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장정보
서가번호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소장처 | 대출가능여부 | 대출정보 | |
---|---|---|---|---|---|---|
0008038 | 526.21 김17ㅎ | 농림축산식품부 자료실 | 대출가능 |
* 대출중인 자료에 한하여 예약이 가능합니다. 예약을 원하시면 예약버튼을 클릭하십시오.
008020207s1996 ulka d 000a korIV
020 ▼a8981760136▼g93520
056 ▼a526.21▼23
090 ▼a526.21▼b김17ㅎ
1001 ▼a김규헌
24510▼a한국산림과 온실가스▼b흡수·저장 및 저감방안▼d김규헌 등저
260 ▼a서울▼b임업연구원▼c1996
300 ▼a270 p.▼b삽도▼c26 cm
44000▼a임업연구원 연구자료▼v제126호
504 ▼a참고문헌 : p.172-180
710 ▼a임업연구원
9501 ▼a비매품
제1장 온실가스 흡수원 조성(산림녹화) 사업 = 11
제1편 산림황폐요인분석 = 11
1. 임정의 공백 = 11
가. 근세까지 계속된 원시적 임야토지제도 = 11
나. 전란의 다발과 국정의 쇠퇴 = 13
다. 화전의 무분별한 조성 = 14
2. 임산물 생장량과 소비량의 불균형 심화 = 16
제2편 산림녹화사업의 추진 = 20
1. 한국산림의 과거와 현재 = 20
가. 산림면적 = 20
나. 산림축적 = 23
2. 각 산림사업의 추진 = 24
가. 조림사업 = 24
나. 사방사업 = 29
다. 산불방지 및 도남벌방지 = 32
라. 산림병해충 방제 = 33
마. 화전정리사업 = 36
바. 산림투자 및 효과 = 37
제3편 산림녹화 성공요인 = 40
1. 사회·경제적인 안정과 임정의 정비 = 40
2. 산림보호조직의 정비 = 41
3. 새마을사업의 추진 = 42
4. 산림사상의 정립 = 43
5. 한국 산림녹화 교훈 = 44
제2장 온실가스 흡수 저장 현황 = 45
제1편 산림자원 현황 = 46
1. 산림의 개요 = 46
2. 우리나라 산림의 자연환경 = 47
3. 산림자원의 변화 추이 = 48
4. 산지전용 실태 = 50
5. 산림자원량 현황 = 51
가. 산림자원량 기본통계자료 = 51
나. 산림면적 = 52
다. 임목축적 = 53
제2편 산림식생의 이산화탄소 이산화탄소의 유·출입 = 55
1. 배경 = 55
가. 바이오매스 축적과 흡수 및 탄소저장 현황 = 55
나. 접근 방법 = 56
2. 온실가스 배출/흡수 요인 분석 = 57
가. 산림개간에 따른 이산화탄소 및 미량가스 배출 = 57
나. 초원개간에 따른 이산화탄소 및 미량가스 배출 = 58
다. 폐경지에 의한 이산화탄소 유출입 = 59
라. 경영림에 의한 이산화탄소 유출입 = 60
3. IPCC 방법에 의한 임목의 이산화탄소 흡수/배출 및 탄소저장 현황 = 60
가. 사용자료 및 기본가정 = 61
나. 연간 이산화탄소 순흡수량 = 62
다. 연간 이산화탄소 배출량 = 63
라. 연간 이산화탄소 총흡수량 = 65
마. 탄소저장량 = 65
4. 기존방법에 의한 산림식생의 이산화탄소 흡수 및 탄소저장 현황 = 66
가. 공시자료 및 추정방법 = 66
나. 산림식생의 바이오매스 현존량 및 연간 생산량 = 67
1) 상층목(上層木) = 67
2) 치수(稚樹) = 69
3) 관목(灌木) = 71
4) 초본(草本) = 72
다. 바이오매스 생산에 필요한 이산화탄소량 = 73
라. 산림식생의 연간 이산화탄소 흡수량 및 탄소저장량 = 73
제3편 산림토양의 탄소저장 현황 = 74
1. 산림토양내 탄소저장량 추정 = 75
가. 산림토양내 탄소저장량 = 76
나. 임상내 탄소저장량 = 77
2. 주요 산림 시업에 따른 산림 토양내 탄소동태 = 78
가. 산림수확 = 78
나. 간벌 = 79
다. 시비나 질소 고정식물의 이용 = 80
라. 지존작업 = 80
3. 토지 이용 변환시 토양내 탄소동태 = 81
가. 경작 = 81
나. 휴·폐경지의 산림전환 = 81
제4편 목제품의 탄소저장 현황 = 82
1. 머리말 = 82
2. 국산재 및 수입재 이용현황에 의한 탄소저장량 및 연간 순증가량 = 84
가. 총목재 수급량에 의한 용도별 탄소저장량 = 84
나. 국산재 원목공급량에 따른 용도별 탄소저장량 및 연간 순증가량 = 89
다. 수입재 원목공급량에 따른 용도별 탄소저장량 및 연간 순증가량 = 92
3. 맺음말 = 94
제3장 온실가스 저감기술 = 95
제1편 온실가스 저감기술 현황 = 95
1. 신규(휴폐경지) 조림 = 95
2. 육림작업 = 97
가. 간벌 = 97
나. 천연림보육 = 102
3. 산림 작업종 = 106
가. 개벌작업 = 106
나. 택벌작업 = 109
다. 왜림작업(맹아갱신법) = 111
라. 산벌작업 = 113
4. 불안정 산림생태계의 안정성 촉진기술 평가 = 114
가. 기후변화와 불안정 산림생태계 관리의 중요성 = 114
나. 불안정 생태계의 안정성 촉진기술 = 114
1) 복구공정 = 115
2) 식생녹화공법 = 116
3) 식재 및 관리 = 116
다. 불안정 산림생태계의 보호관리 방안 = 117
5. 도시 및 공단지역의 온실가스 흡수림 육성방안 평가 = 118
가. 환경림으로서의 우리나라 도시녹지(공원)의 실태 = 119
나. 도시 및 공단주변 환경림 조성과 관리 = 121
1) 환경림 조성과 관리의 기초 = 121
2) 환경림 조성과 관리특성 = 121
3) 환경림 조성과 관리의 실제 = 123
4) 환경림으로서의 녹지 확보방안 = 125
가) 녹지확보의 생태적 근거 = 126
나) 녹지확보 방안 = 126
다) 도시 및 공단지역의 열섬현상 저감방안 = 127
제2편 주요 온실가스 저감기술 잠재력 평가 = 128
1. 수종갱신 = 128
2. 휴폐경지조림 = 131
제4장 온실가스 저감 정책 = 133
제1편 온실가스 저감관련 정책 현황 = 133
1. 이산화탄소 흡수원 보호·보전정책 = 133
가. 산림계획제도 = 133
나. 보전임지의 지정 = 133
다. 시업제한지의 지정 = 134
라. 산불방지 및 병충해방제 = 134
2. 이산화탄소 흡수원 확대정책 = 134
가. 신규조림 = 135
나. 수종갱신 조림 = 135
다. 육림정책 = 135
라. 목재이용의 증진 = 135
제2편 주요 온실가스 저감 정책대안 평가 = 136
1. 수종갱신 = 136
2. 폐휴경지조림 = 138
제5장 온실가스 저감시나리오 = 142
제1편 기술정책시나리오 = 142
제2편 벌채정책시나리오 = 144
제3편 종합정책 시나리오 = 147
제6장 온실가스저감을 위한 중장기 정책방향연구 = 149
제1편 주요국의 산림부문의 저감정책 분석 = 149
1. 머리말 = 149
2. 미국 = 150
3. 카나다 = 152
4. 영국 = 153
5. 일본 = 154
6. 독일 = 155
7. 맺음말 = 157
제2편 산림의 온실가스 흡수, 저장을 위한 중장기 정책방향 = 158
1. 법적 지정 보호, 보전림의 유지 = 158
2. 병충해방제, 산불방지, 사방사업 등을 통한 산림보호 = 158
3. 산림자원의 조성 = 159
4. 산림자원의 육성 = 159
5. 개도국 중심의 해외조림사업 추진 = 160
6. 내구성있는 목제품 개발 및 이용 확대 = 160
7. 산림바이오매스의 생산과 이용증진 = 161
8. 산림 및 임업분야의 탄소순환에 대한 연구강화 = 161
제3편 지구온실가스저감관련 해외임업협력 현황 및 증진 방안 = 162
1. 해외임업협력의 중요성 = 162
2. 온실가스 저감관련 해외임업협력 현황 = 164
가. 사막화협약 관련 = 164
나. ITTO 관련 = 165
다. WCFSD, NEARET 등 = 166
3. 우리나라의 국제임업협력 증진방안 = 167
가. 산림녹화기술의 제공 = 167
나. 국제기구 등에 대한 지원 = 168
다. 해외조림사업의 확대 = 169
라. 국제산림관련 대응총괄태세 강화 = 170
참고문헌 = 172
부록
〈부록 1〉 기후변화협약(영문) = 181
〈부록 2〉 기후변화협약협상 현황과 기후변화의 경제성 분석 = 212
〈부록 3〉 한국의 온실가스 배출통계 = 258
제1편 산림황폐요인분석 = 11
1. 임정의 공백 = 11
가. 근세까지 계속된 원시적 임야토지제도 = 11
나. 전란의 다발과 국정의 쇠퇴 = 13
다. 화전의 무분별한 조성 = 14
2. 임산물 생장량과 소비량의 불균형 심화 = 16
제2편 산림녹화사업의 추진 = 20
1. 한국산림의 과거와 현재 = 20
가. 산림면적 = 20
나. 산림축적 = 23
2. 각 산림사업의 추진 = 24
가. 조림사업 = 24
나. 사방사업 = 29
다. 산불방지 및 도남벌방지 = 32
라. 산림병해충 방제 = 33
마. 화전정리사업 = 36
바. 산림투자 및 효과 = 37
제3편 산림녹화 성공요인 = 40
1. 사회·경제적인 안정과 임정의 정비 = 40
2. 산림보호조직의 정비 = 41
3. 새마을사업의 추진 = 42
4. 산림사상의 정립 = 43
5. 한국 산림녹화 교훈 = 44
제2장 온실가스 흡수 저장 현황 = 45
제1편 산림자원 현황 = 46
1. 산림의 개요 = 46
2. 우리나라 산림의 자연환경 = 47
3. 산림자원의 변화 추이 = 48
4. 산지전용 실태 = 50
5. 산림자원량 현황 = 51
가. 산림자원량 기본통계자료 = 51
나. 산림면적 = 52
다. 임목축적 = 53
제2편 산림식생의 이산화탄소 이산화탄소의 유·출입 = 55
1. 배경 = 55
가. 바이오매스 축적과 흡수 및 탄소저장 현황 = 55
나. 접근 방법 = 56
2. 온실가스 배출/흡수 요인 분석 = 57
가. 산림개간에 따른 이산화탄소 및 미량가스 배출 = 57
나. 초원개간에 따른 이산화탄소 및 미량가스 배출 = 58
다. 폐경지에 의한 이산화탄소 유출입 = 59
라. 경영림에 의한 이산화탄소 유출입 = 60
3. IPCC 방법에 의한 임목의 이산화탄소 흡수/배출 및 탄소저장 현황 = 60
가. 사용자료 및 기본가정 = 61
나. 연간 이산화탄소 순흡수량 = 62
다. 연간 이산화탄소 배출량 = 63
라. 연간 이산화탄소 총흡수량 = 65
마. 탄소저장량 = 65
4. 기존방법에 의한 산림식생의 이산화탄소 흡수 및 탄소저장 현황 = 66
가. 공시자료 및 추정방법 = 66
나. 산림식생의 바이오매스 현존량 및 연간 생산량 = 67
1) 상층목(上層木) = 67
2) 치수(稚樹) = 69
3) 관목(灌木) = 71
4) 초본(草本) = 72
다. 바이오매스 생산에 필요한 이산화탄소량 = 73
라. 산림식생의 연간 이산화탄소 흡수량 및 탄소저장량 = 73
제3편 산림토양의 탄소저장 현황 = 74
1. 산림토양내 탄소저장량 추정 = 75
가. 산림토양내 탄소저장량 = 76
나. 임상내 탄소저장량 = 77
2. 주요 산림 시업에 따른 산림 토양내 탄소동태 = 78
가. 산림수확 = 78
나. 간벌 = 79
다. 시비나 질소 고정식물의 이용 = 80
라. 지존작업 = 80
3. 토지 이용 변환시 토양내 탄소동태 = 81
가. 경작 = 81
나. 휴·폐경지의 산림전환 = 81
제4편 목제품의 탄소저장 현황 = 82
1. 머리말 = 82
2. 국산재 및 수입재 이용현황에 의한 탄소저장량 및 연간 순증가량 = 84
가. 총목재 수급량에 의한 용도별 탄소저장량 = 84
나. 국산재 원목공급량에 따른 용도별 탄소저장량 및 연간 순증가량 = 89
다. 수입재 원목공급량에 따른 용도별 탄소저장량 및 연간 순증가량 = 92
3. 맺음말 = 94
제3장 온실가스 저감기술 = 95
제1편 온실가스 저감기술 현황 = 95
1. 신규(휴폐경지) 조림 = 95
2. 육림작업 = 97
가. 간벌 = 97
나. 천연림보육 = 102
3. 산림 작업종 = 106
가. 개벌작업 = 106
나. 택벌작업 = 109
다. 왜림작업(맹아갱신법) = 111
라. 산벌작업 = 113
4. 불안정 산림생태계의 안정성 촉진기술 평가 = 114
가. 기후변화와 불안정 산림생태계 관리의 중요성 = 114
나. 불안정 생태계의 안정성 촉진기술 = 114
1) 복구공정 = 115
2) 식생녹화공법 = 116
3) 식재 및 관리 = 116
다. 불안정 산림생태계의 보호관리 방안 = 117
5. 도시 및 공단지역의 온실가스 흡수림 육성방안 평가 = 118
가. 환경림으로서의 우리나라 도시녹지(공원)의 실태 = 119
나. 도시 및 공단주변 환경림 조성과 관리 = 121
1) 환경림 조성과 관리의 기초 = 121
2) 환경림 조성과 관리특성 = 121
3) 환경림 조성과 관리의 실제 = 123
4) 환경림으로서의 녹지 확보방안 = 125
가) 녹지확보의 생태적 근거 = 126
나) 녹지확보 방안 = 126
다) 도시 및 공단지역의 열섬현상 저감방안 = 127
제2편 주요 온실가스 저감기술 잠재력 평가 = 128
1. 수종갱신 = 128
2. 휴폐경지조림 = 131
제4장 온실가스 저감 정책 = 133
제1편 온실가스 저감관련 정책 현황 = 133
1. 이산화탄소 흡수원 보호·보전정책 = 133
가. 산림계획제도 = 133
나. 보전임지의 지정 = 133
다. 시업제한지의 지정 = 134
라. 산불방지 및 병충해방제 = 134
2. 이산화탄소 흡수원 확대정책 = 134
가. 신규조림 = 135
나. 수종갱신 조림 = 135
다. 육림정책 = 135
라. 목재이용의 증진 = 135
제2편 주요 온실가스 저감 정책대안 평가 = 136
1. 수종갱신 = 136
2. 폐휴경지조림 = 138
제5장 온실가스 저감시나리오 = 142
제1편 기술정책시나리오 = 142
제2편 벌채정책시나리오 = 144
제3편 종합정책 시나리오 = 147
제6장 온실가스저감을 위한 중장기 정책방향연구 = 149
제1편 주요국의 산림부문의 저감정책 분석 = 149
1. 머리말 = 149
2. 미국 = 150
3. 카나다 = 152
4. 영국 = 153
5. 일본 = 154
6. 독일 = 155
7. 맺음말 = 157
제2편 산림의 온실가스 흡수, 저장을 위한 중장기 정책방향 = 158
1. 법적 지정 보호, 보전림의 유지 = 158
2. 병충해방제, 산불방지, 사방사업 등을 통한 산림보호 = 158
3. 산림자원의 조성 = 159
4. 산림자원의 육성 = 159
5. 개도국 중심의 해외조림사업 추진 = 160
6. 내구성있는 목제품 개발 및 이용 확대 = 160
7. 산림바이오매스의 생산과 이용증진 = 161
8. 산림 및 임업분야의 탄소순환에 대한 연구강화 = 161
제3편 지구온실가스저감관련 해외임업협력 현황 및 증진 방안 = 162
1. 해외임업협력의 중요성 = 162
2. 온실가스 저감관련 해외임업협력 현황 = 164
가. 사막화협약 관련 = 164
나. ITTO 관련 = 165
다. WCFSD, NEARET 등 = 166
3. 우리나라의 국제임업협력 증진방안 = 167
가. 산림녹화기술의 제공 = 167
나. 국제기구 등에 대한 지원 = 168
다. 해외조림사업의 확대 = 169
라. 국제산림관련 대응총괄태세 강화 = 170
참고문헌 = 172
부록
〈부록 1〉 기후변화협약(영문) = 181
〈부록 2〉 기후변화협약협상 현황과 기후변화의 경제성 분석 = 212
〈부록 3〉 한국의 온실가스 배출통계 = 2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