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료유형
- 단행본
- ISBN
- 9788957044988 93350\20000
- KDC
- 350.1-5
- 청구기호
- 350.1 한17ㅅ
- 단체저자
- 한국행정연구원
- 서명/저자
- 성과관리계획 수립·운영실태 및 개선방안 / 한국행정연구원 [편]
- 발행사항
- 서울 : 한국행정연구원, 2013
- 형태사항
- xxi, 264 p. ; 26 cm
- 총서명
- KIPA 연구보고서 ; 2013-11
- 주기사항
- 권말부록으로 '성과관리계획 수립·운영 개선을 위한 설문지' 수록
- 주기사항
- 연구책임자: 이환성
- 서지주기
- 참고문헌 : p.246-255
- 기타저자
- 이환성
- 통일총서명
- KIPA 연구보고서(한국행정연구원) ; 2013-11
- 가격
- \20000
- Control Number
- maf:34709
소장정보
서가번호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소장처 | 대출가능여부 | 대출정보 | |
---|---|---|---|---|---|---|
0014504 | 350.1 한17ㅅ | 농림축산식품부 자료실 | 대출가능 |
* 대출중인 자료에 한하여 예약이 가능합니다. 예약을 원하시면 예약버튼을 클릭하십시오.
008140813s2013 ulk 000a kor
020 ▼a9788957044988▼g93350▼c\20000
056 ▼a350.1▼25
090 ▼a350.1▼b한17ㅅ
110 ▼a한국행정연구원
24500▼a성과관리계획 수립·운영실태 및 개선방안▼d한국행정연구원 [편]
260 ▼a서울▼b한국행정연구원▼c2013
300 ▼axxi, 264 p.▼c26 cm
49010▼aKIPA 연구보고서▼v2013-11
50010▼a권말부록으로 '성과관리계획 수립·운영 개선을 위한 설문지' 수록
50010▼a연구책임자: 이환성
504 ▼a참고문헌 : p.246-255
7001 ▼a이환성
830 0▼aKIPA 연구보고서(한국행정연구원)▼v2013-11
9500 ▼b\20000
제1장 서 론 [이환성] = 1
제1절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 2
제2절 연구 대상과 범위 = 4
제3절 연구방법 = 6
제4절 기대효과와 연구결과의 활용 = 7
제2장 성과관리에 관한 문헌 연구 [이환성] = 9
제1절 성과관리에 관한 이론적 논의 = 10
제2절 성과관리 관련 선행연구 검토 = 13
제3절 연구흐름도 및 분석틀 = 21
제3장 성과관리계획 수립 및 운영 실태 분석 [김용훈] = 23
제1절 성과관리의 법적 근거와 내용 = 24
1. 성과관리 법적 근거 = 24
2. 성과관리 추진체계 = 28
3. 성과계획의 주요 내용 = 30
제2절 성과관리계획 및 성과계획서의 수립원칙 및 구성 요소 = 35
1. 성과관리계획 및 성과계획서 수립 원칙 = 35
2. 성과관리계획 및 성과계획서의 주요 구성 요소 = 36
제3절 성과관리계획 수립 실태 분석 = 39
1. 성과관리계획 수립 실태의 분석 범위와 기준 = 39
2. 성과관리계획 수립 실태 분석 = 46
3. 성과계획서 수립 실태와의 비교 = 83
제4절 성과관리제도상의 평가제도 = 92
1. 성과관리시행계획에 대한 평가제도 = 92
2. 성과계획서에 대한 평가제도 = 95
제5절 현행 성과관리제도의 문제점 검토 = 102
1. 이원화된 법적 근거 = 103
2. 유사한 성과관리체계 = 105
3. 관리과제의 중복 = 106
4. 성과관리 수립절차상의 시차 = 114
5. 평가체계 및 평가결과 활용의 문제 = 117
제4장 해외 주요국 성과관리제도 사례연구 [이환성] = 119
제1절 미국의 성과관리제도 = 120
1. 미국 성과관리제도의 발전과정 = 120
2. 미국 성과관리제도 추진체계 = 124
3. 성과관리계획 및 성과보고서의 주요 구성요소 = 129
4. 성과관리계획과 성과보고서의 검토 = 137
5. 미국 사례의 시사점 = 139
제2절 호주의 성과관리제도 = 141
1. 호주 성과관리제도의 발전과정 = 141
2. 호주 성과관리제도 추진체계 = 142
3. 성과계획서와 연차보고서의 주요 구성요소 = 146
4. 성과계획과 성과지표의 검토 = 154
5. 호주 사례의 시사점 = 159
제3절 캐나다의 성과관리제도 = 160
1. 캐나다 성과관리제도의 발전과정 = 160
2. 캐나다 성과관리제도 추진체계 = 161
3. 성과관리계획과 성과보고서의 주요 구성요소 = 165
4. 성과계획과 성과보고서의 검토 = 171
5. 캐나다 사례의 시사점 = 178
제4절 해외 주요국 성과관리제도 비교 및 시사점 = 180
1. 성과관리제도의 비교 = 180
2. 성과관리계획의 검토 = 186
제5장 성과관리계획 수립·운영 개선을 위한 설문분석 [김용훈] = 191
제1절 설문조사 개요 = 192
제2절 성과관리계획의 수립 = 195
1. 성과관리계획 수립의 타당성 지수와 지표 분석 = 195
2. 직급별 차이 분석 = 196
3. 담당업무 집단 간 차이 분석 = 198
4. 기관 단위별 차이 분석: 부단위 기관과 청단위 기관 = 200
5. 성과관리계획의 포괄 업무 관련 개선의견 = 201
제3절 성과지표의 설정 = 202
1. 성과지표 개선 필요성 지수와 지표 분석 = 202
2. 직급별 차이 분석 = 203
3. 담당업무 집단 간 차이 분석 = 205
4. 기관 단위별 차이분석: 부단위 기관과 청단위 기관 = 206
제4절 성과관리제도의 효과 = 208
1. 성과관리제도 효과성 지수와 지표 분석 = 208
2. 직급별 차이 분석 = 209
3. 담당업무 집단 간 차이 분석 = 210
4. 기관 단위별 차이 분석: 부단위 기관과 청단위 기관 = 211
5. 성과관리제도의 효과 제고를 위한 개선의견 = 212
제5절 성과관리계획의 활용 = 213
1. 성과관리계획 활용 지수와 지표 분석 = 214
2. 직급별 차이 분석 = 215
3. 담당업무 집단 간 차이 분석 = 216
4. 기관 단위별 차이 분석: 부단위 기관과 청단위 기관 = 216
제6절 성과관리체계 중복에 대한 인식 = 217
1. 성과관리체계 중복성 지수와 지표 분석 = 217
2. 직급별 차이 분석 = 218
3. 담당업무 집단 간 차이 분석 = 219
4. 기관 단위별 분석: 부단위 기관과 청단위 기관 = 220
5. 성과관리체계 이원화 운영에 대한 개선의견 = 221
제7절 설문분석 결과의 시사점 = 222
제6장 성과관리계획 수립 및 운영 개선방안 [이환성] = 225
제1절 성과관리계획 관련 법제도 및 추진체계 개선방안 = 226
1. 성과관리시행계획의 성과계획서로 일원화 = 226
2. 성과계획 및 정부업무평가로 추진체계 이원화 = 228
3. 주요정책 자체평가와 재정사업자율평가 폐지 및 국정과제 중심의 특정평가 강화 = 229
제2절 자체평가의 자율성 강화 및 평가결과 활용도 제고방안 = 233
1. 자체평가계획의 자율적 수립 및 활용 강화 = 233
2. 도전적 계획 수립을 위한 관리과제 선정 = 235
제3절 성과계획 수립을 위한 매뉴얼 개선방안 = 237
제7장 결 론 [이환성] = 241
참고문헌 = 245
부 록 = 257
제1절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 2
제2절 연구 대상과 범위 = 4
제3절 연구방법 = 6
제4절 기대효과와 연구결과의 활용 = 7
제2장 성과관리에 관한 문헌 연구 [이환성] = 9
제1절 성과관리에 관한 이론적 논의 = 10
제2절 성과관리 관련 선행연구 검토 = 13
제3절 연구흐름도 및 분석틀 = 21
제3장 성과관리계획 수립 및 운영 실태 분석 [김용훈] = 23
제1절 성과관리의 법적 근거와 내용 = 24
1. 성과관리 법적 근거 = 24
2. 성과관리 추진체계 = 28
3. 성과계획의 주요 내용 = 30
제2절 성과관리계획 및 성과계획서의 수립원칙 및 구성 요소 = 35
1. 성과관리계획 및 성과계획서 수립 원칙 = 35
2. 성과관리계획 및 성과계획서의 주요 구성 요소 = 36
제3절 성과관리계획 수립 실태 분석 = 39
1. 성과관리계획 수립 실태의 분석 범위와 기준 = 39
2. 성과관리계획 수립 실태 분석 = 46
3. 성과계획서 수립 실태와의 비교 = 83
제4절 성과관리제도상의 평가제도 = 92
1. 성과관리시행계획에 대한 평가제도 = 92
2. 성과계획서에 대한 평가제도 = 95
제5절 현행 성과관리제도의 문제점 검토 = 102
1. 이원화된 법적 근거 = 103
2. 유사한 성과관리체계 = 105
3. 관리과제의 중복 = 106
4. 성과관리 수립절차상의 시차 = 114
5. 평가체계 및 평가결과 활용의 문제 = 117
제4장 해외 주요국 성과관리제도 사례연구 [이환성] = 119
제1절 미국의 성과관리제도 = 120
1. 미국 성과관리제도의 발전과정 = 120
2. 미국 성과관리제도 추진체계 = 124
3. 성과관리계획 및 성과보고서의 주요 구성요소 = 129
4. 성과관리계획과 성과보고서의 검토 = 137
5. 미국 사례의 시사점 = 139
제2절 호주의 성과관리제도 = 141
1. 호주 성과관리제도의 발전과정 = 141
2. 호주 성과관리제도 추진체계 = 142
3. 성과계획서와 연차보고서의 주요 구성요소 = 146
4. 성과계획과 성과지표의 검토 = 154
5. 호주 사례의 시사점 = 159
제3절 캐나다의 성과관리제도 = 160
1. 캐나다 성과관리제도의 발전과정 = 160
2. 캐나다 성과관리제도 추진체계 = 161
3. 성과관리계획과 성과보고서의 주요 구성요소 = 165
4. 성과계획과 성과보고서의 검토 = 171
5. 캐나다 사례의 시사점 = 178
제4절 해외 주요국 성과관리제도 비교 및 시사점 = 180
1. 성과관리제도의 비교 = 180
2. 성과관리계획의 검토 = 186
제5장 성과관리계획 수립·운영 개선을 위한 설문분석 [김용훈] = 191
제1절 설문조사 개요 = 192
제2절 성과관리계획의 수립 = 195
1. 성과관리계획 수립의 타당성 지수와 지표 분석 = 195
2. 직급별 차이 분석 = 196
3. 담당업무 집단 간 차이 분석 = 198
4. 기관 단위별 차이 분석: 부단위 기관과 청단위 기관 = 200
5. 성과관리계획의 포괄 업무 관련 개선의견 = 201
제3절 성과지표의 설정 = 202
1. 성과지표 개선 필요성 지수와 지표 분석 = 202
2. 직급별 차이 분석 = 203
3. 담당업무 집단 간 차이 분석 = 205
4. 기관 단위별 차이분석: 부단위 기관과 청단위 기관 = 206
제4절 성과관리제도의 효과 = 208
1. 성과관리제도 효과성 지수와 지표 분석 = 208
2. 직급별 차이 분석 = 209
3. 담당업무 집단 간 차이 분석 = 210
4. 기관 단위별 차이 분석: 부단위 기관과 청단위 기관 = 211
5. 성과관리제도의 효과 제고를 위한 개선의견 = 212
제5절 성과관리계획의 활용 = 213
1. 성과관리계획 활용 지수와 지표 분석 = 214
2. 직급별 차이 분석 = 215
3. 담당업무 집단 간 차이 분석 = 216
4. 기관 단위별 차이 분석: 부단위 기관과 청단위 기관 = 216
제6절 성과관리체계 중복에 대한 인식 = 217
1. 성과관리체계 중복성 지수와 지표 분석 = 217
2. 직급별 차이 분석 = 218
3. 담당업무 집단 간 차이 분석 = 219
4. 기관 단위별 분석: 부단위 기관과 청단위 기관 = 220
5. 성과관리체계 이원화 운영에 대한 개선의견 = 221
제7절 설문분석 결과의 시사점 = 222
제6장 성과관리계획 수립 및 운영 개선방안 [이환성] = 225
제1절 성과관리계획 관련 법제도 및 추진체계 개선방안 = 226
1. 성과관리시행계획의 성과계획서로 일원화 = 226
2. 성과계획 및 정부업무평가로 추진체계 이원화 = 228
3. 주요정책 자체평가와 재정사업자율평가 폐지 및 국정과제 중심의 특정평가 강화 = 229
제2절 자체평가의 자율성 강화 및 평가결과 활용도 제고방안 = 233
1. 자체평가계획의 자율적 수립 및 활용 강화 = 233
2. 도전적 계획 수립을 위한 관리과제 선정 = 235
제3절 성과계획 수립을 위한 매뉴얼 개선방안 = 237
제7장 결 론 [이환성] = 241
참고문헌 = 245
부 록 = 2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