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장정보
서가번호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소장처 | 대출가능여부 | 대출정보 | |
---|---|---|---|---|---|---|
0002082 | 522.86 강14ㄴ | 농림축산식품부 자료실 | 대출가능 |
* 대출중인 자료에 한하여 예약이 가능합니다. 예약을 원하시면 예약버튼을 클릭하십시오.
008021022s2000 jjk d WC 000a kor
020 ▼a8988395263▼g94520▼c\12000
056 ▼a522.86▼24
090 ▼a522.86▼b강14ㄴ
1001 ▼a강경선
24510▼a농업생산자조직론▼b제주 감귤작목반의 사례연구를 중심으로▼d강경선 저
260 ▼a제주▼b제주대학교출판부▼c2000
300 ▼a318 p.▼c23 cm
44000▼a제주연구총서▼v7
504 ▼a참고문헌: p.311-318
9500 ▼b\12000
서문 = 3
서장 우리 나라 농업생산자 조직연구의 현황과 과제 = 15
1. 농업생산자조직 연구의 현황 = 15
2. 농업생산자조직 연구의 과제 = 18
3. 감귤생산자조직과 본서의 목적 = 22
제Ⅰ부 농업생산자조직에 관한 이론적 검토
제1장 일반조직이론과 농업생산자조직론 = 29
제1절 조직이론 = 29
1. 조직의 개념 = 29
2. 조직이론의 발전 = 32
3. 조직의 성립과 존속이론 = 38
제2절 농업생산자조직론의 성립과 발전 = 42
1. 농업 환경의 변화와 생산자조직화의 필요성 = 42
2. 농업생산자조직이론의 흐름 = 51
제2장 농업생산자조직의 개념과 유형 = 58
제1절 농업생산자조직의 개념 = 58
제2절 농업생산자조직의 유형 및 기능 = 61
1. 현상적인 유형과 기능 = 61
2. 개별경영의 영농집단으로의 이행과정에 따른 유형과 기능 = 64
3. 농업생산자조직의 발전 유형과 기능 = 66
4. 기타의 유형 분류와 기능 = 68
제3장 농업구조이론의 기초 모형과 농업생산자조직 = 71
제1절 농업경영규모확대에 따른 경제성 모형 = 71
제2절 규모의 경제 실현에 따른 후생경제성 모형 = 73
제3절 '규모의 경제'와 농업생산자조직 = 76
제Ⅱ부 제주감귤생산자조직의 발전 과정과 활동 실태
제4장 작목반조직의 의의와 발전 과정 = 81
제1절 작목반조직의 의의와 조직체적 특징 = 81
1. 작목반의 의의 = 81
2. 작목반의 조직체적 성격 = 84
3. 작목반에 대한 구성원의 인식 = 87
4. 작목반의 기능 = 89
제2절 작목반조직의 발전 과정 = 92
1. 1970년대 : 작목반의 태동 및 기반확립기 = 92
2. 1980년대 : '협동출하반'으로의 발전기 = 97
3. 1990년대 : 작목반의 재도약기 = 98
제3절 작목반조직의 현황과 과제 = 101
1. 작목반의 현황 = 101
2. 농업환경의 변화와 작목반의 과제 = 103
제5장 제주 감귤작목반조직의 현황과 발전 과정 = 105
제1절 감귤생산 및 작목반조직의 현황과 유형 = 105
1. 감귤생산 현황 = 105
2. 감귤작목반의 조직 현황과 유형 = 110
제2절 감귤작목반조직의 구성과 발전 = 112
제6장 제주감귤의 산지유통 실태와 농·감협의 역할 = 115
제1절 감귤의 산지유통 체계 = 115
1. 산지유통경로 = 115
2. 산지유통시설 = 118
3. 산지수집상 = 121
제2절 감귤의 출하 실태 = 124
1. 용도별 출하 실태 = 124
2. 단체별 출하 실태 = 126
3. 지역별 계통출하 실태 = 129
4. 출하 시장 및 출하 지역별 출하 실태 = 132
제3절 감귤의 산지유통조직으로서 농·감협의 역할 = 134
1. 산지유통조직으로서 농·감협의 역할 = 134
2. 감귤의 산지유통체계로서 농·감협에 대한 조합원의 의견 = 140
제7장 산지 유통에서 감귤작목반의 참여 실태와 개선 방향 -10개 '노지감귤' 작목반을 중심으로- = 148
제1절 조사작목반의 개요 = 148
제2절 조사작목반의 활동 실태 = 148
1. 작목반의 사업 종류 = 148
2. 출하 방법에 따른 실적 = 150
3. 작목반의 유통계획 수립 및 판로 개척 = 151
4. 판매처 및 판매시기 결정방법 = 152
5. 선과장시설의 관리와 운영실태 = 153
제3절 작목반운영상의 문제점과 개선 방향 = 156
1. 작목반운영의 긍정적인 효과 = 156
2. 작목반의 운영상 문제점 = 156
3. 작목반활동의 개선 방향 = 157
제8장 작목반에 대한 구성원의 의향과 작목반 가입의 경제적 효과 = 160
제1절 사례농가의 개요 = 160
제2절 작목반조직에 대한 구성원의 의향 = 166
1. 판매방법에 대한 작목반원들의 의향 = 166
2. 출하협의회·출하연합회 및 공동선과장 이용 개선 요구 = 169
3. 작목반원이 당면하고 있는 과제와 요구 = 171
제3절 작목반가입의 경제적 효과 = 175
1. 유통비용절약과 기금조성 효과 = 175
2. 작목반가입자와 비가입자의 깅제적 이익 차이 = 180
3. 작목반의 '가격차별화'전략과 경제적 효과 = 184
4. 작목반의 경제 행위(=판매활동)에 대한 만족도 = 186
제9장 제주 감귤작목반의 일반 활동과 개선 방향 -제주시 '남부시설감귤작목반'을 중심으로- = 189
제1절 감귤작목반조직의 활동 = 189
1. 임원의 활동 = 189
2. 작목반의 활동 = 191
3. 작목반 활동과 농협과의 관계 = 191
4. 작목반 활동과 지도 기관과의 관계 = 193
5. 선과장 시설 등의 관리·운영활동 = 194
제2절 감귤작목반 활동의 개선 방향 = 195
1. 작목반과 개별경영과의 관계 = 195
2. 작목반장 등 임원의 권한 정도 = 196
3. 작목반에 대한 성격 인식 = 198
4. 작목반조직의 운영성과 = 198
제3절 감귤작목반의 규약 내용과 보완 사항 = 199
1. 규약 내용 = 199
2. 보완사항 = 203
제Ⅲ부 제주감귤의 당면과제와 생산자조직의 대응
제10장 WTO 출범과 제주감귤농업의 구조개선 = 209
제1절 UR농산물협상의 전개와 시장 개방 = 209
1. GATT의 성격과 기본 원칙 = 209
2. UR농산물 협상의 주요 내용 = 217
3. UR 농업협상타결의 파급 영향 = 224
제2절 WTO 출범과 감귤농업 구조 개선의 필요성 = 228
제3절 감귤농업의 구조개선 = 230
1. 감귤 생산물 구성의 개선 = 230
2. 감귤 경영 구조의 개선 = 231
3. 감귤 생산 요소 구성의 개선 = 233
4. 감귤생산자 조직의 개편 = 234
제11장 생산조정의 의의와 생산자 조직의 대응 형태 = 235
제1절 생산조정의 의의와 대책 = 235
1. 생산조정의 의의 = 235
2. 생산조정 대책(과실류) = 238
제2절 생산조정과정에서 생산자 조직의 일반적인 참여 형태 = 241
1. Marketing-Order(姜國) = 241
2. Marketing-Board(英國) = 247
제3절 감귤의 수급 전망과 '생산할당제' 도입 방향 = 251
1. 감귤의 수급 전망 = 251
2. '생산할당제'의 도입 방향 = 252
제12장 생산조정 과정에서 제주감귤생산자 조직의 역할 = 256
제1절 생산조정의 주체로서 작목반의 역할 = 256
1. 기준(기초) 수량의 배분과 등록 = 257
2. 관리조직의 결성 = 257
3. 판매업자의 등록과 과징금 부과 = 258
4. 생산조정과 보상 = 259
제2절 생산조정과 감귤작목반의 생산 활동 참여 활성화 = 260
1. 생산조정자로서의 작목반 조직의 기능 제고 = 260
2. 감귤작목반의 생산 기능 활성화 = 261
제Ⅳ부 제주감귤 작목반 조직의 과제와 발전 방향
제13장 제주감귤 작목반 조직의 과제 = 267
제1절 '조직체'적 관점에서 본 작목반 조직의 과제 = 267
1. 생산자조직 내에서 움직이는 諸力 = 268
2. 감귤작목반 내부의 위기발생 요인과 과제 = 270
제2절 '유통조직체'적 관점에서 본 작목반 조직의 과제 = 273
1. 상인출하의 선호 요인과 해결 과제 = 273
2. 국내외적 유통 환경의 변화와 작목반의 과제 = 276
제14장 제주감귤 작목반 조직의 발전 방향 = 280
제1절 환경 변화와 작목반 조직의 발전 방향 = 280
1. 환경 변화에 대한 대응과 조직력 강화 = 280
2. 작목반의 발전 = 280
제2절 준내부경제 극대화를 위한 작목반의 활성화 방향 = 285
1. 유통환경의 변화와 산지 유통의 중요성 = 285
2. 산지 마케팅 주체로서의 작목반의 발전방향 = 288
3. 유통 일원화와 작목반 및 농·감협의 기능 조정 = 291
제3절 지역 농업의 조정자·통합자로서 작목반의 발전 방향 = 296
1. 지역 농업 조직화와 작목반의 관련 = 296
2. 지역 농업 조직화의 기능 및 구성과 작목반의 발전 방향 = 299
제15장 작목반 발전을 위한 정책 과제와 발전 모형 = 302
제1절 정책과제 = 302
1. 작목반 조직의 정비 및 전산 프로그램 개선 = 302
2. 작목반 평가 기준 재구성 = 304
3. 품종별·지역별(토양별)·발전 단계별 특성을 고려한 지도·지원 체계의 재정립 = 304
4. 표준규격화 및 공동계산제 실시 및 작목반별 차등 지원·육성 = 305
5. 종합적인 유통정보체계 구축 = 306
6. 기타, 미시적인 제언 = 306
제2절 작목반 조직의 발전 모형 = 308
참고문헌 = 311
서장 우리 나라 농업생산자 조직연구의 현황과 과제 = 15
1. 농업생산자조직 연구의 현황 = 15
2. 농업생산자조직 연구의 과제 = 18
3. 감귤생산자조직과 본서의 목적 = 22
제Ⅰ부 농업생산자조직에 관한 이론적 검토
제1장 일반조직이론과 농업생산자조직론 = 29
제1절 조직이론 = 29
1. 조직의 개념 = 29
2. 조직이론의 발전 = 32
3. 조직의 성립과 존속이론 = 38
제2절 농업생산자조직론의 성립과 발전 = 42
1. 농업 환경의 변화와 생산자조직화의 필요성 = 42
2. 농업생산자조직이론의 흐름 = 51
제2장 농업생산자조직의 개념과 유형 = 58
제1절 농업생산자조직의 개념 = 58
제2절 농업생산자조직의 유형 및 기능 = 61
1. 현상적인 유형과 기능 = 61
2. 개별경영의 영농집단으로의 이행과정에 따른 유형과 기능 = 64
3. 농업생산자조직의 발전 유형과 기능 = 66
4. 기타의 유형 분류와 기능 = 68
제3장 농업구조이론의 기초 모형과 농업생산자조직 = 71
제1절 농업경영규모확대에 따른 경제성 모형 = 71
제2절 규모의 경제 실현에 따른 후생경제성 모형 = 73
제3절 '규모의 경제'와 농업생산자조직 = 76
제Ⅱ부 제주감귤생산자조직의 발전 과정과 활동 실태
제4장 작목반조직의 의의와 발전 과정 = 81
제1절 작목반조직의 의의와 조직체적 특징 = 81
1. 작목반의 의의 = 81
2. 작목반의 조직체적 성격 = 84
3. 작목반에 대한 구성원의 인식 = 87
4. 작목반의 기능 = 89
제2절 작목반조직의 발전 과정 = 92
1. 1970년대 : 작목반의 태동 및 기반확립기 = 92
2. 1980년대 : '협동출하반'으로의 발전기 = 97
3. 1990년대 : 작목반의 재도약기 = 98
제3절 작목반조직의 현황과 과제 = 101
1. 작목반의 현황 = 101
2. 농업환경의 변화와 작목반의 과제 = 103
제5장 제주 감귤작목반조직의 현황과 발전 과정 = 105
제1절 감귤생산 및 작목반조직의 현황과 유형 = 105
1. 감귤생산 현황 = 105
2. 감귤작목반의 조직 현황과 유형 = 110
제2절 감귤작목반조직의 구성과 발전 = 112
제6장 제주감귤의 산지유통 실태와 농·감협의 역할 = 115
제1절 감귤의 산지유통 체계 = 115
1. 산지유통경로 = 115
2. 산지유통시설 = 118
3. 산지수집상 = 121
제2절 감귤의 출하 실태 = 124
1. 용도별 출하 실태 = 124
2. 단체별 출하 실태 = 126
3. 지역별 계통출하 실태 = 129
4. 출하 시장 및 출하 지역별 출하 실태 = 132
제3절 감귤의 산지유통조직으로서 농·감협의 역할 = 134
1. 산지유통조직으로서 농·감협의 역할 = 134
2. 감귤의 산지유통체계로서 농·감협에 대한 조합원의 의견 = 140
제7장 산지 유통에서 감귤작목반의 참여 실태와 개선 방향 -10개 '노지감귤' 작목반을 중심으로- = 148
제1절 조사작목반의 개요 = 148
제2절 조사작목반의 활동 실태 = 148
1. 작목반의 사업 종류 = 148
2. 출하 방법에 따른 실적 = 150
3. 작목반의 유통계획 수립 및 판로 개척 = 151
4. 판매처 및 판매시기 결정방법 = 152
5. 선과장시설의 관리와 운영실태 = 153
제3절 작목반운영상의 문제점과 개선 방향 = 156
1. 작목반운영의 긍정적인 효과 = 156
2. 작목반의 운영상 문제점 = 156
3. 작목반활동의 개선 방향 = 157
제8장 작목반에 대한 구성원의 의향과 작목반 가입의 경제적 효과 = 160
제1절 사례농가의 개요 = 160
제2절 작목반조직에 대한 구성원의 의향 = 166
1. 판매방법에 대한 작목반원들의 의향 = 166
2. 출하협의회·출하연합회 및 공동선과장 이용 개선 요구 = 169
3. 작목반원이 당면하고 있는 과제와 요구 = 171
제3절 작목반가입의 경제적 효과 = 175
1. 유통비용절약과 기금조성 효과 = 175
2. 작목반가입자와 비가입자의 깅제적 이익 차이 = 180
3. 작목반의 '가격차별화'전략과 경제적 효과 = 184
4. 작목반의 경제 행위(=판매활동)에 대한 만족도 = 186
제9장 제주 감귤작목반의 일반 활동과 개선 방향 -제주시 '남부시설감귤작목반'을 중심으로- = 189
제1절 감귤작목반조직의 활동 = 189
1. 임원의 활동 = 189
2. 작목반의 활동 = 191
3. 작목반 활동과 농협과의 관계 = 191
4. 작목반 활동과 지도 기관과의 관계 = 193
5. 선과장 시설 등의 관리·운영활동 = 194
제2절 감귤작목반 활동의 개선 방향 = 195
1. 작목반과 개별경영과의 관계 = 195
2. 작목반장 등 임원의 권한 정도 = 196
3. 작목반에 대한 성격 인식 = 198
4. 작목반조직의 운영성과 = 198
제3절 감귤작목반의 규약 내용과 보완 사항 = 199
1. 규약 내용 = 199
2. 보완사항 = 203
제Ⅲ부 제주감귤의 당면과제와 생산자조직의 대응
제10장 WTO 출범과 제주감귤농업의 구조개선 = 209
제1절 UR농산물협상의 전개와 시장 개방 = 209
1. GATT의 성격과 기본 원칙 = 209
2. UR농산물 협상의 주요 내용 = 217
3. UR 농업협상타결의 파급 영향 = 224
제2절 WTO 출범과 감귤농업 구조 개선의 필요성 = 228
제3절 감귤농업의 구조개선 = 230
1. 감귤 생산물 구성의 개선 = 230
2. 감귤 경영 구조의 개선 = 231
3. 감귤 생산 요소 구성의 개선 = 233
4. 감귤생산자 조직의 개편 = 234
제11장 생산조정의 의의와 생산자 조직의 대응 형태 = 235
제1절 생산조정의 의의와 대책 = 235
1. 생산조정의 의의 = 235
2. 생산조정 대책(과실류) = 238
제2절 생산조정과정에서 생산자 조직의 일반적인 참여 형태 = 241
1. Marketing-Order(姜國) = 241
2. Marketing-Board(英國) = 247
제3절 감귤의 수급 전망과 '생산할당제' 도입 방향 = 251
1. 감귤의 수급 전망 = 251
2. '생산할당제'의 도입 방향 = 252
제12장 생산조정 과정에서 제주감귤생산자 조직의 역할 = 256
제1절 생산조정의 주체로서 작목반의 역할 = 256
1. 기준(기초) 수량의 배분과 등록 = 257
2. 관리조직의 결성 = 257
3. 판매업자의 등록과 과징금 부과 = 258
4. 생산조정과 보상 = 259
제2절 생산조정과 감귤작목반의 생산 활동 참여 활성화 = 260
1. 생산조정자로서의 작목반 조직의 기능 제고 = 260
2. 감귤작목반의 생산 기능 활성화 = 261
제Ⅳ부 제주감귤 작목반 조직의 과제와 발전 방향
제13장 제주감귤 작목반 조직의 과제 = 267
제1절 '조직체'적 관점에서 본 작목반 조직의 과제 = 267
1. 생산자조직 내에서 움직이는 諸力 = 268
2. 감귤작목반 내부의 위기발생 요인과 과제 = 270
제2절 '유통조직체'적 관점에서 본 작목반 조직의 과제 = 273
1. 상인출하의 선호 요인과 해결 과제 = 273
2. 국내외적 유통 환경의 변화와 작목반의 과제 = 276
제14장 제주감귤 작목반 조직의 발전 방향 = 280
제1절 환경 변화와 작목반 조직의 발전 방향 = 280
1. 환경 변화에 대한 대응과 조직력 강화 = 280
2. 작목반의 발전 = 280
제2절 준내부경제 극대화를 위한 작목반의 활성화 방향 = 285
1. 유통환경의 변화와 산지 유통의 중요성 = 285
2. 산지 마케팅 주체로서의 작목반의 발전방향 = 288
3. 유통 일원화와 작목반 및 농·감협의 기능 조정 = 291
제3절 지역 농업의 조정자·통합자로서 작목반의 발전 방향 = 296
1. 지역 농업 조직화와 작목반의 관련 = 296
2. 지역 농업 조직화의 기능 및 구성과 작목반의 발전 방향 = 299
제15장 작목반 발전을 위한 정책 과제와 발전 모형 = 302
제1절 정책과제 = 302
1. 작목반 조직의 정비 및 전산 프로그램 개선 = 302
2. 작목반 평가 기준 재구성 = 304
3. 품종별·지역별(토양별)·발전 단계별 특성을 고려한 지도·지원 체계의 재정립 = 304
4. 표준규격화 및 공동계산제 실시 및 작목반별 차등 지원·육성 = 305
5. 종합적인 유통정보체계 구축 = 306
6. 기타, 미시적인 제언 = 306
제2절 작목반 조직의 발전 모형 = 308
참고문헌 = 3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