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장정보
서가번호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소장처 | 대출가능여부 | 대출정보 | |
---|---|---|---|---|---|---|
0031159 | 911.02 이225ㅁ | 농림축산식품부 자료실 | 대출가능 |
* 대출중인 자료에 한하여 예약이 가능합니다. 예약을 원하시면 예약버튼을 클릭하십시오.
008221122s2022 ulkac 001a kor
020 ▼a9791188992171▼g93910▼c\22000
056 ▼a911.02▼26
090 ▼a911.02▼b이225ㅁ
1001 ▼a이도상
24520▼a(미래 세대를 위한) 한국고대사 바로 읽기▼d이도상 지음
260 ▼a서울▼b만권당▼c2022
300 ▼a334 p.▼b삽화, 초상▼c23 cm
504 ▼a참고문헌, 색인 수록
9500 ▼b\22000
1부 한국고대사 왜곡 과정과 인식
1장 한·중·일 역사전쟁은 현재진행형
19세기 국제정세에 대한 인식과 대응
• ‘한국이 중국의 일부’라는 중국인들의 역사인식
• 서세동점현상을 바라보는 시각
• 반식민지상태로 전락한 청나라
• 외세의존 행태가 초래한 조선의 운명
• 군국주의 국가로 나아간 일본의 대응
국민교육과 역사인식
• 독일의 사례에서 배우는 국민교육의 중요성
• 민족의 흥망을 좌우하는 국민교육
• 세대별 성장환경과 역사인식
• 남북한 이질화 현상과 민족통합문제
2장 중국의 패권주의적 역사인식과 동북공정
통일적 다민족국가론 추진 배경
• 소수민족문제를 다루는 중국의 입장
• 조선족에 대한 시각과 정체성문제
• 새로운 패권주의 논리를 추구하는 중국
동북공정의 본질과 역사왜곡 논리
• 동북공정으로 추진된 연구 프로젝트
• 동북공정은 식민사학과 맞먹는 역사왜곡
• 한국 내 고대사 인식 행태
한민족 기원에 대한 이론과 인식
• 한민족 형성 기원과 호칭
• 한민족 시베리아 기원설의 한계
• 역사 침략에 악용되고 있는 요하문명
• 고고학에서 보는 단군왕검사화의 역사성
• 한민족의 기원 확인을 위한 연구
3장 일본 군국주의화 과정의 해방론과 정한론
과거사에 대한 일본의 행태
• 독일과 다른 전범국 일본
• 가장 경계해야 할 식민사학
• 불합리하게 체결된 한일병합조약
군국주의 합리화를 위한 자위논리 해방론
• 일본 국학자들의 조선 비하의식
• 제국주의적 자위논리 해방론
메이지유신과 새로운 침략논리 정한론
• 조선을 정벌하자
• 서구의 개항 요구와 수호통상조약
• 하급 무사들의 막부타도운동
• 토막전쟁과 막부 정권의 붕괴
• 정한론 대두와 전개 과정
• 조·일의 갈등과 일본의 침략 명분 쌓기
• 메이지 수뇌부의 분열과 정한론정변
4장 일본의 식민사학 체계화 과정과 논리체계
침략 합리화 논리로 발전한 일본의 고전 해석
• 황국사관 정립의 기초가 된 『일본서기』
• 황국사관이 침략 합리화 논리로
• 한국고대사 기년을 황국사관에 맞추다
조선총독부의 식민사학 체계화 과정
• 초대 총독 데라우치의 『조선반도사』 편찬사업
• 3대 총독 사이토의 『조선사』 편찬사업
• 『조선사』 35권의 문제와 해악
식민사학의 논리체계
• 식민사학의 개념 이해
• 일선동조론
• 임나일본부설
• 타율성론
• 정체성론
식민지교육과 식민사학의 전파
• 일제의 한국 식민지 지배의 특징
• 무단통치와 제1차 식민지교육
• 문화정치와 제2차 식민지교육
• 황민화정책과 제3·4차 식민지교육
2부 한국고대사 인식기준과 올바른 해석지침
1장 기자-위만-한사군 역사에 대한 재인식
한국고대사에 대한 인식의 문제점
• 올바른 역사교육의 필요성
• 민족의 뿌리를 찾는 한국고대사 연구
한국고대사로 왜곡된 기자-위만-한사군의 역사
• 기자–위만–한사군 역사는 고대조선 변방의 중국사
• 기자와 기자조선에 대한 인식의 오류
• 위만과 위만조선에 대한 인식의 오류
• 사서에서 밝히는 한사군의 위치
한국고대사 왜곡의 빌미가 된 우리 사서
• 『고려사』와 『제왕운기』에서 왜곡한 내용
2장 패수 위치와 한국고대사 강역 재인식
패수 위치 논쟁이 몰고 온 한국고대사 강역 논쟁
• 올바른 역사교육의 필요성
• 고대조선사를 부정하는 조선사편수회
• 패수를 어디로 볼 것인가
• 역사학계의 패수 위치 논란
중국 사료가 말하는 패수 위치와 한국고대사 강역
• 동쪽으로 흘러 바다로 들어가는 패수
• 패수 위치에 따라 변하는 한국고대사 강역
3장 한사군 위치와 한국고대사 강역 재인식
한사군 위치 논쟁이 초래한 한국고대사의 성격
• 한사군의 개념과 위치 논란
• 한사군의 낙랑군이 평양에 있었다는 주장
사료와 유적이 말하는 한사군 실제 위치와 성격
• 동일한 명칭, 상이한 성격의 세 낙랑
• 낙랑군 위치를 평양으로 보는 유적의 실체
• 사료에서 말하는 한사군의 낙랑군 위치
4장 한국고대사 해석지침
고대조선 문명의 시작과 특수성
• 만리장성 북쪽에서 발전한 요하문명
• 요하문명은 고대조선의 선행 문명
• 고대조선 문명의 고고학적 특수성
사료에 기초한 한국고대사 진실 추적
• 지명으로 보는 한·중 고대문명의 영역
• 고대 요동과 현대 요동의 상이한 개념과 위치
• 한국고대사를 왜곡하는 다섯 가지 명칭
한국고대사 복원을 위한 논리 체계화
• 한국고대사에 관한 세 가지 쟁점
• 동북공정 극복을 위한 올바른 요하문명 해석
• 요하 유역의 청동기문화
• 한국고대사를 바로 보는 시각
• 고고인류학 관점에서 본 고대조선의 기원
• 고대국가로 살펴보는 한국고대사
문답 형식으로 알아보는 한국고대사 개념
맺음말
참고문헌
찾아보기
1장 한·중·일 역사전쟁은 현재진행형
19세기 국제정세에 대한 인식과 대응
• ‘한국이 중국의 일부’라는 중국인들의 역사인식
• 서세동점현상을 바라보는 시각
• 반식민지상태로 전락한 청나라
• 외세의존 행태가 초래한 조선의 운명
• 군국주의 국가로 나아간 일본의 대응
국민교육과 역사인식
• 독일의 사례에서 배우는 국민교육의 중요성
• 민족의 흥망을 좌우하는 국민교육
• 세대별 성장환경과 역사인식
• 남북한 이질화 현상과 민족통합문제
2장 중국의 패권주의적 역사인식과 동북공정
통일적 다민족국가론 추진 배경
• 소수민족문제를 다루는 중국의 입장
• 조선족에 대한 시각과 정체성문제
• 새로운 패권주의 논리를 추구하는 중국
동북공정의 본질과 역사왜곡 논리
• 동북공정으로 추진된 연구 프로젝트
• 동북공정은 식민사학과 맞먹는 역사왜곡
• 한국 내 고대사 인식 행태
한민족 기원에 대한 이론과 인식
• 한민족 형성 기원과 호칭
• 한민족 시베리아 기원설의 한계
• 역사 침략에 악용되고 있는 요하문명
• 고고학에서 보는 단군왕검사화의 역사성
• 한민족의 기원 확인을 위한 연구
3장 일본 군국주의화 과정의 해방론과 정한론
과거사에 대한 일본의 행태
• 독일과 다른 전범국 일본
• 가장 경계해야 할 식민사학
• 불합리하게 체결된 한일병합조약
군국주의 합리화를 위한 자위논리 해방론
• 일본 국학자들의 조선 비하의식
• 제국주의적 자위논리 해방론
메이지유신과 새로운 침략논리 정한론
• 조선을 정벌하자
• 서구의 개항 요구와 수호통상조약
• 하급 무사들의 막부타도운동
• 토막전쟁과 막부 정권의 붕괴
• 정한론 대두와 전개 과정
• 조·일의 갈등과 일본의 침략 명분 쌓기
• 메이지 수뇌부의 분열과 정한론정변
4장 일본의 식민사학 체계화 과정과 논리체계
침략 합리화 논리로 발전한 일본의 고전 해석
• 황국사관 정립의 기초가 된 『일본서기』
• 황국사관이 침략 합리화 논리로
• 한국고대사 기년을 황국사관에 맞추다
조선총독부의 식민사학 체계화 과정
• 초대 총독 데라우치의 『조선반도사』 편찬사업
• 3대 총독 사이토의 『조선사』 편찬사업
• 『조선사』 35권의 문제와 해악
식민사학의 논리체계
• 식민사학의 개념 이해
• 일선동조론
• 임나일본부설
• 타율성론
• 정체성론
식민지교육과 식민사학의 전파
• 일제의 한국 식민지 지배의 특징
• 무단통치와 제1차 식민지교육
• 문화정치와 제2차 식민지교육
• 황민화정책과 제3·4차 식민지교육
2부 한국고대사 인식기준과 올바른 해석지침
1장 기자-위만-한사군 역사에 대한 재인식
한국고대사에 대한 인식의 문제점
• 올바른 역사교육의 필요성
• 민족의 뿌리를 찾는 한국고대사 연구
한국고대사로 왜곡된 기자-위만-한사군의 역사
• 기자–위만–한사군 역사는 고대조선 변방의 중국사
• 기자와 기자조선에 대한 인식의 오류
• 위만과 위만조선에 대한 인식의 오류
• 사서에서 밝히는 한사군의 위치
한국고대사 왜곡의 빌미가 된 우리 사서
• 『고려사』와 『제왕운기』에서 왜곡한 내용
2장 패수 위치와 한국고대사 강역 재인식
패수 위치 논쟁이 몰고 온 한국고대사 강역 논쟁
• 올바른 역사교육의 필요성
• 고대조선사를 부정하는 조선사편수회
• 패수를 어디로 볼 것인가
• 역사학계의 패수 위치 논란
중국 사료가 말하는 패수 위치와 한국고대사 강역
• 동쪽으로 흘러 바다로 들어가는 패수
• 패수 위치에 따라 변하는 한국고대사 강역
3장 한사군 위치와 한국고대사 강역 재인식
한사군 위치 논쟁이 초래한 한국고대사의 성격
• 한사군의 개념과 위치 논란
• 한사군의 낙랑군이 평양에 있었다는 주장
사료와 유적이 말하는 한사군 실제 위치와 성격
• 동일한 명칭, 상이한 성격의 세 낙랑
• 낙랑군 위치를 평양으로 보는 유적의 실체
• 사료에서 말하는 한사군의 낙랑군 위치
4장 한국고대사 해석지침
고대조선 문명의 시작과 특수성
• 만리장성 북쪽에서 발전한 요하문명
• 요하문명은 고대조선의 선행 문명
• 고대조선 문명의 고고학적 특수성
사료에 기초한 한국고대사 진실 추적
• 지명으로 보는 한·중 고대문명의 영역
• 고대 요동과 현대 요동의 상이한 개념과 위치
• 한국고대사를 왜곡하는 다섯 가지 명칭
한국고대사 복원을 위한 논리 체계화
• 한국고대사에 관한 세 가지 쟁점
• 동북공정 극복을 위한 올바른 요하문명 해석
• 요하 유역의 청동기문화
• 한국고대사를 바로 보는 시각
• 고고인류학 관점에서 본 고대조선의 기원
• 고대국가로 살펴보는 한국고대사
문답 형식으로 알아보는 한국고대사 개념
맺음말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