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장정보
서가번호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소장처 | 대출가능여부 | 대출정보 | |
---|---|---|---|---|---|---|
0013957 | 520.911 여64ㅎ | 농림축산식품부 자료실 | 대출가능 |
* 대출중인 자료에 한하여 예약이 가능합니다. 예약을 원하시면 예약버튼을 클릭하십시오.
008080205s2007 ulkd 000a kor
020 ▼a8973211870▼g93330▼c\30000
056 ▼a520.911▼24
090 ▼a520.911▼b여64ㅎ
1001 ▼a여영부
24500▼a한국농촌 북한 사회연구▼d여영부 저
260 ▼a서울▼b유풍출판사▼c2007
300 ▼axⅵ, 861 p.▼b도표▼c23 cm
50000▼a권말부록으로 "농촌새마을운동 고찰에 관한 연구설문지 등" 수록
9500 ▼b\30000
第一部 農村社會
第1章 農材地域開發과 福祉農村에 관한 硏究 = 11
Ⅰ. 緖論 = 11
Ⅱ. 70年代(1971~1981)의 새마을운동의 推進實績 = 12
1. 새마을운동의 生産基盤造成事業 = 12
2. 새마을가꾸기 事業實績 = 17
3. 所得增大事業과 새마을協同圈 事業實績 = 20
4. 環境改善事業 = 30
5. 福祉厚生事業의 實績 = 38
6. 指導者 訓練事業의 實績 = 42
Ⅲ. 새마을운동의 推進體系 = 48
1. 새마을운동의 運營體系 = 48
2. 새마을운동의 사업별 推進體系 = 58
Ⅳ. 福祉農村 = 61
1. 福祉農村의 槪念 = 61
2. 福祉農村 = 62
Ⅴ. 結論 = 65
第2章 農村새마을운동에 대한 住民意識構造分析에 관한 社會學的 硏究 = 71
Ⅰ. 緖論 = 71
1. 硏究目的 = 71
2. 硏究範圍와 方法 = 72
Ⅱ. 農村새마을운동에 관한 住民의 意識構造 = 73
1. 住民이 보는 새마을운동 = 73
2. 住民에 의한 새마을운동의 成果와 評價 = 89
3. 새마을운동의 參與狀況 = 102
Ⅲ. 새마을운동에 대한 住民의 態度 = 113
1. 새마을指導者가 보는 住民의 태도 = 113
2. 住民이 보는 공무원의 태도 = 113
3. 官主導ㆍ民主導에 대한 住民의 태도 = 114
Ⅳ. 政府關與에 대한 住民의 見解 = 116
1. 政府의 役割 = 116
2. 政府의 關心 = 117
Ⅴ. 離農과 새마을운동과의 關係 = 121
1. 農村人口의 移動現狀 = 121
2. 農業ㆍ農村에 대한 住民의 태도 = 124
3. 離農의 減少와 새마을운동의 活性化 = 127
Ⅵ. 結論 = 132
第3章 女大生의 結婚觀ㆍ意識構造分析에 관한 考察 - 公州專門大學生을 中心으로 - = 140
Ⅰ. 緖論 = 140
1. 硏究目的 = 140
2. 硏究範圍와 方法 = 142
Ⅱ. 個人 및 家庭背景 = 142
1. 出身高等學校ㆍ人文ㆍ商業ㆍ道別 = 142
2. 父母學歷ㆍ本人出生地 = 143
3. 家庭의 文化施設ㆍ生活程度 = 144
Ⅲ. 女大生의 結婚觀 = 145
1. 結婚과 家族의 類型 = 145
2. 男子의 家庭生活程度ㆍ學歷ㆍ年齡差異 = 148
3. 理想的인 男子의 키, 사랑과 經濟力, 男子職業, 出身道, 兄弟序列 = 150
4. 結婚方法, 子女希望數, 파트너 有無 = 152
5. 結婚後 媤父母 모시기와 살기 바라는 地域 = 153
Ⅳ. 女大生의 意識構造 = 155
1. 學校生活ㆍ學科選擇ㆍ學校行事 參與問題 = 155
2. 敎授에 對한 期待 = 158
3. 希望職業ㆍ成功要因 = 158
4. 農村ㆍ都市의 發展像 比較 = 160
5. 敎育觀ㆍ指導者觀 = 161
Ⅴ. 結論 = 164
第4章 農村住民의 삶의 質과 未來家族에 관한 考察 = 167
Ⅰ. 緖論 = 167
Ⅱ. 삶의 質과 社會指標의 槪念 = 169
Ⅲ. 農村住民의 삶의 質 = 175
1. 財政狀況 = 175
2. 生活環境 = 177
3. 文化生活ㆍ消費水準 = 180
4. 敎育ㆍ醫療 = 185
Ⅳ. 未來의 家族 = 193
1. 電子住宅 = 193
2. 未來家族 = 201
Ⅴ. 結論 = 207
第5章 韓國 同族集團 葛藤에 관한 社會學的 硏究 = 215
Ⅰ. 緖論 = 215
1. 問題提起 = 215
2. 硏究方法 = 217
Ⅱ. 集團葛藤에 관한 理論的 背景 = 225
1. 心理學에서의 葛藤槪念 = 225
2. 社會學에서의 葛藤理論 = 227
Ⅲ. 同族集團의 葛藤에 관한 要因分析 = 232
1. 自然部落과 同族集團에 관한 理論 = 232
2. 同族集團의 葛藤要因分析 = 238
3. 同族集團 葛藤의 影響 = 262
Ⅳ. 結論 = 266
[附錄] = 270
1. 本 硏究에 使用된 質問內容 = 270
2. 著名 同族部落과 自然部落 = 275
第6章 農村새마을운동에 관한 考察 = 277
Ⅰ. 緖論 = 277
1. 硏究目的과 槪要 = 277
2. 硏究範圍와 方法 및 內容 = 279
Ⅱ. 70年代 農村새마을운동의 構造와 機能 = 281
1. 農村새마을운동의 展開와 發展過程 = 281
2. 農村새마을운동의 理念과 目的 = 284
3. 農村새마을운동의 活動領域과 主要內容 = 286
4. 農村새마을운동의 推進體制와 戰略 = 294
5. 農村새마을운동의 推進實績과 成果 = 307
6. 農村새마을운동의 特性 = 317
Ⅲ. 80年代 農村새마을운동의 方向摸索 = 322
1. 80年代 農村새마을운동의 目標選定 = 322
2. 農村새마을운동 過程의 問題性과 活性化 方案 = 340
3. 離農과 새마을운동과의 關係 = 388
4. 農村 새마을指導者 育成 = 399
5. 새마을운동을 통한 福祉農村社會 具現 = 415
6. 都ㆍ農의 文化生活水準의 隔差解消方案 = 426
Ⅳ. 要約과 結論 = 434
1. 要約 = 434
2. 結論 = 435
第7章 韓國農村社會 變動에 關한 社會學的 硏究 = 446
Ⅰ. 緖論 = 446
1. 硏究目的 = 446
2. 硏究範圍ㆍ方法 = 449
3. 硏究內容 = 450
Ⅱ. 調査內容 分析 = 450
1. 家族背景 및 一般事項 = 453
2. 農村生活과 生産의 問題點 = 459
3. 農業과 故鄕에 대한 態度 = 464
4. 農業의 機械化와 運營費 = 465
5. 農家所得問題 = 466
6. 家口主의 價値觀 및 餘暇生活問題 = 468
Ⅲ. 結論 = 474
第8章 大學生의 結婚觀 및 意識構造 分析에 관한 考察 - 公州文化大學生을 中心으로 - = 480
Ⅰ. 緖論 = 480
1. 硏究目的 = 480
2. 硏究方法ㆍ範圍 = 481
3. 硏究內容 = 482
Ⅱ. 意識構造 分析 = 484
1. 人的狀況 = 484
2. 家庭形便 = 485
3. 學校生活 = 486
4. 學生들의 價値觀 = 488
5. 學生들의 結婚觀 = 489
6. 卒業生 就業ㆍ進路 = 492
7. 學生들의 課題問題 = 493
8. 移民에 대하여 = 494
Ⅲ. 結論 = 495
第9章 社會學이라는 學問에 관한 考察 = 501
Ⅰ. 社會學의 槪念 = 501
Ⅱ. 社會學의 연구대상과 範圍 = 504
1. 創始者들의 見解 = 505
2. 社會學者들이 實際硏究하고 있는 主題 = 505
3. 論理的으로 본 社會學의 硏究對象 = 506
Ⅲ. 社會學과 他社會科學과의 硏究領城 關係 = 507
1. 社會學과 人類學 = 507
2. 社會學과 心理學 = 507
3. 社會學과 經濟學 = 507
4. 社會學과 政治學 = 508
5. 社會學과 歷史學 = 508
Ⅳ. 社會學의 발자취 = 509
1. 社會學의 起源 = 509
2. 社會學 成立의 歷史的 背景 = 511
Ⅴ. 社會學의 뿌리 = 516
1. 社會學의 性格 = 516
2. 社會學의 先驅者들 = 518
第10章 第15代 大統領 選擧에 나타난 地域感情에 關한 考察 = 529
Ⅰ. 緖論 = 529
1. 硏究目的 = 529
2. 硏究內容ㆍ方法 = 531
3. 地域感情의 槪念定義 = 532
Ⅱ. 地城感情의 理論的 背景 = 534
1. 地域感情의 歷史的 뿌리 = 534
2. 地城感情에 대한 先行硏究 = 544
3. 文獻속에 나타난 地方色 = 551
Ⅲ. 14代 大統領選擧까지 나타난 地域感情 = 559
1. 歷代 大統領 選擧結果 檢討 = 562
2. 大統領 候補의 偏頗性 = 567
3. 地域 偏頗性과 總體的 地域主義 = 569
Ⅳ. 15代 大統領選擧에 나타난 地域感情 = 570
1. 李會昌ㆍ金大中 兩 候補의 全國的인 傾向 = 575
2. 李會昌ㆍ金大中 兩 候補의 嶺ㆍ湖南圈의 投票 結果分析 = 576
Ⅴ. 結論 = 579
第11章 제16대 국회의원 선거에 나타난 지역감정에 관한 고찰 = 582
Ⅰ. 緖論 = 582
1. 硏究目的 = 582
2. 硏究內容ㆍ方法 = 583
3. 地域感情의 槪念 = 584
Ⅱ. 先行硏究된 地域感情 = 586
1. 지역 간 거부감 분포의 주요경향 = 587
2. 영남인에 대한 호남인의 거부감 = 587
3. 호남인에 대한 영남인의 거부감 = 588
4. 호남인에 대한 타 지역민의 거부감 = 588
Ⅲ. 대통령선거에 나타난 지역감정 = 590
1. 역대 대통령 선거결과 = 590
2. 지역편파성과 지역주의 = 592
Ⅳ. 제16대 국회의원 선거에 나타난 지역감정 = 593
1. 영남권(부산, 대구, 울산, 경북, 경남) 분석 = 594
2. 호남권(광주, 전북, 전남) 분석 = 600
3. 충청권(대전, 충북, 충남) 분석 = 601
4. 영남권과 호남권의 투표행위 비교 분석 = 602
Ⅴ. 結論 = 606
第二部 北韓社會
第12章 北韓社會의 改革과 開放에 관한 考察 = 611
Ⅰ. 緖論 = 611
1. 硏究目的 = 611
2. 硏究內容 및 範圍 = 613
Ⅱ. 北韓社會의 實相 = 614
1. 金日成 主體思想의 本質과 閉鎖性 = 614
2. 北韓 經濟體制의 閉鎖性 = 620
Ⅲ. 社會主義國家의 變革과 北韓 = 626
1. 東歐 社會主義國家의 變革과 北韓 = 626
2. 韓ㆍ蘇頂上會談과 北韓의 改革과 開放 = 635
Ⅳ. 結論 및 展望 = 640
第13章 金日成 死後 金正日 體制에 關한 考察 = 644
Ⅰ. 緖論 = 644
1. 硏究目的 = 644
2. 硏究內容ㆍ方法 = 648
Ⅱ. 北韓의 社會政策과 社會統制 = 649
1. 階級政策 = 649
2. 階級構造 = 651
3. 社會統制의 原則 = 653
4. 社會統制의 方法 = 655
Ⅲ. 金正日 體制의 課題 및 展望 = 659
1. 金正日 體制의 課題 = 659
2. 金正日 體制의 政策展望 = 661
Ⅳ. 金正日의 首領 後繼者問題 = 663
1. 首領의 北韓政治史的 意味 = 663
2. 首領 後繼者 金正日의 正當性 = 665
Ⅴ. 公式承繼 遲延要因과 展望 = 667
1. 公式承繼遲延 要因 = 667
2. 公式承繼 展望 = 670
Ⅵ. 金正日 體制의 崩壞 = 670
1. 崩壞徵候들 = 670
2. 붕괴 시나리오 = 675
Ⅶ. 結論 = 679
第14章 黃長燁 歸順과 北韓體制 展望에 關한 硏究 = 684
Ⅰ. 緖論 = 684
1. 硏究目的 = 684
2. 硏究內容ㆍ方法 = 686
Ⅱ. 黃長燁 歸順 = 687
1. 歸順日程과 動機 = 687
2. 記者會見 內容 = 693
Ⅲ. 黃長燁 思想考察 = 704
1. 마르크스 主義者들의 歷史的 過誤 = 711
2. 階級鬪爭과 無産階級 獨裁理論 = 717
Ⅳ. 北韓體制의 展望 = 723
1. 崩壞徵候들 = 723
2. 崩壞模型과 時期 = 734
Ⅴ. 結論 = 735
第15章 마르크스의 資本論 中 資本主義的 蓄積의 一般法則에 關한 考察 = 749
Ⅰ. 緖論 = 749
1. 硏究目的 = 749
2. 硏究方法 및 範圍 = 752
3. 마르크스의 生涯 = 753
Ⅱ. 資本의 構成이 불변일 경우 蓄積에 따른 勞動力에 대한 需要의 增加 = 757
Ⅲ. 蓄積과 그에 수반하는 集積의 진행과정에서 발생하는 可變資本部分의 相對的 減少 = 759
Ⅳ. 相對的 과잉인구 또는 産業豫備軍의 累進的 生産 = 762
Ⅴ. 相對的 과잉인구의 상이한 存在形態ㆍ資本主義的 蓄積의 一般法則 = 763
Ⅵ. 結論 = 767
附錄 = 771
1. 農村새마을운동 考察에 관한 연구설문지 : 주민용 = 773
2. 農村새마을운동 考察에 관한 연구설문지 : 농고생용 = 819
3. 韓國農村社會 變動에 關한 설문서 = 828
4. 2000학년도 공주문화대학생들의 생활실태와 의식구조 설문조사 = 846
第1章 農材地域開發과 福祉農村에 관한 硏究 = 11
Ⅰ. 緖論 = 11
Ⅱ. 70年代(1971~1981)의 새마을운동의 推進實績 = 12
1. 새마을운동의 生産基盤造成事業 = 12
2. 새마을가꾸기 事業實績 = 17
3. 所得增大事業과 새마을協同圈 事業實績 = 20
4. 環境改善事業 = 30
5. 福祉厚生事業의 實績 = 38
6. 指導者 訓練事業의 實績 = 42
Ⅲ. 새마을운동의 推進體系 = 48
1. 새마을운동의 運營體系 = 48
2. 새마을운동의 사업별 推進體系 = 58
Ⅳ. 福祉農村 = 61
1. 福祉農村의 槪念 = 61
2. 福祉農村 = 62
Ⅴ. 結論 = 65
第2章 農村새마을운동에 대한 住民意識構造分析에 관한 社會學的 硏究 = 71
Ⅰ. 緖論 = 71
1. 硏究目的 = 71
2. 硏究範圍와 方法 = 72
Ⅱ. 農村새마을운동에 관한 住民의 意識構造 = 73
1. 住民이 보는 새마을운동 = 73
2. 住民에 의한 새마을운동의 成果와 評價 = 89
3. 새마을운동의 參與狀況 = 102
Ⅲ. 새마을운동에 대한 住民의 態度 = 113
1. 새마을指導者가 보는 住民의 태도 = 113
2. 住民이 보는 공무원의 태도 = 113
3. 官主導ㆍ民主導에 대한 住民의 태도 = 114
Ⅳ. 政府關與에 대한 住民의 見解 = 116
1. 政府의 役割 = 116
2. 政府의 關心 = 117
Ⅴ. 離農과 새마을운동과의 關係 = 121
1. 農村人口의 移動現狀 = 121
2. 農業ㆍ農村에 대한 住民의 태도 = 124
3. 離農의 減少와 새마을운동의 活性化 = 127
Ⅵ. 結論 = 132
第3章 女大生의 結婚觀ㆍ意識構造分析에 관한 考察 - 公州專門大學生을 中心으로 - = 140
Ⅰ. 緖論 = 140
1. 硏究目的 = 140
2. 硏究範圍와 方法 = 142
Ⅱ. 個人 및 家庭背景 = 142
1. 出身高等學校ㆍ人文ㆍ商業ㆍ道別 = 142
2. 父母學歷ㆍ本人出生地 = 143
3. 家庭의 文化施設ㆍ生活程度 = 144
Ⅲ. 女大生의 結婚觀 = 145
1. 結婚과 家族의 類型 = 145
2. 男子의 家庭生活程度ㆍ學歷ㆍ年齡差異 = 148
3. 理想的인 男子의 키, 사랑과 經濟力, 男子職業, 出身道, 兄弟序列 = 150
4. 結婚方法, 子女希望數, 파트너 有無 = 152
5. 結婚後 媤父母 모시기와 살기 바라는 地域 = 153
Ⅳ. 女大生의 意識構造 = 155
1. 學校生活ㆍ學科選擇ㆍ學校行事 參與問題 = 155
2. 敎授에 對한 期待 = 158
3. 希望職業ㆍ成功要因 = 158
4. 農村ㆍ都市의 發展像 比較 = 160
5. 敎育觀ㆍ指導者觀 = 161
Ⅴ. 結論 = 164
第4章 農村住民의 삶의 質과 未來家族에 관한 考察 = 167
Ⅰ. 緖論 = 167
Ⅱ. 삶의 質과 社會指標의 槪念 = 169
Ⅲ. 農村住民의 삶의 質 = 175
1. 財政狀況 = 175
2. 生活環境 = 177
3. 文化生活ㆍ消費水準 = 180
4. 敎育ㆍ醫療 = 185
Ⅳ. 未來의 家族 = 193
1. 電子住宅 = 193
2. 未來家族 = 201
Ⅴ. 結論 = 207
第5章 韓國 同族集團 葛藤에 관한 社會學的 硏究 = 215
Ⅰ. 緖論 = 215
1. 問題提起 = 215
2. 硏究方法 = 217
Ⅱ. 集團葛藤에 관한 理論的 背景 = 225
1. 心理學에서의 葛藤槪念 = 225
2. 社會學에서의 葛藤理論 = 227
Ⅲ. 同族集團의 葛藤에 관한 要因分析 = 232
1. 自然部落과 同族集團에 관한 理論 = 232
2. 同族集團의 葛藤要因分析 = 238
3. 同族集團 葛藤의 影響 = 262
Ⅳ. 結論 = 266
[附錄] = 270
1. 本 硏究에 使用된 質問內容 = 270
2. 著名 同族部落과 自然部落 = 275
第6章 農村새마을운동에 관한 考察 = 277
Ⅰ. 緖論 = 277
1. 硏究目的과 槪要 = 277
2. 硏究範圍와 方法 및 內容 = 279
Ⅱ. 70年代 農村새마을운동의 構造와 機能 = 281
1. 農村새마을운동의 展開와 發展過程 = 281
2. 農村새마을운동의 理念과 目的 = 284
3. 農村새마을운동의 活動領域과 主要內容 = 286
4. 農村새마을운동의 推進體制와 戰略 = 294
5. 農村새마을운동의 推進實績과 成果 = 307
6. 農村새마을운동의 特性 = 317
Ⅲ. 80年代 農村새마을운동의 方向摸索 = 322
1. 80年代 農村새마을운동의 目標選定 = 322
2. 農村새마을운동 過程의 問題性과 活性化 方案 = 340
3. 離農과 새마을운동과의 關係 = 388
4. 農村 새마을指導者 育成 = 399
5. 새마을운동을 통한 福祉農村社會 具現 = 415
6. 都ㆍ農의 文化生活水準의 隔差解消方案 = 426
Ⅳ. 要約과 結論 = 434
1. 要約 = 434
2. 結論 = 435
第7章 韓國農村社會 變動에 關한 社會學的 硏究 = 446
Ⅰ. 緖論 = 446
1. 硏究目的 = 446
2. 硏究範圍ㆍ方法 = 449
3. 硏究內容 = 450
Ⅱ. 調査內容 分析 = 450
1. 家族背景 및 一般事項 = 453
2. 農村生活과 生産의 問題點 = 459
3. 農業과 故鄕에 대한 態度 = 464
4. 農業의 機械化와 運營費 = 465
5. 農家所得問題 = 466
6. 家口主의 價値觀 및 餘暇生活問題 = 468
Ⅲ. 結論 = 474
第8章 大學生의 結婚觀 및 意識構造 分析에 관한 考察 - 公州文化大學生을 中心으로 - = 480
Ⅰ. 緖論 = 480
1. 硏究目的 = 480
2. 硏究方法ㆍ範圍 = 481
3. 硏究內容 = 482
Ⅱ. 意識構造 分析 = 484
1. 人的狀況 = 484
2. 家庭形便 = 485
3. 學校生活 = 486
4. 學生들의 價値觀 = 488
5. 學生들의 結婚觀 = 489
6. 卒業生 就業ㆍ進路 = 492
7. 學生들의 課題問題 = 493
8. 移民에 대하여 = 494
Ⅲ. 結論 = 495
第9章 社會學이라는 學問에 관한 考察 = 501
Ⅰ. 社會學의 槪念 = 501
Ⅱ. 社會學의 연구대상과 範圍 = 504
1. 創始者들의 見解 = 505
2. 社會學者들이 實際硏究하고 있는 主題 = 505
3. 論理的으로 본 社會學의 硏究對象 = 506
Ⅲ. 社會學과 他社會科學과의 硏究領城 關係 = 507
1. 社會學과 人類學 = 507
2. 社會學과 心理學 = 507
3. 社會學과 經濟學 = 507
4. 社會學과 政治學 = 508
5. 社會學과 歷史學 = 508
Ⅳ. 社會學의 발자취 = 509
1. 社會學의 起源 = 509
2. 社會學 成立의 歷史的 背景 = 511
Ⅴ. 社會學의 뿌리 = 516
1. 社會學의 性格 = 516
2. 社會學의 先驅者들 = 518
第10章 第15代 大統領 選擧에 나타난 地域感情에 關한 考察 = 529
Ⅰ. 緖論 = 529
1. 硏究目的 = 529
2. 硏究內容ㆍ方法 = 531
3. 地域感情의 槪念定義 = 532
Ⅱ. 地城感情의 理論的 背景 = 534
1. 地域感情의 歷史的 뿌리 = 534
2. 地城感情에 대한 先行硏究 = 544
3. 文獻속에 나타난 地方色 = 551
Ⅲ. 14代 大統領選擧까지 나타난 地域感情 = 559
1. 歷代 大統領 選擧結果 檢討 = 562
2. 大統領 候補의 偏頗性 = 567
3. 地域 偏頗性과 總體的 地域主義 = 569
Ⅳ. 15代 大統領選擧에 나타난 地域感情 = 570
1. 李會昌ㆍ金大中 兩 候補의 全國的인 傾向 = 575
2. 李會昌ㆍ金大中 兩 候補의 嶺ㆍ湖南圈의 投票 結果分析 = 576
Ⅴ. 結論 = 579
第11章 제16대 국회의원 선거에 나타난 지역감정에 관한 고찰 = 582
Ⅰ. 緖論 = 582
1. 硏究目的 = 582
2. 硏究內容ㆍ方法 = 583
3. 地域感情의 槪念 = 584
Ⅱ. 先行硏究된 地域感情 = 586
1. 지역 간 거부감 분포의 주요경향 = 587
2. 영남인에 대한 호남인의 거부감 = 587
3. 호남인에 대한 영남인의 거부감 = 588
4. 호남인에 대한 타 지역민의 거부감 = 588
Ⅲ. 대통령선거에 나타난 지역감정 = 590
1. 역대 대통령 선거결과 = 590
2. 지역편파성과 지역주의 = 592
Ⅳ. 제16대 국회의원 선거에 나타난 지역감정 = 593
1. 영남권(부산, 대구, 울산, 경북, 경남) 분석 = 594
2. 호남권(광주, 전북, 전남) 분석 = 600
3. 충청권(대전, 충북, 충남) 분석 = 601
4. 영남권과 호남권의 투표행위 비교 분석 = 602
Ⅴ. 結論 = 606
第二部 北韓社會
第12章 北韓社會의 改革과 開放에 관한 考察 = 611
Ⅰ. 緖論 = 611
1. 硏究目的 = 611
2. 硏究內容 및 範圍 = 613
Ⅱ. 北韓社會의 實相 = 614
1. 金日成 主體思想의 本質과 閉鎖性 = 614
2. 北韓 經濟體制의 閉鎖性 = 620
Ⅲ. 社會主義國家의 變革과 北韓 = 626
1. 東歐 社會主義國家의 變革과 北韓 = 626
2. 韓ㆍ蘇頂上會談과 北韓의 改革과 開放 = 635
Ⅳ. 結論 및 展望 = 640
第13章 金日成 死後 金正日 體制에 關한 考察 = 644
Ⅰ. 緖論 = 644
1. 硏究目的 = 644
2. 硏究內容ㆍ方法 = 648
Ⅱ. 北韓의 社會政策과 社會統制 = 649
1. 階級政策 = 649
2. 階級構造 = 651
3. 社會統制의 原則 = 653
4. 社會統制의 方法 = 655
Ⅲ. 金正日 體制의 課題 및 展望 = 659
1. 金正日 體制의 課題 = 659
2. 金正日 體制의 政策展望 = 661
Ⅳ. 金正日의 首領 後繼者問題 = 663
1. 首領의 北韓政治史的 意味 = 663
2. 首領 後繼者 金正日의 正當性 = 665
Ⅴ. 公式承繼 遲延要因과 展望 = 667
1. 公式承繼遲延 要因 = 667
2. 公式承繼 展望 = 670
Ⅵ. 金正日 體制의 崩壞 = 670
1. 崩壞徵候들 = 670
2. 붕괴 시나리오 = 675
Ⅶ. 結論 = 679
第14章 黃長燁 歸順과 北韓體制 展望에 關한 硏究 = 684
Ⅰ. 緖論 = 684
1. 硏究目的 = 684
2. 硏究內容ㆍ方法 = 686
Ⅱ. 黃長燁 歸順 = 687
1. 歸順日程과 動機 = 687
2. 記者會見 內容 = 693
Ⅲ. 黃長燁 思想考察 = 704
1. 마르크스 主義者들의 歷史的 過誤 = 711
2. 階級鬪爭과 無産階級 獨裁理論 = 717
Ⅳ. 北韓體制의 展望 = 723
1. 崩壞徵候들 = 723
2. 崩壞模型과 時期 = 734
Ⅴ. 結論 = 735
第15章 마르크스의 資本論 中 資本主義的 蓄積의 一般法則에 關한 考察 = 749
Ⅰ. 緖論 = 749
1. 硏究目的 = 749
2. 硏究方法 및 範圍 = 752
3. 마르크스의 生涯 = 753
Ⅱ. 資本의 構成이 불변일 경우 蓄積에 따른 勞動力에 대한 需要의 增加 = 757
Ⅲ. 蓄積과 그에 수반하는 集積의 진행과정에서 발생하는 可變資本部分의 相對的 減少 = 759
Ⅳ. 相對的 과잉인구 또는 産業豫備軍의 累進的 生産 = 762
Ⅴ. 相對的 과잉인구의 상이한 存在形態ㆍ資本主義的 蓄積의 一般法則 = 763
Ⅵ. 結論 = 767
附錄 = 771
1. 農村새마을운동 考察에 관한 연구설문지 : 주민용 = 773
2. 農村새마을운동 考察에 관한 연구설문지 : 농고생용 = 819
3. 韓國農村社會 變動에 關한 설문서 = 828
4. 2000학년도 공주문화대학생들의 생활실태와 의식구조 설문조사 = 8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