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장정보
서가번호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소장처 | 대출가능여부 | 대출정보 | |
---|---|---|---|---|---|---|
0032229 | 802.041 이57ㅈ | 농림축산식품부 자료실 | 대출가능 |
* 대출중인 자료에 한하여 예약이 가능합니다. 예약을 원하시면 예약버튼을 클릭하십시오.
008240520s2024 ulk 000a kor
020 ▼a9791193270134▼g03700▼c\18000
056 ▼a802.041▼26
090 ▼a802.041▼b이57ㅈ
1001 ▼a이수연
24510▼a좋은 문장 표현에서 문장부호까지!▼b국립국어원 온라인가나다 선생님의 문장 교실▼d이수연 지음
260 ▼a서울▼b마리북스▼c2024
300 ▼a291 p.▼c19 cm
44000▼a마리 인문
653 ▼a문장작법
9500 ▼b\18000
1장 의미에 맞는 적절한 표현으로
‘되도록, 가능하면’을 뜻하면 ‘가능한’ 뒤에 ‘한’을 쓴다
붙여 쓰는 ‘-들’과 띄어 쓰는 ‘들’
의존명사 ‘등’의 두 가지 쓰임
‘선택’에는 ‘-든지’, ‘과거’에는 ‘-던지’
의미가 가까우면 ‘-고’, 비교적 멀면 ‘-며’
‘수단’은 ‘(으)로써’, ‘자격’은 ‘(으)로서’
‘진행’은 ‘-고 있다’, ‘완료’는 ‘-어 있다’
‘즐거운 주말’은 ‘되는’ 것이 아니라 ‘보내는’ 것
‘부탁드립니다’가 너무 많이 쓰인다
의미는 겹칠 수도 있다
‘-고자 합니다’는 ‘미래’의 일에 쓴다
‘로부터’와 ‘부터’의 미묘한 차이
‘고맙습니다’를 높이면 ‘감사합니다’(?)
‘에게’와 ‘에’, ‘에게서’와 ‘에서’
‘및’과 ‘또는’이 뜻하는 것
‘너무’의 뜻이 너무 확장됐다고 생각한다면
‘다양한’은 부정 문맥에 쓰지 말자
‘꾸준히’를 아무 데나 쓰면 안 된다
‘월등히’냐 ‘현저히, 현격히’냐
‘유지’와 ‘지속’은 뜻이 다르다
사각지대는 ‘발굴하는’ 것이 아니라 ‘찾아내는’ 것
‘돌파’는 기분 좋은 일에 쓴다
‘대하여/대한’과 ‘관하여/관한’도 필요하다
‘○○○ 등 5명’과 ‘○○○ 외 4명’ 중에 고른다면?
까닭을 나타내는 ‘로/에, (로) 인하여, 때문’
‘수요일’도 ‘수요일 날’도 괜찮아
‘3배가 늘다’와 ‘4배로 늘다’는 같은 뜻
‘저희 나라’는 ‘우리나라’의 낮춤말이 아니다
‘가장 오래된 것 중 하나’가 아니라 ‘가장 오래된 것’
‘대충’ ‘파악할’ 수는 없다
‘미-’를 붙일까, ‘비-’를 붙일까?
‘전문가의 자문을 통해’가 아니라 ‘전문가에게 자문하여’
‘을 통해’를 습관적으로 쓰지는 말자
‘보여지고, 향상시키고’를 ‘보이고, 향상하고’로
‘여부’를 잘 쓰는 방법
‘어떡해’가 ‘어떻게 해’의 준말이긴 하지만
와, 그리고, 쉼표의 관계
2장 간결하고 짜임새 있는 문장구조로
‘서술어’로 끝나면 ‘문장’, ‘명사’로 끝나면 ‘구’
‘및’은 명사(구)와 명사(구)를 연결한다
타동사는 목적어가 필요하다
문장구조를 바꾸면 ‘것’이 줄어든다
관형격조사 ‘의’는 문장을 구로 만든다
‘동사형 문장’이 ‘명사형 문장’보다 자연스럽다
군더더기 표현을 유발하는 ‘관형어+명사’
‘부사어’가 ‘동사’를 수식하는 문장이 자연스럽다
‘-하다’ 또는 ‘-되다’는 주어가 결정한다
‘하도록 하겠습니다’가 아니라 ‘하겠습니다’
‘가능하다’ 때문에 문법에 맞는 표현이 불가능해질 때
‘명사’도, ‘명사+의’도 모두 관형어가 된다
서술격조사 ‘이다’는 ‘이-’가 생략될 때도 있다
‘~ 중에 있다’보다 ‘-고 있다’
‘○○를 하다’보다 ‘○○하다’
한 단어냐 아니냐에 따라 문장구조가 달라진다
3장 알면 알수록 유용한 문장부호
문장부호로 중의적 해석을 막는다
쉼표와 가운뎃점은 같은 듯 다르다
쉼표는 생략할 수도 있다
가운뎃점 해석에 유의하자
날짜 표기에 쓰는 마침표와 물결표
‘년’ 표기에 아포스트로피(’)를?
쌍점(:) 띄어쓰기
소괄호 쓰임과 띄어쓰기
글자에 소괄호를 한다면?
낫표(『 』, 「 」)와 화살괄호(《 》, 〈 〉)와 따옴표(“ ”, ‘ ’)
인용절과 명사형 뒤 마침표는 찍어도, 안 찍어도 된다
어순이 뒤바뀌면 쉼표를!
줄임표(……, …) 쓰기
문장 끝 부호로 무엇을 쓸까?
4장 높임 표현은 지나치지도 모자라지도 않게
‘-하다’보다 ‘-드리다’가 좋다?
저에게 ‘여쭤보지’ 말고 ‘물어보세요’
높임 표현을 어디까지 해야 할까
높임 대상과 비높임 대상이 ‘와/과’로 묶였을 때
낮추는 ‘말씀’, 높이는 ‘말씀’
윗사람에게 ‘수고하다’를 쓰자니
‘홍길동 부장님’과 ‘부장 홍길동’
보조용언 ‘주다’를 쓰면 부드러워진다
연결어미 뒤에 ‘요’를 써서 상대방을 높이기
‘안녕하세요’와 ‘안녕하십니까’
사물을 높이는 표현
가정과 사회에서의 압존법
높임 표현에 대한 직관
자신을 가리키는 말
‘되도록, 가능하면’을 뜻하면 ‘가능한’ 뒤에 ‘한’을 쓴다
붙여 쓰는 ‘-들’과 띄어 쓰는 ‘들’
의존명사 ‘등’의 두 가지 쓰임
‘선택’에는 ‘-든지’, ‘과거’에는 ‘-던지’
의미가 가까우면 ‘-고’, 비교적 멀면 ‘-며’
‘수단’은 ‘(으)로써’, ‘자격’은 ‘(으)로서’
‘진행’은 ‘-고 있다’, ‘완료’는 ‘-어 있다’
‘즐거운 주말’은 ‘되는’ 것이 아니라 ‘보내는’ 것
‘부탁드립니다’가 너무 많이 쓰인다
의미는 겹칠 수도 있다
‘-고자 합니다’는 ‘미래’의 일에 쓴다
‘로부터’와 ‘부터’의 미묘한 차이
‘고맙습니다’를 높이면 ‘감사합니다’(?)
‘에게’와 ‘에’, ‘에게서’와 ‘에서’
‘및’과 ‘또는’이 뜻하는 것
‘너무’의 뜻이 너무 확장됐다고 생각한다면
‘다양한’은 부정 문맥에 쓰지 말자
‘꾸준히’를 아무 데나 쓰면 안 된다
‘월등히’냐 ‘현저히, 현격히’냐
‘유지’와 ‘지속’은 뜻이 다르다
사각지대는 ‘발굴하는’ 것이 아니라 ‘찾아내는’ 것
‘돌파’는 기분 좋은 일에 쓴다
‘대하여/대한’과 ‘관하여/관한’도 필요하다
‘○○○ 등 5명’과 ‘○○○ 외 4명’ 중에 고른다면?
까닭을 나타내는 ‘로/에, (로) 인하여, 때문’
‘수요일’도 ‘수요일 날’도 괜찮아
‘3배가 늘다’와 ‘4배로 늘다’는 같은 뜻
‘저희 나라’는 ‘우리나라’의 낮춤말이 아니다
‘가장 오래된 것 중 하나’가 아니라 ‘가장 오래된 것’
‘대충’ ‘파악할’ 수는 없다
‘미-’를 붙일까, ‘비-’를 붙일까?
‘전문가의 자문을 통해’가 아니라 ‘전문가에게 자문하여’
‘을 통해’를 습관적으로 쓰지는 말자
‘보여지고, 향상시키고’를 ‘보이고, 향상하고’로
‘여부’를 잘 쓰는 방법
‘어떡해’가 ‘어떻게 해’의 준말이긴 하지만
와, 그리고, 쉼표의 관계
2장 간결하고 짜임새 있는 문장구조로
‘서술어’로 끝나면 ‘문장’, ‘명사’로 끝나면 ‘구’
‘및’은 명사(구)와 명사(구)를 연결한다
타동사는 목적어가 필요하다
문장구조를 바꾸면 ‘것’이 줄어든다
관형격조사 ‘의’는 문장을 구로 만든다
‘동사형 문장’이 ‘명사형 문장’보다 자연스럽다
군더더기 표현을 유발하는 ‘관형어+명사’
‘부사어’가 ‘동사’를 수식하는 문장이 자연스럽다
‘-하다’ 또는 ‘-되다’는 주어가 결정한다
‘하도록 하겠습니다’가 아니라 ‘하겠습니다’
‘가능하다’ 때문에 문법에 맞는 표현이 불가능해질 때
‘명사’도, ‘명사+의’도 모두 관형어가 된다
서술격조사 ‘이다’는 ‘이-’가 생략될 때도 있다
‘~ 중에 있다’보다 ‘-고 있다’
‘○○를 하다’보다 ‘○○하다’
한 단어냐 아니냐에 따라 문장구조가 달라진다
3장 알면 알수록 유용한 문장부호
문장부호로 중의적 해석을 막는다
쉼표와 가운뎃점은 같은 듯 다르다
쉼표는 생략할 수도 있다
가운뎃점 해석에 유의하자
날짜 표기에 쓰는 마침표와 물결표
‘년’ 표기에 아포스트로피(’)를?
쌍점(:) 띄어쓰기
소괄호 쓰임과 띄어쓰기
글자에 소괄호를 한다면?
낫표(『 』, 「 」)와 화살괄호(《 》, 〈 〉)와 따옴표(“ ”, ‘ ’)
인용절과 명사형 뒤 마침표는 찍어도, 안 찍어도 된다
어순이 뒤바뀌면 쉼표를!
줄임표(……, …) 쓰기
문장 끝 부호로 무엇을 쓸까?
4장 높임 표현은 지나치지도 모자라지도 않게
‘-하다’보다 ‘-드리다’가 좋다?
저에게 ‘여쭤보지’ 말고 ‘물어보세요’
높임 표현을 어디까지 해야 할까
높임 대상과 비높임 대상이 ‘와/과’로 묶였을 때
낮추는 ‘말씀’, 높이는 ‘말씀’
윗사람에게 ‘수고하다’를 쓰자니
‘홍길동 부장님’과 ‘부장 홍길동’
보조용언 ‘주다’를 쓰면 부드러워진다
연결어미 뒤에 ‘요’를 써서 상대방을 높이기
‘안녕하세요’와 ‘안녕하십니까’
사물을 높이는 표현
가정과 사회에서의 압존법
높임 표현에 대한 직관
자신을 가리키는 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