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장정보
서가번호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소장처 | 대출가능여부 | 대출정보 | |
---|---|---|---|---|---|---|
0005245 | 336.25 유14ㄱ | 농림축산식품부 자료실 | 대출가능 |
* 대출중인 자료에 한하여 예약이 가능합니다. 예약을 원하시면 예약버튼을 클릭하십시오.
008010213s2000 ulk 1a kor
020 ▼a8937902672▼g93320▼c\23000
056 ▼a336.25▼23
090 ▼a336.25▼b유14ㄱ
1001 ▼a유경준
24500▼a고용창출에 관한 연구▼d유경준 편저
260 ▼a서울▼b비봉출판사▼c2000.
300 ▼a540 p.▼b표▼c23 cm
9500 ▼b\23000
발간사 = 5
Ⅰ. 서론 = 21
Ⅱ. 기존 실업대책의 평가 및 현 상황의 인식 = 27
1. 경제위기와 실업의 동태적 변화 / 김대일
가. 서론 = 29
나. 실업증가의 성분별 구성 = 32
다. 노동 공급측면의 변화 효과 = 53
라. 노동공급 변화의 원인 = 68
마. 결론 = 75
(부록) 실증분석에 사용된 자료에 대한 설명 = 78
(참고문헌) = 82
2. 경제위기 이후의 고용창출 유형분석 / 김대일
가. 서론 = 83
나. 전반적인 고용구조의 변화 = 85
다. 신규 취업 및 실직의 구조 =92
라. 창출된 일자리의 지속성 = 104
마. 실업자 흡수력 = 111
바. 맺음말 = 119
(참고문헌) = 122
3. 구조적 실업률(NAWU)에 기초한 현 상황의 인식 / 유경준
가. 서론 = 123
나. 구조적 실업률의 결정요인 및 변화요인 = 125
다. 구조적 실업률의 측정 = 132
라. 결론 및 정책방향 = 138
(부록) 3-1 균형실업률 재추정 = 142
(부록) 3-2 노동부 임금통계를 이용한 균형실업률 추정의 한계 = 146
(참고문헌) = 150
4. IMF 이후 분배구조의 변화와 일자리 창출 / 유경준
가. 서론 = 151
나. 소득분포의 변화추이 = 152
다. 소득분포 및 빈곤과 관련된 외국의 정책방향 = 169
라. 결론 = 179
(부록) = 181
(참고문헌) = 187
5. 중장기 인력수급 전망(2000∼2010) / 유경준
가. 서론 = 188
나. 중장기 노동공급 전망 = 189
다. 중장기 노동수요 전망 = 205
(참고문헌) = 225
Ⅲ. 일자리 창출을 위한 전략 = 227
1. 세제 및 사회보장제도의 개선 / 문형표
가. 문제의 제기 = 229
나. 노동시장 여건의 변화 = 230
다. ‘실업의 함정’과 대응전략 = 233
라. ‘빈곤의 함정’과 대응전략 247
마. 고노동비용과 대응전략 = 260
(참고문헌) = 268
2. 노동시장유연성과 일자리의 창출 / 유경준
가. 고용보호법(EPL) = 269
나. 임금결정 구조의 유연성 = 276
다. 탄력적 근로시간제 및 시간제 근로 = 293
(참고문헌) = 301
3. 적극적 노동시장 정책과 일자리 창출 / 최강식
가. 서론 = 302
나. 적극적 노동시장 정책(ALMPs) =303
다. 외국의 경험 =314
라. 우리나라에 대한 시사점 = 333
(참교문헌) = 347
4. 기술 혁신과 확산 / 김동석
가. 개관 = 349
나. 기술혁신의 경제적 효과 : 선진국의 경험 = 352
다. 일자리 창출을 위한 효율적인 과학기술 정책 = 359
(참고문헌) = 370
5. 기업의 육성 / 조동호
가. 일자리 창출에 있어서 기업 육성의 중요성 = 371
나. 기업 육성을 전제조건 = 378
다. 기업 육성을 위헌 정책과제 = 379
라. 주요 외국의 사례 = 389
(참고문헌) = 462
6. 저기능 근로자의 고용창출 / 고상원
가. 서론 = 430
나. 저기능 근로자를 위한 선진국의 고용 창출 = 433
다. 한국에서의 시사점 = 450
(참고문헌) = 462
Ⅳ. 요학 및 결론 = 463
(Ⅱ장 1절 : 경제위기와 실업의 동태적 변화) = 465
가. 문제의 제기 = 465
나. 1997∼78년 실업의 전개 양상 = 466
다. 실업증가의 성분별 기여도 = 468
라. 비시장적 요인(노동공급 증가 요인)의 추정 = 469
(Ⅱ장 2절 : 경제위기 이후의 고용창출 유형분석) = 472
가. 문제의 제기 = 472
나. 1998인 신규취업 및 실직의 전개 양상 = 473
다. 신규 취업 및 순고용의 실업자 흡수력 = 476
라. 정책적 시사점 = 477
(Ⅱ장 3절 : 구조적 실업률(NAWRU)에 기초한 현 상황의 인식) = 478
(Ⅱ장 7절 : IMF이후 분배구조의 변화와 일자리창출) = 483
가. 상대적 소득분포의 변화 = 483
나. 실질소득 분포의 변화(1997년 기준) = 484
다. 분포형태의 변화(실질임금 기준의 도표분석) = 485
라. 빈곤의 추이 = 485
마. 빈곤의 원인 분해 = 487
바. 향후 우리나라의 소득분배정책의 방향 = 488
사. 외국의 소득분배정책 방향 = 489
(Ⅱ장 5절 : 중장기 인력수급 전방(2000~2010) = 490
(Ⅲ장 1절: 세제 및 사회보장제도의 개선) = 494
가. 문제의 제기 = 494
나. 노동시장 여건의 변화 = 495
다. ‘실업의 함정’과 대응전략 = 496
라. ‘빈곤의 함정’과 대응전략 = 500
마. 고노동비용과 대응전략 = 503
(Ⅲ장 2절 : 노동시장유연성과 일자리의 창출) = 505
가. 고용보호법(EPL) = 505
나. 임금결정 구조의 유연성 = 509
(Ⅲ장 3절 : 적극적 노동시장 정책과 일자리 창출) = 511
가. 서론 = 511
나. 적극적 노동시장 정책 = 511
다. 외국의 경험 = 513
라. 한국에서의 시사점 = 516
(Ⅲ장 4절 : 기술혁신과 확산) = 519
가. 개관 = 519
나. 기술혁신의 경제적 효과 : 선진국의 경험 = 520
다. 일자리 창출을 위한 효율적민 과학기술 정책 = 520
(Ⅲ장 5절 : 기업의 육성) = 525
가. 일자리 창출에 있어서 기업 육성의 중요성 = 525
나. 기업 육성을 위한 전제조건 = 526
다. 기업 육성은 위한 정책과제= 527
라. 주요 외국의 사례 = 529
마. 정책적 시사점 = 529
(Ⅲ장 6절: 저기능 근로자의 고용 창출) = 532
가. 서론 = 532
나. 저기능 근로자를 위한 선진국의 고용 창출 = 533
다. 저기능 근로자를 위한 정책방항 = 535
Ⅰ. 서론 = 21
Ⅱ. 기존 실업대책의 평가 및 현 상황의 인식 = 27
1. 경제위기와 실업의 동태적 변화 / 김대일
가. 서론 = 29
나. 실업증가의 성분별 구성 = 32
다. 노동 공급측면의 변화 효과 = 53
라. 노동공급 변화의 원인 = 68
마. 결론 = 75
(부록) 실증분석에 사용된 자료에 대한 설명 = 78
(참고문헌) = 82
2. 경제위기 이후의 고용창출 유형분석 / 김대일
가. 서론 = 83
나. 전반적인 고용구조의 변화 = 85
다. 신규 취업 및 실직의 구조 =92
라. 창출된 일자리의 지속성 = 104
마. 실업자 흡수력 = 111
바. 맺음말 = 119
(참고문헌) = 122
3. 구조적 실업률(NAWU)에 기초한 현 상황의 인식 / 유경준
가. 서론 = 123
나. 구조적 실업률의 결정요인 및 변화요인 = 125
다. 구조적 실업률의 측정 = 132
라. 결론 및 정책방향 = 138
(부록) 3-1 균형실업률 재추정 = 142
(부록) 3-2 노동부 임금통계를 이용한 균형실업률 추정의 한계 = 146
(참고문헌) = 150
4. IMF 이후 분배구조의 변화와 일자리 창출 / 유경준
가. 서론 = 151
나. 소득분포의 변화추이 = 152
다. 소득분포 및 빈곤과 관련된 외국의 정책방향 = 169
라. 결론 = 179
(부록) = 181
(참고문헌) = 187
5. 중장기 인력수급 전망(2000∼2010) / 유경준
가. 서론 = 188
나. 중장기 노동공급 전망 = 189
다. 중장기 노동수요 전망 = 205
(참고문헌) = 225
Ⅲ. 일자리 창출을 위한 전략 = 227
1. 세제 및 사회보장제도의 개선 / 문형표
가. 문제의 제기 = 229
나. 노동시장 여건의 변화 = 230
다. ‘실업의 함정’과 대응전략 = 233
라. ‘빈곤의 함정’과 대응전략 247
마. 고노동비용과 대응전략 = 260
(참고문헌) = 268
2. 노동시장유연성과 일자리의 창출 / 유경준
가. 고용보호법(EPL) = 269
나. 임금결정 구조의 유연성 = 276
다. 탄력적 근로시간제 및 시간제 근로 = 293
(참고문헌) = 301
3. 적극적 노동시장 정책과 일자리 창출 / 최강식
가. 서론 = 302
나. 적극적 노동시장 정책(ALMPs) =303
다. 외국의 경험 =314
라. 우리나라에 대한 시사점 = 333
(참교문헌) = 347
4. 기술 혁신과 확산 / 김동석
가. 개관 = 349
나. 기술혁신의 경제적 효과 : 선진국의 경험 = 352
다. 일자리 창출을 위한 효율적인 과학기술 정책 = 359
(참고문헌) = 370
5. 기업의 육성 / 조동호
가. 일자리 창출에 있어서 기업 육성의 중요성 = 371
나. 기업 육성을 전제조건 = 378
다. 기업 육성을 위헌 정책과제 = 379
라. 주요 외국의 사례 = 389
(참고문헌) = 462
6. 저기능 근로자의 고용창출 / 고상원
가. 서론 = 430
나. 저기능 근로자를 위한 선진국의 고용 창출 = 433
다. 한국에서의 시사점 = 450
(참고문헌) = 462
Ⅳ. 요학 및 결론 = 463
(Ⅱ장 1절 : 경제위기와 실업의 동태적 변화) = 465
가. 문제의 제기 = 465
나. 1997∼78년 실업의 전개 양상 = 466
다. 실업증가의 성분별 기여도 = 468
라. 비시장적 요인(노동공급 증가 요인)의 추정 = 469
(Ⅱ장 2절 : 경제위기 이후의 고용창출 유형분석) = 472
가. 문제의 제기 = 472
나. 1998인 신규취업 및 실직의 전개 양상 = 473
다. 신규 취업 및 순고용의 실업자 흡수력 = 476
라. 정책적 시사점 = 477
(Ⅱ장 3절 : 구조적 실업률(NAWRU)에 기초한 현 상황의 인식) = 478
(Ⅱ장 7절 : IMF이후 분배구조의 변화와 일자리창출) = 483
가. 상대적 소득분포의 변화 = 483
나. 실질소득 분포의 변화(1997년 기준) = 484
다. 분포형태의 변화(실질임금 기준의 도표분석) = 485
라. 빈곤의 추이 = 485
마. 빈곤의 원인 분해 = 487
바. 향후 우리나라의 소득분배정책의 방향 = 488
사. 외국의 소득분배정책 방향 = 489
(Ⅱ장 5절 : 중장기 인력수급 전방(2000~2010) = 490
(Ⅲ장 1절: 세제 및 사회보장제도의 개선) = 494
가. 문제의 제기 = 494
나. 노동시장 여건의 변화 = 495
다. ‘실업의 함정’과 대응전략 = 496
라. ‘빈곤의 함정’과 대응전략 = 500
마. 고노동비용과 대응전략 = 503
(Ⅲ장 2절 : 노동시장유연성과 일자리의 창출) = 505
가. 고용보호법(EPL) = 505
나. 임금결정 구조의 유연성 = 509
(Ⅲ장 3절 : 적극적 노동시장 정책과 일자리 창출) = 511
가. 서론 = 511
나. 적극적 노동시장 정책 = 511
다. 외국의 경험 = 513
라. 한국에서의 시사점 = 516
(Ⅲ장 4절 : 기술혁신과 확산) = 519
가. 개관 = 519
나. 기술혁신의 경제적 효과 : 선진국의 경험 = 520
다. 일자리 창출을 위한 효율적민 과학기술 정책 = 520
(Ⅲ장 5절 : 기업의 육성) = 525
가. 일자리 창출에 있어서 기업 육성의 중요성 = 525
나. 기업 육성을 위한 전제조건 = 526
다. 기업 육성은 위한 정책과제= 527
라. 주요 외국의 사례 = 529
마. 정책적 시사점 = 529
(Ⅲ장 6절: 저기능 근로자의 고용 창출) = 532
가. 서론 = 532
나. 저기능 근로자를 위한 선진국의 고용 창출 = 533
다. 저기능 근로자를 위한 정책방항 = 5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