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장정보
서가번호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소장처 | 대출가능여부 | 대출정보 | |
---|---|---|---|---|---|---|
0002083 | 522.16 윤67ㅎ | 농림축산식품부 자료실 | 대출가능 |
* 대출중인 자료에 한하여 예약이 가능합니다. 예약을 원하시면 예약버튼을 클릭하십시오.
008021022s1999 ulk d 001a kor
020 ▼a8971191309▼g03330▼c\17000
056 ▼a522.16▼24
090 ▼a522.16▼b윤67ㅎ
1001 ▼a윤원근
24500▼a한국농촌계획론▼d윤원근 저
260 ▼a서울▼b대학출판사▼c1999
300 ▼a399 p.▼c24 cm
504 ▼a참고문헌 : p.384-390, 색인 수록
9500 ▼b\17000
제1장 농촌계획의 개념 = 11
1. 문제의 제기 = 11
2. 농촌계획의 시기별 변화 = 13
3. 농촌계획에 대한 관련분야의 제 접근과 한계 = 18
4. 농촌계획의 개념정립과 관련된 구성요소별 제 논의 = 24
5. 농촌계획의 개념 정립 = 38
제2장 농촌계획의 이론적 접근 = 43
1. 사회·문화적 접근 = 43
2. 경제적 접근 = 45
3. 공간적 접근 = 48
4. 종합적 접근 = 55
제3장 농촌마을의 특성과 분류 = 59
1. 농촌마을의 개념과 기능 = 59
2. 마을의 형성과 현황 = 62
3. 마을의 공간적 특성 = 65
4. 농촌지역 유형구분 = 70
제4장 농촌마을의 구조와 변화 = 77
1. 마을구조의 접근 시각 = 77
2. 마을 경제구조의 변화 = 79
3. 마을 사회구조의 변화 = 88
4. 마을 공간구조의 변화 = 92
제5장 마을 정주공동성의 존재형태 = 107
1. 정주공동성의 개념과 문제 제기 = 107
2. 정주공동성의 구성요소 및 접근방법 = 109
3. 산촌지역 정주공동성에 대한 조사 결과 = 111
4. 주민생활권의 확대 = 128
제6장 농촌 정주체계의 변화와 계획과제 = 131
1. 문제의 제기 = 131
2. 농촌정주체계의 개념과 구분 = 133
3. 산업사회에서의 농촌정주체계의 변화 = 136
4. 농촌 정주체계와 정책과제 = 145
제7장 농촌 마을계획의 전개와 방향 정립 = 165
1. 마을계획의 전개과정 = 165
2. 변화원인 = 169
3. 현행 마을계획 관련사업의 주요내용 = 170
4. 마을계획의 평가 = 175
5. 마을계획의 새로운 방향 모색 = 179
제8장 농촌 마을재정비 계획의 절차정립 = 187
1. 문제의 제기 = 187
2. 농촌마을재정비계획의 개념과 현황 = 188
3. 현행 농촌 마을계획 과정의 분석과 평가 = 193
4. 주민참여형 농촌 마을재정비계획과정의 정립 = 199
제9장 농촌 마을계획구역의 설정 = 213
1. 문제의 제기 = 213
2. 농촌 생활환경 정비구역의 실태와 문제점 = 214
3. 생활환경 정비구역의 설정기준 = 219
4. 새로운 농촌 생활환경 정비구역의 범역 검토 = 224
5. 생활환경 정비구역 설정의 실제 = 236
제10장 농촌환경정비 대상 시설항목의 선정 = 249
1. 시설항목 선정의 필요성 = 249
2. 농촌환경의 개념과 분류 = 253
3. 현행 농촌생활환경정비 시설항목의 분석 = 255
4. 현행 농촌생활환경정비 시설항목 선정의 한계 = 258
5. 농촌생활환경정비 대상 시설항목의 선정 = 261
6. 정책메뉴에 대한 주민수요 분석 = 267
7. 농업생산기반정비사업 = 272
제11장 농촌 토지이용계획 제도 = 283
1. 토지이용계획체계 = 283
2. 농촌토지이용에서의 용도지역 = 287
3. 농촌토지이용의 문제점 = 290
4. 새로운 농촌토지이용계획의 정립 = 294
제12장 외국의 농촌계획 = 307
1. 독일 = 307
2. 일본의 마을계획 = 332
제13장 새로운 마을계획 = 347
1. 논의의 배경 = 347
2. 생태적 마을만들기의 원리 = 355
3. 마을 역사·문화환경 보전의 이론과 계획원리 = 360
4. 생태마을운동의 'Permaculture' 및 'Cohousing'논의의 현실적합성 = 367
참고문헌 = 384
찾아보기 = 391
1. 문제의 제기 = 11
2. 농촌계획의 시기별 변화 = 13
3. 농촌계획에 대한 관련분야의 제 접근과 한계 = 18
4. 농촌계획의 개념정립과 관련된 구성요소별 제 논의 = 24
5. 농촌계획의 개념 정립 = 38
제2장 농촌계획의 이론적 접근 = 43
1. 사회·문화적 접근 = 43
2. 경제적 접근 = 45
3. 공간적 접근 = 48
4. 종합적 접근 = 55
제3장 농촌마을의 특성과 분류 = 59
1. 농촌마을의 개념과 기능 = 59
2. 마을의 형성과 현황 = 62
3. 마을의 공간적 특성 = 65
4. 농촌지역 유형구분 = 70
제4장 농촌마을의 구조와 변화 = 77
1. 마을구조의 접근 시각 = 77
2. 마을 경제구조의 변화 = 79
3. 마을 사회구조의 변화 = 88
4. 마을 공간구조의 변화 = 92
제5장 마을 정주공동성의 존재형태 = 107
1. 정주공동성의 개념과 문제 제기 = 107
2. 정주공동성의 구성요소 및 접근방법 = 109
3. 산촌지역 정주공동성에 대한 조사 결과 = 111
4. 주민생활권의 확대 = 128
제6장 농촌 정주체계의 변화와 계획과제 = 131
1. 문제의 제기 = 131
2. 농촌정주체계의 개념과 구분 = 133
3. 산업사회에서의 농촌정주체계의 변화 = 136
4. 농촌 정주체계와 정책과제 = 145
제7장 농촌 마을계획의 전개와 방향 정립 = 165
1. 마을계획의 전개과정 = 165
2. 변화원인 = 169
3. 현행 마을계획 관련사업의 주요내용 = 170
4. 마을계획의 평가 = 175
5. 마을계획의 새로운 방향 모색 = 179
제8장 농촌 마을재정비 계획의 절차정립 = 187
1. 문제의 제기 = 187
2. 농촌마을재정비계획의 개념과 현황 = 188
3. 현행 농촌 마을계획 과정의 분석과 평가 = 193
4. 주민참여형 농촌 마을재정비계획과정의 정립 = 199
제9장 농촌 마을계획구역의 설정 = 213
1. 문제의 제기 = 213
2. 농촌 생활환경 정비구역의 실태와 문제점 = 214
3. 생활환경 정비구역의 설정기준 = 219
4. 새로운 농촌 생활환경 정비구역의 범역 검토 = 224
5. 생활환경 정비구역 설정의 실제 = 236
제10장 농촌환경정비 대상 시설항목의 선정 = 249
1. 시설항목 선정의 필요성 = 249
2. 농촌환경의 개념과 분류 = 253
3. 현행 농촌생활환경정비 시설항목의 분석 = 255
4. 현행 농촌생활환경정비 시설항목 선정의 한계 = 258
5. 농촌생활환경정비 대상 시설항목의 선정 = 261
6. 정책메뉴에 대한 주민수요 분석 = 267
7. 농업생산기반정비사업 = 272
제11장 농촌 토지이용계획 제도 = 283
1. 토지이용계획체계 = 283
2. 농촌토지이용에서의 용도지역 = 287
3. 농촌토지이용의 문제점 = 290
4. 새로운 농촌토지이용계획의 정립 = 294
제12장 외국의 농촌계획 = 307
1. 독일 = 307
2. 일본의 마을계획 = 332
제13장 새로운 마을계획 = 347
1. 논의의 배경 = 347
2. 생태적 마을만들기의 원리 = 355
3. 마을 역사·문화환경 보전의 이론과 계획원리 = 360
4. 생태마을운동의 'Permaculture' 및 'Cohousing'논의의 현실적합성 = 367
참고문헌 = 384
찾아보기 = 3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