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료유형
- 단행본
- KDC
- 520.912-5
- 청구기호
- 520.912 한17ㅎ
- 단체저자
- 한국농촌경제연구원
- 서명/저자
- (한권으로 보는) 중국 농업 / 한국농촌경제연구원 [편]
- 발행사항
- 서울 :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13
- 형태사항
- xx, 641 p. : 삽도, 챠트 ; 26 cm
- 총서명
- 중국농업자료집
- 총서명
- 연구자료 ; D367
- 주기사항
- 공저자 : 윤정현, 정호연, 정민국, 김수지, 이현근, 장동아, 문한필, 남기천, 남경수
- 주기사항
- 권말부록으로 '동북3성 주요 지역별 식량작물 생산량 추이' 등 수록
- 서지주기
- 참고문헌 : p.457-465
- 기타저자
- 윤정현
- 기타저자
- 정호연
- 기타저자
- 정민국
- 기타저자
- 김수지
- 기타저자
- 이현근
- 기타저자
- 장동아
- 기타저자
- 문한필
- 기타저자
- 남기천
- 기타저자
- 남경수
- 통일총서명
- 연구자료(한국농촌경제연구원) ; D367
- 가격
- 가격불명
- Control Number
- maf:33664
소장정보
서가번호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소장처 | 대출가능여부 | 대출정보 | |
---|---|---|---|---|---|---|
0003869 | 520.912 한17ㅎ | 농림축산식품부 자료실 | 대출가능 |
* 대출중인 자료에 한하여 예약이 가능합니다. 예약을 원하시면 예약버튼을 클릭하십시오.
008140203s2013 ulkad 000a kor
056 ▼a520.912▼25
090 ▼a520.912▼b한17ㅎ
110 ▼a한국농촌경제연구원
24520▼a(한권으로 보는) 중국 농업▼d한국농촌경제연구원 [편]
260 ▼a서울▼b한국농촌경제연구원▼c2013
300 ▼axx, 641 p.▼b삽도, 챠트▼c26 cm
44000▼a중국농업자료집
49010▼a연구자료▼vD367
50010▼a공저자 : 윤정현, 정호연, 정민국, 김수지, 이현근, 장동아, 문한필, 남기천, 남경수
50010▼a권말부록으로 '동북3성 주요 지역별 식량작물 생산량 추이' 등 수록
504 ▼a참고문헌 : p.457-465
7001 ▼a윤정현
7001 ▼a정호연
7001 ▼a정민국
7001 ▼a김수지
7001 ▼a이현근
7001 ▼a장동아
7001 ▼a문한필
7001 ▼a남기천
7001 ▼a남경수
830 0▼a연구자료(한국농촌경제연구원)▼vD367
9501 ▼a가격불명
요약 = 1
I. 중국의 이해 = 43
1. 경제 = 45
2. 정치제도 = 50
3. 사회·문화 = 55
4. 외교 및 국가 관계 = 60
5. 국방·안보 = 68
II 중국 농업 개황 = 71
1. 자연·지리적 여건 = 74
2. 경지면적 = 76
3. 농업노동력 = 79
4. 자본재 및 기술 = 83
5. 농업생산액과 농촌가구소득 = 88
III. 중국 농업 생산·소비·유통·교역 현황 = 93
1. 농산물 생산 = 96
1.1. 곡물 = 96
1.1.1. 쌀(조곡) = 99
1.1.2. 밀 = 101
1.1.3. 옥수수 = 102
1.1.4. 대두 = 103
1.2. 채소 = 104
1.2.1. 고추 = 104
1.2.2. 마늘 = 106
1.2.3. 양파 = 108
1.2.4. 배추 = 110
1.2.5. 당근 = 111
1.3. 과이 = 114
1.3.1. 사과 = 114
1.3.2. 감귤 = 116
1.3.3. 배 = 119
1.3.4. 복숭아 = 120
1.4. 기타작물 = 122
1.4.1. 인삼 = 122
1.4.2. 녹차 = 123
1.4.3. 참깨 = 124
1.5. 축산물 = 125
1.5.1. 대가축(소, 돼지) = 125
1.5.2. 가금류(닭, 오리, 계란) = 127
1.5.3. 유제품 = 129
2. 농식품 소비 = 132
2.1. 농식품 소비 현황 = 132
2.2. 식품시장 = 142
2.2.1. 소비·식품시장의 성장 및 구조 변화 = 142
2.2.2. 친환경 농식품 시장의 현황 = 145
2.3. 식품산업 = 154
2.3.1. 식품산업 현황 = 154
2.3.2. 식품제조업 = 157
2.3.3. 외식산업 = 160
2.4. 권역별 식품소비 특성 = 164
3. 농산물 유통 = 176
3.1. 농산물 유통 환경 변화 = 176
3.2. 산지유통체계 = 178
3.3. 도매유통체계 = 179
3.4. 소매유통체계 = 183
3.5. 친환경농식품 유통구조 = 186
4. 농식품 교역 = 188
4.1. 교역 동향 총괄 = 188
4.2. 국가별 농식품 수출입 현황 = 189
4.3. 품목별 농식품 수출입 현황 = 194
4.3.1. 품목별 수출 현황 = 194
4.3.2. 품목별 수입 현황 = 198
5. 주요 농축산물 수급전망 = 201
5.1. 거시경제 및 농업부문 여건변화 전망 = 201
5.2. 농축산물 수급전망(2013~2022)
5.2.1. 곡물 = 205
5.2.2. 유지작물 및 원면 = 209
5.2.3. 채소 및 과일류 = 213
5.2.4. 육류 = 214
5.2.5. 유제품 = 216
IV. 중국의 농업정책 = 219
1. 주요 농업정책과 농정방향 = 223
1.1. 농업정책 개요 = 223
1.2. 시진핑 정부의 주요 농정방향 = 228
2. 주요 농정 이슈 = 231
2.1. 식량안보 = 231
2.2. 농촌주민 소득증대 = 238
2.3. 식품안전 = 239
2.4. 농업인력 육성 = 241
2.5. 농산물 수출확대 = 243
3. 토지정책 = 246
3.1. 토지정책 변화 = 246
3.1.1. 공급주도형 토지정책 변화와 효과 = 247
3.1.2. 수요주도형 토지정책 변화와 효과 = 248
3.1.3. 농촌 토지정책의 변화와 농업경영시스템 = 249
3.2. 토지정책 이슈 = 250
3.2.1. 토지소유권 문제 = 250
3.2.2. 토지사용권 문제 = 252
3.3. 토지정책 전망 = 254
4. 농업산업화와 농민전업합작사 = 255
4.1. 농업산업화 정책 = 255
4.2. 생산계열화 = 260
4.3. 농민전업합작사 = 266
5. 농촌개발과 농민복지 = 271
5.1. 농업·농촌의 현안과 과제 = 271
5.2. 농업·농촌 발전 및 공공서비스 개선 = 273
6. 식품안전 정책 = 276
6.1. 식품안전 관리의 강화 = 276
6.1.1. 주요 내용 = 276
6.1.2. 식품안전 관리제도 = 277
6.2. 식품안전 관리체계와 주요 정책 = 280
6.2.1. 관련 법령 = 280
6.2.2. 관련 행정조직 = 281
6.2.3. 주요 제도·정책 = 282
7. 농산물 무역정책과 FTA 체결 = 288
7.1. 농산물 무역정책 동향 = 288
7.1.1. WTO 가입 이전의 농산물 무역정책 = 290
7.1.2. WTO 가입과 주요 정책변화 = 291
7.1.3. 시진핑 정부의 4대 통상정책 = 300
7.2. 농산물 수출입 관리제도 = 310
7.2.1. 법률 및 행정체계 = 310
7.2.2. 수출입 제한 화물의 관리제도 = 311
7.2.3. 자동수입허가 관리제도 = 319
7.3. 농산물 관세 및 통관 = 320
7.3.1. 법률 및 행정체계 = 320
7.3.2. 관세제도 개요 = 322
7.3.3. 통관 제도 및 절차 = 330
7.4. 농산물 검역 = 331
7.4.1. 법률 및 행정체계 = 331
7.4.2. 수출입 농식품 검사검역 절차 = 334
7.5. 농산물 수출지원 정책 = 339
7.5.1. '농산물 수출 11·5 발전계획' = 339
7.5.2. '농업무역촉진계획(2011~2020년)' = 343
7.6. FTA 추진 현황과 전략 = 344
7.6.1. FTA 추진 현황 = 344
7.6.2. FTA 추진 전략 = 346
7.6.3. 기체결 FTA의 농업분야 협상내용과 특징 = 348
V. 한·중 농식품 교역과 FTA 추진 = 351
1. 한·중 농식품 교역 현황과 경쟁력 비교 = 355
1.1. 한중간 교역 현황 및 특징 = 355
1.1.1. 對중국 수입 현황 및 특징 = 356
1.1.2. 對중국 수출 현황 및 특징 = 361
1.2. 한중간 교역 구조 = 365
1.2.1. 경쟁구조 분석 = 365
1.2.2. 분업구조 분석 = 368
1.3. 한·중 농산물 경쟁력 비교 = 370
1.3.1. 주요 농산물 생산비 비교 = 370
1.3.2. 양국간 생산비격차 변동요인 분석 = 376
1.3.3. 주요 농산물 도매가격 비교 = 381
1.3.4. 중국 농산물에 대한 한국 소비자 인식 = 384
2. 한·중 주요 통상 현안 = 392
2.1. 관세 = 392
2.2. 원산지증명 = 393
2.2.1. 원산지증명 절차 = 393
2.2.2. 원산지 검증 = 395
2.2.3. 사전심사 = 396
2.3. 동식물 검역 = 399
2.3.1. 중국산 농축산물에 대한 수입제한조치 현황 = 399
2.3.2. 양국간 농축산물 수입허용 요청 현황 = 400
2.3.3. 중국의 농식물 검역 관련 지역화 추진 현황 = 403
2.3.4. 기타 위생 및 식물 검역(SPS) 조치 = 411
2.4. 기타 중국의 비관세장벽 현황 = 414
3. 한·중 FTA 논의 배경과 협상 동향 = 423
3.1. 한·중 FTA 논의 배경 = 423
3.2. 한·중 FTA 협상 동향 = 425
3.2.1. 사전 준비 = 425
3.2.2. 협상 개시 = 426
3.2.3. 1차 협상 = 427
3.2.4. 2~6차 협상 = 427
3.2.5. 7차 협상 및 1단계 협상 마무리 = 429
3.2.6. 8차 협상(2단계 첫 협상) = 431
4. 한·중 FTA 국내대책 추진방향 = 432
4.1. 밭작물산업 경쟁력 제고 및 기존 대책 보완 = 432
4.2. 농가 소득 및 경영 안정 = 435
5. 對중국 농식품 수출확대 방안 = 435
5.1. 중국시장 수출유망 품목과 추진전략 = 435
5.1.1. 중국시장 SWOT 분석 = 435
5.1.2. 수출유망 품목과 추진전략 = 438
5.1.3. 권역별 수출유망품목 = 442
5.2. 對중국 농식품 수출활성화 = 449
5.2.1. 국내 수출기반 구축: 농식품 수출체질 강화 및 기반 조성 = 449
5.2.2. 해외마케팅(하드웨어) 활성화: 중국내 물류·유통 인프라 확충 = 450
5.2.3. 해외마케팅(소프트웨어) 강화: 시장 세분화 및 목표시장 설정 = 451
참고 문헌 = 455
부록 = 467
1. 중국의 중·단립종 쌀 생산 및 수출 현황 = 469
2. 국내외 식품기업의 중국 진출 현황 및 사례 = 474
3. 중국의 농업부문별 "12·5" 계획과 중장기 발전 계획 = 517
4. 중국의 기체결 FTA 농업분야 협상내용 = 541
5. 정부의 농식품 수출확대 비전 및 추진전략 = 576
별첨: 언론 동향 = 583
I. 중국의 이해 = 43
1. 경제 = 45
2. 정치제도 = 50
3. 사회·문화 = 55
4. 외교 및 국가 관계 = 60
5. 국방·안보 = 68
II 중국 농업 개황 = 71
1. 자연·지리적 여건 = 74
2. 경지면적 = 76
3. 농업노동력 = 79
4. 자본재 및 기술 = 83
5. 농업생산액과 농촌가구소득 = 88
III. 중국 농업 생산·소비·유통·교역 현황 = 93
1. 농산물 생산 = 96
1.1. 곡물 = 96
1.1.1. 쌀(조곡) = 99
1.1.2. 밀 = 101
1.1.3. 옥수수 = 102
1.1.4. 대두 = 103
1.2. 채소 = 104
1.2.1. 고추 = 104
1.2.2. 마늘 = 106
1.2.3. 양파 = 108
1.2.4. 배추 = 110
1.2.5. 당근 = 111
1.3. 과이 = 114
1.3.1. 사과 = 114
1.3.2. 감귤 = 116
1.3.3. 배 = 119
1.3.4. 복숭아 = 120
1.4. 기타작물 = 122
1.4.1. 인삼 = 122
1.4.2. 녹차 = 123
1.4.3. 참깨 = 124
1.5. 축산물 = 125
1.5.1. 대가축(소, 돼지) = 125
1.5.2. 가금류(닭, 오리, 계란) = 127
1.5.3. 유제품 = 129
2. 농식품 소비 = 132
2.1. 농식품 소비 현황 = 132
2.2. 식품시장 = 142
2.2.1. 소비·식품시장의 성장 및 구조 변화 = 142
2.2.2. 친환경 농식품 시장의 현황 = 145
2.3. 식품산업 = 154
2.3.1. 식품산업 현황 = 154
2.3.2. 식품제조업 = 157
2.3.3. 외식산업 = 160
2.4. 권역별 식품소비 특성 = 164
3. 농산물 유통 = 176
3.1. 농산물 유통 환경 변화 = 176
3.2. 산지유통체계 = 178
3.3. 도매유통체계 = 179
3.4. 소매유통체계 = 183
3.5. 친환경농식품 유통구조 = 186
4. 농식품 교역 = 188
4.1. 교역 동향 총괄 = 188
4.2. 국가별 농식품 수출입 현황 = 189
4.3. 품목별 농식품 수출입 현황 = 194
4.3.1. 품목별 수출 현황 = 194
4.3.2. 품목별 수입 현황 = 198
5. 주요 농축산물 수급전망 = 201
5.1. 거시경제 및 농업부문 여건변화 전망 = 201
5.2. 농축산물 수급전망(2013~2022)
5.2.1. 곡물 = 205
5.2.2. 유지작물 및 원면 = 209
5.2.3. 채소 및 과일류 = 213
5.2.4. 육류 = 214
5.2.5. 유제품 = 216
IV. 중국의 농업정책 = 219
1. 주요 농업정책과 농정방향 = 223
1.1. 농업정책 개요 = 223
1.2. 시진핑 정부의 주요 농정방향 = 228
2. 주요 농정 이슈 = 231
2.1. 식량안보 = 231
2.2. 농촌주민 소득증대 = 238
2.3. 식품안전 = 239
2.4. 농업인력 육성 = 241
2.5. 농산물 수출확대 = 243
3. 토지정책 = 246
3.1. 토지정책 변화 = 246
3.1.1. 공급주도형 토지정책 변화와 효과 = 247
3.1.2. 수요주도형 토지정책 변화와 효과 = 248
3.1.3. 농촌 토지정책의 변화와 농업경영시스템 = 249
3.2. 토지정책 이슈 = 250
3.2.1. 토지소유권 문제 = 250
3.2.2. 토지사용권 문제 = 252
3.3. 토지정책 전망 = 254
4. 농업산업화와 농민전업합작사 = 255
4.1. 농업산업화 정책 = 255
4.2. 생산계열화 = 260
4.3. 농민전업합작사 = 266
5. 농촌개발과 농민복지 = 271
5.1. 농업·농촌의 현안과 과제 = 271
5.2. 농업·농촌 발전 및 공공서비스 개선 = 273
6. 식품안전 정책 = 276
6.1. 식품안전 관리의 강화 = 276
6.1.1. 주요 내용 = 276
6.1.2. 식품안전 관리제도 = 277
6.2. 식품안전 관리체계와 주요 정책 = 280
6.2.1. 관련 법령 = 280
6.2.2. 관련 행정조직 = 281
6.2.3. 주요 제도·정책 = 282
7. 농산물 무역정책과 FTA 체결 = 288
7.1. 농산물 무역정책 동향 = 288
7.1.1. WTO 가입 이전의 농산물 무역정책 = 290
7.1.2. WTO 가입과 주요 정책변화 = 291
7.1.3. 시진핑 정부의 4대 통상정책 = 300
7.2. 농산물 수출입 관리제도 = 310
7.2.1. 법률 및 행정체계 = 310
7.2.2. 수출입 제한 화물의 관리제도 = 311
7.2.3. 자동수입허가 관리제도 = 319
7.3. 농산물 관세 및 통관 = 320
7.3.1. 법률 및 행정체계 = 320
7.3.2. 관세제도 개요 = 322
7.3.3. 통관 제도 및 절차 = 330
7.4. 농산물 검역 = 331
7.4.1. 법률 및 행정체계 = 331
7.4.2. 수출입 농식품 검사검역 절차 = 334
7.5. 농산물 수출지원 정책 = 339
7.5.1. '농산물 수출 11·5 발전계획' = 339
7.5.2. '농업무역촉진계획(2011~2020년)' = 343
7.6. FTA 추진 현황과 전략 = 344
7.6.1. FTA 추진 현황 = 344
7.6.2. FTA 추진 전략 = 346
7.6.3. 기체결 FTA의 농업분야 협상내용과 특징 = 348
V. 한·중 농식품 교역과 FTA 추진 = 351
1. 한·중 농식품 교역 현황과 경쟁력 비교 = 355
1.1. 한중간 교역 현황 및 특징 = 355
1.1.1. 對중국 수입 현황 및 특징 = 356
1.1.2. 對중국 수출 현황 및 특징 = 361
1.2. 한중간 교역 구조 = 365
1.2.1. 경쟁구조 분석 = 365
1.2.2. 분업구조 분석 = 368
1.3. 한·중 농산물 경쟁력 비교 = 370
1.3.1. 주요 농산물 생산비 비교 = 370
1.3.2. 양국간 생산비격차 변동요인 분석 = 376
1.3.3. 주요 농산물 도매가격 비교 = 381
1.3.4. 중국 농산물에 대한 한국 소비자 인식 = 384
2. 한·중 주요 통상 현안 = 392
2.1. 관세 = 392
2.2. 원산지증명 = 393
2.2.1. 원산지증명 절차 = 393
2.2.2. 원산지 검증 = 395
2.2.3. 사전심사 = 396
2.3. 동식물 검역 = 399
2.3.1. 중국산 농축산물에 대한 수입제한조치 현황 = 399
2.3.2. 양국간 농축산물 수입허용 요청 현황 = 400
2.3.3. 중국의 농식물 검역 관련 지역화 추진 현황 = 403
2.3.4. 기타 위생 및 식물 검역(SPS) 조치 = 411
2.4. 기타 중국의 비관세장벽 현황 = 414
3. 한·중 FTA 논의 배경과 협상 동향 = 423
3.1. 한·중 FTA 논의 배경 = 423
3.2. 한·중 FTA 협상 동향 = 425
3.2.1. 사전 준비 = 425
3.2.2. 협상 개시 = 426
3.2.3. 1차 협상 = 427
3.2.4. 2~6차 협상 = 427
3.2.5. 7차 협상 및 1단계 협상 마무리 = 429
3.2.6. 8차 협상(2단계 첫 협상) = 431
4. 한·중 FTA 국내대책 추진방향 = 432
4.1. 밭작물산업 경쟁력 제고 및 기존 대책 보완 = 432
4.2. 농가 소득 및 경영 안정 = 435
5. 對중국 농식품 수출확대 방안 = 435
5.1. 중국시장 수출유망 품목과 추진전략 = 435
5.1.1. 중국시장 SWOT 분석 = 435
5.1.2. 수출유망 품목과 추진전략 = 438
5.1.3. 권역별 수출유망품목 = 442
5.2. 對중국 농식품 수출활성화 = 449
5.2.1. 국내 수출기반 구축: 농식품 수출체질 강화 및 기반 조성 = 449
5.2.2. 해외마케팅(하드웨어) 활성화: 중국내 물류·유통 인프라 확충 = 450
5.2.3. 해외마케팅(소프트웨어) 강화: 시장 세분화 및 목표시장 설정 = 451
참고 문헌 = 455
부록 = 467
1. 중국의 중·단립종 쌀 생산 및 수출 현황 = 469
2. 국내외 식품기업의 중국 진출 현황 및 사례 = 474
3. 중국의 농업부문별 "12·5" 계획과 중장기 발전 계획 = 517
4. 중국의 기체결 FTA 농업분야 협상내용 = 541
5. 정부의 농식품 수출확대 비전 및 추진전략 = 576
별첨: 언론 동향 = 5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