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장정보
서가번호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소장처 | 대출가능여부 | 대출정보 | |
---|---|---|---|---|---|---|
0003009 | 522.1 장67ㅌ | 농림축산식품부 자료실 | 대출가능 |
* 대출중인 자료에 한하여 예약이 가능합니다. 예약을 원하시면 예약버튼을 클릭하십시오.
008980226s1997 ulka d 000a kor
020 ▼a8981681171▼g93520▼c\19500
056 ▼a522.1▼23
090 ▼a522.1▼b장67ㅌ
1001 ▼a장원석
24500▼a21C 통일시대의 농림해양수산정책▼d장원석 저
260 ▼a서울▼b문음사▼c1997
300 ▼a628 p.▼b삽도▼c25 cm
504 ▼a참고문헌 수록
940 ▼a21세기 통일시대의 농림해양수산정책
940 ▼a이십일세기 통일시대의 농림해양수산정책
9500 ▼b\19500
이 책을 내면서 / 장원석 = 3
제1부 총론
제1장 21C 통일시대의 농림해양수산정책 / 장원석 = 15
Ⅰ. 희망과 꿈, 현실의 농정을 위한 프롤로그 = 15
Ⅱ. 농림해양수산정책의 4대 기본방향 = 16
Ⅲ. 농림해양수산정책 10대 과제 = 22
Ⅳ. 기타 주요 농정과제 = 33
제2장 한국농정의 회고와 전망 / 김동희 = 39
Ⅰ. 실천과학으로서 현대농정학의 성격과 역할 = 39
Ⅱ. 농정에 관한 철학의 빈곤과 이의 극복 = 40
Ⅲ. 중앙설계주의 농정은 공(功)보다 과(過)가 많았다 = 44
Ⅳ. 용자유토론(用者有土論)과 자유무역론은 타당한 근거부터 제시해야 한다 = 48
Ⅴ. 앞으로의 전망과 정책과제 = 53
제3장 우루과이 라운드와 농정개혁 / 김성훈 = 57
Ⅰ. 머리말 = 57
Ⅱ. UR협상 결과의 총체적 평가 = 60
Ⅲ. 왜 농업을 지켜야 하는가 = 64
Ⅳ. 장단기 주요 농정개혁 시책들 = 76
제4장 농정의 체계 / 김충실 = 83
Ⅰ. 농정체계화의 필요성 = 83
Ⅱ. 정책의 형성 = 85
Ⅲ. 정책형성에 관한 기본원리 = 89
Ⅳ. 농정 및 농정체계의 기본요건 = 92
제2부 분야별 정책
제5장 농업구조정책의 전개와 과제 / 이영기 = 99
Ⅰ. 머리말 = 99
Ⅱ. 농업구조정책의 전개와 그 성격 = 100
Ⅲ. 현단계 농업구조정책의 문제점과 과제 = 111
Ⅳ. 맺음말 = 126
제6장 지역농업의 발전방향과 과제 / 박진도 = 129
Ⅰ. 지방화시대와 지역농업 = 129
Ⅱ. 지역농업이란 무엇인가 = 134
Ⅲ. 지역농업의 과제 = 137
Ⅳ. 지역농업을 어떻게 조직할 것인가 = 138
제7장 국토이용관리정책의 성격과 농지제도 / 장원석 ; 전운성 = 143
Ⅰ. 머리말 = 143
Ⅱ. 국토이용관리정책의 성격과 농지의위기 = 144
Ⅲ. 현행 농지제도의 문제점과 농지전용 = 151
Ⅳ. 농지이용제도의 정책방향 = 155
Ⅴ. 맺음말 = 159
제8장 양정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 장원석 ; 김호 = 165
Ⅰ. 서론 = 165
Ⅱ. 양곡정책의 여건변화와 추이 = 166
Ⅲ. 양곡정책의 문제점 = 172
Ⅳ. 양정제도의 개선방안 = 174
Ⅴ. 요약 및 결론 = 176
제9장 농산물 산지직거래의 문제점과 발전과제 / 정복주 ; 김호 = 179
Ⅰ. 서론 = 179
Ⅱ. 농산물 유통환경의 변화 = 180
Ⅲ. 농산물 산지직거래의 발생배경 및 유형 = 187
Ⅳ. 농산물 산지직거래의 문제점 및 발전과제 = 190
Ⅴ. 결론: 유통현실에 기반을 둔 산지거래의 추진 = 193
제10장 농수산물 도매유통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 김완배 = 197
Ⅰ. 머리말 = 197
Ⅱ. 농수산물 도매유통 현황 = 198
Ⅲ. 도매유통의 문제점 = 202
Ⅳ. 도매유통의 개선방안 = 211
Ⅴ. 맺음말 = 219
제11장 산지 가공산업의 현황과 육성방향 / 권원달 ; 유진채 = 221
Ⅰ. 산지농산물 가공산업의 정의와 범위 = 221
Ⅱ. 충북의 지역권별 산지가공 전략농산물의 결정기준 = 223
Ⅲ. 김치·절임 가공산업의 적정규모 = 228
Ⅳ. 분석결과 = 237
Ⅴ. 결론 = 246
제12장 환경보전형 농업의 정착을 위한 정책과제 / 오호성 = 251
Ⅰ. 서론 = 251
Ⅱ. 환경보전형 농업의 의의와 추진배경 = 252
Ⅲ. 한국형 환경보전형 농업의 방향 = 254
Ⅳ. 현행 환경보전형 농업정책의 문제점 = 257
Ⅴ. 환경보전형 농업의 정착을 위한 정책수단과 제도개선 = 261
Ⅵ. 환경농업지구 지정의 이론적 근거 = 265
Ⅶ. 결론 = 271
제13장 농어촌 복지제도의 개발 / 정명채 = 273
Ⅰ. 사회복지의 의의 = 273
Ⅱ. 복지정책의 성립 = 275
Ⅲ. 농어촌 복지정책의 내용과 범위 = 277
Ⅳ. 노후보장과 구조개선을 위한 농민연금제도 = 279
Ⅴ. 농어촌지역 의료보험제도 개선 = 284
Ⅵ. 농림수산업 산재 및 농림수산물 재해대책 = 289
Ⅶ. 농어민 단체육성을 통한 경제활동 촉진 = 293
제14장 지역단위 영농계획 모형설정 / 박현태 = 297
Ⅰ. 머리말 = 297
Ⅱ. 지역농업계획수립에 대한 개요 = 298
Ⅲ. 목표계획법을 이용한 지역농업계획 모형구상 = 303
Ⅳ. 맺는 말 = 313
제15장 농업법인경영체의 운영실태와 개선방안 / 송경환 ; 이기웅 = 317
Ⅰ. 서론 = 317
Ⅱ. 농업법인경영의 의의와 전개구조 = 318
Ⅲ. 농업법인경영체의 운영실태 = 325
Ⅳ. 농업법인경영체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 332
Ⅴ. 요약 및 결론 = 336
제16장 한국축산의 현황과 축산정책에 관한 연구 / 유제창 = 339
Ⅰ. 서론 = 339
Ⅱ. 축산의 현황 = 341
Ⅲ. 정책의 방향 = 349
Ⅳ. 결론 = 382
제17장 농외소득원 개발정책 / 강경선 ; 김경택 = 385
Ⅰ. 서론 = 385
Ⅱ. 농외소득원 개발정책 = 385
Ⅲ. 제주도의 농외소득 증대사업 = 391
Ⅳ. 결론 = 413
제18장 21C 농업자원의 위기와 과제 / Gary Gardner ; 허승욱 = 415
Ⅰ. 21C의 화두 '식량' = 415
Ⅱ. 농업자원의 위기 = 417
Ⅲ. 농업자원 보전을 위한 과제 = 430
Ⅳ. 결론 = 434
제3부 외국의 농업정책
제19장 미국의 농업정책과 1996년 농업법 / 양승룡 ; 구원회 = 441
Ⅰ. 머리말 = 441
Ⅱ. 미국의 주요 농업정책 = 443
Ⅲ. 미농업법의 제정과정과 1996년 미농업법의 배경 = 449
Ⅳ. 1996년 미농업법 = 453
Ⅴ. 맺는 말: 1996년 미농업법의 의미와 한국에 미치는 영향 = 457
제20장 독일의 통일과 농업정책 / 홍성규 ; 김경량 = 463
Ⅰ. 통일 이전 구동독의 경제상황 = 464
Ⅱ. 통일 이전 구동독의 농업 = 465
Ⅲ. 통일에 따라 동독농업이 직면한 새로운 경제환경 = 469
Ⅳ. 통일 이후 구동독지역 농업의 변화 = 473
Ⅴ. 독일연방정부의 농업정책 = 479
Ⅵ. 앞으로의 전망 및 통독의 한반도 농업에 대한 시사점 = 482
제21장 일본의 농업정책 / 배민식 = 489
Ⅰ. 머리말 = 489
Ⅱ. 고도경제성장과 기본법농정 = 490
Ⅲ. 기본법농정의 파탄과 농정의 동요 = 496
Ⅳ. 새로운 파라다임의 모색 = 505
제4부 정부·연구기관·농민단체의 농정구상
제22장 21C 선진농업국 건설 / 안덕수 = 523
Ⅰ. 농업환경과 농정여건 = 523
Ⅱ. 국가발전과 농업의 역할 = 525
Ⅲ. 21C 농촌의 미래상과 농정의 기본과제 = 527
Ⅳ. 농정의 변천사: 농정50년의 회고 = 529
Ⅴ. 농정개혁 성과 = 530
Ⅵ. 주요정책과제와 추진전략 = 536
Ⅶ. 2004년의 농촌 모습 = 536
제23장 전농이 바라는 한국농업의 방향과 과제 / 조성우 = 551
제24장 한농연이 바라는 농정고제와 방향 / 황장수 = 557
제25장 농업정책의 과제와 방향 / 이종수 = 563
제26장 축산분야의 정책과제와 방향 / 남성우 = 565
제27장 낙농한우산업의 과제 / 김인식 = 569
제28장 21C를 향한 산림정책의 방향 / 이영래 = 575
Ⅰ. 우리나라 산림과 임업의 미래는 밝다 = 575
Ⅱ. 산림에 대한 인식이 변하고 있다 = 577
Ⅲ. 산림행정은 전환기에 처해 있다 = 578
Ⅳ. 21C를 향한 임정을 이렇게 = 579
Ⅴ. 맺는 말: 임정은 미래관리행정이다 = 589
제29장 21C 산림정책 과제와 방향 / 이광원 = 591
Ⅰ. 서론 = 591
Ⅱ. 조림시대의 유산과 임업문제 = 592
Ⅲ. 임업부문의 새로운 도전과 가능성 = 598
Ⅳ. 21C 임정방향과 목표 = 604
Ⅴ. 결론 = 611
제30장 21C 해양부국 창조를 위한 비젼과 전략 / 신상우 = 615
Ⅰ. 새로운 해양문명시대의 도래: '제2의 개항' = 615
Ⅱ. 해양경제전쟁과 국가경쟁력요소로서의 해양력 = 617
Ⅲ. 21C 선진해양국가 실현을 위한 정책방향 = 619
Ⅳ. 맺는 말 = 627
제1부 총론
제1장 21C 통일시대의 농림해양수산정책 / 장원석 = 15
Ⅰ. 희망과 꿈, 현실의 농정을 위한 프롤로그 = 15
Ⅱ. 농림해양수산정책의 4대 기본방향 = 16
Ⅲ. 농림해양수산정책 10대 과제 = 22
Ⅳ. 기타 주요 농정과제 = 33
제2장 한국농정의 회고와 전망 / 김동희 = 39
Ⅰ. 실천과학으로서 현대농정학의 성격과 역할 = 39
Ⅱ. 농정에 관한 철학의 빈곤과 이의 극복 = 40
Ⅲ. 중앙설계주의 농정은 공(功)보다 과(過)가 많았다 = 44
Ⅳ. 용자유토론(用者有土論)과 자유무역론은 타당한 근거부터 제시해야 한다 = 48
Ⅴ. 앞으로의 전망과 정책과제 = 53
제3장 우루과이 라운드와 농정개혁 / 김성훈 = 57
Ⅰ. 머리말 = 57
Ⅱ. UR협상 결과의 총체적 평가 = 60
Ⅲ. 왜 농업을 지켜야 하는가 = 64
Ⅳ. 장단기 주요 농정개혁 시책들 = 76
제4장 농정의 체계 / 김충실 = 83
Ⅰ. 농정체계화의 필요성 = 83
Ⅱ. 정책의 형성 = 85
Ⅲ. 정책형성에 관한 기본원리 = 89
Ⅳ. 농정 및 농정체계의 기본요건 = 92
제2부 분야별 정책
제5장 농업구조정책의 전개와 과제 / 이영기 = 99
Ⅰ. 머리말 = 99
Ⅱ. 농업구조정책의 전개와 그 성격 = 100
Ⅲ. 현단계 농업구조정책의 문제점과 과제 = 111
Ⅳ. 맺음말 = 126
제6장 지역농업의 발전방향과 과제 / 박진도 = 129
Ⅰ. 지방화시대와 지역농업 = 129
Ⅱ. 지역농업이란 무엇인가 = 134
Ⅲ. 지역농업의 과제 = 137
Ⅳ. 지역농업을 어떻게 조직할 것인가 = 138
제7장 국토이용관리정책의 성격과 농지제도 / 장원석 ; 전운성 = 143
Ⅰ. 머리말 = 143
Ⅱ. 국토이용관리정책의 성격과 농지의위기 = 144
Ⅲ. 현행 농지제도의 문제점과 농지전용 = 151
Ⅳ. 농지이용제도의 정책방향 = 155
Ⅴ. 맺음말 = 159
제8장 양정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 장원석 ; 김호 = 165
Ⅰ. 서론 = 165
Ⅱ. 양곡정책의 여건변화와 추이 = 166
Ⅲ. 양곡정책의 문제점 = 172
Ⅳ. 양정제도의 개선방안 = 174
Ⅴ. 요약 및 결론 = 176
제9장 농산물 산지직거래의 문제점과 발전과제 / 정복주 ; 김호 = 179
Ⅰ. 서론 = 179
Ⅱ. 농산물 유통환경의 변화 = 180
Ⅲ. 농산물 산지직거래의 발생배경 및 유형 = 187
Ⅳ. 농산물 산지직거래의 문제점 및 발전과제 = 190
Ⅴ. 결론: 유통현실에 기반을 둔 산지거래의 추진 = 193
제10장 농수산물 도매유통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 김완배 = 197
Ⅰ. 머리말 = 197
Ⅱ. 농수산물 도매유통 현황 = 198
Ⅲ. 도매유통의 문제점 = 202
Ⅳ. 도매유통의 개선방안 = 211
Ⅴ. 맺음말 = 219
제11장 산지 가공산업의 현황과 육성방향 / 권원달 ; 유진채 = 221
Ⅰ. 산지농산물 가공산업의 정의와 범위 = 221
Ⅱ. 충북의 지역권별 산지가공 전략농산물의 결정기준 = 223
Ⅲ. 김치·절임 가공산업의 적정규모 = 228
Ⅳ. 분석결과 = 237
Ⅴ. 결론 = 246
제12장 환경보전형 농업의 정착을 위한 정책과제 / 오호성 = 251
Ⅰ. 서론 = 251
Ⅱ. 환경보전형 농업의 의의와 추진배경 = 252
Ⅲ. 한국형 환경보전형 농업의 방향 = 254
Ⅳ. 현행 환경보전형 농업정책의 문제점 = 257
Ⅴ. 환경보전형 농업의 정착을 위한 정책수단과 제도개선 = 261
Ⅵ. 환경농업지구 지정의 이론적 근거 = 265
Ⅶ. 결론 = 271
제13장 농어촌 복지제도의 개발 / 정명채 = 273
Ⅰ. 사회복지의 의의 = 273
Ⅱ. 복지정책의 성립 = 275
Ⅲ. 농어촌 복지정책의 내용과 범위 = 277
Ⅳ. 노후보장과 구조개선을 위한 농민연금제도 = 279
Ⅴ. 농어촌지역 의료보험제도 개선 = 284
Ⅵ. 농림수산업 산재 및 농림수산물 재해대책 = 289
Ⅶ. 농어민 단체육성을 통한 경제활동 촉진 = 293
제14장 지역단위 영농계획 모형설정 / 박현태 = 297
Ⅰ. 머리말 = 297
Ⅱ. 지역농업계획수립에 대한 개요 = 298
Ⅲ. 목표계획법을 이용한 지역농업계획 모형구상 = 303
Ⅳ. 맺는 말 = 313
제15장 농업법인경영체의 운영실태와 개선방안 / 송경환 ; 이기웅 = 317
Ⅰ. 서론 = 317
Ⅱ. 농업법인경영의 의의와 전개구조 = 318
Ⅲ. 농업법인경영체의 운영실태 = 325
Ⅳ. 농업법인경영체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 332
Ⅴ. 요약 및 결론 = 336
제16장 한국축산의 현황과 축산정책에 관한 연구 / 유제창 = 339
Ⅰ. 서론 = 339
Ⅱ. 축산의 현황 = 341
Ⅲ. 정책의 방향 = 349
Ⅳ. 결론 = 382
제17장 농외소득원 개발정책 / 강경선 ; 김경택 = 385
Ⅰ. 서론 = 385
Ⅱ. 농외소득원 개발정책 = 385
Ⅲ. 제주도의 농외소득 증대사업 = 391
Ⅳ. 결론 = 413
제18장 21C 농업자원의 위기와 과제 / Gary Gardner ; 허승욱 = 415
Ⅰ. 21C의 화두 '식량' = 415
Ⅱ. 농업자원의 위기 = 417
Ⅲ. 농업자원 보전을 위한 과제 = 430
Ⅳ. 결론 = 434
제3부 외국의 농업정책
제19장 미국의 농업정책과 1996년 농업법 / 양승룡 ; 구원회 = 441
Ⅰ. 머리말 = 441
Ⅱ. 미국의 주요 농업정책 = 443
Ⅲ. 미농업법의 제정과정과 1996년 미농업법의 배경 = 449
Ⅳ. 1996년 미농업법 = 453
Ⅴ. 맺는 말: 1996년 미농업법의 의미와 한국에 미치는 영향 = 457
제20장 독일의 통일과 농업정책 / 홍성규 ; 김경량 = 463
Ⅰ. 통일 이전 구동독의 경제상황 = 464
Ⅱ. 통일 이전 구동독의 농업 = 465
Ⅲ. 통일에 따라 동독농업이 직면한 새로운 경제환경 = 469
Ⅳ. 통일 이후 구동독지역 농업의 변화 = 473
Ⅴ. 독일연방정부의 농업정책 = 479
Ⅵ. 앞으로의 전망 및 통독의 한반도 농업에 대한 시사점 = 482
제21장 일본의 농업정책 / 배민식 = 489
Ⅰ. 머리말 = 489
Ⅱ. 고도경제성장과 기본법농정 = 490
Ⅲ. 기본법농정의 파탄과 농정의 동요 = 496
Ⅳ. 새로운 파라다임의 모색 = 505
제4부 정부·연구기관·농민단체의 농정구상
제22장 21C 선진농업국 건설 / 안덕수 = 523
Ⅰ. 농업환경과 농정여건 = 523
Ⅱ. 국가발전과 농업의 역할 = 525
Ⅲ. 21C 농촌의 미래상과 농정의 기본과제 = 527
Ⅳ. 농정의 변천사: 농정50년의 회고 = 529
Ⅴ. 농정개혁 성과 = 530
Ⅵ. 주요정책과제와 추진전략 = 536
Ⅶ. 2004년의 농촌 모습 = 536
제23장 전농이 바라는 한국농업의 방향과 과제 / 조성우 = 551
제24장 한농연이 바라는 농정고제와 방향 / 황장수 = 557
제25장 농업정책의 과제와 방향 / 이종수 = 563
제26장 축산분야의 정책과제와 방향 / 남성우 = 565
제27장 낙농한우산업의 과제 / 김인식 = 569
제28장 21C를 향한 산림정책의 방향 / 이영래 = 575
Ⅰ. 우리나라 산림과 임업의 미래는 밝다 = 575
Ⅱ. 산림에 대한 인식이 변하고 있다 = 577
Ⅲ. 산림행정은 전환기에 처해 있다 = 578
Ⅳ. 21C를 향한 임정을 이렇게 = 579
Ⅴ. 맺는 말: 임정은 미래관리행정이다 = 589
제29장 21C 산림정책 과제와 방향 / 이광원 = 591
Ⅰ. 서론 = 591
Ⅱ. 조림시대의 유산과 임업문제 = 592
Ⅲ. 임업부문의 새로운 도전과 가능성 = 598
Ⅳ. 21C 임정방향과 목표 = 604
Ⅴ. 결론 = 611
제30장 21C 해양부국 창조를 위한 비젼과 전략 / 신상우 = 615
Ⅰ. 새로운 해양문명시대의 도래: '제2의 개항' = 615
Ⅱ. 해양경제전쟁과 국가경쟁력요소로서의 해양력 = 617
Ⅲ. 21C 선진해양국가 실현을 위한 정책방향 = 619
Ⅳ. 맺는 말 = 6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