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료유형
- 단행본
- ISBN
- 9788957044766 93350
- KDC
- 322.83-4
- 청구기호
- 322.83 홍72ㅇ
- 저자명
- 홍재환
- 서명/저자
- ODA 정책사업의 평가체계 연구 / 홍재환 ; 김태균 [공저]
- 발행사항
- 서울 : 한국행정연구원, 2012.
- 형태사항
- xxx, 308 p. : 삽도 ; 25 cm
- 총서명
- KIPA 연구보고서 ; 2012-44
- 서지주기
- 참고문헌 : p.282-293
- 키워드
- ODA
- 기타저자
- 김태균
- 기타저자
- 한국행정연구원
- 통일총서명
- KIPA 연구보고서(한국행정연구원) ; 2012-44
- 가격
- 가격불명
- Control Number
- maf:33842
소장정보
서가번호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소장처 | 대출가능여부 | 대출정보 | |
---|---|---|---|---|---|---|
0008884 | 322.83 홍72ㅇ | 농림축산식품부 자료실 | 대출가능 |
* 대출중인 자료에 한하여 예약이 가능합니다. 예약을 원하시면 예약버튼을 클릭하십시오.
008140306s2012 ulka 000a kor
020 ▼a9788957044766▼g93350
056 ▼a322.83▼24
090 ▼a322.83▼b홍72ㅇ
1001 ▼a홍재환
24510▼aODA 정책사업의 평가체계 연구▼d홍재환▼e김태균 [공저]
260 ▼a서울▼b한국행정연구원▼c2012.
300 ▼axxx, 308 p.▼b삽도▼c25 cm
44000▼aKIPA 연구보고서▼v2012-44
504 ▼a참고문헌 : p.282-293
653 ▼aODA
7001 ▼a김태균
710 ▼a한국행정연구원
830 0▼aKIPA 연구보고서(한국행정연구원)▼v2012-44
9501 ▼a가격불명
제1장 서론 - [홍재환] = 1
제1절 연구의 배경 = 2
제2절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 5
제3절 연구의 범위와 방법 = 7
제2장 ODA 평가에 대한 이론적 고찰 - [김태균] = 11
제1절 공공정책 평가의 일반론적 함의 = 12
1. 공공정책평가의 개념과 목적 = 13
2. 평가이론 및 접근방법 = 16
제2절 ODA 정책의 역사적 발전과 당면 과제 = 29
1. ODA의 역사적 전개 = 29
2. ODA 관련 국제원조레짐의 당면과제 = 42
3. ODA 평가의 역사적 흐름 = 50
제3절 ODA 정책 평가의 동향과 전망 = 55
1. 모니터링과 평가 (Monitoring & Evaluation : M&E) = 55
2. 글로벌 수준 : OECD/DAC의 평가기준 = 58
3. 지역별 수준 : EC의 평가기준 = 61
4. 프로젝트 운용 및 관리 (PCM) = 62
5. ODA 질적 평가의 새로운 시도 = 64
6. 한국의 평가시스템 분석의 필요성 = 66
제3장 한국 ODA 평가체계 현황 및 실태 분석 - [홍재환] = 69
제1절 한국 개발협력 개관 = 70
1. 한국 ODA의 현황과 평가의 중요성 = 70
2. 한국 ODA의 현황 = 73
제2절 거시적 평가체계 = 79
1. 통합평가시스템의 구조 = 80
2. 국내통합평가시스템의 운용절차 = 82
3. 평가원칙 = 84
4. 평가기준 = 84
5. 평가체계 = 85
6. 평가방법 = 88
7. 평가시기 = 89
8. 평가 대상에 따른 분류 = 91
제3절 미시적 평가 체계 = 94
1. KOICA = 94
2. 정부부처 및 기관 = 110
3. 지방자치단체 = 121
제4절 국내 ODA 평가체계 주요이슈 = 127
제4장 해외 선진국의 평가체계 비교분석 = 139
제1절 주요 해외선진국 평가체계 개괄 - [홍재환] = 140
1. ODA 사업기관 및 평가기관 = 140
2. 평가기관별 주요기능 및 역할 = 146
3. 평가인력, 예산, 보고서 생산 능력 = 150
제2절 스웨덴 - [홍재환] = 157
1. 스웨덴 개발협력 개관 = 157
2. Sida 기관 소개 = 159
3. 스웨덴 거시 평가 체계 = 163
4. Sida : M&E = 165
5. SADEV : M&E = 171
6. 스웨덴 평가시스템에 대한 평가 = 174
7. 시사점 = 177
제3절 독일 - [홍재환] = 180
1. 독일 개발협력 개관 = 180
2. BMZ 기관소개 = 184
3. 독일의 거시평가체계 = 188
4. BMZ : M&E = 191
5. GIZ : M&E = 197
6. 시사점 = 202
제4절 호주 - [홍재환] = 204
1. 호주 개발협력 개관 = 204
2. AusAID 기관 소개 = 207
3. 거시 평가 체계 = 210
4. AusAID : M&E = 213
5. ODE : M&E = 216
6. 호주 원조 효과성의 독립 평가 = 222
7. 시사점 = 227
제5절 일본 - [김태균] = 228
1. 일본 개발협력 개관 = 228
2. JICA 기관 소개 = 233
3. 일본 거시 평가 체제 = 236
4. JICA & M&E = 239
5. 시사점 = 246
제6절 영국 - [김태균] = 247
1. 영국 개발협력 개관 = 247
2. DflD 기관 소개 = 249
3. 영국의 거시 평가 체제 = 256
4. DflD : M&E = 259
5. 시사점 = 262
제7절 종합적 비교분석 및 시사점 - [홍재환] = 264
제5장 평가체계 개선방안 - [홍재환] = 267
제1절 거시적 대안 = 268
1. 독립된 평가기관 설립 = 268
2. 평가업무의 분권화 = 270
3. 평가전문 역량과 기능 강화 = 271
4. 참여적 평가 강화 = 271
제2절 미시적 대안 = 273
1. 평가와 기획의 연계와 조화 = 273
2. 평가대상 수의 확대 = 274
3. 평가의 독립성 강화 = 274
4. 모니터링의 강화 및 평가와의 보완 = 275
5. 평가의 품질 개선 = 276
6. 평가환류의 강화 = 277
제3절 정책적 제언 = 278
참고문헌 = 281
부록 = 295
제1절 연구의 배경 = 2
제2절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 5
제3절 연구의 범위와 방법 = 7
제2장 ODA 평가에 대한 이론적 고찰 - [김태균] = 11
제1절 공공정책 평가의 일반론적 함의 = 12
1. 공공정책평가의 개념과 목적 = 13
2. 평가이론 및 접근방법 = 16
제2절 ODA 정책의 역사적 발전과 당면 과제 = 29
1. ODA의 역사적 전개 = 29
2. ODA 관련 국제원조레짐의 당면과제 = 42
3. ODA 평가의 역사적 흐름 = 50
제3절 ODA 정책 평가의 동향과 전망 = 55
1. 모니터링과 평가 (Monitoring & Evaluation : M&E) = 55
2. 글로벌 수준 : OECD/DAC의 평가기준 = 58
3. 지역별 수준 : EC의 평가기준 = 61
4. 프로젝트 운용 및 관리 (PCM) = 62
5. ODA 질적 평가의 새로운 시도 = 64
6. 한국의 평가시스템 분석의 필요성 = 66
제3장 한국 ODA 평가체계 현황 및 실태 분석 - [홍재환] = 69
제1절 한국 개발협력 개관 = 70
1. 한국 ODA의 현황과 평가의 중요성 = 70
2. 한국 ODA의 현황 = 73
제2절 거시적 평가체계 = 79
1. 통합평가시스템의 구조 = 80
2. 국내통합평가시스템의 운용절차 = 82
3. 평가원칙 = 84
4. 평가기준 = 84
5. 평가체계 = 85
6. 평가방법 = 88
7. 평가시기 = 89
8. 평가 대상에 따른 분류 = 91
제3절 미시적 평가 체계 = 94
1. KOICA = 94
2. 정부부처 및 기관 = 110
3. 지방자치단체 = 121
제4절 국내 ODA 평가체계 주요이슈 = 127
제4장 해외 선진국의 평가체계 비교분석 = 139
제1절 주요 해외선진국 평가체계 개괄 - [홍재환] = 140
1. ODA 사업기관 및 평가기관 = 140
2. 평가기관별 주요기능 및 역할 = 146
3. 평가인력, 예산, 보고서 생산 능력 = 150
제2절 스웨덴 - [홍재환] = 157
1. 스웨덴 개발협력 개관 = 157
2. Sida 기관 소개 = 159
3. 스웨덴 거시 평가 체계 = 163
4. Sida : M&E = 165
5. SADEV : M&E = 171
6. 스웨덴 평가시스템에 대한 평가 = 174
7. 시사점 = 177
제3절 독일 - [홍재환] = 180
1. 독일 개발협력 개관 = 180
2. BMZ 기관소개 = 184
3. 독일의 거시평가체계 = 188
4. BMZ : M&E = 191
5. GIZ : M&E = 197
6. 시사점 = 202
제4절 호주 - [홍재환] = 204
1. 호주 개발협력 개관 = 204
2. AusAID 기관 소개 = 207
3. 거시 평가 체계 = 210
4. AusAID : M&E = 213
5. ODE : M&E = 216
6. 호주 원조 효과성의 독립 평가 = 222
7. 시사점 = 227
제5절 일본 - [김태균] = 228
1. 일본 개발협력 개관 = 228
2. JICA 기관 소개 = 233
3. 일본 거시 평가 체제 = 236
4. JICA & M&E = 239
5. 시사점 = 246
제6절 영국 - [김태균] = 247
1. 영국 개발협력 개관 = 247
2. DflD 기관 소개 = 249
3. 영국의 거시 평가 체제 = 256
4. DflD : M&E = 259
5. 시사점 = 262
제7절 종합적 비교분석 및 시사점 - [홍재환] = 264
제5장 평가체계 개선방안 - [홍재환] = 267
제1절 거시적 대안 = 268
1. 독립된 평가기관 설립 = 268
2. 평가업무의 분권화 = 270
3. 평가전문 역량과 기능 강화 = 271
4. 참여적 평가 강화 = 271
제2절 미시적 대안 = 273
1. 평가와 기획의 연계와 조화 = 273
2. 평가대상 수의 확대 = 274
3. 평가의 독립성 강화 = 274
4. 모니터링의 강화 및 평가와의 보완 = 275
5. 평가의 품질 개선 = 276
6. 평가환류의 강화 = 277
제3절 정책적 제언 = 278
참고문헌 = 281
부록 = 2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