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료유형
- 단행본
- ISBN
- 9788957047392 93350
- KDC
- 350.1-5
- 청구기호
- 350.1 한17ㄱ
- 단체저자
- 한국행정연구원
- 서명/저자
- 재난안전정보 및 소통과정의 신뢰성 제고 방안 / 한국행정연구원 [편]
- 발행사항
- 서울 : 한국행정연구원, 2019
- 형태사항
- xxxix, 398 p. ; 25 cm
- 총서명
- KIPA 연구보고서 ; 2019-18
- 주기사항
- 연구책임자 : 류현숙, 김경우
- 서지주기
- 참고문헌 : p.328-365
- 기타저자
- 류현숙
- 기타저자
- 김경우
- 통일총서명
- KIPA 연구보고서(한국행정연구원) ; 2019-18
- 가격
- 비매품
- Control Number
- maf:46882
소장정보
서가번호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소장처 | 대출가능여부 | 대출정보 | |
---|---|---|---|---|---|---|
0008128 | 350.1 한17ㄱ v.행2019-18 | 농림축산식품부 자료실 | 대출가능 |
* 대출중인 자료에 한하여 예약이 가능합니다. 예약을 원하시면 예약버튼을 클릭하십시오.
008200422s2019 ulka d 000a kor
020 ▼a9788957047392▼g93350
056 ▼a350.1▼25
090 ▼a350.1▼b한17ㄱ
110 ▼a한국행정연구원
24500▼a재난안전정보 및 소통과정의 신뢰성 제고 방안▼d한국행정연구원 [편]
260 ▼a서울▼b한국행정연구원▼c2019
300 ▼axxxix, 398 p.▼c25 cm
49010▼aKIPA 연구보고서▼v2019-18
50010▼a연구책임자 : 류현숙, 김경우
504 ▼a참고문헌 : p.328-365
7001 ▼a류현숙
7001 ▼a김경우
830 0▼aKIPA 연구보고서(한국행정연구원)▼v2019-18
9501 ▼a비매품
제1장 서 론 [류현숙・김경우]
제1절 연구의 배경 = 2
제2절 연구의 목적 및 범위 = 5
1. 연구의 목적 = 5
2. 연구의 범위 = 7
제3절 연구방법과 연구 흐름도 = 9
1. 연구방법 = 9
2. 연구의 흐름도 = 10
제2장 이론적 고찰 [황용석・류현숙・김경우]
제1절 선행연구 검토 = 12
1. 허위정보의 개념에 대한 연구 = 12
2. 허위정보의 확산에 관한 연구 = 13
3. 허위정보의 사례분석 = 20
4. 정책적 대응에 대한 연구 = 21
5. 재난안전 분야 허위정보 관련 연구 = 25
6. 본 연구의 차별성 = 26
7. 기대 효과 = 29
제2절 탈진실과 가짜뉴스 = 30
1. 탈진실 시대 = 30
2. 가짜뉴스의 정의와 유형 = 33
제3절 전통적 미디어 이론 = 44
1. 확증편향성 = 44
2. 프레이밍과 프라이밍 = 45
제4절 뉴미디어 이론 = 50
1. 반향실효과 = 51
2. 예방접종 이론 = 54
제5절 재난안전관리와 미디어 역할 = 66
1. 미디어와 정보 전달 = 66
2. 미디어와 허위 재난안전 정보 = 70
제6절 연구 프레임워크 = 74
제3장 재난안전 정보 및 소통과 미디어 [류현숙・김경우]
제1절 재난안전 정보와 소통 = 78
1. 재난안전 단계별 행위자 역할 = 79
2. 재난안전 단계별 필요 정보 = 87
제2절 재난안전 정보 및 소통과 전통적 미디어 = 96
1. 전통적 미디어의 개념 = 96
2. 전통 미디어의 기본적 특징 = 96
3. 전통적 미디어와 허위정보 전달 가능성 = 98
제3절 재난안전 정보 및 소통과 디지털 미디어 = 100
1. 디지털 미디어의 개념 = 100
2. 디지털 미디어의 기본적 특징 = 100
3. 디지털 미디어와 허위정보 전달 가능성 = 104
4. 전통적 미디어와 디지털 미디어의 상호작용 = 105
제4절 정책적 시사점 = 107
1. 재난안전 정보의 필요성 = 107
2. 미디어의 중요성 = 108
3. 미디어의 잠재적 문제점 = 108
4. 재난안전정보의 신뢰성 확보 필요성 = 110
제4장 국내외 재난안전 정보 관련 사례분석 및 법제도 비교 [류현숙・김경우]
제1절 국내외 주요 재난안전 사례에서의 가짜뉴스 확산 및 피해 분석 = 114
1. 국내 재난안전 사고 및 가짜뉴스 사례 = 114
2. 해외 재난안전 사고 및 가짜뉴스 사례 = 127
제2절 국내 재난안전 허위정보 및 미디어 관련 법제도 = 143
1. 허위정보에 대한 국내 현행 법 규정 = 143
2. 허위정보에 관한 개정안(의안) = 147
제3절 해외 재난안전 정보 및 미디어 관련 법제도 = 157
1. 해외 국가의 허위정보에 대한 정의 및 접근 = 157
2. 재난안전 또는 일반적 허위정보 관리 주체 = 160
3. 재난안전 또는 일반적 허위정보의 대응 조치 = 162
제4절 비교분석 및 개선방안 = 188
제5장 실증조사 [류현숙・김경우]
제1절 재난안전정보 및 소통, 미디어, 신뢰성 관련 국민인식조사 = 192
1. 설문 조사 설계와 방법 = 193
2. 설문조사 결과 = 198
3. 탐색적 회귀분석 = 237
제2절 재난안전 관련 허위정보 식별 실험 = 240
1. 실험방법 = 240
2. 실험결과 = 243
제3절 정책 시사점 = 251
1. 설문결과의 시사점 = 251
2. 실험결과의 시사점 = 254
제6장 재난안전정보 및 소통과정 신뢰성 제고방안 [류현숙・김경우]
제1절 정책대안 = 261
1. 정책 제언 1–재난안전 사고 독립 조사 전문 기관 설립 = 262
2. 정책 제언 2–재난안전정보 데이터베이스 구축 = 264
3. 정책 제언 3–재난 허위정보 관리 웹사이트 개설 = 266
4. 정책 제언 4–지역 방송사의 재난 현장보도 역량 강화 = 269
5. 정책 제언 5–재난 방송의 효과성 제고 = 270
6. 정책 제언 6–언론・미디어・규제기관 등의 재난안전 정보・소통 협업체계 구축 = 271
7. 정책 제언 7–정부부처의 허위 재난안전정보 대응 기능 강화 = 277
8. 정책 제언 8–지자체 내 재난안전정보 전담팀 설립 = 279
9. 정책 제언 9–재난안전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강화 = 281
10. 정책 제언 10–캠페인, 홍보 등을 통한 재난안전 허위 정보 인식 제고 = 286
11. 정책 제언 11–사실에 충실한 언론에 대한 사회적 후원 활성화 = 288
12. 정책 제언 12–인터넷 서비스(플랫폼) 사업자의 재난안전 허위정보 책임성 강화 = 292
13. 정책 제언 13–재난안전 허위정보 생산・유포 법적 제재방안 마련 = 294
14. 정책 제언 14–정정보도 의무화, 반론권 강화 = 296
15. 정책 제언 15–재난 언론미디어의 사회적 책임 강화 = 297
16. 정책 제언 16–팩트체크 시스템 구축 = 299
17. 정책 제언 17–비영리 독립 팩트체크 기관 설립 환경 조성 = 300
제2절 AHP 조사 = 301
1. AHP 조사 설계 = 301
2. AHP 조사 결과 = 305
제7장 결론 및 정책제언 [류현숙・김경우]
제1절 재난안전 정보 소통 신뢰성 제고를 위한 마스터플랜과 로드맵 = 316
제2절 소결 = 321
1. 학술적 기여도 및 정책 활용 가능성 = 321
2. 연구의 한계 = 324
참고문헌 = 327
부록 = 367
제1절 연구의 배경 = 2
제2절 연구의 목적 및 범위 = 5
1. 연구의 목적 = 5
2. 연구의 범위 = 7
제3절 연구방법과 연구 흐름도 = 9
1. 연구방법 = 9
2. 연구의 흐름도 = 10
제2장 이론적 고찰 [황용석・류현숙・김경우]
제1절 선행연구 검토 = 12
1. 허위정보의 개념에 대한 연구 = 12
2. 허위정보의 확산에 관한 연구 = 13
3. 허위정보의 사례분석 = 20
4. 정책적 대응에 대한 연구 = 21
5. 재난안전 분야 허위정보 관련 연구 = 25
6. 본 연구의 차별성 = 26
7. 기대 효과 = 29
제2절 탈진실과 가짜뉴스 = 30
1. 탈진실 시대 = 30
2. 가짜뉴스의 정의와 유형 = 33
제3절 전통적 미디어 이론 = 44
1. 확증편향성 = 44
2. 프레이밍과 프라이밍 = 45
제4절 뉴미디어 이론 = 50
1. 반향실효과 = 51
2. 예방접종 이론 = 54
제5절 재난안전관리와 미디어 역할 = 66
1. 미디어와 정보 전달 = 66
2. 미디어와 허위 재난안전 정보 = 70
제6절 연구 프레임워크 = 74
제3장 재난안전 정보 및 소통과 미디어 [류현숙・김경우]
제1절 재난안전 정보와 소통 = 78
1. 재난안전 단계별 행위자 역할 = 79
2. 재난안전 단계별 필요 정보 = 87
제2절 재난안전 정보 및 소통과 전통적 미디어 = 96
1. 전통적 미디어의 개념 = 96
2. 전통 미디어의 기본적 특징 = 96
3. 전통적 미디어와 허위정보 전달 가능성 = 98
제3절 재난안전 정보 및 소통과 디지털 미디어 = 100
1. 디지털 미디어의 개념 = 100
2. 디지털 미디어의 기본적 특징 = 100
3. 디지털 미디어와 허위정보 전달 가능성 = 104
4. 전통적 미디어와 디지털 미디어의 상호작용 = 105
제4절 정책적 시사점 = 107
1. 재난안전 정보의 필요성 = 107
2. 미디어의 중요성 = 108
3. 미디어의 잠재적 문제점 = 108
4. 재난안전정보의 신뢰성 확보 필요성 = 110
제4장 국내외 재난안전 정보 관련 사례분석 및 법제도 비교 [류현숙・김경우]
제1절 국내외 주요 재난안전 사례에서의 가짜뉴스 확산 및 피해 분석 = 114
1. 국내 재난안전 사고 및 가짜뉴스 사례 = 114
2. 해외 재난안전 사고 및 가짜뉴스 사례 = 127
제2절 국내 재난안전 허위정보 및 미디어 관련 법제도 = 143
1. 허위정보에 대한 국내 현행 법 규정 = 143
2. 허위정보에 관한 개정안(의안) = 147
제3절 해외 재난안전 정보 및 미디어 관련 법제도 = 157
1. 해외 국가의 허위정보에 대한 정의 및 접근 = 157
2. 재난안전 또는 일반적 허위정보 관리 주체 = 160
3. 재난안전 또는 일반적 허위정보의 대응 조치 = 162
제4절 비교분석 및 개선방안 = 188
제5장 실증조사 [류현숙・김경우]
제1절 재난안전정보 및 소통, 미디어, 신뢰성 관련 국민인식조사 = 192
1. 설문 조사 설계와 방법 = 193
2. 설문조사 결과 = 198
3. 탐색적 회귀분석 = 237
제2절 재난안전 관련 허위정보 식별 실험 = 240
1. 실험방법 = 240
2. 실험결과 = 243
제3절 정책 시사점 = 251
1. 설문결과의 시사점 = 251
2. 실험결과의 시사점 = 254
제6장 재난안전정보 및 소통과정 신뢰성 제고방안 [류현숙・김경우]
제1절 정책대안 = 261
1. 정책 제언 1–재난안전 사고 독립 조사 전문 기관 설립 = 262
2. 정책 제언 2–재난안전정보 데이터베이스 구축 = 264
3. 정책 제언 3–재난 허위정보 관리 웹사이트 개설 = 266
4. 정책 제언 4–지역 방송사의 재난 현장보도 역량 강화 = 269
5. 정책 제언 5–재난 방송의 효과성 제고 = 270
6. 정책 제언 6–언론・미디어・규제기관 등의 재난안전 정보・소통 협업체계 구축 = 271
7. 정책 제언 7–정부부처의 허위 재난안전정보 대응 기능 강화 = 277
8. 정책 제언 8–지자체 내 재난안전정보 전담팀 설립 = 279
9. 정책 제언 9–재난안전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강화 = 281
10. 정책 제언 10–캠페인, 홍보 등을 통한 재난안전 허위 정보 인식 제고 = 286
11. 정책 제언 11–사실에 충실한 언론에 대한 사회적 후원 활성화 = 288
12. 정책 제언 12–인터넷 서비스(플랫폼) 사업자의 재난안전 허위정보 책임성 강화 = 292
13. 정책 제언 13–재난안전 허위정보 생산・유포 법적 제재방안 마련 = 294
14. 정책 제언 14–정정보도 의무화, 반론권 강화 = 296
15. 정책 제언 15–재난 언론미디어의 사회적 책임 강화 = 297
16. 정책 제언 16–팩트체크 시스템 구축 = 299
17. 정책 제언 17–비영리 독립 팩트체크 기관 설립 환경 조성 = 300
제2절 AHP 조사 = 301
1. AHP 조사 설계 = 301
2. AHP 조사 결과 = 305
제7장 결론 및 정책제언 [류현숙・김경우]
제1절 재난안전 정보 소통 신뢰성 제고를 위한 마스터플랜과 로드맵 = 316
제2절 소결 = 321
1. 학술적 기여도 및 정책 활용 가능성 = 321
2. 연구의 한계 = 324
참고문헌 = 327
부록 = 3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