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장정보
서가번호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소장처 | 대출가능여부 | 대출정보 | |
---|---|---|---|---|---|---|
0025894 | 521.9 최223ㄷ | 농림축산식품부 자료실 | 대출가능 |
* 대출중인 자료에 한하여 예약이 가능합니다. 예약을 원하시면 예약버튼을 클릭하십시오.
008170517s2016 ulka 001a kor
020 ▼a9788984116528▼g93910▼c\39000
056 ▼a521.9▼25
090 ▼a521.9▼b최223ㄷ
1001 ▼a최덕경▼d1954-
24500▼a동아시아 농업사상의 똥(人糞) 생태학▼xManure ecology in the agricultural history of East Asia▼d최덕경 지음
260 ▼a서울▼b세창출판사▼c2016
300 ▼a623 p.▼b삽화▼c23 cm
504 ▼a참고문헌 : p.584-598, 색인수록
653 ▼a인분▼a거름▼a농업사▼a동아시아
9500 ▼b\39000
들어가는 말 = 4
일러두기 = 12
제1부 고대 중국 분뇨시비의 출현과 확산 = 19
제1장 동아시아에서의 분(糞)의 의미와 그 효용성 = 21
Ⅰ. 머리말 = 21
Ⅱ. 분(糞)의 의미와 그 변천 = 23
1. 시대별 분의 의미와 그 변천 = 23
2. 수도작의 발달과 인분 = 31
3. 똥오줌 시비의 확대와 조선 = 39
Ⅲ. 측간과 똥 = 44
1. 측간의 역사와 똥 = 44
2. 한국과 일본의 측간구조 = 56
3. 측간의 역할 = 63
Ⅳ. 똥에 대한 인식과 똥거름의 효용성 = 67
1. 삼재(三才)사상과 똥오줌 = 67
2. 똥거름의 시비와 분(糞)의 효용성 = 73
Ⅴ. 맺음말 = 79
제2장 쇠두엄에서 인분(人糞) 시비의 확대 = 81
Ⅰ. 머리말 = 81
Ⅱ.『제민요술』쇠두엄법[踏糞法]의 출현 배경과 분전(糞田) = 83
1. 쇠두엄의 생산과 재료 = 83
2. 쇠두엄의 시비 작물과 출현 배경 = 90
Ⅲ. 송대 분(糞)에 대한 인식 변화와 '지력상신장(地力常新壯)'론의 등장 = 98
1.『진부농서』의 거름 제조와 분옥(糞屋), 분약(糞藥) = 98
2. '지력상신장'론 = 106
Ⅳ. 당송대 시비의 발달과 도맥 윤작 = 110
1. 밑거름에서 덧거름의 확대 = 110
2. 채소[瓜菜]중심에서 벼ㆍ밀ㆍ뽕나무[稻麥桑] 재배를 위한 시비 = 113
3. 인분뇨(人糞尿) 시비의 확대 = 127
Ⅴ. 맺음말 = 132
제2부 송대 인분뇨의 정착과 명청비료의 특징 = 135
제3장 송대 이후 남방지역 분뇨비료의 정착과 지역화 = 137
Ⅰ. 머리말 = 137
Ⅱ. 송원대 인분뇨의 정착과 남방비료 = 140
1. 밭작물 비료의 계승과 논 비료의 체계화 = 141
2. 똥오줌의 저장법과 비료에 대한 인식의 변화 = 147
3. 비료형 살충제의 등장 = 156
Ⅲ. 명청시대 비료의 다양화와 지역화 = 158
1. 장강하류지역의 비료 = 161
2. 내륙지역의 비료 = 170
3. 동남해안지역의 비료 = 179
Ⅳ. 맺음말 = 189
제4장 명말청초 강남지역의 비료발달과 사회경제적 변화 = 195
Ⅰ. 머리말 = 195
Ⅱ. 명청시대 비료의 복합화와 과학화 = 197
Ⅲ. 강남의 대표적 비료 : 똥오줌, 강바닥진흙 및 깻묵 = 214
Ⅳ.『보농서』의 시비법과 똥오줌 = 225
Ⅴ. 비료시기와 노동력 = 232
Ⅵ. 양잠과 채소생산의 발달과 시비 = 244
Ⅶ. 맺음말 = 252
제3부 명청시대 농업환경의 변화와 융복합 금비의 출현 = 257
제5장 명대 강남지역 융복합 비료, 분단(糞丹)의 출현과 그 배경 = 259
Ⅰ. 머리말 = 259
Ⅱ. 명대 자분(煮糞)법과 곡분(穀糞)비료의 출현 = 261
1. 자분(煮糞)과 숙분법(熟糞法) = 261
2. 곡분약(穀糞藥)의 조제법 = 267
Ⅲ. 융복합 비료의 출현과 그 배경 = 272
1. 분단의 제조법 = 272
2. 분단 출현의 배경 = 280
Ⅳ. 맺음말 = 292
제6장 분뇨 대용 금비(金肥)의 등장과 강남지역 노동자의 성장 = 297
Ⅰ. 머리말 = 297
Ⅱ.강남지역의 비료와 콩깻묵[豆餠] = 300
1. 밭작물과 콩깻묵 = 300
2. 논과 습지작물의 비료와 콩깻묵 = 309
Ⅲ. 콩깻묵의 비료시기와 방법 = 317
Ⅳ. 청대 강남지역 콩깻묵의 수급 : 맺음말을 대신하여 = 323
제7장 분뇨 위생문제와 생태농업의 굴절 = 329
Ⅰ. 머리말 = 329
Ⅱ. 동아시아 분뇨 시비의 발생요인 = 331
Ⅲ. 도시화에 따른 분뇨 처리와 위생문제 = 340
1. 전근대 도시의 발달에 따른 똥 관리와 수급 = 340
2. 근대화 과정에서 나타난 도시위생문제와 분뇨 처리 간의 모순 = 345
Ⅳ. 분뇨시비와 기생충 = 350
1. 분뇨와 기생충 = 350
2. 수전ㆍ양잠ㆍ채소업의 발달과 기생충의 확산 = 354
Ⅴ. 맺음말 = 364
제4부 동아시아 각국의 분뇨이용실태와 측신 = 369
제8장 조선시대 비료와 인분 = 371
Ⅰ. 머리말 = 371
Ⅱ. 조선시대 인분을 이용한 퇴비와 두엄[廐肥] 제조법 = 374
1. 초목에 직접 똥오줌을 섞어 퇴비 만드는 방법 = 376
2. 두엄을 퇴비화하는 방법 = 381
Ⅲ. 조선의 똥오줌비료와 두엄 = 390
1. 조선의 온돌과 재 = 390
2. 똥재[糞灰]와 숙분(熟糞) = 395
3. 분종(糞種) = 401
4. 똥재의 시비효과 = 406
Ⅳ. 똥오줌 수요의 확대와 인분의 가치 = 412
1. 똥오줌의 생산과 수집 = 412
2. 비료 이외의 인분의 용도 = 421
3. 중국과 한국의 똥오줌 시비 = 426
4. 똥오줌 시비와 그 효과 = 432
Ⅴ. 맺음말 = 439
제9장 근세 일본 인분뇨의 시비와 보급과정 = 443
Ⅰ. 머리말 = 443
Ⅱ. 근세 농서 속의 똥오줌의 확대와 인식변화 = 447
1. 전국 말 근세 초의 똥오줌에 대한 인식과 비료 = 447
2. 17ㆍ18세기 비료의 다양화와 인분시비의 확대 = 454
3. 19세기 똥오줌 효용성의 확대와 금비(金肥)의 다양화 = 468
Ⅲ. 도농(都農) 간의 분뇨 급취권(汲取權)과 거래 = 481
1. 에도[江戶]시대 분뇨 수거와 매매실태 = 481
2. 근세 일본과 관련해서 본 청대 소설 속의 분뇨 사업 = 498
Ⅳ. 맺음말 = 508
제10장 동아시아 측간구조의 변화와 측신 = 511
Ⅰ. 머리말 = 511
Ⅱ. 측간의 변천과 측신(厠神)의 등장 = 514
1. 고대 중국의 '혼(溷)'ㆍ'측(厠)'의 구조 = 514
2. 남송 이후 논농사의 발달과 측간구조의 변화 = 522
Ⅲ. 측신의 출현과 측간의 의미 = 529
1.『형초세시기』의 측신과 측신신앙의 전파 = 529
2. 민담 속에 등장하는 측신과 측간 = 537
Ⅳ. 맺음말 = 548
결론 동아시아 분뇨시비의 변천사 = 551
Contents = 562
Abstract = 568
中文摘要 = 578
참고문헌 = 584
찾아보기(Index) = 599
일러두기 = 12
제1부 고대 중국 분뇨시비의 출현과 확산 = 19
제1장 동아시아에서의 분(糞)의 의미와 그 효용성 = 21
Ⅰ. 머리말 = 21
Ⅱ. 분(糞)의 의미와 그 변천 = 23
1. 시대별 분의 의미와 그 변천 = 23
2. 수도작의 발달과 인분 = 31
3. 똥오줌 시비의 확대와 조선 = 39
Ⅲ. 측간과 똥 = 44
1. 측간의 역사와 똥 = 44
2. 한국과 일본의 측간구조 = 56
3. 측간의 역할 = 63
Ⅳ. 똥에 대한 인식과 똥거름의 효용성 = 67
1. 삼재(三才)사상과 똥오줌 = 67
2. 똥거름의 시비와 분(糞)의 효용성 = 73
Ⅴ. 맺음말 = 79
제2장 쇠두엄에서 인분(人糞) 시비의 확대 = 81
Ⅰ. 머리말 = 81
Ⅱ.『제민요술』쇠두엄법[踏糞法]의 출현 배경과 분전(糞田) = 83
1. 쇠두엄의 생산과 재료 = 83
2. 쇠두엄의 시비 작물과 출현 배경 = 90
Ⅲ. 송대 분(糞)에 대한 인식 변화와 '지력상신장(地力常新壯)'론의 등장 = 98
1.『진부농서』의 거름 제조와 분옥(糞屋), 분약(糞藥) = 98
2. '지력상신장'론 = 106
Ⅳ. 당송대 시비의 발달과 도맥 윤작 = 110
1. 밑거름에서 덧거름의 확대 = 110
2. 채소[瓜菜]중심에서 벼ㆍ밀ㆍ뽕나무[稻麥桑] 재배를 위한 시비 = 113
3. 인분뇨(人糞尿) 시비의 확대 = 127
Ⅴ. 맺음말 = 132
제2부 송대 인분뇨의 정착과 명청비료의 특징 = 135
제3장 송대 이후 남방지역 분뇨비료의 정착과 지역화 = 137
Ⅰ. 머리말 = 137
Ⅱ. 송원대 인분뇨의 정착과 남방비료 = 140
1. 밭작물 비료의 계승과 논 비료의 체계화 = 141
2. 똥오줌의 저장법과 비료에 대한 인식의 변화 = 147
3. 비료형 살충제의 등장 = 156
Ⅲ. 명청시대 비료의 다양화와 지역화 = 158
1. 장강하류지역의 비료 = 161
2. 내륙지역의 비료 = 170
3. 동남해안지역의 비료 = 179
Ⅳ. 맺음말 = 189
제4장 명말청초 강남지역의 비료발달과 사회경제적 변화 = 195
Ⅰ. 머리말 = 195
Ⅱ. 명청시대 비료의 복합화와 과학화 = 197
Ⅲ. 강남의 대표적 비료 : 똥오줌, 강바닥진흙 및 깻묵 = 214
Ⅳ.『보농서』의 시비법과 똥오줌 = 225
Ⅴ. 비료시기와 노동력 = 232
Ⅵ. 양잠과 채소생산의 발달과 시비 = 244
Ⅶ. 맺음말 = 252
제3부 명청시대 농업환경의 변화와 융복합 금비의 출현 = 257
제5장 명대 강남지역 융복합 비료, 분단(糞丹)의 출현과 그 배경 = 259
Ⅰ. 머리말 = 259
Ⅱ. 명대 자분(煮糞)법과 곡분(穀糞)비료의 출현 = 261
1. 자분(煮糞)과 숙분법(熟糞法) = 261
2. 곡분약(穀糞藥)의 조제법 = 267
Ⅲ. 융복합 비료의 출현과 그 배경 = 272
1. 분단의 제조법 = 272
2. 분단 출현의 배경 = 280
Ⅳ. 맺음말 = 292
제6장 분뇨 대용 금비(金肥)의 등장과 강남지역 노동자의 성장 = 297
Ⅰ. 머리말 = 297
Ⅱ.강남지역의 비료와 콩깻묵[豆餠] = 300
1. 밭작물과 콩깻묵 = 300
2. 논과 습지작물의 비료와 콩깻묵 = 309
Ⅲ. 콩깻묵의 비료시기와 방법 = 317
Ⅳ. 청대 강남지역 콩깻묵의 수급 : 맺음말을 대신하여 = 323
제7장 분뇨 위생문제와 생태농업의 굴절 = 329
Ⅰ. 머리말 = 329
Ⅱ. 동아시아 분뇨 시비의 발생요인 = 331
Ⅲ. 도시화에 따른 분뇨 처리와 위생문제 = 340
1. 전근대 도시의 발달에 따른 똥 관리와 수급 = 340
2. 근대화 과정에서 나타난 도시위생문제와 분뇨 처리 간의 모순 = 345
Ⅳ. 분뇨시비와 기생충 = 350
1. 분뇨와 기생충 = 350
2. 수전ㆍ양잠ㆍ채소업의 발달과 기생충의 확산 = 354
Ⅴ. 맺음말 = 364
제4부 동아시아 각국의 분뇨이용실태와 측신 = 369
제8장 조선시대 비료와 인분 = 371
Ⅰ. 머리말 = 371
Ⅱ. 조선시대 인분을 이용한 퇴비와 두엄[廐肥] 제조법 = 374
1. 초목에 직접 똥오줌을 섞어 퇴비 만드는 방법 = 376
2. 두엄을 퇴비화하는 방법 = 381
Ⅲ. 조선의 똥오줌비료와 두엄 = 390
1. 조선의 온돌과 재 = 390
2. 똥재[糞灰]와 숙분(熟糞) = 395
3. 분종(糞種) = 401
4. 똥재의 시비효과 = 406
Ⅳ. 똥오줌 수요의 확대와 인분의 가치 = 412
1. 똥오줌의 생산과 수집 = 412
2. 비료 이외의 인분의 용도 = 421
3. 중국과 한국의 똥오줌 시비 = 426
4. 똥오줌 시비와 그 효과 = 432
Ⅴ. 맺음말 = 439
제9장 근세 일본 인분뇨의 시비와 보급과정 = 443
Ⅰ. 머리말 = 443
Ⅱ. 근세 농서 속의 똥오줌의 확대와 인식변화 = 447
1. 전국 말 근세 초의 똥오줌에 대한 인식과 비료 = 447
2. 17ㆍ18세기 비료의 다양화와 인분시비의 확대 = 454
3. 19세기 똥오줌 효용성의 확대와 금비(金肥)의 다양화 = 468
Ⅲ. 도농(都農) 간의 분뇨 급취권(汲取權)과 거래 = 481
1. 에도[江戶]시대 분뇨 수거와 매매실태 = 481
2. 근세 일본과 관련해서 본 청대 소설 속의 분뇨 사업 = 498
Ⅳ. 맺음말 = 508
제10장 동아시아 측간구조의 변화와 측신 = 511
Ⅰ. 머리말 = 511
Ⅱ. 측간의 변천과 측신(厠神)의 등장 = 514
1. 고대 중국의 '혼(溷)'ㆍ'측(厠)'의 구조 = 514
2. 남송 이후 논농사의 발달과 측간구조의 변화 = 522
Ⅲ. 측신의 출현과 측간의 의미 = 529
1.『형초세시기』의 측신과 측신신앙의 전파 = 529
2. 민담 속에 등장하는 측신과 측간 = 537
Ⅳ. 맺음말 = 548
결론 동아시아 분뇨시비의 변천사 = 551
Contents = 562
Abstract = 568
中文摘要 = 578
참고문헌 = 584
찾아보기(Index) = 5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