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장정보
서가번호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소장처 | 대출가능여부 | 대출정보 | |
---|---|---|---|---|---|---|
0005021 | 522.6 류53ㄱ | 농림축산식품부 자료실 | 대출가능 |
* 대출중인 자료에 한하여 예약이 가능합니다. 예약을 원하시면 예약버튼을 클릭하십시오.
008010104s1999 ulka 000a kor
020 ▼a8977392780▼g94520▼c\35000
056 ▼a522.6▼23
090 ▼a522.6▼b류53ㄱ
1001 ▼a류선무
24510▼a관광농촌개발론▼b농촌형 테마파크의 특성화를 위한▼d류선무 저
250 ▼a6판
260 ▼a서울▼b백산출판사▼c1999.
300 ▼a543 p.▼b삽도▼c26 cm
50010▼a권말부록으로 '농촌관광 휴양자원개발사업 신청요령' 수록
504 ▼a참고문헌 : p.542-543
653 ▼a농촌관광
9500 ▼b\35000
제1장 농촌의 현실과 연구방법 = 15
제1절 농촌의 현실문제 = 16
Ⅰ. 농촌인구의 변화와 욕구 = 16
Ⅱ. 농지이용과 생산구조의 변화 = 17
Ⅲ. 도농 통합도시의 출현과 농촌 특성화 계획 = 18
Ⅳ. 농촌환경과 정비방향 = 19
Ⅴ. 농촌지역 활성화 대책 필요 = 21
제2절 연구방법 = 22
Ⅰ. 관광농업 연구의 역사 = 22
1. 외국의 연구 동향 = 22
2. 우리나라의 연구동향 = 23
Ⅱ. 연구 내용 = 23
Ⅲ. 앞으로의 연구방향 = 29
제2장 관광과 지역개발 = 31
제1절 한국의 관광정책방향과 국민관광성향 = 32
Ⅰ. 관광정책방향 = 32
Ⅱ. 국민 관광성향 = 32
제2절 관광과 지역개발 = 35
Ⅰ. 농촌지역에서의 관광개발동향 = 35
Ⅱ. 농촌지역 관광개발의 체계적 사고 = 37
Ⅲ. 농산어촌 지역에서 관광개발상의 문제 = 40
제3절 관광농업과 농촌공원 = 43
Ⅰ. 관광농업의 개념 = 43
1. 관광농업의 시대적 배경 = 43
2. 관광농업의 개념 = 44
3. 관광농업의 역할 = 44
Ⅱ. 농촌공원의 개념 = 46
1. 지역개발과 관광농업 = 46
2. 농촌공원의 개념 = 47
제3장 새로운 농촌계획 = 49
제1절 경제사회의 변화와 농촌 = 50
Ⅰ. 사회변화가 농촌에 미치는 영향 = 50
Ⅱ. 농촌지역에서의 새로운 움직임 = 52
Ⅲ. 농촌의 존립방향 = 55
제2절 새로운 농촌 계획 방법 = 57
Ⅰ. 산업진흥과 취업, 소득기회의 확보 = 57
1. 농업의 진흥 = 57
2. 임업생산조직 = 59
3. 지역산업과 2, 3차산업의 진흥 = 61
4. 공업(공장)의 도입 및 유치 = 62
5. 6차 산업의 진흥 = 63
Ⅱ. 적절한 환경ㆍ토지 수리 이용과 기반조성 = 66
1. 적절한 토지, 수리 확보의 중요성 = 66
2. 장래를 예견한 계획의 중요성 = 67
3. 농업생산기반의 계획적인 정비 = 67
4. 산촌지역의 정비 = 68
Ⅲ. 쾌적한 주거공간의 정비 = 69
1. 쾌적한 환경의 정비 = 69
2. 외곽공간의 정비 = 70
Ⅳ. 교류 네트워크의 정비 = 72
Ⅴ. 고령화 대책 = 73
1. 고령자를 위한 쾌적성 확보 = 73
2. 생계를 위한 농림업의 계획 = 73
Ⅵ. 지역조성의 체제정비 = 74
1. 지역경영 체제조성 = 74
2. 새로운 지역사회 조성 = 76
3. 지역간 교류의 전개 = 76
Ⅶ. 농촌지역의 다면적 기능의 유지향상 = 77
제4장 신농촌공원의 정비와 조성 방법 = 81
제1절 신농촌공원의 정비개념 = 82
Ⅰ. 농촌공원조성 관련법규의 검토 = 82
Ⅱ. 신농촌공원의 개발 = 85
제2절 신농촌공원의 활성화 방안 = 86
Ⅰ. 농촌활성화란 무엇인가? = 86
Ⅱ. 왜 농촌지역 활성화가 필요한가? = 87
Ⅲ. 산농촌공원 활성화의 주요 유형 = 89
1. 지역산업 진흥형 = 89
2. 사회생활환경 정비형 = 89
3. 이벤트형 = 90
4. 지역간 교류형 = 90
Ⅳ. 신농촌공원활성화의 기본전략 = 91
제3절 신농촌공원의 정비 방향 = 93
Ⅰ. 농촌의 특징과 정비방향 = 93
1. 농촌의 특징 = 93
2. 신농촌공원 정비의 방향 = 95
Ⅱ. 정비의 기본범위 = 96
1. 기본적 사고방식 = 96
2. 기본방침의 기준화 = 97
3. 환경구분 = 98
4. 지역의 확대와 지역특성 = 99
Ⅲ. 정비 방침과 토지이용 = 100
제4절 신농촌공원 조성방법 = 102
Ⅰ. 자연환경 입장에서 본 기본적 방법 = 102
1. 목표방향 = 102
2. 목표기준(쾌적한 공간의 상태) = 102
Ⅱ. 생산환경에서 본 기본적 방법 = 107
1. 목표방향 = 107
2. 목표기준(쾌적한 공간의 상태) = 107
Ⅲ. 주거환경에서 본 기본적 방법 = 111
1. 목표방향 = 111
2. 목표기준 = 111
Ⅳ. 역사, 문화 환경에서 본 기본적 방법 = 117
1. 목표방향 = 117
2. 목표기준(쾌적한 공간의 상태) = 118
Ⅴ. 토지이용 계획방법 = 125
1. 토지이용 계획방법 = 125
2. 지역사회와 합의형성 = 126
3. 공간조성의 순서와 방법 = 128
제5장 외국의 농촌정비 계획개념 = 133
제1절 농촌정비 배경과 이념 = 134
Ⅰ. 농촌정비의 탄생 = 134
Ⅱ. 농촌정비의 배경 = 137
Ⅲ. 농촌정비 이념과 대상 = 138
Ⅳ. 각국의 농촌계획과 정비제도 = 139
제6장 농촌공원의 자원별 개발방법 = 149
제1절 허브원(Herb garden)과 건강휴양 마을(Refresh village) = 150
Ⅰ. 허브란 = 150
Ⅱ. 허브의 특성과 활용 = 155
Ⅲ. 허브원의 형태와 점검사항 = 163
1. 허브원의 형태 = 163
2. 점검사항 = 164
3. 부대시설의 도입과 배치 = 167
4. 관리운영상의 중요성 = 169
Ⅳ. 건강휴양마을의 구상계획 = 171
1. 이미지조성과 사업화 방향 = 171
2. 건강휴양마을의 개념과 요건 = 175
3. 건강휴양마을 추진협의회의 기능과 역할 = 192
Ⅴ. 국내외 사례연구 = 193
1. 일본 군마현 사와다농협의 약초농업공원 = 193
2. 고지현 나까무라시의 동양의학 마을 = 196
3. 허브아일랜드(민간자본) = 201
4. 가와구치코쵸(河口湖町)의 허브 페스티벌(관주체) = 204
5. 충청북조 허브산업 개발구상 = 214
제2절 꽃마을(Flower Village) = 224
Ⅰ. 꽃마을 구상 계획 = 224
Ⅱ. 식물의 선택 = 225
1. 단일 종류 = 226
2. 다양한 종류 = 228
3. 계절 강조 = 228
4. 지방색 강조 = 229
5. 희소종류의 강조 = 230
Ⅲ. 꽃마을의 설계 방안 = 230
Ⅳ. 도입 시설기준 = 231
1. 일반적 시설기준 = 231
2. 시설의 세부기준 = 232
3. 부대시설기준 = 233
Ⅴ. 식재방법 = 236
1. 가로수 = 237
2. 녹음수 = 238
3. 조경식재 = 238
4. 외주부 경계식재 = 238
5. 차폐식재(완충ㆍ방풍ㆍ차음을 겸함) = 239
6. 녹취용 식재(Edgin Planting) = 239
7. 형태별 화단 = 239
Ⅵ. 전시방법과 서비스의 중요성 = 241
Ⅶ. 운영방안 = 242
1. 전국원예가 심포지엄 = 243
2. 플라워아트 콩쿠르 대회 = 243
3. 꽃 직매장 개설 = 243
4. 꽃선물의 개발 = 243
5. 가정원예용품의 개발 = 243
6. 가정원예교실의 개최 = 244
Ⅷ. 국외 사례연구 = 244
1. 일본군마 꽃공원 = 244
2. 일본 난의 마을 도께시마 = 251
제3절 관광 과수마을(Tourism Fruit Village) = 258
Ⅰ. 관광 과수마을의 구상계획 = 258
Ⅱ. 시설과 배치계획 = 258
Ⅲ. 시설별 내용 = 261
1. 관광과수원 = 261
2. 온실 = 261
3. 체험시설 = 262
4. 식당 = 263
5. 판매시설 = 263
6. 야외 레크리에이션 시설 = 264
7. 원내 산책로 = 264
8. 방송ㆍ안내 시설 = 265
Ⅳ. 과수의 선택 = 265
Ⅴ. 관광 과수마을의 운영관리 = 268
Ⅵ. 관광과수마을의 상품화 계획 = 271
1. 상품화 계획 = 271
2. 상품화 방법 = 271
Ⅶ. 경영합리화 방법 = 273
Ⅷ. 국외 사례연구 = 274
1. 일본포군 오렌지 파크 = 274
제4절 농업 공원(Agriculture Park) = 282
Ⅰ. 구상 계획 = 282
Ⅱ. 시설의 종류 = 284
Ⅲ. 시설의 내용 = 285
1. 중심시설 = 285
2. 체험시설 = 286
3. 음식시설 = 287
4. 판매시설 = 288
5. 오락시설 = 288
6. 학습 연구시설 = 289
Ⅳ. 배치계획 = 289
Ⅴ. 관리운영 계획 = 290
Ⅵ. 국외 사례연구 = 294
1. 일본 나고야시(名古屋市) 농업센터 = 294
2. 고베시 과수화훼 농업공원 = 300
제5절 주말농장(Weekend Farm) = 307
Ⅰ. 국내외의 주말농장 운영현황 = 307
Ⅱ. 독일 분구원(Kleingarten) 제도 = 311
1. 새로운 분구원법 = 312
2. 분구원의 특징 및 이용법 = 313
3. 분구원의 관리 운영 = 316
Ⅲ. 일본의 시민농원 제도 = 318
1. 시민농원사업의 전개 = 318
2. 시민농원 정비의 필요성 = 319
3. 정비의 방향 = 320
4. 운영조직과 택지개발에 있어서 정비 = 321
5. 시민농원과 일본농협의 역할 = 330
6. 시민농원, 임대농원 사업의 추진 방향 = 336
Ⅳ. 프랑스의 소농원 운동 = 350
1. 프랑스가족과 소농원운동의 역사 = 350
2. 유럽을 조직화한 프랑스의 운동 = 352
3. 자유시간(leisure) 교류로부터 새로운 전개방식 = 354
4. 레저도시를 선택한 시민들 = 355
Ⅴ. 통일전 동독의 분구원 제도 = 357
1. 분구원의 채소 생산 = 358
2. 세계제일의 분구원왕국 = 359
3. 마음의 고향인 분구원 = 361
Ⅵ. 영국의 할당지 제도 = 363
1. 할당지(allotment) 제도란 = 363
2. 할당지제도의 변화 = 365
3. 활발한 도시(런던)할당지 운동 = 367
Ⅶ. 네덜란드의 원예농원 제도 = 369
1. 원예농원의 역사 = 369
2. 원예농원의 형태 = 370
3. 이용권의 내용 = 372
4. 원예농원정책 = 374
Ⅷ. 한국의 주말농원제도와 발전방향 = 377
1. 개발현황 = 377
2. 주말농장의 역할 = 378
3. 발전방향 = 379
4. 개발상의 문제점 = 381
Ⅸ. 국내외의 시민농원의 사례연구 = 383
1. 일본천백신용농업채원, 시민소채원(애지현) = 383
2. 한국의 주말농원사례 = 394
제6절 관광농촌 마을(Tourism Rural Village) = 408
Ⅰ. 관광농촌 마을의 개발 = 408
1. 농업소득의 한계성 = 408
2. 관광농업 경영규모의 한계 = 409
3. 농촌환경보전상의 문제 = 410
4. 농촌사회의 변화 = 410
5. 정부의 농촌관광 개발정책 = 411
6. 관광객의 욕구변화 = 412
Ⅱ. 관광농촌마을의 구성요건 = 414
1. 관광농촌마을의 구성요건 = 414
2. 표적시장의 선정 = 416
3. 수익성 확보문제 = 416
4. 적지조건 = 418
Ⅲ. 개발의 요점 = 420
1. 개발의 순서 = 420
2. 개발주체의 구상계획서 제출 = 421
3. 기본계획의 작성 = 423
4. 구체적인 실시계획의 작성 = 423
5. 관리운영계획 = 424
6. 이미지 조성 = 424
7. 수익경영계획 = 426
Ⅳ. 레크리에이션적 농업시설 = 427
1. 관광목장 = 427
2. 관광농원 = 429
Ⅴ. 국내외 사례 연구 = 430
1. 마자목장(일본) = 430
2. 南ヶ丘목장(일본) = 435
3. 소백산 관광목장 = 439
4. 관광농촌마을 개발사례 계획(안) = 450
제7장 결론 = 489
Ⅰ. 실천의지 = 490
Ⅱ. 인재의 육성 = 491
Ⅲ. 관광농촌마을의 개발 범위와 모델 설정 = 493
Ⅳ. 새로운 농촌활성화대책 필요 = 493
부록 : 농촌관광 휴양자원개발사업 신청요령 = 497
제1절 농촌의 현실문제 = 16
Ⅰ. 농촌인구의 변화와 욕구 = 16
Ⅱ. 농지이용과 생산구조의 변화 = 17
Ⅲ. 도농 통합도시의 출현과 농촌 특성화 계획 = 18
Ⅳ. 농촌환경과 정비방향 = 19
Ⅴ. 농촌지역 활성화 대책 필요 = 21
제2절 연구방법 = 22
Ⅰ. 관광농업 연구의 역사 = 22
1. 외국의 연구 동향 = 22
2. 우리나라의 연구동향 = 23
Ⅱ. 연구 내용 = 23
Ⅲ. 앞으로의 연구방향 = 29
제2장 관광과 지역개발 = 31
제1절 한국의 관광정책방향과 국민관광성향 = 32
Ⅰ. 관광정책방향 = 32
Ⅱ. 국민 관광성향 = 32
제2절 관광과 지역개발 = 35
Ⅰ. 농촌지역에서의 관광개발동향 = 35
Ⅱ. 농촌지역 관광개발의 체계적 사고 = 37
Ⅲ. 농산어촌 지역에서 관광개발상의 문제 = 40
제3절 관광농업과 농촌공원 = 43
Ⅰ. 관광농업의 개념 = 43
1. 관광농업의 시대적 배경 = 43
2. 관광농업의 개념 = 44
3. 관광농업의 역할 = 44
Ⅱ. 농촌공원의 개념 = 46
1. 지역개발과 관광농업 = 46
2. 농촌공원의 개념 = 47
제3장 새로운 농촌계획 = 49
제1절 경제사회의 변화와 농촌 = 50
Ⅰ. 사회변화가 농촌에 미치는 영향 = 50
Ⅱ. 농촌지역에서의 새로운 움직임 = 52
Ⅲ. 농촌의 존립방향 = 55
제2절 새로운 농촌 계획 방법 = 57
Ⅰ. 산업진흥과 취업, 소득기회의 확보 = 57
1. 농업의 진흥 = 57
2. 임업생산조직 = 59
3. 지역산업과 2, 3차산업의 진흥 = 61
4. 공업(공장)의 도입 및 유치 = 62
5. 6차 산업의 진흥 = 63
Ⅱ. 적절한 환경ㆍ토지 수리 이용과 기반조성 = 66
1. 적절한 토지, 수리 확보의 중요성 = 66
2. 장래를 예견한 계획의 중요성 = 67
3. 농업생산기반의 계획적인 정비 = 67
4. 산촌지역의 정비 = 68
Ⅲ. 쾌적한 주거공간의 정비 = 69
1. 쾌적한 환경의 정비 = 69
2. 외곽공간의 정비 = 70
Ⅳ. 교류 네트워크의 정비 = 72
Ⅴ. 고령화 대책 = 73
1. 고령자를 위한 쾌적성 확보 = 73
2. 생계를 위한 농림업의 계획 = 73
Ⅵ. 지역조성의 체제정비 = 74
1. 지역경영 체제조성 = 74
2. 새로운 지역사회 조성 = 76
3. 지역간 교류의 전개 = 76
Ⅶ. 농촌지역의 다면적 기능의 유지향상 = 77
제4장 신농촌공원의 정비와 조성 방법 = 81
제1절 신농촌공원의 정비개념 = 82
Ⅰ. 농촌공원조성 관련법규의 검토 = 82
Ⅱ. 신농촌공원의 개발 = 85
제2절 신농촌공원의 활성화 방안 = 86
Ⅰ. 농촌활성화란 무엇인가? = 86
Ⅱ. 왜 농촌지역 활성화가 필요한가? = 87
Ⅲ. 산농촌공원 활성화의 주요 유형 = 89
1. 지역산업 진흥형 = 89
2. 사회생활환경 정비형 = 89
3. 이벤트형 = 90
4. 지역간 교류형 = 90
Ⅳ. 신농촌공원활성화의 기본전략 = 91
제3절 신농촌공원의 정비 방향 = 93
Ⅰ. 농촌의 특징과 정비방향 = 93
1. 농촌의 특징 = 93
2. 신농촌공원 정비의 방향 = 95
Ⅱ. 정비의 기본범위 = 96
1. 기본적 사고방식 = 96
2. 기본방침의 기준화 = 97
3. 환경구분 = 98
4. 지역의 확대와 지역특성 = 99
Ⅲ. 정비 방침과 토지이용 = 100
제4절 신농촌공원 조성방법 = 102
Ⅰ. 자연환경 입장에서 본 기본적 방법 = 102
1. 목표방향 = 102
2. 목표기준(쾌적한 공간의 상태) = 102
Ⅱ. 생산환경에서 본 기본적 방법 = 107
1. 목표방향 = 107
2. 목표기준(쾌적한 공간의 상태) = 107
Ⅲ. 주거환경에서 본 기본적 방법 = 111
1. 목표방향 = 111
2. 목표기준 = 111
Ⅳ. 역사, 문화 환경에서 본 기본적 방법 = 117
1. 목표방향 = 117
2. 목표기준(쾌적한 공간의 상태) = 118
Ⅴ. 토지이용 계획방법 = 125
1. 토지이용 계획방법 = 125
2. 지역사회와 합의형성 = 126
3. 공간조성의 순서와 방법 = 128
제5장 외국의 농촌정비 계획개념 = 133
제1절 농촌정비 배경과 이념 = 134
Ⅰ. 농촌정비의 탄생 = 134
Ⅱ. 농촌정비의 배경 = 137
Ⅲ. 농촌정비 이념과 대상 = 138
Ⅳ. 각국의 농촌계획과 정비제도 = 139
제6장 농촌공원의 자원별 개발방법 = 149
제1절 허브원(Herb garden)과 건강휴양 마을(Refresh village) = 150
Ⅰ. 허브란 = 150
Ⅱ. 허브의 특성과 활용 = 155
Ⅲ. 허브원의 형태와 점검사항 = 163
1. 허브원의 형태 = 163
2. 점검사항 = 164
3. 부대시설의 도입과 배치 = 167
4. 관리운영상의 중요성 = 169
Ⅳ. 건강휴양마을의 구상계획 = 171
1. 이미지조성과 사업화 방향 = 171
2. 건강휴양마을의 개념과 요건 = 175
3. 건강휴양마을 추진협의회의 기능과 역할 = 192
Ⅴ. 국내외 사례연구 = 193
1. 일본 군마현 사와다농협의 약초농업공원 = 193
2. 고지현 나까무라시의 동양의학 마을 = 196
3. 허브아일랜드(민간자본) = 201
4. 가와구치코쵸(河口湖町)의 허브 페스티벌(관주체) = 204
5. 충청북조 허브산업 개발구상 = 214
제2절 꽃마을(Flower Village) = 224
Ⅰ. 꽃마을 구상 계획 = 224
Ⅱ. 식물의 선택 = 225
1. 단일 종류 = 226
2. 다양한 종류 = 228
3. 계절 강조 = 228
4. 지방색 강조 = 229
5. 희소종류의 강조 = 230
Ⅲ. 꽃마을의 설계 방안 = 230
Ⅳ. 도입 시설기준 = 231
1. 일반적 시설기준 = 231
2. 시설의 세부기준 = 232
3. 부대시설기준 = 233
Ⅴ. 식재방법 = 236
1. 가로수 = 237
2. 녹음수 = 238
3. 조경식재 = 238
4. 외주부 경계식재 = 238
5. 차폐식재(완충ㆍ방풍ㆍ차음을 겸함) = 239
6. 녹취용 식재(Edgin Planting) = 239
7. 형태별 화단 = 239
Ⅵ. 전시방법과 서비스의 중요성 = 241
Ⅶ. 운영방안 = 242
1. 전국원예가 심포지엄 = 243
2. 플라워아트 콩쿠르 대회 = 243
3. 꽃 직매장 개설 = 243
4. 꽃선물의 개발 = 243
5. 가정원예용품의 개발 = 243
6. 가정원예교실의 개최 = 244
Ⅷ. 국외 사례연구 = 244
1. 일본군마 꽃공원 = 244
2. 일본 난의 마을 도께시마 = 251
제3절 관광 과수마을(Tourism Fruit Village) = 258
Ⅰ. 관광 과수마을의 구상계획 = 258
Ⅱ. 시설과 배치계획 = 258
Ⅲ. 시설별 내용 = 261
1. 관광과수원 = 261
2. 온실 = 261
3. 체험시설 = 262
4. 식당 = 263
5. 판매시설 = 263
6. 야외 레크리에이션 시설 = 264
7. 원내 산책로 = 264
8. 방송ㆍ안내 시설 = 265
Ⅳ. 과수의 선택 = 265
Ⅴ. 관광 과수마을의 운영관리 = 268
Ⅵ. 관광과수마을의 상품화 계획 = 271
1. 상품화 계획 = 271
2. 상품화 방법 = 271
Ⅶ. 경영합리화 방법 = 273
Ⅷ. 국외 사례연구 = 274
1. 일본포군 오렌지 파크 = 274
제4절 농업 공원(Agriculture Park) = 282
Ⅰ. 구상 계획 = 282
Ⅱ. 시설의 종류 = 284
Ⅲ. 시설의 내용 = 285
1. 중심시설 = 285
2. 체험시설 = 286
3. 음식시설 = 287
4. 판매시설 = 288
5. 오락시설 = 288
6. 학습 연구시설 = 289
Ⅳ. 배치계획 = 289
Ⅴ. 관리운영 계획 = 290
Ⅵ. 국외 사례연구 = 294
1. 일본 나고야시(名古屋市) 농업센터 = 294
2. 고베시 과수화훼 농업공원 = 300
제5절 주말농장(Weekend Farm) = 307
Ⅰ. 국내외의 주말농장 운영현황 = 307
Ⅱ. 독일 분구원(Kleingarten) 제도 = 311
1. 새로운 분구원법 = 312
2. 분구원의 특징 및 이용법 = 313
3. 분구원의 관리 운영 = 316
Ⅲ. 일본의 시민농원 제도 = 318
1. 시민농원사업의 전개 = 318
2. 시민농원 정비의 필요성 = 319
3. 정비의 방향 = 320
4. 운영조직과 택지개발에 있어서 정비 = 321
5. 시민농원과 일본농협의 역할 = 330
6. 시민농원, 임대농원 사업의 추진 방향 = 336
Ⅳ. 프랑스의 소농원 운동 = 350
1. 프랑스가족과 소농원운동의 역사 = 350
2. 유럽을 조직화한 프랑스의 운동 = 352
3. 자유시간(leisure) 교류로부터 새로운 전개방식 = 354
4. 레저도시를 선택한 시민들 = 355
Ⅴ. 통일전 동독의 분구원 제도 = 357
1. 분구원의 채소 생산 = 358
2. 세계제일의 분구원왕국 = 359
3. 마음의 고향인 분구원 = 361
Ⅵ. 영국의 할당지 제도 = 363
1. 할당지(allotment) 제도란 = 363
2. 할당지제도의 변화 = 365
3. 활발한 도시(런던)할당지 운동 = 367
Ⅶ. 네덜란드의 원예농원 제도 = 369
1. 원예농원의 역사 = 369
2. 원예농원의 형태 = 370
3. 이용권의 내용 = 372
4. 원예농원정책 = 374
Ⅷ. 한국의 주말농원제도와 발전방향 = 377
1. 개발현황 = 377
2. 주말농장의 역할 = 378
3. 발전방향 = 379
4. 개발상의 문제점 = 381
Ⅸ. 국내외의 시민농원의 사례연구 = 383
1. 일본천백신용농업채원, 시민소채원(애지현) = 383
2. 한국의 주말농원사례 = 394
제6절 관광농촌 마을(Tourism Rural Village) = 408
Ⅰ. 관광농촌 마을의 개발 = 408
1. 농업소득의 한계성 = 408
2. 관광농업 경영규모의 한계 = 409
3. 농촌환경보전상의 문제 = 410
4. 농촌사회의 변화 = 410
5. 정부의 농촌관광 개발정책 = 411
6. 관광객의 욕구변화 = 412
Ⅱ. 관광농촌마을의 구성요건 = 414
1. 관광농촌마을의 구성요건 = 414
2. 표적시장의 선정 = 416
3. 수익성 확보문제 = 416
4. 적지조건 = 418
Ⅲ. 개발의 요점 = 420
1. 개발의 순서 = 420
2. 개발주체의 구상계획서 제출 = 421
3. 기본계획의 작성 = 423
4. 구체적인 실시계획의 작성 = 423
5. 관리운영계획 = 424
6. 이미지 조성 = 424
7. 수익경영계획 = 426
Ⅳ. 레크리에이션적 농업시설 = 427
1. 관광목장 = 427
2. 관광농원 = 429
Ⅴ. 국내외 사례 연구 = 430
1. 마자목장(일본) = 430
2. 南ヶ丘목장(일본) = 435
3. 소백산 관광목장 = 439
4. 관광농촌마을 개발사례 계획(안) = 450
제7장 결론 = 489
Ⅰ. 실천의지 = 490
Ⅱ. 인재의 육성 = 491
Ⅲ. 관광농촌마을의 개발 범위와 모델 설정 = 493
Ⅳ. 새로운 농촌활성화대책 필요 = 493
부록 : 농촌관광 휴양자원개발사업 신청요령 = 4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