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료유형
- 단행본
- ISBN
- 9788928513840 94380\35000
- KDC
- 381.750911-5
- 청구기호
- 381.750911 문96ㅇ
- 단체저자
- 문화동력 연구팀
- 서명/저자
- 음식문화와 문화동력 : 음식과 인문학의 만남, 음식이 만들어 낸 한국의 문화지형 / 문화동력 연구팀 편
- 발행사항
- 서울 : 민속원, 2019
- 형태사항
- 402 p. : 삽화 ; 24 cm
- 총서명
- 민속원 아르케북스 ; 145
- 총서명
- 민속원 ; 1742
- 주기사항
- 공저자 : 김남석, 우남희, 구모룡, 정진경, 배옥주, 정미숙, 김태희, 조민경, 정수진, 이주영, 류진아, 박경선, 박소영, 강명관, 서인석, 유춘동
- 서지주기
- 참고문헌 : p.382-396, 색인 수록
- 키워드
- 식문화
- 기타저자
- 김남석
- 기타저자
- 우남희
- 기타저자
- 구모룡
- 기타저자
- 정진경
- 기타저자
- 배옥주
- 기타저자
- 정미숙
- 기타저자
- 김태희
- 기타저자
- 조민경
- 기타저자
- 정수진
- 기타저자
- 이주영
- 기타저자
- 류진아
- 기타저자
- 박경선
- 기타저자
- 박소영
- 기타저자
- 강명관
- 기타저자
- 서인석
- 기타저자
- 유춘동
- 가격
- \35000
- Control Number
- maf:48058
소장정보
서가번호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소장처 | 대출가능여부 | 대출정보 | |
---|---|---|---|---|---|---|
0004826 | 381.750911 문96ㅇ | 농림축산식품부 자료실 | 대출가능 |
* 대출중인 자료에 한하여 예약이 가능합니다. 예약을 원하시면 예약버튼을 클릭하십시오.
008200911s2019 ulka 001a kor
020 ▼a9788928513840▼g94380▼c\35000
056 ▼a381.750911▼25
090 ▼a381.750911▼b문96ㅇ
110 ▼a문화동력 연구팀
24510▼a음식문화와 문화동력▼b음식과 인문학의 만남, 음식이 만들어 낸 한국의 문화지형▼d문화동력 연구팀 편
260 ▼a서울▼b민속원▼c2019
300 ▼a402 p.▼b삽화▼c24 cm
44000▼a민속원 아르케북스▼v145
44000▼a민속원▼v1742
50010▼a공저자 : 김남석, 우남희, 구모룡, 정진경, 배옥주, 정미숙, 김태희, 조민경, 정수진, 이주영, 류진아, 박경선, 박소영, 강명관, 서인석, 유춘동
504 ▼a참고문헌 : p.382-396, 색인 수록
653 ▼a식문화
7001 ▼a김남석
7001 ▼a우남희
7001 ▼a구모룡
7001 ▼a정진경
7001 ▼a배옥주
7001 ▼a정미숙
7001 ▼a김태희
7001 ▼a조민경
7001 ▼a정수진
7001 ▼a이주영
7001 ▼a류진아
7001 ▼a박경선
7001 ▼a박소영
7001 ▼a강명관
7001 ▼a서인석
7001 ▼a유춘동
9500 ▼b\35000
연구과 끝나는 순간, 새로운 연구의 길이 열렸다 = 4
제1부 음식과 사회 = 13
제1장 음식문화와 문화접변 -「반두비」에 나타난 국내 한국인과 이주 노동자의 식사 장면을 중심으로 / 김남석 = 14
1. 머리말 = 14
2. 시작된 식사 : 함께 음식을 나누며 = 17
3. 내밀한 식사 : 함께 비밀을 나누며 = 21
4. 분리된 식사 : 함께 나눈 시간을 추억하며 = 26
5. 불편한 식사 : 상대를 응시하며 = 32
6. 홀로 하는 식사 : 상대를 추억하며 = 36
7. 맺음말 : 두 개의 문화와 두 개의 충돌 그리고 하나의 결론 = 38
제2장 영화「완득이」에 사용된 결핍과 치유로서의 음식 / 우남희 = 42
1. 머리말 = 42
2. 결핍과 치유의 음식 = 44
3. 맺음말 = 61
제3장 술이라는 플롯 - 권여선의『안녕 주정뱅이』를 중심으로 / 구모룡 = 64
1. 머리말 : 서사로서의 음식과 술 = 64
2. 술과 플롯 = 66
3. 맺음말 : 술이라는 플롯의 다양한 양상 = 81
제4장 시의 음식과 자본주의 식민화 / 정진경 = 82
1. 머리말 = 82
2. 시의 음식과 자본주의 식민화 양상 = 84
3. 맺음말 = 107
제5장 현대시와 국밥 / 배옥주 = 109
1. 머리말 : 음식에서 파생되는 내밀한 서사 = 109
2. 국밥의 유래 = 112
3. '국밥'의 서사에서 표출되는 정서 = 114
4. 맺음말 = 134
제6장 '밥상'의 지형과 젠더 구성 - 김채원「겨울의 환(幻) - 밥상을 차리는 여인」을 중심으로 / 정미숙 = 137
1. 머리말 = 137
2. 여성, '자궁'과 '밥상'의 운명체 = 139
3. '두루뭉수리 찌개'의 기억과 '동치미'의 환영 = 144
4. '음식 남녀'의 구상과 젠더 구성 = 152
5. 맺음말 = 158
제2부 음식과 시대 = 161
제7장 1960∼70년대 커피의 일상화와 살롱드라마 / 김태희 = 162
1. 머리말 : 커피와 다방의 역사 = 162
2. 커피의 일상화와 청년 문화 = 166
3. 살롱드라마의 등장과 전개 = 172
4. 소극장 까페 떼아뜨르의 탄생 = 178
5. 맺음말 : 다방 문화의 후예들 = 184
제8장 음식의 치유 메카니즘 - 방송 프로그램「한끼줍쇼」를 중심으로 / 조민경 = 187
1. 머리말 = 187
2. 1인 가구의 '혼밥'과 우울 정서 = 189
3. 가족과 함께 하는 식사 시간의 가치 = 192
4.「한끼줍쇼」에 투영된 심리적 치유 효과 = 202
5. 맺음말 = 206
제9장 화해와 치유의 동력, 음식 노스탤지어 - 연극「방문」과「가지」를 중심으로 / 정수진 = 209
1. 머리말 = 209
2. 연극「방문」: 화해와 소통의 메타포, 돼지고기 수육 = 211
3. 연극「가지」: 기억과 치유의 동력, 음식 노스탤지어 = 221
4. 맺음말 = 231
제10장 이주여성의 수난과 향방 -「텍사스고모」에 나타난 음식을 중심으로 / 이주영 = 234
1. 머리말 = 234
2. 과거, 결여와 대체의 음식 = 238
3. 현재, 혼종과 위장의 음식 = 245
4. 맺음말 : 미래, 유통기한이 지난 음식 = 249
제3부 음식과 지역 = 255
제11장 부산의 장소성과 음식 / 류진아 = 256
1. 머리말 = 256
2. 부산의 장소성과 향토 음식 = 258
3. 맺음말 = 273
제12장「오마이갓뎅」에 나타난 부산어묵의 의미 연구 / 박경선 = 275
1. 머리말 = 275
2. 부산어묵의 역사 = 277
3.「오마이갓뎅」의 내용 = 283
4.「오마이갓뎅」에 나타난 부산어묵의 의미 = 287
5. 맺음말 = 296
제13장 범죄영화에 나타난 부산음식의 위계와 상징 -「친구」와「범죄와의 전쟁」을 중심으로 / 박소영 = 299
1. 머리말 = 299
2. 함께 먹는다는 것의 의미 = 302
3. 부산의 음식과 위계 = 310
4. 맺음말 = 320
제4부 음식과 고전 = 323
제14장 판소리계 소설에 나타난 식욕과 판타지 / 강명관 = 324
1. 머리말 = 324
2. 소설을 통한 욕망 : 식욕의 노출 = 325
3. 판타지를 통한 욕망의 충족 = 337
4. 맺음말 = 343
제15장 한국 고전산문 속의 음식 표상과 그 생활사적 의미 / 서인석 = 345
1. 머리말 = 345
2. 한국 고전 산문 속의 음식들 = 347
3. 고전 산문 속 음식의 문학적 표상 = 352
4. 문학 속 음식 연구의 생활사적 의미 = 365
5. 맺음말 = 368
제16장 조선시대 요리책『음식방문(飮食方文)』(연세대 소장본) / 유춘동 = 370
1.『음식방문(飮食方文)』의 서지(書誌) = 370
2.『음식방문(飮食方文)』의 구성과 내용 = 371
3.『음식방문(飮食方文)』의 가치 = 372
참고문헌 = 382
찾아보기 = 397
저자소개 = 403
제1부 음식과 사회 = 13
제1장 음식문화와 문화접변 -「반두비」에 나타난 국내 한국인과 이주 노동자의 식사 장면을 중심으로 / 김남석 = 14
1. 머리말 = 14
2. 시작된 식사 : 함께 음식을 나누며 = 17
3. 내밀한 식사 : 함께 비밀을 나누며 = 21
4. 분리된 식사 : 함께 나눈 시간을 추억하며 = 26
5. 불편한 식사 : 상대를 응시하며 = 32
6. 홀로 하는 식사 : 상대를 추억하며 = 36
7. 맺음말 : 두 개의 문화와 두 개의 충돌 그리고 하나의 결론 = 38
제2장 영화「완득이」에 사용된 결핍과 치유로서의 음식 / 우남희 = 42
1. 머리말 = 42
2. 결핍과 치유의 음식 = 44
3. 맺음말 = 61
제3장 술이라는 플롯 - 권여선의『안녕 주정뱅이』를 중심으로 / 구모룡 = 64
1. 머리말 : 서사로서의 음식과 술 = 64
2. 술과 플롯 = 66
3. 맺음말 : 술이라는 플롯의 다양한 양상 = 81
제4장 시의 음식과 자본주의 식민화 / 정진경 = 82
1. 머리말 = 82
2. 시의 음식과 자본주의 식민화 양상 = 84
3. 맺음말 = 107
제5장 현대시와 국밥 / 배옥주 = 109
1. 머리말 : 음식에서 파생되는 내밀한 서사 = 109
2. 국밥의 유래 = 112
3. '국밥'의 서사에서 표출되는 정서 = 114
4. 맺음말 = 134
제6장 '밥상'의 지형과 젠더 구성 - 김채원「겨울의 환(幻) - 밥상을 차리는 여인」을 중심으로 / 정미숙 = 137
1. 머리말 = 137
2. 여성, '자궁'과 '밥상'의 운명체 = 139
3. '두루뭉수리 찌개'의 기억과 '동치미'의 환영 = 144
4. '음식 남녀'의 구상과 젠더 구성 = 152
5. 맺음말 = 158
제2부 음식과 시대 = 161
제7장 1960∼70년대 커피의 일상화와 살롱드라마 / 김태희 = 162
1. 머리말 : 커피와 다방의 역사 = 162
2. 커피의 일상화와 청년 문화 = 166
3. 살롱드라마의 등장과 전개 = 172
4. 소극장 까페 떼아뜨르의 탄생 = 178
5. 맺음말 : 다방 문화의 후예들 = 184
제8장 음식의 치유 메카니즘 - 방송 프로그램「한끼줍쇼」를 중심으로 / 조민경 = 187
1. 머리말 = 187
2. 1인 가구의 '혼밥'과 우울 정서 = 189
3. 가족과 함께 하는 식사 시간의 가치 = 192
4.「한끼줍쇼」에 투영된 심리적 치유 효과 = 202
5. 맺음말 = 206
제9장 화해와 치유의 동력, 음식 노스탤지어 - 연극「방문」과「가지」를 중심으로 / 정수진 = 209
1. 머리말 = 209
2. 연극「방문」: 화해와 소통의 메타포, 돼지고기 수육 = 211
3. 연극「가지」: 기억과 치유의 동력, 음식 노스탤지어 = 221
4. 맺음말 = 231
제10장 이주여성의 수난과 향방 -「텍사스고모」에 나타난 음식을 중심으로 / 이주영 = 234
1. 머리말 = 234
2. 과거, 결여와 대체의 음식 = 238
3. 현재, 혼종과 위장의 음식 = 245
4. 맺음말 : 미래, 유통기한이 지난 음식 = 249
제3부 음식과 지역 = 255
제11장 부산의 장소성과 음식 / 류진아 = 256
1. 머리말 = 256
2. 부산의 장소성과 향토 음식 = 258
3. 맺음말 = 273
제12장「오마이갓뎅」에 나타난 부산어묵의 의미 연구 / 박경선 = 275
1. 머리말 = 275
2. 부산어묵의 역사 = 277
3.「오마이갓뎅」의 내용 = 283
4.「오마이갓뎅」에 나타난 부산어묵의 의미 = 287
5. 맺음말 = 296
제13장 범죄영화에 나타난 부산음식의 위계와 상징 -「친구」와「범죄와의 전쟁」을 중심으로 / 박소영 = 299
1. 머리말 = 299
2. 함께 먹는다는 것의 의미 = 302
3. 부산의 음식과 위계 = 310
4. 맺음말 = 320
제4부 음식과 고전 = 323
제14장 판소리계 소설에 나타난 식욕과 판타지 / 강명관 = 324
1. 머리말 = 324
2. 소설을 통한 욕망 : 식욕의 노출 = 325
3. 판타지를 통한 욕망의 충족 = 337
4. 맺음말 = 343
제15장 한국 고전산문 속의 음식 표상과 그 생활사적 의미 / 서인석 = 345
1. 머리말 = 345
2. 한국 고전 산문 속의 음식들 = 347
3. 고전 산문 속 음식의 문학적 표상 = 352
4. 문학 속 음식 연구의 생활사적 의미 = 365
5. 맺음말 = 368
제16장 조선시대 요리책『음식방문(飮食方文)』(연세대 소장본) / 유춘동 = 370
1.『음식방문(飮食方文)』의 서지(書誌) = 370
2.『음식방문(飮食方文)』의 구성과 내용 = 371
3.『음식방문(飮食方文)』의 가치 = 372
참고문헌 = 382
찾아보기 = 397
저자소개 = 4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