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료유형
- 단행본
- ISBN
- 9788993439922 93520\55000
- 언어부호
- 본문언어 - kor, 원저작언어 - eng
- KDC
- 512.51-5
- 청구기호
- 512.51 F495ㄷ
- 저자명
- Fine, Aubrey H.
- 서명/저자
- 동물매개치료 핸드북 / Aubrey H. Fine [외저]
- 발행사항
- 대전 : OKVET, 2021
- 형태사항
- xxv, 517 p. : 삽화, 도표 ; 28 cm
- 주기사항
- 감수자 : 남상섭, 박승용, 이시종, 이정익, 정순욱, 최윤주
- 주기사항
- 공저자 : 심혜미, 윤문석, 조연숙, 한진수
- 주기사항
- 공역자 : 김명하, 박소명, 송소이, 이은희, 임여진, 최수정, 최지인, 한규원
- 서지주기
- 참고문헌, 색인 수록
- 원서명/원저자명
- Handbook on animal assisted therapy : foundations and guidelines for animal assisted interventions
- 기타저자
- 심혜미
- 기타저자
- 윤문석
- 기타저자
- 조연숙
- 기타저자
- 한진수 1960-
- 기타저자
- 김명하
- 기타저자
- 박소명
- 기타저자
- 송소이
- 기타저자
- 이은희
- 기타저자
- 임여진
- 기타저자
- 최수정
- 기타저자
- 최지인
- 기타저자
- 한규원
- 기타저자
- 남상섭
- 기타저자
- 박승용
- 기타저자
- 이시종
- 기타저자
- 이정익
- 기타저자
- 정순욱
- 기타저자
- 최윤주
- 가격
- \55000
- Control Number
- maf:50693
소장정보
서가번호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소장처 | 대출가능여부 | 대출정보 | |
---|---|---|---|---|---|---|
0030812 | 512.51 F495ㄷ | 농림축산식품부 자료실 | 대출가능 |
* 대출중인 자료에 한하여 예약이 가능합니다. 예약을 원하시면 예약버튼을 클릭하십시오.
008220520s2021 tjkad 001a kor
020 ▼a9788993439922▼g93520▼c\55000
0411 ▼akor▼heng
056 ▼a512.51▼25
090 ▼a512.51▼bF495ㄷ
1001 ▼aFine, Aubrey H.
24500▼a동물매개치료 핸드북▼dAubrey H. Fine [외저]
260 ▼a대전▼bOKVET▼c2021
300 ▼axxv, 517 p.▼b삽화, 도표▼c28 cm
50000▼a감수자 : 남상섭, 박승용, 이시종, 이정익, 정순욱, 최윤주
50010▼a공저자 : 심혜미, 윤문석, 조연숙, 한진수
50010▼a공역자 : 김명하, 박소명, 송소이, 이은희, 임여진, 최수정, 최지인, 한규원
504 ▼a참고문헌, 색인 수록
50710▼tHandbook on animal assisted therapy : foundations and guidelines for animal assisted interventions
653 ▼a동물매▼a심리치료
7001 ▼a심혜미
7001 ▼a윤문석
7001 ▼a조연숙
7001 ▼a한진수▼d1960-
7001 ▼a김명하
7001 ▼a박소명
7001 ▼a송소이
7001 ▼a이은희
7001 ▼a임여진
7001 ▼a최수정
7001 ▼a최지인
7001 ▼a한규원
7001 ▼a남상섭
7001 ▼a박승용
7001 ▼a이시종
7001 ▼a이정익
7001 ▼a정순욱
7001 ▼a최윤주
9500 ▼b\55000
섹션 I
동물-인간 유대의 개념화: 동물매개중재에 대한 기초 1
1. 동물과의 친밀감 이해하기: 인간-동물 유대에 관심이 있는 건강관리 전문가를 위한 정보 3
1.1 서론 3
1.2 인간-동물 유대에 대한 소개 4
1.3 인간-동물 유대 정의 5
1.4 펫과 사람들: 사례 연구의 중요성 6
1.5 유대를 설명하는 이론 7
1.6 유대의 생물학적 이점 8
1.7 결론 9
참고문헌 10
추가자료 12
2. 역사적 관점에서의 동물매개중재
2.1 서론 13
2.2 동물의 영혼과 영적 치유 13
2.3 동물의 힘과 샤머니즘 15
2.4 고대 및 중세 시대의 애니미즘 15
2.5 사회화 수단으로서의 동물 17
2.6 동물과 심리치료 18
2.7 동물, 휴식 및 사회적 지원 19
2.8 결론 20
3. 전향적 사고: 인간과 동물의 상호작용 분야의 성장
3.1 우리가 어디로 가는지 알기 위해서, 우리가 어디에 있었는지 알아야 한다 23
3.2 레빈슨의 초기 연구 과제: 오늘날 HAI와의 관련성 25
3.3 공통 용어 개발 25
3.4 동물과 삶에서의 관계 재정립 26
3.4.1 가정과 지역사회 동물 27
3.4.2 바이오필리아를 수용하고 생명중심주의를 향해 나아가기 28
3.4.3 원헬스와 글로벌 관점 28
3.4.4 치료적 전이 29
3.5 동물은 인간의 건강과 어떤 관련이 있는가? 30
3.5.1 공중보건과 웰니스 30
3.5.2 사회적 자본 31
3.5.3 새가 지저귀다(Tweet)? 기술과 AAI 31
3.5.4 자연박탈 33
3.5.5 AAl 동물복지 33
3.6 연구 방향 34
3.6.1 동물매개중재를 위한 연구방향 34
3.6.2 지역사회의 동물과 원헬스에 대한 연구 방향 35
3.7 분야의 전문화 35
3.7.1 교육의 중요성 36
3.7.2 전문교육, 인증 및 실무 표준에 대한 요구 37
3.8 미래 속으로 38
4. 동물에 대한 태도에 있어 문화 및 종교적 요인의 영향 43
4.1 서론 43
4.2 문화 및 종교적 요인 43
4.2.1 문화 지속성의 중요성 45
4.2.2 문화 변용의 중요성 47
4.3 동물매개중재를 위한 문화적 반응의 프레임워크 48
4.3.1 문화적 자기인식 48
4.3.2 내담자에 대한 지식 48
4.3.3 기술 개발 48
4.4 결론 49
5. 반려동물의 사회적 자본: 사회적 네트워크와 지원을 위한 촉매제 및 지역사회 폭력 지표로서의 펫 51
5.1 사회적 자본이란 무엇인가? 52
5.2 동물과 사회적 자본 52
5.3 펫과 사회적 자본의 부재 54
5.4 지역사회 펫 개체수 추정 54
5.5 원치 않고, 학대받고, 마음대로 배회하며, 또한 공격적인 동물 개체수 추정 55
5.6 도시 지역사회 연결: 자연의 평온한 특사로서의 펫 56
5.7 결론 57
6. 보조견 및 기타 동물과 함께하는 생활: 그들의 치료적 역할 및 심리사회적 건강 효과 61
6.1 서론 61
6.2 인간의 건강에 이용되는 보조견 및 기타 동물에 대한 정의 62
6.3 보조견의 변화 패턴 63
6.3.1 보조견 수와 역할의 변화 63
6.3.2 보조견의 심리사회적 효과, 특히 파트너의 정신적, 인지적 필요에 대한 영향 64
6.3.3 군인과 재향군인을 위한 서비스견 66
6.4 보조견의 효과와 개와의 생활에서 얻는 이점 66
6.4.1 핸들러에 대한 보조견의 이점 66
6.4.2 핸들러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반려동물의 잠재력 67
6.4.3 동물의 사회적 지원이 핸들러의 외로움과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 68
6.4.4 개의 사회화 효과 69
6.4.5 개의 동기 유발 효과 70
6.4.6 개의 진정 및 생리학적 효과 70
6.4.7 상호작용하는 동물과의 시너지 관계 71
6.5 보조견과 반려견의 치료적 역할 72
6.6 동물과 함께 생활할 때 고려할 사항 72
6.7 결론 73
7. 인간-동물 유대: 건강과 웰니스 79
7.1 동물매개활동의 건강상 이점 80
7.1.1 개별 동물매개활동 80
7.1.2 집단 동물매개활동 82
7.1.3 요약 83
7.2 건강상의 이점에 대한 역학적 증거 83
7.2.1 요약 87
7.3 실험 혹은 유사실험 연구 87
7.3.1 동물 또는 동물 그림의 명시적 보기 또는 관찰의 효과 87
7.3.2 동물의 암묵적 관찰 또는 동물의 존재 효과 88
7.3.3 동물과의 상호작용 효과 89
7.3.4 요약 91
7.3.5 펫 중재의 임상적 시도 91
7.4 논의 91
7.5 결론 93
섹션 Ⅱ
동물매개중재 및 치료: 품질 보증을 위한 개념 모델 및 지침 99
8. 사랑이 무엇과 관계가 있을까? 동물매개정신건강중재를 위한 동물 선택 101
8.1 단계 1: 임상에서 동물 목적의 명확화 102
8.2 단계 2: 동물 중재의 범주 및 접근방법 결정 103
8.3 접근방법 105
8.4 단계 3: 참여 동물의 직무기술서 마련 105
8.5 단계 4: 맥나마라 동물능력평가 모델 106
8.5.1 동물매개중재 요인별 상호영향과 상호작용 109
8.6 동물 스트레스의 가능성 110
8.6.1 예외: 때때로 사랑은 무엇인가와 관계가 있다 111
8.7 결론 111
9. 동물매개중재에서 올바른 직무에 올바른 개의 확보:
동물매개중재에서 일하는 개를 위한 동물행동학에 대한 필수 이해 115
9.1 서론 115
9.2 제1부: AAI에서의 개의 가치 116
9.2.1 개가 AAI 작업을 위해 선택된 특별한 이유가 있는가? 117
9.2.2 AAI에서 내담자와 개의 관계 117
9.2.3 AAI에 참여하는 개들의 특성 118
9.3 제2부: 위기관리 120
9.3.1 올바른 일에 올바른 개의 확보 120
9.4 제3부: 복지와 우리의 윤리적 의무 123
9.4.1 일반적인 관리에서 스트레스의 원인 124
9.4.2 치료 환경에서 스트레스의 원인 125
9.4.3 AAI 규정 127
9.5 결론 128
10. 동물매개상호작용에서 말의 역할 133
10.1 말과의 상호작용 역사 133
10.2 말매개활동 및 치료에서 말의 역할 - 치료사로서 말 134
10.3 말 복지 134
10.4 왜 말일까? 135
10.5 치료승마 136
10.6 승마치료와 치료승마의 이점과 결과 136
10.7 승마치료에서 말의 변화와 역할 136
10.8 근거 기반 연구 136
10.9 승마치료와 아동 관련 근거 136
10.10 승마치료와 성인 관련 근거 137
10.11 승마치료 지도 자격 143
10.12 승마치료 교육 팀 144
10.13 치료승마의 정의, 진화 및 말의 역할 144
10.14 이론적 토대 144
10.15 신체적 맥락 145
10.16 근거기반 연구 146
10.17 치료승마 팀 146
10.18 치료승마 자격 146
10.19 정신건강 프로그램 147
10.20 말촉진심리치료/말매개심리치료에서 정신건강 전문가의 역할 148
10.21 이론적 토대 149
10.22 아동과 청소년을 위한 말촉진심리치료/말매개심리치료 관련 근거기반 연구 149
10.23 말촉진심리치료/말매개심리치료와 성인 대상 근거 자료 150
10.24 말촉진심리치료/말매개심리치료와 외상 피해자 대상 근거 자료 151
10.25 군인 외상, 정신 건강 그리고 말매개활동 및 치료 151
10.26 말과의 학습 프로그램 152
10.26.1 말촉진학습/말매개학습, 그리고 말촉진 정신건강 및 학습 152
10.26.2 아동과 성인을 위한 말촉진학습/말매개학습, 그리고 말촉진 정신건강 및 학습 152
10.27 치료용 마차운전 153
10.28 치료용 마차운전 팀의 구성원 153
10.29 치료용 마차운전 자격 154
10.30 재향군인과 치료용 마차운전 154
10.31 치료용 마상체조 154
10.32 유익 154
10.33 치료용 마상체조 운동 예시 154
10.34 치료용 마상체조 자격 155
10.35 모든 유형의 말매개활동/말매개치료를 위한 일반적인 안전 고려사항 155
10.36 누가 참여할 수 있는가? 155
10.37 결론 156
11. 목줄의 다른 한쪽 끝에 대한 이해: 치료사들이 그들의 동료치료사에 대해 이해해야 할 것 163
12. 치료도우미동물의 복지 보장을 위한 윤리·도덕적 책임 177
12.1 서론 177
12.2 동물복지 정의 178
12.3 AAI에서 동물이 얻는 이익 179
12.3.1 사회적 측면의 이익 180
12.3.2 생리적 측면의 이익 180
12.3.3 행동적 측면의 이익 180
12.4 AAI 연구에서 동물복지 측정 180
12.4.1 코티솔 180
12.4.2 행동 181
12.4.3 생리학과 행동의 연관성 182
12.4.4 기타 동물복지 측정 183
12.5 연구 적용 184
12.6 실제 적용 185
12.6.1 개의 적합성/선정 185
12.6.2 건강검진 186
12.6.3 행동 평가 187
12.7 치료도우미동물의 스트레스 요인 관리 188
12.7.1 핸들러 188
12.7.2 환경 189
12.7.3 참여자 189
12.7.4 중재 활동 그 자체 190
12.8 AAI 모니터링 193
12.9 부정적 사건 관리 194
12.10 윤리적 의사결정 196
12.11 결론 196
13. 안전하고 효과적인 동물매개중재를 위한 수의사의 역할 203
13.1 서론 203
13.2 동물매개중재 모범 사례 203
13.3 동물매개중재에서 수의사 역할 204
13.3.1 동물에 대한 고려사항 204
13.3.2 핸들러 고려 사항 206
13.3.3 시설 고려사항 207
13.4 결론 208
섹션 Ⅲ
동물매개치료 모범사례: 특수 인구집단 대상 AAT 사용지침 209
14. 치료사를 위한 동물매개중재 통합 심리치료 지침 및 권고사항 211
14.1 서론 211
14.2 연구의 필요성 212
14.2.1 이 장의 목적 213
14.3 심리치료에서 동물매개치료의 역할: 동물매개치료 처방이 실재하는가? 213
14.4 고려사항 1-왜 임상가들은 동물들이 치료에 유익하다고 생각하는가 214
14.4.1 치료를 위한 사회적 윤활제로서의 동물 214
14.4.2 치료사로의 역할 확장에 따른 동물의 이점: 라포 형성 방법 215
14.4.3 치료에서 동물의 치료적 이점: 감정, 참여 및 동기 부여에 대한 촉매제 216
14.4.4 임상가의 보조자로서 동물의 역할 217
14.4.5 동물과의 관계를 대리적으로 활용 ? 역할 모델링 217
14.5 고려사항 2-치료환경: 환경 요법의 한 측면으로서의 동물 217
14.6 고려사항 3-이론을 실무에서 실행하기: 삶의 단계 관점에서의 동물매개치료 218
14.6.1 아동기의 발달 목표 및 치료 목적 제시 219
14.6.2 청소년기의 발달 목표 및 치료 목적 제시221
14.6.3 성인기의 발달 목표 및 치료 목적 제시 221
14.6.4 노년기의 발달 목표 및 치료 목적 제시 221
14.7 동물을 적용하는 임상가를 위한 실용적인 제안 222
14.7.1 훈련과 책임 222
14.7.2 내담자를 위한 주의사항 223
14.7.3 치료도우미동물 은퇴와 죽음 224
14.7.4 추가적인 문제 225
14.8 미래 방향 225
14.9 결론 225
15. 전문 정신건강 환경에서 동물매개중재 적용: 실무 고려사항의 개요 229
15.1 서론 230
15.2 동물매개중재의 전문적인 적용: 문헌상의 격차 231
15.2.1 정신건강에서의 동물매개중재: 내담자에 대한 전문가의 동물매개중재 활용 231
15.2.2 동물매개중재에서 웰빙과 동물복지에 관한 연구의 필요성 232
15.3 전문가 실무 기초 232
15.3.1 동물매개중재의 이론적 기반 232
15.3.2 역량 233
15.3.3 윤리적 고려사항 및 동물복지 233
15.3.4 심리치료에 대한 동물매개중재의 이점: 연구 234
15.4 심리치료 실무에 있어서 동물매개중재 235
15.4.1 심리치료에 있어서 동물매개중재의 형태와 기술 235
15.4.2 동물매개중재의 구조 수준 240
15.4.3 적합도 245
15.4.4 동물매개중재를 이용한 임상적 의사결정 245
15.5 훈련 및 인증에 대한 제안 249
15.6 향후 방향 249
16. 아이들 삶 속의 동물들 253
16.1 서론 253
16.2 아이의 삶에서 동물은 어디에 있는가? 256
16.3 아이의 삶에서 동물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257
16.3.1 생리적 발달 258
16.3.2 인지발달 259
16.3.3 사회정서발달 260
16.3.4 도덕적 발달 261
16.4 동물매개치료/동물매개중재에 대한 임상적 의의 262
16.4.1 동물 인형, 책, 그리고 소품 262
16.4.2 치료적 맥락에서 살아있는 동물 263
16.4.3 스트레스를 감소시켜주는 동물 264
16.4.4 펫로스에 대처하는 아동 돕기 264
16.4.5 가족체계치료에서의 동물 266
16.4.6 동물들은 안전을 제공할 수 있다. 267
16.4.7 AAT를 위한 동물 유사체 268
16.5 이론과 연구의 통합 269
16.6 아동 대상 AAT의 모범 사례 269
16.6.1 아동 대상 AAT 모범 사례 및 결론 270
17. 교육환경에서의 동물: 연구와 실행 275
17.1 서론 275
17.2 AAE 이론적 기반 및 배경 275
17.3 연구: 우리가 지금까지 알고 있는 것 276
17.4 동물을 교실에 통합하는 방법 279
17.4.1 인도주의 교육 279
17.4.2 읽기 프로그램 280
17.5 교실 동물의 통합을 위한 권장 지침 282
17.6 교실 동물에 대한 정책 권고사항 282
17.6.1 핵심 요소: 학생 283
17.6.2 핵심 요소: 동물 284
17.6.3 핵심 요소: 교사 285
17.7 연구 및 실무를 위한 적용 사례- 위해평가 및 실행 286
17.8 결론 286
18. 자폐스펙트럼장애를 위한 동물의 역할 289
18.1 서론 289
18.2 자폐스펙트럼장애에 왜 동물일까? 290
18.2.1 사회적 촉매제로서의 동물 290
18.2.2 스트레스를 감소시켜주는 동물 290
18.2.3 동물과 감각적 사고 291
18.3 자폐스펙트럼장애를 위한 동물매개중재 293
18.3.1 개를 활용한 동물매개중재 293
18.3.2 말을 활용한 동물매개중재 293
18.3.3 다른 동물을 활용한 동물매개중재 294
18.3.4 자폐스펙트럼장애를 위한 동물매개중재 선택과 실제적용을 위한 고려사항 294
18.3.5 자폐스펙트럼장애를 위한 동물매개중재 사례 294
18.3.6 임상과 연구의 연계를 위한 제안 295
18.4 자폐스펙트럼장애를 위한 서비스 동물 297
18.4.1 자폐스펙트럼장애를 위한 서비스견 입양 전 고려사항 297
18.5 자폐스펙트럼장애를 위한 반려동물 298
18.6 동물복지 이슈 299
18.6.1 서비스견 복지 299
18.6.2 말 복지 299
18.6.3 기타 동물의 복지 299
18.7 결론 300
19. 실행기능장애 아동을 위한 동물매개중재: 인도주의 교육과 인성개발이 P.A.C.K. 모델에 미치는 영향 305
19.1 서론 305
19.2 실행기능과 동물매개중재 305
19.3 실행기능 향상을 위한 동물매개중재의
치료 및 학교 기반 적용 307
19.3.1 심리사회적 중재전략 307
19.3.2 인도주의 교육과 인성개발의 통합:
성공의 두 가지 핵심 변수 309
19.3.3 실행기능 향상을 위한 사회기술훈련 사례 312
19.4 P.A.C.K.의 일반화 지원: 가정, 학교 및 학교 밖 상황 312
19.4.1 가정 313
19.4.2 학교 313
19.5 초기 탐색결과 및 학습 내용 314
19.6 안전 문제: 핵심 요소-아동 및 동물 315
19.7 요약 315
20. 고령화 시대의 인간과 동물 상호작용319
20.1 서론 319
20.2 인간-반려동물 상호작용 및 노화 320
20.2.1 노년기 인간-동물 유대 변화 320
20.2.2 반려동물의 생리학적 영향 320
20.2.3 반려동물의 심리사회적 영향 322
20.3 펫과 노인 사이의 관계 촉진 323
20.3.1 “자택에서 노후 보내기” 323
20.3.2 타이거플레이스 펫 이니셔티브 324
20.4 펫 선택 325
20.4.1 지역사회 거주 노인 325
20.4.2 장기요양시설의 펫 327
20.5 노인 대상 동물매개중재 지침 328
20.5.1 은퇴자 주택 및 요양원 대상 동물매개중재 328
20.5.2 노인 대상 활동 중심 AAI 329
20.6 결론 329
21. 병원에서의 동물매개중재 335
21.1 서론 335
21.2 병원 환경에서의 동물매개중재가 다른 이유 335
21.2.1 감염 관리 336
21.2.2 공감 피로 337
21.2.3 동물매개치료 또는 동물매개활동 337
21.3 소아과 입원환자를 위한 동물매개중재 338
21.4 정신과 입원환자에 대한 동물매개중재 340
21.5 종양학 서비스 입원환자에 대한 동물매개중재 342
21.6 기타 병원 서비스에 대한 동물매개중재 343
21.7 병원 조직에 대한 동물매개중재의 영향 344
21.8 요약 346
22. 대학에서의 동물매개활동: 학생 스트레스 해소를 위한 효율적인 모델 349
22.1 서론: 동물매개활동의 특성과 강점 350
22.2 입증 자료 350
22.2.1 요약 및 결론 351
22.3 연구 과제 352
22.4 요약 및 결론 352
23. 가족 맥락에서의 인간-동물 상호작용 역할 이해 357
23.1 가족 맥락에서의 인간-동물 상호작용 역할 이해 357
23.2 가족체계에서의 동물 358
23.3 가족체계에서의 적응적 인간-동물 상호작용 359
23.3.1 동물에 대한 애착 359
23.3.2 친사회적 행동과 사회적 기술 359
23.3.3 부모와 양육자의 역할 360
23.3.4 임상적 관련성 360
23.4 가족체계에서의 비적응적 인간-동물 상호작용 360
23.4.1 긍정적인 인간-동물 상호작용에 대한 방해요소 360
23.4.2 펫 상실 361
23.4.3 아동과 동물학대 361
23.4.4 개 물림 362
23.4.5 임상적 관련성 362
23.5 발달장애 아동 및 가족 내의 동물 362
23.5.1 긍정적 발달 결과 363
23.5.2 긍정적 결과의 방해요소 363
23.5.3 임상적 관련성 363
23.6 임상실무자를 위한 전략 364
23.6.1 치료 과정에서의 펫 364
23.6.2 가족으로서 펫 입양하기 365
23.6.3 인간-동물 상호작용의 가치 평가 365
23.7 결론 366
24. 동물의 도움으로 인간의 외상치료: 아동학대 및 성인 외상후 스트레스를 위한 외상근거중재 371
24.1 서론 371
24.2 어린 시절 대인관계 외상을 위한 정신역동적 동물매개심리치료 373
24.2.1 대인관계 외상의 의미 373
24.2.2 대인관계 외상 피해 아동의 정신역동 동물매개심리치료: 우수한 심리치료를 위한 관계적 접근 375
24.2.3 결론 378
24.3 작전명 재부팅: 워리어 캐나인 커넥션을 통한 목표 찾기와 치유 379
24.3.1 서론 379
24.3.2 배경 379
24.3.3 임무기반 외상회복(MBTR): 힐 작전 380
24.3.4 임무기반 외상회복(MBTR): 개의 트로이 목마 효과 381
24.3.5 상실로부터의 이득 382
24.3.6 워리어 캐나인 커넥션의 게놈 및 신경생물학적 기반 383
24.3.7 외상을 경험한 사회적 뇌 383
24.3.8 이차 외상후 스트레스장애 383
24.3.9 임무기반 외상회복: 안전한 비약물적 대안? 384
24.3.10 요약: 여러 점들의 연결 384
25. 동물매개작업치료: 표준, 이론 및 실무를 위한 가이드라인 389
25.1 서론 389
25.1.1 작업치료 영역 및 과정 390
25.2 자원 구축 390
25.3 준비 단계 394
25.3.1 작업-중심 모델 395
25.3.2 생태학적 모델 396
25.3.3 구체적 내담자 요인, 기술 및 중재 영역을 다루는 실행 모델 396
25.3.4 정신 건강 396
25.3.5 감각 통합 396
25.3.6 인지 397
25.3.7 신체 재활 397
25.4 방문 자원봉사 397
25.5 동물매개치료 적용 399
25.6 작업치료에서의 동물매개치료 400
25.6.1 OT와 AAT 접수, 선별 및 초기 평가 400
25.6.2 치료 계획 400
25.6.3 OT와 AAT 적용 방법 401
25.6.4 결과 측정 및 평가 402
26. 커뮤니티 기반 AAI 프로그램 개발: 현장에서의 PAWS 지원 405
파트 A:
샌프란시스코의 펫은 훌륭한 조력자: 우리의 이야기와 우리가 배운 것 405
26.1 서론 406
26.2 간략한 기록: 첫 15년 406
26.3 중기 412
26.4 합병 412
26.5 PAWS 대상자 야미나(Yamina) 415
26.6 한 세대 후 415
26.7 PAWS 운동으로부터 배운 교훈 417
26.7.1 야망과 꿈을 절대 포기하지 말라 417
26.7.2 마무리 발언 418
파트 B:
편집자: 인간-동물 상호작용 프로그램의 지속가능성을 위한 조직의 고려사항 418
26.8 서론 418
26.9 비전에서 프로그램 현실화까지 418
26.9.1 듀얼 렌즈를 통해 보는 방법 418
26.9.2 무엇이 그 핵심인가? 420
감사의 글 420
섹션 Ⅳ
동물매개중재 특별 주제 423
27. 연구, 실무, 과학 및 공공정책 - AAI의 맥락에서 어떻게 조화를 이루는가 425
27.1 실무 고려사항/위기관리 426
27.2 연구기반 실무 426
27.3 구현 과학의 가치 427
27.4 공공정책 추진 429
27.5 결언 431
28. AAI 적용의 글로벌 모범 사례: 독특한 치료의 스냅샷 433
28.1 서론 433
스탭샷 1: 인간-동물 상호작용 프로그램의 중심에 있는 동물 돌봄: 동물복지에 중점을 둔 프로그램 성격 434
28.2 그린 침니에서의 치료 및 프로그램 개요 434
28.3 활동 용어와 취지 435
28.4 인간-동물 상호작용의 기초로서 동물 돌봄 435
28.5 동물 돌봄-중심 프로그램의 동물복지 436
28.6 결론 436
스탭샷 2: AAI와 섭식장애 438
28.7 AAI의 섭식장애 적용 근거: 이론적 근거와 선행 연구 결과 438
28.8 AAI와 섭식장애 시설: 주요 특징 439
28.9 결론적 고찰: AAI와 섭식장애에 대한 권장사항 440
스탭샷 3: 티처스 펫: 개와 아이들이 함께 배우기: 위기의 청소년과 입양하기 어려운 보호소 개와 짝 지어주기 441
28.10 서비스 대상자 441
28.11 프로그램 동물들 442
28.12 프로그램과 그 영향 442
28.13 커리큘럼 443
28.14 훈련 443
28.15 졸업 443
참고문헌 443
스탭샷 4: 신경재활에 동물 통합 444
28.16 서론 444
28.17 뇌 손상 환자와의 작업 444
28.18 임상사례 444
28.19 연구 현황 445
28.20 결론 446
스탭샷 5: 소아과에서의 AAI 모델 ? 자기공명영상 검사부터 신경정신과까지 (소아집중치료실, 장애인 치과
및 신경외과 포함) 447
스탭샷 6: 동물매개중재를 주류로 가져오기 ? 영국 도그 포 굿 사례연구 450
28.21 도그 포 굿의 지역사회 애견 서비스 450
28.22 AAI의 건강 혜택 이해 450
28.23 표준의 역할 451
28.24 경제성에 관한 사례 만들기 451
28.25 사례연구 451
28.26 사례 연구(중재 기간: 6개월) 452
28.26.1 프로파일 452
28.27 결론 453
스탭샷 7: 치료용 도가: 요가와 인간-동물 상호작용 454
28.28 결론 455
참고문헌 455
스탭샷 8: 말들은 우리의 피부 이상의 것을 접촉한다: 말매개통증완화치료의 예 456
28.29 서론 456
28.30 안전한 환경 조성 456
28.31 말들이 우리 관계에 미치는 영향 457
28.32 동물복지 보장 457
28.33 말이 우리의 생리에 미치는 영향 457
28.34 결론 457
스탭샷 9: 성공 프로그램으로 가는 길 459
감사의 글 460
참고문헌 460
추가자료 460
29. 동물매개중재의 증거 기반 구축을 위한 방법론적 기준과 전략 461
29.1 연구의 개념화 및 연구 초점 462
29.1.1 소이론: 동물매개중재에 대한 연구자의 견해 462
29.1.2 병인론 및 변화의 혼란과 불일치 463
29.1.3 동물매개중재 안내에 필요한 질문 463
29.2 일반적인 방법론적 과제 466
29.2.1 표본 추출 문제 466
29.2.2 중재 체계화 467
29.2.3 결과 평가 467
29.3 임상시험 연구 기준 및 지침 468
29.3.1 일반 의견 470
29.4 결론 470
30. 국제적 관점에서 본 동물매개중재: 경향성, 연구 및 실무 475
30.1 전 세계 인간-동물 상호작용의 개요:
세계 각지의 발전과 과제 475
30.1.1 전문가 조직의 성장 476
30.1.2 교육 프로그램 인증 476
30.1.3 동물매개중재 실무의 품질 보장 477
30.1.4 새로운 프로그램 477
30.2 동물매개교육 영역에서의 발전 479
30.2.1 학교견과 학교방문견 480
30.2.2 개와 함께하는 읽기 기술 향상 480
30.2.3 교실과 학교 동물원에서 동물 관리 481
30.2.4 특수교육에서 동물 482
30.3 연구 동향 482
30.4 동물매개중재의 동물복지 483
30.4.1 동물복지/동물보호 또는 동물의 권리? 483
30.4.2 동물복지가 동물매개중재에 왜 그렇게 중요한가? 484
30.4.3 국제기구는 동물매개중재에서 동물복지를 증진시키기 위해 무엇을 했는가? 484
31. 연구 과제: 인간과 동물 상호작용 중재 연구의
타당성에 대한 위협과 개선방안을 위한 제언
The Research Challenge: Threats to the Validity of
Human?Animal Interaction Intervention Studies and
Suggestions for Improvement 489
Molly K. Crossman and Harold Herzog
31.1 인간-동물 상호작용 중재가 효과가 있다는 증거가
얼마나 확실한가? 489
31.2 인간-동물 상호작용 중재에 관한 연구에서 일반적인
문제 490
31.3 기본설계상의 문제점 490
31.4 정말 동물에 관한 것인가? 490
31.5 불일치의 원인 491
31.6 연구자 편향 492
31.7 출판 편향 492
31.8 스피닝 연구 결과 492
31.9 인간-동물 상호작용 중재 연구의 품질 향상 493
참고문헌 493
32. 인간-동물 상호작용 연구의 기반 강화:
급성장하는 분야의 최근 발전 방향
Strengthening the Foundation of Human?Animal
Interaction Research: Recent Developments in a Rapidly
Growing Field 497
Sandra McCune, Katherine A. Kruger, James A. Griffin,
Layla Esposito, Regina M. Bures,
Karyl J. Hurley and Nancy R. Gee
32.1 서론: 행동 요구 497
32.2 요구에 대한 응답 498
32.3 방법론적 엄격성과 연구 설계 498
32.4 인간과 동물의 관계 특징 499
32.5 새로운 요구 500
32.6 다학제적 팀 구성 500
32.7 참여자들의 복지 보장 501
32.8 측정의 표준화 및 검증 501
32.9 새로운 기술 통합 501
32.10 국가 및 세계 인구 변화에 적응 502
32.11 노령화 집단의 요구 충족 502
32.12 특수 집단의 요구 충족 503
32.13 유망한 미래 503
참고문헌 504
IAHAIO의 동물매개중재 정의 및 AAI에 참여하는
동물의 안녕을 위한 지침
The IAHAIO Definitions for Animal Assisted Intervention
and Guidelines for Wellness of Animals Involved
in AAI 509
2018 개정판 509
국제인간-동물상호작용기구연합(IAHAIO) 509
임무와 비전 509
IAHAIO의 동물매개중재 정의 및 AAI에
참여하는 동물의 웰빙 지침을 위한 특별위원회 510
정의 510
동물매개중재 510
원헬스와 원웰페어 511
AAI에서 사람과 동물의 웰빙을 위한 지침 511
인간 웰빙 511
동물 웰빙 512
참고문헌 513
감사의 글 513
IAHAIO 백서를 자국 언어로 번역하기 위한 프로토콜 513
동물-인간 유대의 개념화: 동물매개중재에 대한 기초 1
1. 동물과의 친밀감 이해하기: 인간-동물 유대에 관심이 있는 건강관리 전문가를 위한 정보 3
1.1 서론 3
1.2 인간-동물 유대에 대한 소개 4
1.3 인간-동물 유대 정의 5
1.4 펫과 사람들: 사례 연구의 중요성 6
1.5 유대를 설명하는 이론 7
1.6 유대의 생물학적 이점 8
1.7 결론 9
참고문헌 10
추가자료 12
2. 역사적 관점에서의 동물매개중재
2.1 서론 13
2.2 동물의 영혼과 영적 치유 13
2.3 동물의 힘과 샤머니즘 15
2.4 고대 및 중세 시대의 애니미즘 15
2.5 사회화 수단으로서의 동물 17
2.6 동물과 심리치료 18
2.7 동물, 휴식 및 사회적 지원 19
2.8 결론 20
3. 전향적 사고: 인간과 동물의 상호작용 분야의 성장
3.1 우리가 어디로 가는지 알기 위해서, 우리가 어디에 있었는지 알아야 한다 23
3.2 레빈슨의 초기 연구 과제: 오늘날 HAI와의 관련성 25
3.3 공통 용어 개발 25
3.4 동물과 삶에서의 관계 재정립 26
3.4.1 가정과 지역사회 동물 27
3.4.2 바이오필리아를 수용하고 생명중심주의를 향해 나아가기 28
3.4.3 원헬스와 글로벌 관점 28
3.4.4 치료적 전이 29
3.5 동물은 인간의 건강과 어떤 관련이 있는가? 30
3.5.1 공중보건과 웰니스 30
3.5.2 사회적 자본 31
3.5.3 새가 지저귀다(Tweet)? 기술과 AAI 31
3.5.4 자연박탈 33
3.5.5 AAl 동물복지 33
3.6 연구 방향 34
3.6.1 동물매개중재를 위한 연구방향 34
3.6.2 지역사회의 동물과 원헬스에 대한 연구 방향 35
3.7 분야의 전문화 35
3.7.1 교육의 중요성 36
3.7.2 전문교육, 인증 및 실무 표준에 대한 요구 37
3.8 미래 속으로 38
4. 동물에 대한 태도에 있어 문화 및 종교적 요인의 영향 43
4.1 서론 43
4.2 문화 및 종교적 요인 43
4.2.1 문화 지속성의 중요성 45
4.2.2 문화 변용의 중요성 47
4.3 동물매개중재를 위한 문화적 반응의 프레임워크 48
4.3.1 문화적 자기인식 48
4.3.2 내담자에 대한 지식 48
4.3.3 기술 개발 48
4.4 결론 49
5. 반려동물의 사회적 자본: 사회적 네트워크와 지원을 위한 촉매제 및 지역사회 폭력 지표로서의 펫 51
5.1 사회적 자본이란 무엇인가? 52
5.2 동물과 사회적 자본 52
5.3 펫과 사회적 자본의 부재 54
5.4 지역사회 펫 개체수 추정 54
5.5 원치 않고, 학대받고, 마음대로 배회하며, 또한 공격적인 동물 개체수 추정 55
5.6 도시 지역사회 연결: 자연의 평온한 특사로서의 펫 56
5.7 결론 57
6. 보조견 및 기타 동물과 함께하는 생활: 그들의 치료적 역할 및 심리사회적 건강 효과 61
6.1 서론 61
6.2 인간의 건강에 이용되는 보조견 및 기타 동물에 대한 정의 62
6.3 보조견의 변화 패턴 63
6.3.1 보조견 수와 역할의 변화 63
6.3.2 보조견의 심리사회적 효과, 특히 파트너의 정신적, 인지적 필요에 대한 영향 64
6.3.3 군인과 재향군인을 위한 서비스견 66
6.4 보조견의 효과와 개와의 생활에서 얻는 이점 66
6.4.1 핸들러에 대한 보조견의 이점 66
6.4.2 핸들러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반려동물의 잠재력 67
6.4.3 동물의 사회적 지원이 핸들러의 외로움과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 68
6.4.4 개의 사회화 효과 69
6.4.5 개의 동기 유발 효과 70
6.4.6 개의 진정 및 생리학적 효과 70
6.4.7 상호작용하는 동물과의 시너지 관계 71
6.5 보조견과 반려견의 치료적 역할 72
6.6 동물과 함께 생활할 때 고려할 사항 72
6.7 결론 73
7. 인간-동물 유대: 건강과 웰니스 79
7.1 동물매개활동의 건강상 이점 80
7.1.1 개별 동물매개활동 80
7.1.2 집단 동물매개활동 82
7.1.3 요약 83
7.2 건강상의 이점에 대한 역학적 증거 83
7.2.1 요약 87
7.3 실험 혹은 유사실험 연구 87
7.3.1 동물 또는 동물 그림의 명시적 보기 또는 관찰의 효과 87
7.3.2 동물의 암묵적 관찰 또는 동물의 존재 효과 88
7.3.3 동물과의 상호작용 효과 89
7.3.4 요약 91
7.3.5 펫 중재의 임상적 시도 91
7.4 논의 91
7.5 결론 93
섹션 Ⅱ
동물매개중재 및 치료: 품질 보증을 위한 개념 모델 및 지침 99
8. 사랑이 무엇과 관계가 있을까? 동물매개정신건강중재를 위한 동물 선택 101
8.1 단계 1: 임상에서 동물 목적의 명확화 102
8.2 단계 2: 동물 중재의 범주 및 접근방법 결정 103
8.3 접근방법 105
8.4 단계 3: 참여 동물의 직무기술서 마련 105
8.5 단계 4: 맥나마라 동물능력평가 모델 106
8.5.1 동물매개중재 요인별 상호영향과 상호작용 109
8.6 동물 스트레스의 가능성 110
8.6.1 예외: 때때로 사랑은 무엇인가와 관계가 있다 111
8.7 결론 111
9. 동물매개중재에서 올바른 직무에 올바른 개의 확보:
동물매개중재에서 일하는 개를 위한 동물행동학에 대한 필수 이해 115
9.1 서론 115
9.2 제1부: AAI에서의 개의 가치 116
9.2.1 개가 AAI 작업을 위해 선택된 특별한 이유가 있는가? 117
9.2.2 AAI에서 내담자와 개의 관계 117
9.2.3 AAI에 참여하는 개들의 특성 118
9.3 제2부: 위기관리 120
9.3.1 올바른 일에 올바른 개의 확보 120
9.4 제3부: 복지와 우리의 윤리적 의무 123
9.4.1 일반적인 관리에서 스트레스의 원인 124
9.4.2 치료 환경에서 스트레스의 원인 125
9.4.3 AAI 규정 127
9.5 결론 128
10. 동물매개상호작용에서 말의 역할 133
10.1 말과의 상호작용 역사 133
10.2 말매개활동 및 치료에서 말의 역할 - 치료사로서 말 134
10.3 말 복지 134
10.4 왜 말일까? 135
10.5 치료승마 136
10.6 승마치료와 치료승마의 이점과 결과 136
10.7 승마치료에서 말의 변화와 역할 136
10.8 근거 기반 연구 136
10.9 승마치료와 아동 관련 근거 136
10.10 승마치료와 성인 관련 근거 137
10.11 승마치료 지도 자격 143
10.12 승마치료 교육 팀 144
10.13 치료승마의 정의, 진화 및 말의 역할 144
10.14 이론적 토대 144
10.15 신체적 맥락 145
10.16 근거기반 연구 146
10.17 치료승마 팀 146
10.18 치료승마 자격 146
10.19 정신건강 프로그램 147
10.20 말촉진심리치료/말매개심리치료에서 정신건강 전문가의 역할 148
10.21 이론적 토대 149
10.22 아동과 청소년을 위한 말촉진심리치료/말매개심리치료 관련 근거기반 연구 149
10.23 말촉진심리치료/말매개심리치료와 성인 대상 근거 자료 150
10.24 말촉진심리치료/말매개심리치료와 외상 피해자 대상 근거 자료 151
10.25 군인 외상, 정신 건강 그리고 말매개활동 및 치료 151
10.26 말과의 학습 프로그램 152
10.26.1 말촉진학습/말매개학습, 그리고 말촉진 정신건강 및 학습 152
10.26.2 아동과 성인을 위한 말촉진학습/말매개학습, 그리고 말촉진 정신건강 및 학습 152
10.27 치료용 마차운전 153
10.28 치료용 마차운전 팀의 구성원 153
10.29 치료용 마차운전 자격 154
10.30 재향군인과 치료용 마차운전 154
10.31 치료용 마상체조 154
10.32 유익 154
10.33 치료용 마상체조 운동 예시 154
10.34 치료용 마상체조 자격 155
10.35 모든 유형의 말매개활동/말매개치료를 위한 일반적인 안전 고려사항 155
10.36 누가 참여할 수 있는가? 155
10.37 결론 156
11. 목줄의 다른 한쪽 끝에 대한 이해: 치료사들이 그들의 동료치료사에 대해 이해해야 할 것 163
12. 치료도우미동물의 복지 보장을 위한 윤리·도덕적 책임 177
12.1 서론 177
12.2 동물복지 정의 178
12.3 AAI에서 동물이 얻는 이익 179
12.3.1 사회적 측면의 이익 180
12.3.2 생리적 측면의 이익 180
12.3.3 행동적 측면의 이익 180
12.4 AAI 연구에서 동물복지 측정 180
12.4.1 코티솔 180
12.4.2 행동 181
12.4.3 생리학과 행동의 연관성 182
12.4.4 기타 동물복지 측정 183
12.5 연구 적용 184
12.6 실제 적용 185
12.6.1 개의 적합성/선정 185
12.6.2 건강검진 186
12.6.3 행동 평가 187
12.7 치료도우미동물의 스트레스 요인 관리 188
12.7.1 핸들러 188
12.7.2 환경 189
12.7.3 참여자 189
12.7.4 중재 활동 그 자체 190
12.8 AAI 모니터링 193
12.9 부정적 사건 관리 194
12.10 윤리적 의사결정 196
12.11 결론 196
13. 안전하고 효과적인 동물매개중재를 위한 수의사의 역할 203
13.1 서론 203
13.2 동물매개중재 모범 사례 203
13.3 동물매개중재에서 수의사 역할 204
13.3.1 동물에 대한 고려사항 204
13.3.2 핸들러 고려 사항 206
13.3.3 시설 고려사항 207
13.4 결론 208
섹션 Ⅲ
동물매개치료 모범사례: 특수 인구집단 대상 AAT 사용지침 209
14. 치료사를 위한 동물매개중재 통합 심리치료 지침 및 권고사항 211
14.1 서론 211
14.2 연구의 필요성 212
14.2.1 이 장의 목적 213
14.3 심리치료에서 동물매개치료의 역할: 동물매개치료 처방이 실재하는가? 213
14.4 고려사항 1-왜 임상가들은 동물들이 치료에 유익하다고 생각하는가 214
14.4.1 치료를 위한 사회적 윤활제로서의 동물 214
14.4.2 치료사로의 역할 확장에 따른 동물의 이점: 라포 형성 방법 215
14.4.3 치료에서 동물의 치료적 이점: 감정, 참여 및 동기 부여에 대한 촉매제 216
14.4.4 임상가의 보조자로서 동물의 역할 217
14.4.5 동물과의 관계를 대리적으로 활용 ? 역할 모델링 217
14.5 고려사항 2-치료환경: 환경 요법의 한 측면으로서의 동물 217
14.6 고려사항 3-이론을 실무에서 실행하기: 삶의 단계 관점에서의 동물매개치료 218
14.6.1 아동기의 발달 목표 및 치료 목적 제시 219
14.6.2 청소년기의 발달 목표 및 치료 목적 제시221
14.6.3 성인기의 발달 목표 및 치료 목적 제시 221
14.6.4 노년기의 발달 목표 및 치료 목적 제시 221
14.7 동물을 적용하는 임상가를 위한 실용적인 제안 222
14.7.1 훈련과 책임 222
14.7.2 내담자를 위한 주의사항 223
14.7.3 치료도우미동물 은퇴와 죽음 224
14.7.4 추가적인 문제 225
14.8 미래 방향 225
14.9 결론 225
15. 전문 정신건강 환경에서 동물매개중재 적용: 실무 고려사항의 개요 229
15.1 서론 230
15.2 동물매개중재의 전문적인 적용: 문헌상의 격차 231
15.2.1 정신건강에서의 동물매개중재: 내담자에 대한 전문가의 동물매개중재 활용 231
15.2.2 동물매개중재에서 웰빙과 동물복지에 관한 연구의 필요성 232
15.3 전문가 실무 기초 232
15.3.1 동물매개중재의 이론적 기반 232
15.3.2 역량 233
15.3.3 윤리적 고려사항 및 동물복지 233
15.3.4 심리치료에 대한 동물매개중재의 이점: 연구 234
15.4 심리치료 실무에 있어서 동물매개중재 235
15.4.1 심리치료에 있어서 동물매개중재의 형태와 기술 235
15.4.2 동물매개중재의 구조 수준 240
15.4.3 적합도 245
15.4.4 동물매개중재를 이용한 임상적 의사결정 245
15.5 훈련 및 인증에 대한 제안 249
15.6 향후 방향 249
16. 아이들 삶 속의 동물들 253
16.1 서론 253
16.2 아이의 삶에서 동물은 어디에 있는가? 256
16.3 아이의 삶에서 동물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257
16.3.1 생리적 발달 258
16.3.2 인지발달 259
16.3.3 사회정서발달 260
16.3.4 도덕적 발달 261
16.4 동물매개치료/동물매개중재에 대한 임상적 의의 262
16.4.1 동물 인형, 책, 그리고 소품 262
16.4.2 치료적 맥락에서 살아있는 동물 263
16.4.3 스트레스를 감소시켜주는 동물 264
16.4.4 펫로스에 대처하는 아동 돕기 264
16.4.5 가족체계치료에서의 동물 266
16.4.6 동물들은 안전을 제공할 수 있다. 267
16.4.7 AAT를 위한 동물 유사체 268
16.5 이론과 연구의 통합 269
16.6 아동 대상 AAT의 모범 사례 269
16.6.1 아동 대상 AAT 모범 사례 및 결론 270
17. 교육환경에서의 동물: 연구와 실행 275
17.1 서론 275
17.2 AAE 이론적 기반 및 배경 275
17.3 연구: 우리가 지금까지 알고 있는 것 276
17.4 동물을 교실에 통합하는 방법 279
17.4.1 인도주의 교육 279
17.4.2 읽기 프로그램 280
17.5 교실 동물의 통합을 위한 권장 지침 282
17.6 교실 동물에 대한 정책 권고사항 282
17.6.1 핵심 요소: 학생 283
17.6.2 핵심 요소: 동물 284
17.6.3 핵심 요소: 교사 285
17.7 연구 및 실무를 위한 적용 사례- 위해평가 및 실행 286
17.8 결론 286
18. 자폐스펙트럼장애를 위한 동물의 역할 289
18.1 서론 289
18.2 자폐스펙트럼장애에 왜 동물일까? 290
18.2.1 사회적 촉매제로서의 동물 290
18.2.2 스트레스를 감소시켜주는 동물 290
18.2.3 동물과 감각적 사고 291
18.3 자폐스펙트럼장애를 위한 동물매개중재 293
18.3.1 개를 활용한 동물매개중재 293
18.3.2 말을 활용한 동물매개중재 293
18.3.3 다른 동물을 활용한 동물매개중재 294
18.3.4 자폐스펙트럼장애를 위한 동물매개중재 선택과 실제적용을 위한 고려사항 294
18.3.5 자폐스펙트럼장애를 위한 동물매개중재 사례 294
18.3.6 임상과 연구의 연계를 위한 제안 295
18.4 자폐스펙트럼장애를 위한 서비스 동물 297
18.4.1 자폐스펙트럼장애를 위한 서비스견 입양 전 고려사항 297
18.5 자폐스펙트럼장애를 위한 반려동물 298
18.6 동물복지 이슈 299
18.6.1 서비스견 복지 299
18.6.2 말 복지 299
18.6.3 기타 동물의 복지 299
18.7 결론 300
19. 실행기능장애 아동을 위한 동물매개중재: 인도주의 교육과 인성개발이 P.A.C.K. 모델에 미치는 영향 305
19.1 서론 305
19.2 실행기능과 동물매개중재 305
19.3 실행기능 향상을 위한 동물매개중재의
치료 및 학교 기반 적용 307
19.3.1 심리사회적 중재전략 307
19.3.2 인도주의 교육과 인성개발의 통합:
성공의 두 가지 핵심 변수 309
19.3.3 실행기능 향상을 위한 사회기술훈련 사례 312
19.4 P.A.C.K.의 일반화 지원: 가정, 학교 및 학교 밖 상황 312
19.4.1 가정 313
19.4.2 학교 313
19.5 초기 탐색결과 및 학습 내용 314
19.6 안전 문제: 핵심 요소-아동 및 동물 315
19.7 요약 315
20. 고령화 시대의 인간과 동물 상호작용319
20.1 서론 319
20.2 인간-반려동물 상호작용 및 노화 320
20.2.1 노년기 인간-동물 유대 변화 320
20.2.2 반려동물의 생리학적 영향 320
20.2.3 반려동물의 심리사회적 영향 322
20.3 펫과 노인 사이의 관계 촉진 323
20.3.1 “자택에서 노후 보내기” 323
20.3.2 타이거플레이스 펫 이니셔티브 324
20.4 펫 선택 325
20.4.1 지역사회 거주 노인 325
20.4.2 장기요양시설의 펫 327
20.5 노인 대상 동물매개중재 지침 328
20.5.1 은퇴자 주택 및 요양원 대상 동물매개중재 328
20.5.2 노인 대상 활동 중심 AAI 329
20.6 결론 329
21. 병원에서의 동물매개중재 335
21.1 서론 335
21.2 병원 환경에서의 동물매개중재가 다른 이유 335
21.2.1 감염 관리 336
21.2.2 공감 피로 337
21.2.3 동물매개치료 또는 동물매개활동 337
21.3 소아과 입원환자를 위한 동물매개중재 338
21.4 정신과 입원환자에 대한 동물매개중재 340
21.5 종양학 서비스 입원환자에 대한 동물매개중재 342
21.6 기타 병원 서비스에 대한 동물매개중재 343
21.7 병원 조직에 대한 동물매개중재의 영향 344
21.8 요약 346
22. 대학에서의 동물매개활동: 학생 스트레스 해소를 위한 효율적인 모델 349
22.1 서론: 동물매개활동의 특성과 강점 350
22.2 입증 자료 350
22.2.1 요약 및 결론 351
22.3 연구 과제 352
22.4 요약 및 결론 352
23. 가족 맥락에서의 인간-동물 상호작용 역할 이해 357
23.1 가족 맥락에서의 인간-동물 상호작용 역할 이해 357
23.2 가족체계에서의 동물 358
23.3 가족체계에서의 적응적 인간-동물 상호작용 359
23.3.1 동물에 대한 애착 359
23.3.2 친사회적 행동과 사회적 기술 359
23.3.3 부모와 양육자의 역할 360
23.3.4 임상적 관련성 360
23.4 가족체계에서의 비적응적 인간-동물 상호작용 360
23.4.1 긍정적인 인간-동물 상호작용에 대한 방해요소 360
23.4.2 펫 상실 361
23.4.3 아동과 동물학대 361
23.4.4 개 물림 362
23.4.5 임상적 관련성 362
23.5 발달장애 아동 및 가족 내의 동물 362
23.5.1 긍정적 발달 결과 363
23.5.2 긍정적 결과의 방해요소 363
23.5.3 임상적 관련성 363
23.6 임상실무자를 위한 전략 364
23.6.1 치료 과정에서의 펫 364
23.6.2 가족으로서 펫 입양하기 365
23.6.3 인간-동물 상호작용의 가치 평가 365
23.7 결론 366
24. 동물의 도움으로 인간의 외상치료: 아동학대 및 성인 외상후 스트레스를 위한 외상근거중재 371
24.1 서론 371
24.2 어린 시절 대인관계 외상을 위한 정신역동적 동물매개심리치료 373
24.2.1 대인관계 외상의 의미 373
24.2.2 대인관계 외상 피해 아동의 정신역동 동물매개심리치료: 우수한 심리치료를 위한 관계적 접근 375
24.2.3 결론 378
24.3 작전명 재부팅: 워리어 캐나인 커넥션을 통한 목표 찾기와 치유 379
24.3.1 서론 379
24.3.2 배경 379
24.3.3 임무기반 외상회복(MBTR): 힐 작전 380
24.3.4 임무기반 외상회복(MBTR): 개의 트로이 목마 효과 381
24.3.5 상실로부터의 이득 382
24.3.6 워리어 캐나인 커넥션의 게놈 및 신경생물학적 기반 383
24.3.7 외상을 경험한 사회적 뇌 383
24.3.8 이차 외상후 스트레스장애 383
24.3.9 임무기반 외상회복: 안전한 비약물적 대안? 384
24.3.10 요약: 여러 점들의 연결 384
25. 동물매개작업치료: 표준, 이론 및 실무를 위한 가이드라인 389
25.1 서론 389
25.1.1 작업치료 영역 및 과정 390
25.2 자원 구축 390
25.3 준비 단계 394
25.3.1 작업-중심 모델 395
25.3.2 생태학적 모델 396
25.3.3 구체적 내담자 요인, 기술 및 중재 영역을 다루는 실행 모델 396
25.3.4 정신 건강 396
25.3.5 감각 통합 396
25.3.6 인지 397
25.3.7 신체 재활 397
25.4 방문 자원봉사 397
25.5 동물매개치료 적용 399
25.6 작업치료에서의 동물매개치료 400
25.6.1 OT와 AAT 접수, 선별 및 초기 평가 400
25.6.2 치료 계획 400
25.6.3 OT와 AAT 적용 방법 401
25.6.4 결과 측정 및 평가 402
26. 커뮤니티 기반 AAI 프로그램 개발: 현장에서의 PAWS 지원 405
파트 A:
샌프란시스코의 펫은 훌륭한 조력자: 우리의 이야기와 우리가 배운 것 405
26.1 서론 406
26.2 간략한 기록: 첫 15년 406
26.3 중기 412
26.4 합병 412
26.5 PAWS 대상자 야미나(Yamina) 415
26.6 한 세대 후 415
26.7 PAWS 운동으로부터 배운 교훈 417
26.7.1 야망과 꿈을 절대 포기하지 말라 417
26.7.2 마무리 발언 418
파트 B:
편집자: 인간-동물 상호작용 프로그램의 지속가능성을 위한 조직의 고려사항 418
26.8 서론 418
26.9 비전에서 프로그램 현실화까지 418
26.9.1 듀얼 렌즈를 통해 보는 방법 418
26.9.2 무엇이 그 핵심인가? 420
감사의 글 420
섹션 Ⅳ
동물매개중재 특별 주제 423
27. 연구, 실무, 과학 및 공공정책 - AAI의 맥락에서 어떻게 조화를 이루는가 425
27.1 실무 고려사항/위기관리 426
27.2 연구기반 실무 426
27.3 구현 과학의 가치 427
27.4 공공정책 추진 429
27.5 결언 431
28. AAI 적용의 글로벌 모범 사례: 독특한 치료의 스냅샷 433
28.1 서론 433
스탭샷 1: 인간-동물 상호작용 프로그램의 중심에 있는 동물 돌봄: 동물복지에 중점을 둔 프로그램 성격 434
28.2 그린 침니에서의 치료 및 프로그램 개요 434
28.3 활동 용어와 취지 435
28.4 인간-동물 상호작용의 기초로서 동물 돌봄 435
28.5 동물 돌봄-중심 프로그램의 동물복지 436
28.6 결론 436
스탭샷 2: AAI와 섭식장애 438
28.7 AAI의 섭식장애 적용 근거: 이론적 근거와 선행 연구 결과 438
28.8 AAI와 섭식장애 시설: 주요 특징 439
28.9 결론적 고찰: AAI와 섭식장애에 대한 권장사항 440
스탭샷 3: 티처스 펫: 개와 아이들이 함께 배우기: 위기의 청소년과 입양하기 어려운 보호소 개와 짝 지어주기 441
28.10 서비스 대상자 441
28.11 프로그램 동물들 442
28.12 프로그램과 그 영향 442
28.13 커리큘럼 443
28.14 훈련 443
28.15 졸업 443
참고문헌 443
스탭샷 4: 신경재활에 동물 통합 444
28.16 서론 444
28.17 뇌 손상 환자와의 작업 444
28.18 임상사례 444
28.19 연구 현황 445
28.20 결론 446
스탭샷 5: 소아과에서의 AAI 모델 ? 자기공명영상 검사부터 신경정신과까지 (소아집중치료실, 장애인 치과
및 신경외과 포함) 447
스탭샷 6: 동물매개중재를 주류로 가져오기 ? 영국 도그 포 굿 사례연구 450
28.21 도그 포 굿의 지역사회 애견 서비스 450
28.22 AAI의 건강 혜택 이해 450
28.23 표준의 역할 451
28.24 경제성에 관한 사례 만들기 451
28.25 사례연구 451
28.26 사례 연구(중재 기간: 6개월) 452
28.26.1 프로파일 452
28.27 결론 453
스탭샷 7: 치료용 도가: 요가와 인간-동물 상호작용 454
28.28 결론 455
참고문헌 455
스탭샷 8: 말들은 우리의 피부 이상의 것을 접촉한다: 말매개통증완화치료의 예 456
28.29 서론 456
28.30 안전한 환경 조성 456
28.31 말들이 우리 관계에 미치는 영향 457
28.32 동물복지 보장 457
28.33 말이 우리의 생리에 미치는 영향 457
28.34 결론 457
스탭샷 9: 성공 프로그램으로 가는 길 459
감사의 글 460
참고문헌 460
추가자료 460
29. 동물매개중재의 증거 기반 구축을 위한 방법론적 기준과 전략 461
29.1 연구의 개념화 및 연구 초점 462
29.1.1 소이론: 동물매개중재에 대한 연구자의 견해 462
29.1.2 병인론 및 변화의 혼란과 불일치 463
29.1.3 동물매개중재 안내에 필요한 질문 463
29.2 일반적인 방법론적 과제 466
29.2.1 표본 추출 문제 466
29.2.2 중재 체계화 467
29.2.3 결과 평가 467
29.3 임상시험 연구 기준 및 지침 468
29.3.1 일반 의견 470
29.4 결론 470
30. 국제적 관점에서 본 동물매개중재: 경향성, 연구 및 실무 475
30.1 전 세계 인간-동물 상호작용의 개요:
세계 각지의 발전과 과제 475
30.1.1 전문가 조직의 성장 476
30.1.2 교육 프로그램 인증 476
30.1.3 동물매개중재 실무의 품질 보장 477
30.1.4 새로운 프로그램 477
30.2 동물매개교육 영역에서의 발전 479
30.2.1 학교견과 학교방문견 480
30.2.2 개와 함께하는 읽기 기술 향상 480
30.2.3 교실과 학교 동물원에서 동물 관리 481
30.2.4 특수교육에서 동물 482
30.3 연구 동향 482
30.4 동물매개중재의 동물복지 483
30.4.1 동물복지/동물보호 또는 동물의 권리? 483
30.4.2 동물복지가 동물매개중재에 왜 그렇게 중요한가? 484
30.4.3 국제기구는 동물매개중재에서 동물복지를 증진시키기 위해 무엇을 했는가? 484
31. 연구 과제: 인간과 동물 상호작용 중재 연구의
타당성에 대한 위협과 개선방안을 위한 제언
The Research Challenge: Threats to the Validity of
Human?Animal Interaction Intervention Studies and
Suggestions for Improvement 489
Molly K. Crossman and Harold Herzog
31.1 인간-동물 상호작용 중재가 효과가 있다는 증거가
얼마나 확실한가? 489
31.2 인간-동물 상호작용 중재에 관한 연구에서 일반적인
문제 490
31.3 기본설계상의 문제점 490
31.4 정말 동물에 관한 것인가? 490
31.5 불일치의 원인 491
31.6 연구자 편향 492
31.7 출판 편향 492
31.8 스피닝 연구 결과 492
31.9 인간-동물 상호작용 중재 연구의 품질 향상 493
참고문헌 493
32. 인간-동물 상호작용 연구의 기반 강화:
급성장하는 분야의 최근 발전 방향
Strengthening the Foundation of Human?Animal
Interaction Research: Recent Developments in a Rapidly
Growing Field 497
Sandra McCune, Katherine A. Kruger, James A. Griffin,
Layla Esposito, Regina M. Bures,
Karyl J. Hurley and Nancy R. Gee
32.1 서론: 행동 요구 497
32.2 요구에 대한 응답 498
32.3 방법론적 엄격성과 연구 설계 498
32.4 인간과 동물의 관계 특징 499
32.5 새로운 요구 500
32.6 다학제적 팀 구성 500
32.7 참여자들의 복지 보장 501
32.8 측정의 표준화 및 검증 501
32.9 새로운 기술 통합 501
32.10 국가 및 세계 인구 변화에 적응 502
32.11 노령화 집단의 요구 충족 502
32.12 특수 집단의 요구 충족 503
32.13 유망한 미래 503
참고문헌 504
IAHAIO의 동물매개중재 정의 및 AAI에 참여하는
동물의 안녕을 위한 지침
The IAHAIO Definitions for Animal Assisted Intervention
and Guidelines for Wellness of Animals Involved
in AAI 509
2018 개정판 509
국제인간-동물상호작용기구연합(IAHAIO) 509
임무와 비전 509
IAHAIO의 동물매개중재 정의 및 AAI에
참여하는 동물의 웰빙 지침을 위한 특별위원회 510
정의 510
동물매개중재 510
원헬스와 원웰페어 511
AAI에서 사람과 동물의 웰빙을 위한 지침 511
인간 웰빙 511
동물 웰빙 512
참고문헌 513
감사의 글 513
IAHAIO 백서를 자국 언어로 번역하기 위한 프로토콜 5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