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료유형
- 단행본
- ISBN
- 8986808897 93330\8500
- KDC
- 363.232-3
- 청구기호
- 363.232 한17ㅅ
- 단체저자
- 한국여성개발원
- 서명/저자
- 성폭력·가정폭력 관련법의 시행실태와 과제 / 한국여성개발원
- 발행사항
- 서울 : 한국여성개발원, 2000
- 형태사항
- 270 p. ; 26 cm
- 총서명
- UNDP 협력사업 : 여성과 인권 시리즈 ; 2
- 총서명
- '99 연구보고서 ; 210-23
- 주기사항
- 연구자 : 김엘림, 윤덕경, 박현미
- 서지주기
- 참고문헌 : p.265-270
- 기타저자
- 김엘림
- 기타저자
- 윤덕경
- 기타저자
- 박현미
- 통일총서명
- '99 연구보고서(한국여성개발원) ; 210-23
- 가격
- \8500
- Control Number
- maf:890
소장정보
서가번호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소장처 | 대출가능여부 | 대출정보 | |
---|---|---|---|---|---|---|
0004216 | 363.232 한17ㅅ | 농림축산식품부 자료실 | 대출가능 |
* 대출중인 자료에 한하여 예약이 가능합니다. 예약을 원하시면 예약버튼을 클릭하십시오.
008000501s2000 ulk 000a kor
020 ▼a8986808897▼g93330▼c\8500
056 ▼a363.232▼23
090 ▼a363.232▼b한17ㅅ
110 ▼a한국여성개발원
24500▼a성폭력·가정폭력 관련법의 시행실태와 과제▼d한국여성개발원
260 ▼a서울▼b한국여성개발원▼c2000
300 ▼a270 p.▼c26 cm
44000▼aUNDP 협력사업 : 여성과 인권 시리즈▼v2
49010▼a'99 연구보고서▼v210-23
50000▼a연구자 : 김엘림, 윤덕경, 박현미
504 ▼a참고문헌 : p.265-270
7001 ▼a김엘림
7001 ▼a윤덕경
7001 ▼a박현미
830 0▼a'99 연구보고서(한국여성개발원)▼v210-23
9500 ▼b\8500
제1장 연구의 배경과 목적 = 1
1. 여성인권·여성폭력·법 = 3
2. 여성인권과 여성폭력에 관한 한국 입법의 발전 = 8
3.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 14
4. 연구의 구성과 방법 = 15
제2장 현행 성폭력범죄의처벌및피해자보호등에관한법률의 주요내용과 시행실태 = 19
1. 법의 구조와 주요내용 = 21
가. 법의 목적과 구조 = 21
나. 국가와 지방자치단체의 책무 = 21
다. 성폭력범죄의 유형과 처벌 = 22
라. 성폭력범죄의 신고와 고소 = 41
마. 수사기관(경찰, 검찰)의 사건처리와 피해자보호 = 44
바. 법원의 사건처리와 피해자보호 = 47
사. 피해자보호시설 = 53
아. 피해자의 고용보호 = 55
2. 법의 시행실태 = 55
가. 국가와 지방자치단체의 책무이행 실태 = 55
나. 성폭력사건의 발생과 범죄자 특성 = 57
다. 성폭력범죄의 신고·고소 실태 = 62
라. 수사기관의 성폭력사건처리와 피해자보호 실태 = 64
마. 법원의 성폭력사건처리와 피해자보호 실태 = 72
바. 피해자보호시설의 실태 = 75
제3장 현행 가정폭력관련법의 주요내용과 시행실태 = 81
1. 가정폭력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의 구조와 주요내용 = 83
가. 법의 목적과 구조 = 83
나. 가정폭력범죄의 유형과 처벌 = 85
다. 가정폭력범죄의 신과와 고소 = 91
라. 수사기관(경찰, 검찰)의 가정폭력사건처리 = 92
마. 법원의 가정폭력사건처리 = 93
바. 배상명령제도 = 100
사. 가정폭력사건의 피해자보호와 보도금지조치 = 101
2. 가정폭력방지 및 피해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의 구조와 주요내용 = 104
가. 법의 목적과 구조 = 104
나. 국가와 지방자치단체의 책무 = 104
다. 피해자보호시설 = 105
3. 가정폭력관련법의 시행실태 = 108
가. 국가와 지방자치단체의 책무이행 실태 = 108
나. 가정폭력사건의 발생과 행위자 특성 = 111
다. 가정폭력범죄의 신고와 고소 실태 = 115
라. 수사기관의 가정폭력사건처리 실태 = 116
바. 법원의 가정보호사건처리 실태 = 124
마. 배상명령 실태 = 138
사. 피해자보호시설의 실태 = 139
제4장 성폭력·가정폭력관련법의 인지실태 = 145
1. 조사의 대상과 방법 = 147
2. 성폭력특별법의 인지실태 = 149
가. 법의 존재와 내용에 관한 인지도 = 149
나. 법의 인지경로 = 154
다. 법의 교육경험 = 156
3. 가정폭력관련법의 인지실태 = 157
가. 법의 존재와 내용에 관한 인지도 = 157
나. 법의 인지경로 = 162
다. 법의 교육경험 = 164
제5장 성폭력·가정폭력에 관한 국제적 입법 및 정책동향 = 165
1. 유엔의 여성폭력대책 = 167
가. 북경(제4차 세계여성회의)행동강령의 여성폭력철폐전략 = 167
나. 제42차(1998년) 유엔여성지위원회의 결의 = 172
다. 유엔인권위원회의 가정폭력 모범입법례 = 173
2. 미국의 여성폭력 관련법과 정책 = 178
가. 여성폭력방지법 = 178
나. 여성폭력담당기구 = 192
다. 법시행을 위한 프로그램 = 193
3. 캐나다의 여성폭력 관련법과 정책 = 195
가. 형법 = 195
나. 여성폭력피해자보호를 위한 사법제도의 개선 = 196
다. 주요 여성폭력대책 = 197
4. 영국의 여성폭력 관련법과 정책 = 200
가. 성폭력범죄자법 = 200
나. 가족법 = 201
다. 희롱으로부터의 보호법 = 202
라. 주요 여성폭력대책 = 202
5. 독일의 여성폭력 관련법과 정책 = 205
가. 형법 = 205
나. 주요 여성폭력대책 = 207
6. 스웨덴의 여성폭력 관련법과 정책 = 211
가. 형법 = 211
나. 접근금지명령법 = 212
다. 피해자상담법 = 212
라. 주요 여성폭력대책 = 212
7. 호주의 여성폭력 관련법과 정책 = 216
가. 형법 = 216
나. 가족법과 가정폭력방지법 = 219
다. 주요 여성폭력대책 = 220
8. 일본의 여성폭력 관련법과 정책 = 223
가. 형법 = 223
나. 주요 여성폭력대책 = 224
제6장 현행 성폭력·가정폭력관련법의 실효성과 인권보장기능의 강화방안 = 227
1. 성폭력에 관한 현행법과 수사·재판절차의 개선 = 229
가. 성폭력범죄의 유형과 처벌에 관한 규정의 개정 = 229
나. 성폭력사건의 사법처리와 피해자보호제도의 개선 = 240
2. 가정폭력에 관한 현행법과 수사·재판절차의 개선 = 247
가. 가정폭력의 당사자범위와 신고의무에 관한 규저의 정비 = 247
나. 가정폭력사건의 사법처리와 피해자보호제도의 개선 = 250
3. 비밀누설금지와 보도금지에 관한 성폭력특별법과 가정폭력특례법의 법정형 조정 = 256
4. 피해자보호시설의 기능활성화와 지원확대 = 257
5. 사법기관의 개선 = 258
가. 남성편중인력구조개선 = 258
나. 여성폭력전담부서의 설치 = 259
다. 정확한 통계의 구축과 공표 = 260
6. 여성인권과 여성폭력관련법률의 체계적 교육강화 = 260
7. 법의 시행평가와 폭력철폐운동을 위한 대중매체·시민단체의 연대활동 = 264
참고문헌 = 265
1. 여성인권·여성폭력·법 = 3
2. 여성인권과 여성폭력에 관한 한국 입법의 발전 = 8
3.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 14
4. 연구의 구성과 방법 = 15
제2장 현행 성폭력범죄의처벌및피해자보호등에관한법률의 주요내용과 시행실태 = 19
1. 법의 구조와 주요내용 = 21
가. 법의 목적과 구조 = 21
나. 국가와 지방자치단체의 책무 = 21
다. 성폭력범죄의 유형과 처벌 = 22
라. 성폭력범죄의 신고와 고소 = 41
마. 수사기관(경찰, 검찰)의 사건처리와 피해자보호 = 44
바. 법원의 사건처리와 피해자보호 = 47
사. 피해자보호시설 = 53
아. 피해자의 고용보호 = 55
2. 법의 시행실태 = 55
가. 국가와 지방자치단체의 책무이행 실태 = 55
나. 성폭력사건의 발생과 범죄자 특성 = 57
다. 성폭력범죄의 신고·고소 실태 = 62
라. 수사기관의 성폭력사건처리와 피해자보호 실태 = 64
마. 법원의 성폭력사건처리와 피해자보호 실태 = 72
바. 피해자보호시설의 실태 = 75
제3장 현행 가정폭력관련법의 주요내용과 시행실태 = 81
1. 가정폭력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의 구조와 주요내용 = 83
가. 법의 목적과 구조 = 83
나. 가정폭력범죄의 유형과 처벌 = 85
다. 가정폭력범죄의 신과와 고소 = 91
라. 수사기관(경찰, 검찰)의 가정폭력사건처리 = 92
마. 법원의 가정폭력사건처리 = 93
바. 배상명령제도 = 100
사. 가정폭력사건의 피해자보호와 보도금지조치 = 101
2. 가정폭력방지 및 피해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의 구조와 주요내용 = 104
가. 법의 목적과 구조 = 104
나. 국가와 지방자치단체의 책무 = 104
다. 피해자보호시설 = 105
3. 가정폭력관련법의 시행실태 = 108
가. 국가와 지방자치단체의 책무이행 실태 = 108
나. 가정폭력사건의 발생과 행위자 특성 = 111
다. 가정폭력범죄의 신고와 고소 실태 = 115
라. 수사기관의 가정폭력사건처리 실태 = 116
바. 법원의 가정보호사건처리 실태 = 124
마. 배상명령 실태 = 138
사. 피해자보호시설의 실태 = 139
제4장 성폭력·가정폭력관련법의 인지실태 = 145
1. 조사의 대상과 방법 = 147
2. 성폭력특별법의 인지실태 = 149
가. 법의 존재와 내용에 관한 인지도 = 149
나. 법의 인지경로 = 154
다. 법의 교육경험 = 156
3. 가정폭력관련법의 인지실태 = 157
가. 법의 존재와 내용에 관한 인지도 = 157
나. 법의 인지경로 = 162
다. 법의 교육경험 = 164
제5장 성폭력·가정폭력에 관한 국제적 입법 및 정책동향 = 165
1. 유엔의 여성폭력대책 = 167
가. 북경(제4차 세계여성회의)행동강령의 여성폭력철폐전략 = 167
나. 제42차(1998년) 유엔여성지위원회의 결의 = 172
다. 유엔인권위원회의 가정폭력 모범입법례 = 173
2. 미국의 여성폭력 관련법과 정책 = 178
가. 여성폭력방지법 = 178
나. 여성폭력담당기구 = 192
다. 법시행을 위한 프로그램 = 193
3. 캐나다의 여성폭력 관련법과 정책 = 195
가. 형법 = 195
나. 여성폭력피해자보호를 위한 사법제도의 개선 = 196
다. 주요 여성폭력대책 = 197
4. 영국의 여성폭력 관련법과 정책 = 200
가. 성폭력범죄자법 = 200
나. 가족법 = 201
다. 희롱으로부터의 보호법 = 202
라. 주요 여성폭력대책 = 202
5. 독일의 여성폭력 관련법과 정책 = 205
가. 형법 = 205
나. 주요 여성폭력대책 = 207
6. 스웨덴의 여성폭력 관련법과 정책 = 211
가. 형법 = 211
나. 접근금지명령법 = 212
다. 피해자상담법 = 212
라. 주요 여성폭력대책 = 212
7. 호주의 여성폭력 관련법과 정책 = 216
가. 형법 = 216
나. 가족법과 가정폭력방지법 = 219
다. 주요 여성폭력대책 = 220
8. 일본의 여성폭력 관련법과 정책 = 223
가. 형법 = 223
나. 주요 여성폭력대책 = 224
제6장 현행 성폭력·가정폭력관련법의 실효성과 인권보장기능의 강화방안 = 227
1. 성폭력에 관한 현행법과 수사·재판절차의 개선 = 229
가. 성폭력범죄의 유형과 처벌에 관한 규정의 개정 = 229
나. 성폭력사건의 사법처리와 피해자보호제도의 개선 = 240
2. 가정폭력에 관한 현행법과 수사·재판절차의 개선 = 247
가. 가정폭력의 당사자범위와 신고의무에 관한 규저의 정비 = 247
나. 가정폭력사건의 사법처리와 피해자보호제도의 개선 = 250
3. 비밀누설금지와 보도금지에 관한 성폭력특별법과 가정폭력특례법의 법정형 조정 = 256
4. 피해자보호시설의 기능활성화와 지원확대 = 257
5. 사법기관의 개선 = 258
가. 남성편중인력구조개선 = 258
나. 여성폭력전담부서의 설치 = 259
다. 정확한 통계의 구축과 공표 = 260
6. 여성인권과 여성폭력관련법률의 체계적 교육강화 = 260
7. 법의 시행평가와 폭력철폐운동을 위한 대중매체·시민단체의 연대활동 = 264
참고문헌 = 2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