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장정보
서가번호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소장처 | 대출가능여부 | 대출정보 | |
---|---|---|---|---|---|---|
0007506 | 522.1 강67ㅌ | 농림축산식품부 자료실 | 대출가능 |
* 대출중인 자료에 한하여 예약이 가능합니다. 예약을 원하시면 예약버튼을 클릭하십시오.
008011207s2001 gak d 001a kor
020 ▼a8971571195▼g94300▼c\24000
056 ▼a522.1▼23
090 ▼a522.1▼b강67ㅌ
110 ▼a강원대학교▼b농촌개발연구소
24510▼a통일과 농촌사회▼b지속발전 가능한 농촌사회를 위하여▼d강원대학교 농촌개발연구소 엮음
260 ▼a춘천▼b강원대학교출판부▼c2001.
300 ▼a516 p.▼b삽도▼c23 cm
44000▼a백령학술총서▼v1
50000▼a권말에 '남북한 농업·농촌관련 연표' 수록
504 ▼a참고문헌, 색인 수록
9500 ▼b\24000
「변화의 새물결」을 위하여
「통일과 농촌사회」를 펴내면서
제1부 농촌사회의 국제적 변화와 전망
제1장 지속가능한 농촌사회 발전의 필요성 / 김형준 = 17
Ⅰ. 들어가는 말 = 17
Ⅱ. 지속가능한 발전의 의미 = 19
Ⅲ. 강원도 발전 계획과 지속가능한 발전 = 26
Ⅳ. 맺음말 = 31
제2장 사회주의 농업체제의 변화와 국제농촌사회의 전망 / 한도현 = 35
Ⅰ. 머리말 = 35
Ⅱ. 사회주의적 농업의 한계와 개혁 = 36
Ⅲ. 사회주의적 농업개혁의 유형과 특징 = 38
Ⅳ. 사회주의적 농업개혁과 국제사회의 전망 - 맺음말을 대신하며 - = 49
제3장 뉴 라운드체제하의 세계농촌사회의 변화와 전망 / 박대식 = 55
Ⅰ. 서론 = 55
Ⅱ. 뉴 라운드 협상의 최근 논의 동향과 주요 쟁점 = 57
Ⅲ. WTO 농산물협상의 최근 동향과 전망 = 63
Ⅳ. 기존 WTO체제하의 세계농촌사회의 변화 추이 = 68
Ⅴ. 뉴 라운드체제하의 세계농촌사회의 변화와 전망 = 75
제2부 분단하의 남북한 경제사정과 농촌
제1장 분단후 남·북한 경제구조의 변화 / 황신준 = 83
Ⅰ. 서언 = 83
Ⅱ. 조선사회의 근대화 성격과 해방 당시 우리 사회의 역사적 과제 = 84
Ⅲ. 남한 사회·경제의 발전과 경제구조의 변화 = 86
Ⅳ. 북한 사회·경제의 발전과 경제구조의 변화 = 94
Ⅴ. 남·북한 경제현황 비교 = 98
Ⅵ. 맺음말 = 99
제2장 분단에 따른 남북한의 농업구조 변화 / 옥한석 = 102
Ⅰ. 서론 = 102
Ⅱ. 농업의 생산 환경과 경지 면적 = 103
Ⅲ. 토지제도와 토지소유 관계 = 105
Ⅳ. 농업 경영과 농촌 개발 = 109
Ⅴ. 농촌 인구와 사회 = 113
Ⅵ. 결론 = 116
제3장 남북한 식량수급의 변화 / 이병오 = 119
Ⅰ. 머리말 = 119
Ⅱ. 남북한 식량작물 생산추이 = 120
Ⅲ. 북한의 식량수급 전망 = 134
Ⅳ. 맺음말 = 137
제4장 남북한 임업구조의 변화 / 최인화 = 140
Ⅰ. 서언 = 140
Ⅱ. 남북한 임정의 전개 = 141
Ⅲ. 남북한 임업의 현상 = 153
Ⅳ. 과제 및 전망 = 165
제5장 남북한 축산업구조의 변화 / 오상집 = 169
Ⅰ. 머리말 = 169
Ⅱ. 축산업과 제도 = 170
Ⅲ. 축산업 규모의 변화 = 177
Ⅳ. 축산분야 조직 및 체계의 변화 = 187
Ⅴ. 맺음말 = 193
제6장 남북한 농산물 유통구조의 변화와 농산물교류 협력 / 고종태 = 196
Ⅰ. 서언 = 196
Ⅱ. 북한의 상품 및 농산물 유통 = 197
Ⅲ. 남북 농산물교류·협력 추진현황과 전망 = 209
Ⅳ. 맺음말 = 215
제3부 남북한의 지속가능한 자원 이용 방안
제1장 남북한의 식·약용 식물자원 이용 방안 / 박철호 = 221
Ⅰ. 서론 = 221
Ⅱ. 남북한 식물자원의 분포·이용·보존 = 222
Ⅲ. 남북한 식물자원의 교류 실태 및 전망 = 241
Ⅳ. 통일 이후 남북한 식물자원의 개발과 이용 전략 = 247
Ⅴ. 결론 = 252
제2장 북한의 산림자원 현황과 개발 방안 / 김지홍 = 255
Ⅰ. 머리말 = 255
Ⅱ. 북한의 산림자원 현황 = 256
Ⅲ. 북한의 황폐 산림 복구 = 266
Ⅳ. 산림자원 분야 남북한 교류 협력 = 274
Ⅴ. 맺음말 = 278
제3장 남북한의 수자원 개발과 활용 방안 / 최중대 = 281
Ⅰ. 머리말 = 281
Ⅱ. 남북한의 수자원 현황 = 281
Ⅲ. 남북한의 농업수리시설 현황 = 287
Ⅳ. 남북한의 수자원 수요 및 개발 현황 = 291
Ⅴ. 통일 후 수자원의 개발과 활용 방안 = 296
제4장 통일대비 생태자원 보전과 활용 방안 - 백두대간을 중심으로 - / 신효중 = 303
Ⅰ. 머리말 = 303
Ⅱ. 생태자원의 보전 방안 = 304
Ⅲ. 생태자원의 활용 방안 = 312
Ⅳ. 맺음말 = 319
제4부 통일후 지속가능한 농촌사회
제1장 통일후 토지정책의 방향설정을 위한 제도 고찰 / 전운성 = 325
Ⅰ. 머리말 = 325
Ⅱ. 남북분단에 따른 사회체제의 이질화와 토지제도의 변화 = 326
Ⅲ. 통일후 지속발전 가능한 상생의 토지정책 방향 = 338
Ⅳ. 맺음말 = 347
제2장 통일후 농업생산조직 활성화 방안 / 이영길 = 350
Ⅰ. 서론 = 350
Ⅱ. 남한의 농업생산조직 = 352
Ⅲ. 북한의 농업생산조직 = 360
Ⅳ. 농업생산조직의 활성화 방안 - 맺음말을 대신하여 - = 366
제3장 통일후 산촌의 정착과 활성화 방안 / 박봉우 = 376
Ⅰ. 서론 = 376
Ⅱ. 북한의 산지와 산림 자원 = 378
Ⅲ. 산촌의 형성과 정착 - 남한지역의 경험 = 382
Ⅳ. 북한지역에서의 산촌의 형성과 발전 전략 = 387
Ⅴ. 맺는말 = 399
제4장 통일후 지속가능한 농촌정주권 체계 / 김갑열 = 402
Ⅰ. 서론 = 402
Ⅱ. 남북한 정주생활권 구조 = 405
Ⅲ. 통일 후 농촌정주체계의 변화 전망과 환경친화적 관리방안 = 417
Ⅳ. 결론 = 422
제5장 통일후 한국가족과 가족정책 - 통일후 지속가능한 농촌가족의 구상을 위하여 - / 이경희 = 426
Ⅰ. 서론 = 426
Ⅱ. 현대사회와 가족 = 427
Ⅲ. 분단후 남북한 가족비교 = 430
Ⅳ. 통일후 가족정책 방향 = 446
Ⅴ. 결론 = 448
제6장 동북아 국가와의 경제협력과 우리 농업부문에 대한 전망 / 이종민 = 453
Ⅰ. 머리말 = 453
Ⅱ. 한국의 지역경제통합 참여의 필요성 = 454
Ⅲ. 동북아지역 국가들의 경제현황 = 457
Ⅳ. 역통합에 따른 경제적 효과 = 464
Ⅴ. 지역경제권의 평가와 농업 = 470
Ⅵ. 맺음말 = 479
남북한 농업·농촌관련 연표 / 김기성 = 485
찾아보기 = 509
저자소개 = 513
「통일과 농촌사회」를 펴내면서
제1부 농촌사회의 국제적 변화와 전망
제1장 지속가능한 농촌사회 발전의 필요성 / 김형준 = 17
Ⅰ. 들어가는 말 = 17
Ⅱ. 지속가능한 발전의 의미 = 19
Ⅲ. 강원도 발전 계획과 지속가능한 발전 = 26
Ⅳ. 맺음말 = 31
제2장 사회주의 농업체제의 변화와 국제농촌사회의 전망 / 한도현 = 35
Ⅰ. 머리말 = 35
Ⅱ. 사회주의적 농업의 한계와 개혁 = 36
Ⅲ. 사회주의적 농업개혁의 유형과 특징 = 38
Ⅳ. 사회주의적 농업개혁과 국제사회의 전망 - 맺음말을 대신하며 - = 49
제3장 뉴 라운드체제하의 세계농촌사회의 변화와 전망 / 박대식 = 55
Ⅰ. 서론 = 55
Ⅱ. 뉴 라운드 협상의 최근 논의 동향과 주요 쟁점 = 57
Ⅲ. WTO 농산물협상의 최근 동향과 전망 = 63
Ⅳ. 기존 WTO체제하의 세계농촌사회의 변화 추이 = 68
Ⅴ. 뉴 라운드체제하의 세계농촌사회의 변화와 전망 = 75
제2부 분단하의 남북한 경제사정과 농촌
제1장 분단후 남·북한 경제구조의 변화 / 황신준 = 83
Ⅰ. 서언 = 83
Ⅱ. 조선사회의 근대화 성격과 해방 당시 우리 사회의 역사적 과제 = 84
Ⅲ. 남한 사회·경제의 발전과 경제구조의 변화 = 86
Ⅳ. 북한 사회·경제의 발전과 경제구조의 변화 = 94
Ⅴ. 남·북한 경제현황 비교 = 98
Ⅵ. 맺음말 = 99
제2장 분단에 따른 남북한의 농업구조 변화 / 옥한석 = 102
Ⅰ. 서론 = 102
Ⅱ. 농업의 생산 환경과 경지 면적 = 103
Ⅲ. 토지제도와 토지소유 관계 = 105
Ⅳ. 농업 경영과 농촌 개발 = 109
Ⅴ. 농촌 인구와 사회 = 113
Ⅵ. 결론 = 116
제3장 남북한 식량수급의 변화 / 이병오 = 119
Ⅰ. 머리말 = 119
Ⅱ. 남북한 식량작물 생산추이 = 120
Ⅲ. 북한의 식량수급 전망 = 134
Ⅳ. 맺음말 = 137
제4장 남북한 임업구조의 변화 / 최인화 = 140
Ⅰ. 서언 = 140
Ⅱ. 남북한 임정의 전개 = 141
Ⅲ. 남북한 임업의 현상 = 153
Ⅳ. 과제 및 전망 = 165
제5장 남북한 축산업구조의 변화 / 오상집 = 169
Ⅰ. 머리말 = 169
Ⅱ. 축산업과 제도 = 170
Ⅲ. 축산업 규모의 변화 = 177
Ⅳ. 축산분야 조직 및 체계의 변화 = 187
Ⅴ. 맺음말 = 193
제6장 남북한 농산물 유통구조의 변화와 농산물교류 협력 / 고종태 = 196
Ⅰ. 서언 = 196
Ⅱ. 북한의 상품 및 농산물 유통 = 197
Ⅲ. 남북 농산물교류·협력 추진현황과 전망 = 209
Ⅳ. 맺음말 = 215
제3부 남북한의 지속가능한 자원 이용 방안
제1장 남북한의 식·약용 식물자원 이용 방안 / 박철호 = 221
Ⅰ. 서론 = 221
Ⅱ. 남북한 식물자원의 분포·이용·보존 = 222
Ⅲ. 남북한 식물자원의 교류 실태 및 전망 = 241
Ⅳ. 통일 이후 남북한 식물자원의 개발과 이용 전략 = 247
Ⅴ. 결론 = 252
제2장 북한의 산림자원 현황과 개발 방안 / 김지홍 = 255
Ⅰ. 머리말 = 255
Ⅱ. 북한의 산림자원 현황 = 256
Ⅲ. 북한의 황폐 산림 복구 = 266
Ⅳ. 산림자원 분야 남북한 교류 협력 = 274
Ⅴ. 맺음말 = 278
제3장 남북한의 수자원 개발과 활용 방안 / 최중대 = 281
Ⅰ. 머리말 = 281
Ⅱ. 남북한의 수자원 현황 = 281
Ⅲ. 남북한의 농업수리시설 현황 = 287
Ⅳ. 남북한의 수자원 수요 및 개발 현황 = 291
Ⅴ. 통일 후 수자원의 개발과 활용 방안 = 296
제4장 통일대비 생태자원 보전과 활용 방안 - 백두대간을 중심으로 - / 신효중 = 303
Ⅰ. 머리말 = 303
Ⅱ. 생태자원의 보전 방안 = 304
Ⅲ. 생태자원의 활용 방안 = 312
Ⅳ. 맺음말 = 319
제4부 통일후 지속가능한 농촌사회
제1장 통일후 토지정책의 방향설정을 위한 제도 고찰 / 전운성 = 325
Ⅰ. 머리말 = 325
Ⅱ. 남북분단에 따른 사회체제의 이질화와 토지제도의 변화 = 326
Ⅲ. 통일후 지속발전 가능한 상생의 토지정책 방향 = 338
Ⅳ. 맺음말 = 347
제2장 통일후 농업생산조직 활성화 방안 / 이영길 = 350
Ⅰ. 서론 = 350
Ⅱ. 남한의 농업생산조직 = 352
Ⅲ. 북한의 농업생산조직 = 360
Ⅳ. 농업생산조직의 활성화 방안 - 맺음말을 대신하여 - = 366
제3장 통일후 산촌의 정착과 활성화 방안 / 박봉우 = 376
Ⅰ. 서론 = 376
Ⅱ. 북한의 산지와 산림 자원 = 378
Ⅲ. 산촌의 형성과 정착 - 남한지역의 경험 = 382
Ⅳ. 북한지역에서의 산촌의 형성과 발전 전략 = 387
Ⅴ. 맺는말 = 399
제4장 통일후 지속가능한 농촌정주권 체계 / 김갑열 = 402
Ⅰ. 서론 = 402
Ⅱ. 남북한 정주생활권 구조 = 405
Ⅲ. 통일 후 농촌정주체계의 변화 전망과 환경친화적 관리방안 = 417
Ⅳ. 결론 = 422
제5장 통일후 한국가족과 가족정책 - 통일후 지속가능한 농촌가족의 구상을 위하여 - / 이경희 = 426
Ⅰ. 서론 = 426
Ⅱ. 현대사회와 가족 = 427
Ⅲ. 분단후 남북한 가족비교 = 430
Ⅳ. 통일후 가족정책 방향 = 446
Ⅴ. 결론 = 448
제6장 동북아 국가와의 경제협력과 우리 농업부문에 대한 전망 / 이종민 = 453
Ⅰ. 머리말 = 453
Ⅱ. 한국의 지역경제통합 참여의 필요성 = 454
Ⅲ. 동북아지역 국가들의 경제현황 = 457
Ⅳ. 역통합에 따른 경제적 효과 = 464
Ⅴ. 지역경제권의 평가와 농업 = 470
Ⅵ. 맺음말 = 479
남북한 농업·농촌관련 연표 / 김기성 = 485
찾아보기 = 509
저자소개 = 5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