. 농업용수 개발 = 648
2. 지하수개발 = 651
3. 대단위 농업용수 개발 = 652
4. 양수장 건설 = 653
5. 2천리 물길 건설과 용수체계 = 653
제2절 농지조성사업
1. 간척 = 658
2. 서해갑문 건설 = 660
3. 간척지 제염 = 662
4. 다락밭 건설과 밭관개 = 663
제3편 농공기술의 산실
제1장 연구와 교육
제1절 연구기관
1. 농어촌진흥공사「농어촌연구원」 = 673
2. 농촌진흥청「농업기계화연구소」 = 703
3. 농지개량조합연합회「시험연구소」 = 708
4. 대학 부설연구소 = 713
5. 농공기술 연구분야 재단법인 = 714
제2절 교육
1. 농업고등학교 변천 = 716
2. 농공학과 개설 전문대학의 변천 = 719
3. 농공학과 개설 농과대학 및 대학원의 변천 = 722
제3절 직무 및 기술 교육
1. 기술교육의 변천 = 727
2. 농어촌진흥공사 교육원 = 728
3. 농업공무원 교육원 = 730
4. 건설기술교육원 = 731
제4절 도서관, 박물관 및 전시관
1. 도서관 = 732
2. 박물관 및 전시관 = 733
제2장 관련기관, 학술단체 및 기업
제1절 기관
1. 농림부 = 735
2. 농촌진흥청 = 739
3. 농어촌진흥공사 = 743
4. 농지개량조합연합회 = 754
5. 농지개량조합 = 759
6. 한국수자원공사 = 765
7. 한국토지공사 = 768
8. 농공기술 시행기관의 변천 = 769
제2절 학술 및 기술단체
1. 한국관개배수위원회 = 776
2. 한국농공학회 = 780
3. 한국농업기계학회 = 781
4. 한국농촌계획학회 = 783
5. 한국 대댐회 = 783
6. 한국생물생산시설환경학회 = 785
7. 한국첨단농업시설협의회 = 786
제3절 국제학술단체 가입 및 활동
1. 국제관개배수위원회(ICID) = 789
2. 국제대댐회(ICOLD) = 790
3. 국제수리학회(IAHR) = 791
4. 미국 토목학회(ASCE) = 793
5. 미국 콘크리트협회(ACI) = 795
6. 미국 농업토목학회(ASAE) = 796
7. 일본 농업토목학회(JSIDRE) = 797
8. 일본 농업기계학회(JSAM) = 797
9. 일본 토목학회(JSCE) = 798
제4절 전문기술 및 기업
1. 기술자격 = 800
2. 농어업토목분야 엔지니어링 활동주체 = 804
3. 차관사업 관련 기업 = 806
제4편 21C의 선진기술과 제도발전 방향
제1장 기술의 전망
제1절 환경보전형 개발
1. 환경보전과 지속적 농업 = 818
2. 농어촌용수 수질의 보전과 관리 = 820
3. 농어촌 환경개선 및 경관 보전 = 821
제2절 수자원관리
1. 수계통합에 의한 수자원 활용 = 822
2. 수리시설물의 자동화 = 824
3. 지하배수 및 지하관개 = 827
4. TC/TM에 의한 용수 관리 = 829
제3절 시설 영농 및 농업생산 자동화
1. 시설원예 = 834
2. 농업생산의 자동화 = 835
3. 첨단 영농 시설 = 837
4. 환경친화 및 저에너지형 농업기계 = 840
제4절 위성의 활용
1. 원격탐사 = 844
2. 지형정보시스템(GIS) = 850
3. 범지구항법시스템(GPS) = 852
제5절 기술의 세계화
1. 국제기술 교류 = 855
2. 국제기술 협력 = 857
3. 국제기관 진출 = 858
4. 해외농업 기술지원 = 859
제2장 제도개선
제1절 농지제도의 정립
1. 농업적 이용에 의한 농지의 효율화 = 863
2. 유휴·한계 농지의 활용 = 864
3. 시·군의 농지 이용계획 수립제도의 정립 = 867
제2절 농공관련 금융제도
1. 금융제도 현황 = 868
2. 농공관련 자금의 운영 실태 = 874
3. 자금조달 = 877
4. 자금운영 = 879
5. 농지관리 기금 = 880
제3절 농공관련 조세제도
1. 조세체계와 농업관련 세제 = 884
2. 조세현황과 문제점 = 886
3. 농지세 = 901
4. 토지초과 이득세 = 902
5. 종합토지세 = 903
6. 양도소득세 = 903
7. 상속세 = 905
8. 취득세 = 905
9. 농어촌 특별세 = 905
제4절 농어업 생산기반 관련법
1. 농어업 생산기반 관련법의 체계와 현황 = 906
2. 간척사업의 시행체계와 문제점 = 915
3. 간척사업의 향후 개선 방향 = 921
제5편 외국의 농공기술
제1장 주요 국가별 농공기술
제1절 동양편
1. 일본 = 939
2. 중국 = 958
3. 인도 = 963
4. 인도네시아 = 968
5. 베트남 = 971
제2절 서양편
1. 미국 = 976
2. 프랑스 = 982
3. 독일 = 990
4. 화란 = 992
5. 영국 = 997
6. 스페인 = 998
7. 이태리 = 1002
8. 이스라엘 = 1005
제2장 외국의 주요 연구소 및 기관
제1절 동양편
1. 일본 = 1010
가. 농업공학연구소(NRIAE) = 1010
2. 중국 = 1016
가. 장강과학원(YRSRI) = 1016
나. 농업공학연구설계원(CAAERP) = 1017
3. 인도 = 1018
가. 수자원관리 개발센터(CWRDM) = 1018
제2절 서양편
1. 미국 = 1019
가. 미개척국(USBR) = 1019
나. 미국육군공병단 수로시험장(WES) = 1022
다. 농업연구소(ARS) = 1023
라. 자연자원보전국(NRCS) = 1026
2. 프랑스 = 1028
가. 세마그라프연구소 = 1028
3. 독일 = 1031
가. 연방수로공학연구소(BAW) = 1031
나. 오스카밀러연구소 = 1032
4. 화란 = 1033
가. 델프트연구소(DHL) = 1033
5. 영국 = 1034
가. 윌링포드 수리연구소(HR, Wallingford) = 1034
나. 윌링포드 수문연구소(IH, Wallingford) = 1036
6. 스페인 = 1037
가. 국립농지개량기구(IRYDA) = 1037
7. 이태리 = 1038
가. 국립연구원 수자원연구소(WRI) = 1038
8. 이스라엘 = 1040
가. 볼카니 농업연구소(ARO) = 1040
제6편 부록
부록-1 경지면적 = 1047
부록-2 미곡 재배면적 및 생산량 = 1048
부록-3 수리시설의 유적 = 1049
부록-4 수리시설의 피해 = 1059
부록-5 농업용수 개발 실적 = 1063
부록-6 대단위사업 실적 = 1095
부록-7 간척사업 실적 = 1104
부록-8 경지정리사업 실적 = 1113
부록-9 개간사업 실적 = 1114
부록-10 배수개선사업 실적 = 1115
부록-11 농어촌도로사업 실적 = 1116
부록-12 지하수개발 실적 = 1117
부록-13 밭기반정비사업 실적 = 1121
부록-14 시설영농사업 실적 = 1124
부록-15 원예주산단지조성 실적 = 1128
부록-16 농업기계산업 현황 = 1129
부록-17 해외기술용역 실적 = 1131
부록-18 국제협력사업 실적 = 1136
부록-19 엔지니어링 활동주체 현황 = 1141
부록-20 한국첨단농업시설 형황 = 1144
부록-21 농공관련 주요 도서목록 = 1151
부록-22 박물관 및 전시관 = 1169
부록-23 농지개량조합 일람표 = 1175
부록-24 연구사업 실적 = 1179
부록-25 농공관련 대학 교수명단 = 1207
부록-26 농공학과 박사학위 배출자 명단 = 1219
부록-27 전국농업토목, 농업기계 개설 농업고등학교현황 = 1229
부록-28 농어업 토목기술사 명단 = 1232
부록-29 농공관련기관 종사자 박사학위 취득자 현황 = 1239
부록-30 농공관련기관 기술자 종사자 자격취득 현황 = 1248
부록-31 북한 기술용어 사전 = 1251
부록-32 연대표 = 1274
제1장 농공기술의 사적개관
제1절 서론
1. 농공기술의 개관 = 65
2. 역사의 구성 = 67
제2절 시대적 변천상
1. 삼국시대 = 69
2. 통일신라 및 고려시대 = 71
3. 조선시대 = 73
4. 일정시대 = 79
5. 광복이후 = 87
제3절 농어업 관련 정책 추이
1. 농어업 관련 정책 = 105
2. 농어업 관련법 = 106
3. 농어업분야 건설 관련법 = 114
4. 관계 법령의 제정 및 개정 = 119
제2장 농공기술 사업의 전개
제1절 광복초기 수리사업
1. 미군정기 = 130
2. 외국원조와 수리시설 = 133
제2절 경제개발계획 추이(1960년대)
1. 국토건설을 위한 수리사업의 태동 = 140
2. 간척 = 145
3. 경지정리 = 153
4. 전천후 농업용수 개발과 지하수 개발 = 158
제3절 농촌근대화 구현(1970년대)
1. 대단위 농업종합개발 = 167
2. 대규모 야산 개발 = 196
3. 배수개선 = 200
제4절 농업기반 현대화(1980년대)
1. 내한능력조사와 농업용수개발 = 206
2. 농어촌 지역종합개발사업 시도 = 212
3. 농공기술의 해외진출 = 215
4. 원예 주산 단지 조성 = 218
제5절 농업기계화 사업의 전개
1. 농업기계 보급 = 220
2. 농업기계화 자금 지원 = 223
제3장 농어촌의 선진화(1990년대)
제1절 생산기반 조성
1. 농어촌 용수개발 = 225
2. 농지생산기반 종합정비 = 233
3. 밭기반정비 = 237
4. 한계농지정비 = 240
5. 농지규모화 = 241
제2절 농어촌 소득기반 확충
1. 첨단농업시설 = 245
2. 지하암반 저장시설 = 247
3. 저온저장 시설 = 252
4. 농공단지 = 253
5. 축산단지 = 260
6. 미곡 종합처리장, 청과물 종합유통시설 = 261
제3절 농어촌 생활환경 개선
1. 정주생활권 개발 = 263
2. 농어촌 생활환경 정비 = 266
3. 농산어촌 마을 정비 = 268
4. 농어촌 소득원도로 건설 = 270
5. 농어촌 도로정비 = 271
6. 기계화 경작로 확·포장 = 271
제2편 기술의 발전
제1장 농업토목분야
제1절 농업용수 개발 및 이용
1. 지표수개발 개관 = 281
2. 저수지 = 285
3. 보 = 303
4. 양·배수장 = 305
5. 지하수개발 및 지하댐 = 314
6. 용·배수로 = 321
7. 경지정리 = 330
8. 지표 및 지하 배수 = 337
9. 개간 = 339
제2절 간척
1. 간척자원 조사 = 341
2. 간척기술 개관 = 349
3. 방조제 = 352
4. 배수갑문 = 369
5. 제염시설 = 375
6. 어도 = 378
7. 간척지개답 및 포락방지 = 380
제3절 기술의 실패 및 극복
1. 조사 및 설계 = 387
2. 시공 = 398
제2장 기계, 전기 및 기타
제1절 기계, 전기 분야
1. 기계 = 410
2. 전기 = 416
3. 건축 = 420
제2절 전문기초 분야
1. 수문 및 해상 = 422
2. 재료 및 토질 = 430
3. 토양 = 434
4. 수리실험 = 439
5. 지질 = 442
6. 농업 = 448
7. 농업경제 = 451
제3절 수리시설물의 유지관리
1. 유지관리 = 452
2. 시설물의 안전진단 = 455
3. 유지관리 및 보수 = 462
4. 물관리 = 466
제3장 농업기계화
제1절 농업기계화의 변천
1. 시대별 변천 = 468
2. 농기계의 표준화 및 검사 = 482
3. 농업기계 생산 = 485
4. 농업기계 제조업 = 488
5. 농업기계 유통 = 490
제2절 경종의 기계화
1. 경운정지 기계화 = 494
2. 파종·이양 기계화 = 496
3. 방제관리 작업 기계화 = 498
4. 수확작업 기계화 = 500
제3절 농업기계의 이용
1. 농업기계 이용조직 = 503
2. 농업기계 훈련 = 505
3. 농업기계 사후관리 = 507
4. 농업기계화 시범 농장 = 509
제4장 기준화 및 전산화
제1절 설계기술의 기준화
1. 계획설계 기준 정비 = 515
2. 시설물 표준도 개발 및 정비 = 519
3. 농어촌주택의 표준화 = 520
4. 수로구조물의 조립식화 = 522
제2절 농공기술의 전산화
1. 컴퓨터 활용 = 524
2. 설계의 전산화(CAD) = 530
3. 시공관리의 전산화 = 531
4. 지형정보시스템의 활용(GIS) = 535
제5장 장비 및 공법
제1절 조사시험장비 및 기기
1. 조사측량장비 = 539
2. 해상측량기술의 변천 = 543
3. 재료 및 토질조사 시험기기 = 548
4. 환경조사 장비 및 시험기기 = 556
5. 지질조사 장비 및 물리탐사 기기 = 560
6. 수리시험 장비 및 기기 = 564
제2절 건설장비
1. 농지개량사업의 기계화 시공 = 568
2. 건설장비(댐, 간척 등) = 571
3. 농공분야 전용 장비 = 580
4. 기기 및 초기의 공사용 자재 = 581
제3절 시공기술 및 공법
1. 축제공법 = 583
2. 방조제 축조공법 = 596
3. 시추 및 착정공법 = 600
4. 개간공법 = 602
5. 경지정리 공법 = 604
제6장 환경
제1절 환경영향 평가
1. 제도 도입 및 변천 = 605
2. 평가 = 609
3. 환경영향평가서의 협의 = 619
제2절 사후 환경영향 조사
1. 제도 도입 = 620
2. 조사 = 622
제3절 환경보전과 오염대책
1. 수질조사 및 보전 = 624
2. 농어촌 환경보존과 오염대책 = 627
제7장 기술의 국제적 진출
제1절 국제기술용역 및 기술지원
1. 해외 기술지원 및 자문 = 629
2. 국제 기술용역 = 633
제2절 국제연합 한국사업기구
1. 국제연합 한국재건단(UNKRA) = 639
2. 국제연합 한국간척사업기구(UNTID) = 641
3. 국제연합 한국개간사업기구(UNKUP) = 642
4. 국제연합 한국관정관개사업기구 = 643
5. 경사지개발 및 유역관리사업기구와 산림조사개발 사업기구 = 644
6. 국제연합 한국배수개선사업기구(UNDIPOK) = 644
7. UNDP 한국수리시험사업기구 = 646
제8장 북한의 농공기술
제1절 수자원 이용
1. 농업용수 개발 = 648
2. 지하수개발 = 651
3. 대단위 농업용수 개발 = 652
4. 양수장 건설 = 653
5. 2천리 물길 건설과 용수체계 = 653
제2절 농지조성사업
1. 간척 = 658
2. 서해갑문 건설 = 660
3. 간척지 제염 = 662
4. 다락밭 건설과 밭관개 = 663
제3편 농공기술의 산실
제1장 연구와 교육
제1절 연구기관
1. 농어촌진흥공사「농어촌연구원」 = 673
2. 농촌진흥청「농업기계화연구소」 = 703
3. 농지개량조합연합회「시험연구소」 = 708
4. 대학 부설연구소 = 713
5. 농공기술 연구분야 재단법인 = 714
제2절 교육
1. 농업고등학교 변천 = 716
2. 농공학과 개설 전문대학의 변천 = 719
3. 농공학과 개설 농과대학 및 대학원의 변천 = 722
제3절 직무 및 기술 교육
1. 기술교육의 변천 = 727
2. 농어촌진흥공사 교육원 = 728
3. 농업공무원 교육원 = 730
4. 건설기술교육원 = 731
제4절 도서관, 박물관 및 전시관
1. 도서관 = 732
2. 박물관 및 전시관 = 733
제2장 관련기관, 학술단체 및 기업
제1절 기관
1. 농림부 = 735
2. 농촌진흥청 = 739
3. 농어촌진흥공사 = 743
4. 농지개량조합연합회 = 754
5. 농지개량조합 = 759
6. 한국수자원공사 = 765
7. 한국토지공사 = 768
8. 농공기술 시행기관의 변천 = 769
제2절 학술 및 기술단체
1. 한국관개배수위원회 = 776
2. 한국농공학회 = 780
3. 한국농업기계학회 = 781
4. 한국농촌계획학회 = 783
5. 한국 대댐회 = 783
6. 한국생물생산시설환경학회 = 785
7. 한국첨단농업시설협의회 = 786
제3절 국제학술단체 가입 및 활동
1. 국제관개배수위원회(ICID) = 789
2. 국제대댐회(ICOLD) = 790
3. 국제수리학회(IAHR) = 791
4. 미국 토목학회(ASCE) = 793
5. 미국 콘크리트협회(ACI) = 795
6. 미국 농업토목학회(ASAE) = 796
7. 일본 농업토목학회(JSIDRE) = 797
8. 일본 농업기계학회(JSAM) = 797
9. 일본 토목학회(JSCE) = 798
제4절 전문기술 및 기업
1. 기술자격 = 800
2. 농어업토목분야 엔지니어링 활동주체 = 804
3. 차관사업 관련 기업 = 806
제4편 21C의 선진기술과 제도발전 방향
제1장 기술의 전망
제1절 환경보전형 개발
1. 환경보전과 지속적 농업 = 818
2. 농어촌용수 수질의 보전과 관리 = 820
3. 농어촌 환경개선 및 경관 보전 = 821
제2절 수자원관리
1. 수계통합에 의한 수자원 활용 = 822
2. 수리시설물의 자동화 = 824
3. 지하배수 및 지하관개 = 827
4. TC/TM에 의한 용수 관리 = 829
제3절 시설 영농 및 농업생산 자동화
1. 시설원예 = 834
2. 농업생산의 자동화 = 835
3. 첨단 영농 시설 = 837
4. 환경친화 및 저에너지형 농업기계 = 840
제4절 위성의 활용
1. 원격탐사 = 844
2. 지형정보시스템(GIS) = 850
3. 범지구항법시스템(GPS) = 852
제5절 기술의 세계화
1. 국제기술 교류 = 855
2. 국제기술 협력 = 857
3. 국제기관 진출 = 858
4. 해외농업 기술지원 = 859
제2장 제도개선
제1절 농지제도의 정립
1. 농업적 이용에 의한 농지의 효율화 = 863
2. 유휴·한계 농지의 활용 = 864
3. 시·군의 농지 이용계획 수립제도의 정립 = 867
제2절 농공관련 금융제도
1. 금융제도 현황 = 868
2. 농공관련 자금의 운영 실태 = 874
3. 자금조달 = 877
4. 자금운영 = 879
5. 농지관리 기금 = 880
제3절 농공관련 조세제도
1. 조세체계와 농업관련 세제 = 884
2. 조세현황과 문제점 = 886
3. 농지세 = 901
4. 토지초과 이득세 = 902
5. 종합토지세 = 903
6. 양도소득세 = 903
7. 상속세 = 905
8. 취득세 = 905
9. 농어촌 특별세 = 905
제4절 농어업 생산기반 관련법
1. 농어업 생산기반 관련법의 체계와 현황 = 906
2. 간척사업의 시행체계와 문제점 = 915
3. 간척사업의 향후 개선 방향 = 921
제5편 외국의 농공기술
제1장 주요 국가별 농공기술
제1절 동양편
1. 일본 = 939
2. 중국 = 958
3. 인도 = 963
4. 인도네시아 = 968
5. 베트남 = 971
제2절 서양편
1. 미국 = 976
2. 프랑스 = 982
3. 독일 = 990
4. 화란 = 992
5. 영국 = 997
6. 스페인 = 998
7. 이태리 = 1002
8. 이스라엘 = 1005
제2장 외국의 주요 연구소 및 기관
제1절 동양편
1. 일본 = 1010
가. 농업공학연구소(NRIAE) = 1010
2. 중국 = 1016
가. 장강과학원(YRSRI) = 1016
나. 농업공학연구설계원(CAAERP) = 1017
3. 인도 = 1018
가. 수자원관리 개발센터(CWRDM) = 1018
제2절 서양편
1. 미국 = 1019
가. 미개척국(USBR) = 1019
나. 미국육군공병단 수로시험장(WES) = 1022
다. 농업연구소(ARS) = 1023
라. 자연자원보전국(NRCS) = 1026
2. 프랑스 = 1028
가. 세마그라프연구소 = 1028
3. 독일 = 1031
가. 연방수로공학연구소(BAW) = 1031
나. 오스카밀러연구소 = 1032
4. 화란 = 1033
가. 델프트연구소(DHL) = 1033
5. 영국 = 1034
가. 윌링포드 수리연구소(HR, Wallingford) = 1034
나. 윌링포드 수문연구소(IH, Wallingford) = 1036
6. 스페인 = 1037
가. 국립농지개량기구(IRYDA) = 1037
7. 이태리 = 1038
가. 국립연구원 수자원연구소(WRI) = 1038
8. 이스라엘 = 1040
가. 볼카니 농업연구소(ARO) = 1040
제6편 부록
부록-1 경지면적 = 1047
부록-2 미곡 재배면적 및 생산량 = 1048
부록-3 수리시설의 유적 = 1049
부록-4 수리시설의 피해 = 1059
부록-5 농업용수 개발 실적 = 1063
부록-6 대단위사업 실적 = 1095
부록-7 간척사업 실적 = 1104
부록-8 경지정리사업 실적 = 1113
부록-9 개간사업 실적 = 1114
부록-10 배수개선사업 실적 = 1115
부록-11 농어촌도로사업 실적 = 1116
부록-12 지하수개발 실적 = 1117
부록-13 밭기반정비사업 실적 = 1121
부록-14 시설영농사업 실적 = 1124
부록-15 원예주산단지조성 실적 = 1128
부록-16 농업기계산업 현황 = 1129
부록-17 해외기술용역 실적 = 1131
부록-18 국제협력사업 실적 = 1136
부록-19 엔지니어링 활동주체 현황 = 1141
부록-20 한국첨단농업시설 형황 = 1144
부록-21 농공관련 주요 도서목록 = 1151
부록-22 박물관 및 전시관 = 1169
부록-23 농지개량조합 일람표 = 1175
부록-24 연구사업 실적 = 1179
부록-25 농공관련 대학 교수명단 = 1207
부록-26 농공학과 박사학위 배출자 명단 = 1219
부록-27 전국농업토목, 농업기계 개설 농업고등학교현황 = 1229
부록-28 농어업 토목기술사 명단 = 1232
부록-29 농공관련기관 종사자 박사학위 취득자 현황 = 1239
부록-30 농공관련기관 기술자 종사자 자격취득 현황 = 1248
부록-31 북한 기술용어 사전 = 1251
부록-32 연대표 = 12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