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장정보
서가번호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소장처 | 대출가능여부 | 대출정보 | |
---|---|---|---|---|---|---|
0013156 | 381.75 김51ㅈ | 농림축산식품부 자료실 | 대출가능 |
* 대출중인 자료에 한하여 예약이 가능합니다. 예약을 원하시면 예약버튼을 클릭하십시오.
008070514s2006 ulka 000a kor
020 ▼a8984352365▼g03910▼c\15000
056 ▼a381.75▼24
090 ▼a381.75▼b김51ㅈ
1001 ▼a김상보
24520▼a(조선시대의)음식문화▼b음식문화를 통해 보는 조선시대·조선사람▼d김상보 지음
260 ▼a서울▼b가람기획▼c2006
300 ▼a342 p.▼b삽화▼c23 cm
44000▼a조선사회사총서▼v25
504 ▼a참고문헌: p. 340-342
653 ▼a음식생활▼a궁중음식▼a제사음식
9500 ▼b\15000
머리말 = 9
제1부 음식문화
조선시대 음식문화 성립 배경 = 19
음식을 만든 사람들 = 24
1. 궁중 = 24
2. 관청 = 37
3. 양반가 = 47
4. 중인 = 52
밥상차림으로 본 신분사회 = 60
1. 계급에 따라 달리한 밥상차림 = 60
2. 밥상차림의 왜곡 및 변질 = 65
3. 정통적인 조선왕조의 수라상차림 = 70
밥상차림의 문화 = 73
1. 음양오행사상에서 출발한 밥상차림 = 73
2. 음양오행사상에 따른 상차림과 시식, 맛과 색깔 = 81
3. 약선과 양념 = 88
4. 조선왕조의 궁중음식 변천사 = 92
5. 1일 7식을 먹은 조선의 상층부 = 103
6. 명나라 사신에게 제공한 소선 조반상 = 107
7. 최상층부의 안주와 행주 = 112
8. 잘못된 음주문화 = 114
9. 점심의 유래 = 114
혼례음식문화 = 116
1. 처가살이혼에서 시집살이혼으로 = 116
2. 임진왜란 이후의 반친영혼 = 120
3. 현구고례 = 127
제사음식문화 = 133
1. 기신제ㆍ시제(묘제)ㆍ다례 = 133
2. 불교와의 융합이란 측면에서 바라본 유교의 제사음식문화 = 143
3. 음양오행사상으로 본 제사음식 문화 = 150
외식문화 = 152
1. 장시의 발달과 국밥문화 = 152
2. 구한말의 술집문화 = 165
3. 요릿집 음식으로 전락한 궁중음식 = 167
4. 조선시대 여성들의 화전놀이 = 171
제2부 찬품 각론
조선시대 찬품 개괄 = 177
1. 필수식품이었던 쌀ㆍ소금ㆍ건어물ㆍ젓갈ㆍ콩ㆍ장 = 177
2. 명나라 황제에게 보낸 식품 선물 목록 = 178
3. 음식의 웃꾸미를 뜻한 말, 교태 = 181
4. 원나라 《거가필용》의 영향을 받은 육류 찬품 = 182
주식류 = 185
1. 백반ㆍ팥물밥ㆍ유반ㆍ골동반ㆍ잡곡반 = 185
2. 죽 = 190
3. 국수 = 195
4. 상화와 만두 = 204
탕류 = 209
1. 전철과 전골 = 209
2. 승기아탕 또는 승기악탕 = 213
3. 열구자탕ㆍ신설로ㆍ신선로 = 216
4. 면신설로 = 220
5. 사라져버린 시식 - 잡탕과 골동갱 = 221
6. 궁중식 용봉탕 = 223
7. 관노들의 음식이었던 추어탕 = 225
8. 병갱과 떡국 = 227
찜류 = 231
1. 정조대왕이 잡수신 황구찜 = 231
2. 숙종대왕이 잡수신 어묵 - 생선숙편 = 235
구이류 = 237
1. 설야멱 = 237
2. 느르미ㆍ느름적ㆍ어음적ㆍ화양적 = 239
3. 병자ㆍ빈자ㆍ빙자떡ㆍ빈대떡 = 246
밥반찬이었던 젓갈 = 250
회와 조선 사람 = 253
1. 생선회를 사서 먹은 민중들 = 253
2. 화려했던 어채문화 = 258
3. 육회와 갑회 = 259
버터를 만든 사람 - 수유치 = 262
포와 절육, 하설다식과 황육다식 = 264
나물 = 267
1. 정조대왕이 잡수신 나물 찬품 = 267
2. 잡채와 밀쌈에서 생겨난 지금의 구절판 = 270
3. 진채식인 콩나물과 숙주나물 = 273
4. 궁중의 청포채에서 유래된 탕평채 = 275
초시에서 유래된 고초장 = 277
고추가 보급되기 전 김치에 넣었던 천초 = 279
유밀과 = 285
1. 매엽과 = 285
2. 약과 = 288
3. 유밀과와 당속 = 292
떡 = 298
1. 어떤 종류의 떡을 먹었을까 = 298
2. 화전 = 303
음청문화 = 309
가양주문화 = 312
참외를 즐겨 먹었던 조선사회 = 318
시식과 절식 문화 = 322
본문의 주 = 328
참고문헌 = 340
제1부 음식문화
조선시대 음식문화 성립 배경 = 19
음식을 만든 사람들 = 24
1. 궁중 = 24
2. 관청 = 37
3. 양반가 = 47
4. 중인 = 52
밥상차림으로 본 신분사회 = 60
1. 계급에 따라 달리한 밥상차림 = 60
2. 밥상차림의 왜곡 및 변질 = 65
3. 정통적인 조선왕조의 수라상차림 = 70
밥상차림의 문화 = 73
1. 음양오행사상에서 출발한 밥상차림 = 73
2. 음양오행사상에 따른 상차림과 시식, 맛과 색깔 = 81
3. 약선과 양념 = 88
4. 조선왕조의 궁중음식 변천사 = 92
5. 1일 7식을 먹은 조선의 상층부 = 103
6. 명나라 사신에게 제공한 소선 조반상 = 107
7. 최상층부의 안주와 행주 = 112
8. 잘못된 음주문화 = 114
9. 점심의 유래 = 114
혼례음식문화 = 116
1. 처가살이혼에서 시집살이혼으로 = 116
2. 임진왜란 이후의 반친영혼 = 120
3. 현구고례 = 127
제사음식문화 = 133
1. 기신제ㆍ시제(묘제)ㆍ다례 = 133
2. 불교와의 융합이란 측면에서 바라본 유교의 제사음식문화 = 143
3. 음양오행사상으로 본 제사음식 문화 = 150
외식문화 = 152
1. 장시의 발달과 국밥문화 = 152
2. 구한말의 술집문화 = 165
3. 요릿집 음식으로 전락한 궁중음식 = 167
4. 조선시대 여성들의 화전놀이 = 171
제2부 찬품 각론
조선시대 찬품 개괄 = 177
1. 필수식품이었던 쌀ㆍ소금ㆍ건어물ㆍ젓갈ㆍ콩ㆍ장 = 177
2. 명나라 황제에게 보낸 식품 선물 목록 = 178
3. 음식의 웃꾸미를 뜻한 말, 교태 = 181
4. 원나라 《거가필용》의 영향을 받은 육류 찬품 = 182
주식류 = 185
1. 백반ㆍ팥물밥ㆍ유반ㆍ골동반ㆍ잡곡반 = 185
2. 죽 = 190
3. 국수 = 195
4. 상화와 만두 = 204
탕류 = 209
1. 전철과 전골 = 209
2. 승기아탕 또는 승기악탕 = 213
3. 열구자탕ㆍ신설로ㆍ신선로 = 216
4. 면신설로 = 220
5. 사라져버린 시식 - 잡탕과 골동갱 = 221
6. 궁중식 용봉탕 = 223
7. 관노들의 음식이었던 추어탕 = 225
8. 병갱과 떡국 = 227
찜류 = 231
1. 정조대왕이 잡수신 황구찜 = 231
2. 숙종대왕이 잡수신 어묵 - 생선숙편 = 235
구이류 = 237
1. 설야멱 = 237
2. 느르미ㆍ느름적ㆍ어음적ㆍ화양적 = 239
3. 병자ㆍ빈자ㆍ빙자떡ㆍ빈대떡 = 246
밥반찬이었던 젓갈 = 250
회와 조선 사람 = 253
1. 생선회를 사서 먹은 민중들 = 253
2. 화려했던 어채문화 = 258
3. 육회와 갑회 = 259
버터를 만든 사람 - 수유치 = 262
포와 절육, 하설다식과 황육다식 = 264
나물 = 267
1. 정조대왕이 잡수신 나물 찬품 = 267
2. 잡채와 밀쌈에서 생겨난 지금의 구절판 = 270
3. 진채식인 콩나물과 숙주나물 = 273
4. 궁중의 청포채에서 유래된 탕평채 = 275
초시에서 유래된 고초장 = 277
고추가 보급되기 전 김치에 넣었던 천초 = 279
유밀과 = 285
1. 매엽과 = 285
2. 약과 = 288
3. 유밀과와 당속 = 292
떡 = 298
1. 어떤 종류의 떡을 먹었을까 = 298
2. 화전 = 303
음청문화 = 309
가양주문화 = 312
참외를 즐겨 먹었던 조선사회 = 318
시식과 절식 문화 = 322
본문의 주 = 328
참고문헌 = 3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