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장정보
서가번호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소장처 | 대출가능여부 | 대출정보 | |
---|---|---|---|---|---|---|
0008845 | 390.4 강53ㄷ | 농림축산식품부 자료실 | 대출가능 |
* 대출중인 자료에 한하여 예약이 가능합니다. 예약을 원하시면 예약버튼을 클릭하십시오.
008030604s2003 ulka d 001a kor
020 ▼a8930309798▼g93340▼c\10000
056 ▼a390.4▼24
090 ▼a390.4▼b강53ㄷ
1001 ▼a강성학
24500▼a동아시아의 안보와 유엔체제▼d강성학 [편저]
260 ▼a서울▼b집문당▼c2003
300 ▼a257 p.▼b삽도▼c23 cm
44000▼a아산재단 연구총서▼v제118집
504 ▼a참고문헌 : p.249-257
9500 ▼b\10000
제1장 유엔과 동북아의 평화와 안보 : 경찰관에서 유모로? / 강성학
1. 서론 = 13
2. 유엔 헌장에 입각한 북한 침공에 대한 대응 : 절정의 시간 = 16
3. 탈냉전기 캄보디아에서의 평화구축 : 정통성을 부여하는 중재자로서의 유엔 = 23
4. 동티모르에서 유엔의 국가건설 노력 : 산파 역할과 유모 역할? = 33
5. 동아시아에서 유엔이 저지른 태만의 죄 = 41
6. 동아시아라는 실험장의 보고서 = 53
7. 결론 = 58
제2장 부시 행정부와 유엔 : 한국의 입장 / 홍규덕
1. 서론 = 67
2. 부시 외교정책의 기조와 대 유엔 정책 = 68
3. 유엔의 필요성 논쟁 = 74
4. 제56차 총회를 위한 미국의 우선순위들 = 81
5. 한국의 입장 = 91
6. 결론 = 101
제3장 한국의 PKO 정책과 실제 / 이서항
1. 서론 : 유엔 PKO의 기원과 활동범위 = 109
2. PKO의 발전 : 기능 및 원칙과 새로운 변화 추세 = 114
1) PKO 기능의 범위 = 114
2) PKO 수행의 원칙 = 120
3) PKO 활동의 새로운 변화 추세 = 125
3. 한국의 PKO 참여 : 현황과 평가 = 127
1) 한국의 PKO 참여 현황과 배경 = 127
2) PKO 참여의 의의와 문제점 = 130
4. 바람직한 PKO 정책의 방향 = 134
5. 결론 = 137
제4장 한국과 평화유지활동 : 경험과 정책 / 박재영
1. 서론 = 143
2. 한국의 평화유지활동 경험 = 144
1) 제1기(1993-96년) = 144
2) 제2기(1997-99년 8월) = 148
3) 제3기(1999년 9월-현재) = 148
3. 한국의 평화유지활동 정책 = 151
1) 제1기 평화유지활동 정책의 특징 = 151
2) 제2기 평화유지활동 정책의 특징 = 152
3) 제3기 평화유지활동 정책의 특징 = 153
4. 한국의 평화유지활동 정책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 = 154
1) 여론 = 154
2) 국회의 태도 = 155
3) 대외정책 목표 = 156
4) 국가안보에 대한 우려 = 159
5) 군의 국제화 필요성 = 160
5. 결어 = 161
제5장 한국의 유엔 평화유지활동(UN PKOs) : 정책결정과 국내 정치적 고려 / 박흥순
1. 서론 = 167
2. 한국의 PKO 참여 : 개관 = 169
1) 1991-92년 : 탐색기(노태우 대통령 시기) = 169
2) 1993-97년 : 본격 참여기(김영삼 대통령 시기) = 170
3) 1998년-현재 : 성숙기 혹은 전환기(?)(김대중 대통령 시기) = 171
3. 의사정책 결정과 국내 정치 = 172
1) 헌법과 법률적 틀 = 173
2) 정부 내의 행위자와 의사결정 절차 = 174
3) 국회의 역할 = 176
4) 국내 정치 행위자 = 177
4. 의사정책 결정과 국내 정치 : 동티모르 파병 = 179
1) 주요 의사결정자 및 과정 = 179
2) 국내 정치행위 주체자 = 182
3) 동티모르 파병 : 평가 = 184
5. 한국의 PKO 정책과 국내 정치 = 189
6. 정책적 시사점과 제안 = 192
1) 정책적 시사점 = 192
2) 정책적 대안 = 198
7. 결론 = 203
제6장 북한 식량난민과 인간안보 : 유엔과 한국 정부의 역할을 중심으로 / 이신화
1. 서론 = 209
2. 인간안보에 관한 이론적 고찰 = 211
1) 전통적 국가안보의 한계 = 211
2) 인간안보의 개념 및 요소 = 217
3. 북한의 식량난 : 원인과 결과 = 219
1) 식량난의 원인 = 220
2) 북한 식량난에 대한 국제사회의 반응 = 225
4. 재중 탈북자와 국제사회 = 229
1) 탈북자는 난민? = 229
2) 재중 탈북자 보호와 국제사회의 역할 = 237
5. 결론 및 유엔에 대한 제언 = 245
참고문헌 = 249
1. 서론 = 13
2. 유엔 헌장에 입각한 북한 침공에 대한 대응 : 절정의 시간 = 16
3. 탈냉전기 캄보디아에서의 평화구축 : 정통성을 부여하는 중재자로서의 유엔 = 23
4. 동티모르에서 유엔의 국가건설 노력 : 산파 역할과 유모 역할? = 33
5. 동아시아에서 유엔이 저지른 태만의 죄 = 41
6. 동아시아라는 실험장의 보고서 = 53
7. 결론 = 58
제2장 부시 행정부와 유엔 : 한국의 입장 / 홍규덕
1. 서론 = 67
2. 부시 외교정책의 기조와 대 유엔 정책 = 68
3. 유엔의 필요성 논쟁 = 74
4. 제56차 총회를 위한 미국의 우선순위들 = 81
5. 한국의 입장 = 91
6. 결론 = 101
제3장 한국의 PKO 정책과 실제 / 이서항
1. 서론 : 유엔 PKO의 기원과 활동범위 = 109
2. PKO의 발전 : 기능 및 원칙과 새로운 변화 추세 = 114
1) PKO 기능의 범위 = 114
2) PKO 수행의 원칙 = 120
3) PKO 활동의 새로운 변화 추세 = 125
3. 한국의 PKO 참여 : 현황과 평가 = 127
1) 한국의 PKO 참여 현황과 배경 = 127
2) PKO 참여의 의의와 문제점 = 130
4. 바람직한 PKO 정책의 방향 = 134
5. 결론 = 137
제4장 한국과 평화유지활동 : 경험과 정책 / 박재영
1. 서론 = 143
2. 한국의 평화유지활동 경험 = 144
1) 제1기(1993-96년) = 144
2) 제2기(1997-99년 8월) = 148
3) 제3기(1999년 9월-현재) = 148
3. 한국의 평화유지활동 정책 = 151
1) 제1기 평화유지활동 정책의 특징 = 151
2) 제2기 평화유지활동 정책의 특징 = 152
3) 제3기 평화유지활동 정책의 특징 = 153
4. 한국의 평화유지활동 정책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 = 154
1) 여론 = 154
2) 국회의 태도 = 155
3) 대외정책 목표 = 156
4) 국가안보에 대한 우려 = 159
5) 군의 국제화 필요성 = 160
5. 결어 = 161
제5장 한국의 유엔 평화유지활동(UN PKOs) : 정책결정과 국내 정치적 고려 / 박흥순
1. 서론 = 167
2. 한국의 PKO 참여 : 개관 = 169
1) 1991-92년 : 탐색기(노태우 대통령 시기) = 169
2) 1993-97년 : 본격 참여기(김영삼 대통령 시기) = 170
3) 1998년-현재 : 성숙기 혹은 전환기(?)(김대중 대통령 시기) = 171
3. 의사정책 결정과 국내 정치 = 172
1) 헌법과 법률적 틀 = 173
2) 정부 내의 행위자와 의사결정 절차 = 174
3) 국회의 역할 = 176
4) 국내 정치 행위자 = 177
4. 의사정책 결정과 국내 정치 : 동티모르 파병 = 179
1) 주요 의사결정자 및 과정 = 179
2) 국내 정치행위 주체자 = 182
3) 동티모르 파병 : 평가 = 184
5. 한국의 PKO 정책과 국내 정치 = 189
6. 정책적 시사점과 제안 = 192
1) 정책적 시사점 = 192
2) 정책적 대안 = 198
7. 결론 = 203
제6장 북한 식량난민과 인간안보 : 유엔과 한국 정부의 역할을 중심으로 / 이신화
1. 서론 = 209
2. 인간안보에 관한 이론적 고찰 = 211
1) 전통적 국가안보의 한계 = 211
2) 인간안보의 개념 및 요소 = 217
3. 북한의 식량난 : 원인과 결과 = 219
1) 식량난의 원인 = 220
2) 북한 식량난에 대한 국제사회의 반응 = 225
4. 재중 탈북자와 국제사회 = 229
1) 탈북자는 난민? = 229
2) 재중 탈북자 보호와 국제사회의 역할 = 237
5. 결론 및 유엔에 대한 제언 = 245
참고문헌 = 2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