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장정보
서가번호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소장처 | 대출가능여부 | 대출정보 | |
---|---|---|---|---|---|---|
0006780 | 453.9 과91ㅎ | 농림축산식품부 자료실 | 대출가능 |
* 대출중인 자료에 한하여 예약이 가능합니다. 예약을 원하시면 예약버튼을 클릭하십시오.
008010828s1998 ggka dt 000a korBU
056 ▼a453.9▼23
090 ▼a453.9▼b과91ㅎ
110 ▼a과학기술부
24520▼a(황해종합조사연구) 해양대기 관측시스템 연구▼d과학기술부 [편]▼n3
260 ▼a[과천]▼b과학기술부▼c1998.
300 ▼a(77), 724 p.▼b삽도▼c26 cm
50000▼a이책은 '해양대기 관측시스템 연구'의 별책부록임
50000▼a연구기관 : 기상청, 기상연구소
504 ▼a참고문헌 : p.648-674
710 ▼a기상청
710 ▼a기상연구소
9501 ▼a가격불명
요약문(Summary) = 5
그림 목차(List of Figures) = 40
표 목차(List of Tables) = 73
제1장 서론(Introduction) = 1
제2장 해양기상관측 및 자료의 DB화(Marine Meteorological Observations and Data Base) / 김우규[기상연구소] = 3
제1절 서론(Introduction) = 3
제2절 해양기상 부이 및 관측(The ocean data buoy and its observe) = 5
제3절 효율적인 부이운영 및 소형부이 개발(Usage and developement of the Mini weather buoy) = 20
제4절 해양기상 관측 자료 DB화(Data base for the observation dat of the marine meteorological) = 23
제3장 인공위성을 이용한 해상풍 자료 생산(Production of the sea surface wind data using of a weather satellite) / 이동규[부산대학교] = 38
제1절 서론(Introduction) = 38
제2절 연구자료 및 방법(Data and Method) = 39
1. 연구자료(Data) = 39
2. 연구방법(Method) = 40
제3절 연구자료의 비료, 분석(Comparative analyses of the observation data) = 41
1. Divergence 비교와 기상현상 비교(Divergence comparative and comparative of the meteorological phenomenon) = 41
제4절 NSCAT wind 자료로 해상기압추정(Estimated of the sea surface pressure from NSCAT wind) = 70
제5절 토의(Discussion) = 73
제4장 황해 및 동중국해 해상풍 추정 연구(Study on the sea surface wind over the Yellow Sea and the Easy China Sea) / 오재호[기상연구소] = 75
제1절 서론(Introduction) = 75
제2절 인공위성 자료를 이용한 해상풍 추정 연구(In Estimation of the sea surface wind by a weather satellite) = 76
1. 서론(Introduction) = 76
2. NSCAT(NASA Scatterometer) 자료의 특징(Character of NSCAT(NASA Scatterometer) data) = 77
3. 자료 분석(Analyses of the data) = 78
4. 토의(Discussion) = 86
제3절 수치모텔을 이용한 해상풍 추정 연구(In Estimation of the sea surface wind by numerical model) = 90
1. 서론(Introduction) = 90
2. 중규모 모형(Mesoscale atmosphere model) = 91
3. 수치 실험 및 종관 특성(Numerical experiments and synoptic meteorology) = 94
4. 해상풍의 추정 및 결과(In Estimation of the sea surface wind and its results) = 94
5. 토의(discussion) = 102
제4절 소결론(Conclusion) = 103
제5장 대기/해양 접합 모형 개발(Development of a coupled atmosphere/ocean model) / 안중배[부산대학교] = 105
제1절 서론(Introduction) = 105
제2절 모형의 구성(Constituent of the model) = 111
1. 대기 순환 모형(Atmosphere circulation model) = 111
2. 해양 순환 모형(Ocean circulation model) = 116
3. 대기/해양 접합 모형(Coupled Atmosphere/ocean model) = 120
제3절 해양 모형의 spin-up(Spin-up of the Ocean circulation model) = 122
1. 서론(Introduction) = 122
2. 해양 모형의 경계 조건(Boundary condition of the Ocean circulation model) = 123
3. 해양 순환의 장기 모사(Integration of the Ocean circulation model) = 127
제4절 대기/해양 접합 실험(Experiment of the coupled atmosphere/ocean model) = 138
1. 사례의 선정과 종관 특성(Experiment about the cases and synoptic meteorology) = 138
2. 초기 및 경계 조건(Initial and boundary condition) = 147
3. 대기 stand-alone 모형 실험(Stand-alone model experiment) = 148
4. 해양의 초기 조건 생성을 위한 적분(Integration for the initioal condition of the ocean model) = 165
5. 접합 수치 실험 결과(Results of the coupled atmosphere/ocean model) = 168
제5절 대기/해양 접합 모형 개발과 적용 실험의 결론 및 연구 전망(Development of the coupled atmosphere/ocean model and the conclusion) = 190
제6장 황해 및 동중국해상의 해무에 관한 연구(Study on the sea fog over the Yellow Sea and the East China Sea) / 김경익[경북대학교] = 197
제1절 황해상의 해무 발생시 기상, 해상 요소 및 기압계 유형의 특성 연구(Character of meteorological, oceanic parameters and pressure field according to sea fog over the Yellow Sea) = 197
1. 서론(Introduction) = 197
2. 자료 및 방법(Data and method) = 199
3. 분석(Analysis) = 202
4. 요약(Summary) = 245
제2절 ISCCP 자료를 이용한 황해상의 해무 특성 탐지(Detection of sea fog over the Yellow Sea by ISCCP data) = 246
1. 서론(Introduction) = 246
2. 자료 및 방법(Data and method) = 247
3. 분석(Analysis) = 253
4. 요약(Summary) = 277
제3절 황해상 해무 발생의 수치 실험(Numerical experiment about sea fog over the Yellow Sea) = 279
1. 서론(Introduction) = 279
2. 모델 및 사례(Model and cases) = 281
3. 해무 판독과 난류(Interpretation of sea fog and tuburents) = 285
4. 해무의 수평 및 연직구조(Horizontal and vertical structure of sea fog) = 291
5. 요약(Summary) = 305
제7장 황해상의 악기상 발달 분석 및 예측 연구(Analysis and prediction of severe weathers over the Yellow Sea) / 이동규[서울대학교] = 307
제1절 서론(Introduction) = 307
1. 민감도 연구(On the sensitivity) = 307
2. 집중 호우 연구(On the heavy rainfall) = 311
3. 연구 목적 및 내용(Objectives and content of the research) = 312
제2절 수반 민감도 및 모델(Adjoint sensitivity and the model) = 316
1. 수반 민감도(Adjoint sensitivity) = 316
2. 중규모 수반 모델 시스템(Mesoscale Adjoint model system) = 320
제3절 사례 및 규준 실험(The case study and experiment) = 324
1. 사례(Case study) = 324
2. 규준 실험(Experiment) = 329
제4절 선형 모델 유효성 검토(Validity of the linear model) = 346
1. 개요(outline) = 346
2. 실험 방법(Experiment method) = 348
3. 결과(Results) = 351
제5절 중규모 대류계의 초기자료 민감도(Initial data sensitivity of the mesoscale convective system) = 369
1. 개요(Outline) = 369
2. 수반 민감도(Adjoint sensitivity) = 371
3. 민감도를 활용한 초기 오차의 영향 분석(Analysis on the effects of the initial error using sensitivity) = 378
제6절 자료 동화 실험(The data assimilation experiments) = 404
1. 개요(Outline) = 404
2. 4차원 변분 자료 동화(4-dimensional variational data assimilation) = 405
3. 관측 변수의 효과(Effective of the Observation variable) = 415
4. 가강수량 동화(Assimilation of the precipitable water) = 442
5. 관측 자료의 해상도 영향(Resolution effective of the observation data) = 465
제7절 소결론 및 토의(Conclusion and discussion) = 473
1. 선형 모델의 정확도(Accuracy of the linear model) = 475
2. 중규모 대류계의 수반 민감도(the adjoint method sensitivity of the mesoscale convective system) = 477
3. 자료 동화 체계의 민감도(Sensitivity of the data assimilation system) = 478
4. 제언(Suggection) = 481
제8장 황해대기정점관측(Intensive meteorological observations in the Yellow Sea) / 노재식[부산대학교] = 483
제1절 서해 연안지역의 해상기상 특성(Character about the marine meteorology in the western coastal area) = 483
1. 서론(Introduction) = 483
2. 자료 및 분석 방법(Data and method) = 486
3. 분석 결과(Results) = 491
4. 요약(Summary) = 507
제2절 서해중부해상(외연도)의 상·하층 대기구조 특성(The characteristics of the upper and lower atmosphere structure in the Yellow Sea(Oeyon-DO)) = 510
1. 서론(Introduction) = 510
2. 관측방법 및 종관기상상태(Observations method and synoptic meteorological) = 511
3. 분석결과(Results of analysis) = 522
4. 요약(Summary) = 552
제9장 탄소 순환 조사(Monitoring of carbon cycle) / 정용승[교원대학교] = 556
제1절 서론(Introductory) = 556
제2절 이산화탄소, CO₂(Carbon dioxide) = 565
제3절 탄소 동위원소, C13 ( C13 isotope) = 580
제4절 메탄, CH₄(Methane) = 580
제5절 일산화탄소, CO(Carbon monoxide) = 591
제6절 일산화 질소, N₂O(Nitrous oxide) = 597
제7절 Sulphur hexafluoride = 602
제8절 Trajectory 분석(Trajectory) = 602
제9절 논의(Discussion) = 613
제10절 인공위성 관측 및 기타(Satellite observations & others) = 620
제11절 소결론(Conclusions) = 634
제10장 결론(Conclusions) = 636
제11장 참고문헌(References) = 648
부록(Appendix) = 675
그림 목차(List of Figures) = 40
표 목차(List of Tables) = 73
제1장 서론(Introduction) = 1
제2장 해양기상관측 및 자료의 DB화(Marine Meteorological Observations and Data Base) / 김우규[기상연구소] = 3
제1절 서론(Introduction) = 3
제2절 해양기상 부이 및 관측(The ocean data buoy and its observe) = 5
제3절 효율적인 부이운영 및 소형부이 개발(Usage and developement of the Mini weather buoy) = 20
제4절 해양기상 관측 자료 DB화(Data base for the observation dat of the marine meteorological) = 23
제3장 인공위성을 이용한 해상풍 자료 생산(Production of the sea surface wind data using of a weather satellite) / 이동규[부산대학교] = 38
제1절 서론(Introduction) = 38
제2절 연구자료 및 방법(Data and Method) = 39
1. 연구자료(Data) = 39
2. 연구방법(Method) = 40
제3절 연구자료의 비료, 분석(Comparative analyses of the observation data) = 41
1. Divergence 비교와 기상현상 비교(Divergence comparative and comparative of the meteorological phenomenon) = 41
제4절 NSCAT wind 자료로 해상기압추정(Estimated of the sea surface pressure from NSCAT wind) = 70
제5절 토의(Discussion) = 73
제4장 황해 및 동중국해 해상풍 추정 연구(Study on the sea surface wind over the Yellow Sea and the Easy China Sea) / 오재호[기상연구소] = 75
제1절 서론(Introduction) = 75
제2절 인공위성 자료를 이용한 해상풍 추정 연구(In Estimation of the sea surface wind by a weather satellite) = 76
1. 서론(Introduction) = 76
2. NSCAT(NASA Scatterometer) 자료의 특징(Character of NSCAT(NASA Scatterometer) data) = 77
3. 자료 분석(Analyses of the data) = 78
4. 토의(Discussion) = 86
제3절 수치모텔을 이용한 해상풍 추정 연구(In Estimation of the sea surface wind by numerical model) = 90
1. 서론(Introduction) = 90
2. 중규모 모형(Mesoscale atmosphere model) = 91
3. 수치 실험 및 종관 특성(Numerical experiments and synoptic meteorology) = 94
4. 해상풍의 추정 및 결과(In Estimation of the sea surface wind and its results) = 94
5. 토의(discussion) = 102
제4절 소결론(Conclusion) = 103
제5장 대기/해양 접합 모형 개발(Development of a coupled atmosphere/ocean model) / 안중배[부산대학교] = 105
제1절 서론(Introduction) = 105
제2절 모형의 구성(Constituent of the model) = 111
1. 대기 순환 모형(Atmosphere circulation model) = 111
2. 해양 순환 모형(Ocean circulation model) = 116
3. 대기/해양 접합 모형(Coupled Atmosphere/ocean model) = 120
제3절 해양 모형의 spin-up(Spin-up of the Ocean circulation model) = 122
1. 서론(Introduction) = 122
2. 해양 모형의 경계 조건(Boundary condition of the Ocean circulation model) = 123
3. 해양 순환의 장기 모사(Integration of the Ocean circulation model) = 127
제4절 대기/해양 접합 실험(Experiment of the coupled atmosphere/ocean model) = 138
1. 사례의 선정과 종관 특성(Experiment about the cases and synoptic meteorology) = 138
2. 초기 및 경계 조건(Initial and boundary condition) = 147
3. 대기 stand-alone 모형 실험(Stand-alone model experiment) = 148
4. 해양의 초기 조건 생성을 위한 적분(Integration for the initioal condition of the ocean model) = 165
5. 접합 수치 실험 결과(Results of the coupled atmosphere/ocean model) = 168
제5절 대기/해양 접합 모형 개발과 적용 실험의 결론 및 연구 전망(Development of the coupled atmosphere/ocean model and the conclusion) = 190
제6장 황해 및 동중국해상의 해무에 관한 연구(Study on the sea fog over the Yellow Sea and the East China Sea) / 김경익[경북대학교] = 197
제1절 황해상의 해무 발생시 기상, 해상 요소 및 기압계 유형의 특성 연구(Character of meteorological, oceanic parameters and pressure field according to sea fog over the Yellow Sea) = 197
1. 서론(Introduction) = 197
2. 자료 및 방법(Data and method) = 199
3. 분석(Analysis) = 202
4. 요약(Summary) = 245
제2절 ISCCP 자료를 이용한 황해상의 해무 특성 탐지(Detection of sea fog over the Yellow Sea by ISCCP data) = 246
1. 서론(Introduction) = 246
2. 자료 및 방법(Data and method) = 247
3. 분석(Analysis) = 253
4. 요약(Summary) = 277
제3절 황해상 해무 발생의 수치 실험(Numerical experiment about sea fog over the Yellow Sea) = 279
1. 서론(Introduction) = 279
2. 모델 및 사례(Model and cases) = 281
3. 해무 판독과 난류(Interpretation of sea fog and tuburents) = 285
4. 해무의 수평 및 연직구조(Horizontal and vertical structure of sea fog) = 291
5. 요약(Summary) = 305
제7장 황해상의 악기상 발달 분석 및 예측 연구(Analysis and prediction of severe weathers over the Yellow Sea) / 이동규[서울대학교] = 307
제1절 서론(Introduction) = 307
1. 민감도 연구(On the sensitivity) = 307
2. 집중 호우 연구(On the heavy rainfall) = 311
3. 연구 목적 및 내용(Objectives and content of the research) = 312
제2절 수반 민감도 및 모델(Adjoint sensitivity and the model) = 316
1. 수반 민감도(Adjoint sensitivity) = 316
2. 중규모 수반 모델 시스템(Mesoscale Adjoint model system) = 320
제3절 사례 및 규준 실험(The case study and experiment) = 324
1. 사례(Case study) = 324
2. 규준 실험(Experiment) = 329
제4절 선형 모델 유효성 검토(Validity of the linear model) = 346
1. 개요(outline) = 346
2. 실험 방법(Experiment method) = 348
3. 결과(Results) = 351
제5절 중규모 대류계의 초기자료 민감도(Initial data sensitivity of the mesoscale convective system) = 369
1. 개요(Outline) = 369
2. 수반 민감도(Adjoint sensitivity) = 371
3. 민감도를 활용한 초기 오차의 영향 분석(Analysis on the effects of the initial error using sensitivity) = 378
제6절 자료 동화 실험(The data assimilation experiments) = 404
1. 개요(Outline) = 404
2. 4차원 변분 자료 동화(4-dimensional variational data assimilation) = 405
3. 관측 변수의 효과(Effective of the Observation variable) = 415
4. 가강수량 동화(Assimilation of the precipitable water) = 442
5. 관측 자료의 해상도 영향(Resolution effective of the observation data) = 465
제7절 소결론 및 토의(Conclusion and discussion) = 473
1. 선형 모델의 정확도(Accuracy of the linear model) = 475
2. 중규모 대류계의 수반 민감도(the adjoint method sensitivity of the mesoscale convective system) = 477
3. 자료 동화 체계의 민감도(Sensitivity of the data assimilation system) = 478
4. 제언(Suggection) = 481
제8장 황해대기정점관측(Intensive meteorological observations in the Yellow Sea) / 노재식[부산대학교] = 483
제1절 서해 연안지역의 해상기상 특성(Character about the marine meteorology in the western coastal area) = 483
1. 서론(Introduction) = 483
2. 자료 및 분석 방법(Data and method) = 486
3. 분석 결과(Results) = 491
4. 요약(Summary) = 507
제2절 서해중부해상(외연도)의 상·하층 대기구조 특성(The characteristics of the upper and lower atmosphere structure in the Yellow Sea(Oeyon-DO)) = 510
1. 서론(Introduction) = 510
2. 관측방법 및 종관기상상태(Observations method and synoptic meteorological) = 511
3. 분석결과(Results of analysis) = 522
4. 요약(Summary) = 552
제9장 탄소 순환 조사(Monitoring of carbon cycle) / 정용승[교원대학교] = 556
제1절 서론(Introductory) = 556
제2절 이산화탄소, CO₂(Carbon dioxide) = 565
제3절 탄소 동위원소, C13 ( C13 isotope) = 580
제4절 메탄, CH₄(Methane) = 580
제5절 일산화탄소, CO(Carbon monoxide) = 591
제6절 일산화 질소, N₂O(Nitrous oxide) = 597
제7절 Sulphur hexafluoride = 602
제8절 Trajectory 분석(Trajectory) = 602
제9절 논의(Discussion) = 613
제10절 인공위성 관측 및 기타(Satellite observations & others) = 620
제11절 소결론(Conclusions) = 634
제10장 결론(Conclusions) = 636
제11장 참고문헌(References) = 648
부록(Appendix) = 6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