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료유형
- 단행본
- ISBN
- 9788976444332 93350\25000
- KDC
- 350.1-5
- 청구기호
- 350.1 공225ㅅ
- 저자명
- 공동성
- 서명/저자
- 성과관리 : 외국 제도편 / 공동성 [공엮]
- 발행사항
- 서울 : 대영문화사, 2013
- 형태사항
- 452 p. : 삽화 ; 26 cm
- 주기사항
- 공역음 : 구교준, 김선아, 민아온, 박기찬, 박노욱, 박상규, 박성민, 박중훈, 송상훈, 신완선, 양승범, 오철호, 윤기웅, 윤지웅, 이정욱, 임도빈, 임성일, 정문기, 조문석, 최상옥, 최영출, 홍형득
- 서지주기
- 참고문헌과 색인 수록
- 키워드
- 성과관리
- 기타저자
- 구교준
- 기타저자
- 김선아
- 기타저자
- 민아온
- 기타저자
- 박기찬
- 기타저자
- 박노욱
- 기타저자
- 박상규
- 기타저자
- 박성민
- 기타저자
- 박중훈
- 기타저자
- 송상훈
- 기타저자
- 신완선
- 기타저자
- 양승범
- 기타저자
- 오철호
- 기타저자
- 윤기웅
- 기타저자
- 윤지웅
- 기타저자
- 이정욱
- 기타저자
- 임도빈
- 기타저자
- 임성일
- 기타저자
- 정문기
- 기타저자
- 조문석
- 기타저자
- 최상옥
- 기타저자
- 최영출
- 기타저자
- 홍형득
- 가격
- \25000
- Control Number
- maf:33563
소장정보
서가번호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소장처 | 대출가능여부 | 대출정보 | |
---|---|---|---|---|---|---|
0021980 | 350.1 공225ㅅ | 농림축산식품부 자료실 | 대출가능 |
* 대출중인 자료에 한하여 예약이 가능합니다. 예약을 원하시면 예약버튼을 클릭하십시오.
008140127s2013 ulka 001a kor
020 ▼a9788976444332▼g93350▼c\25000
056 ▼a350.1▼25
090 ▼a350.1▼b공225ㅅ
1001 ▼a공동성
24500▼a성과관리▼b외국 제도편▼d공동성 [공엮]
260 ▼a서울▼b대영문화사▼c2013
300 ▼a452 p.▼b삽화▼c26 cm
50010▼a공역음 : 구교준, 김선아, 민아온, 박기찬, 박노욱, 박상규, 박성민, 박중훈, 송상훈, 신완선, 양승범, 오철호, 윤기웅, 윤지웅, 이정욱, 임도빈, 임성일, 정문기, 조문석, 최상옥, 최영출, 홍형득
504 ▼a참고문헌과 색인 수록
653 ▼a성과관리
7001 ▼a구교준
7001 ▼a김선아
7001 ▼a민아온
7001 ▼a박기찬
7001 ▼a박노욱
7001 ▼a박상규
7001 ▼a박성민
7001 ▼a박중훈
7001 ▼a송상훈
7001 ▼a신완선
7001 ▼a양승범
7001 ▼a오철호
7001 ▼a윤기웅
7001 ▼a윤지웅
7001 ▼a이정욱
7001 ▼a임도빈
7001 ▼a임성일
7001 ▼a정문기
7001 ▼a조문석
7001 ▼a최상옥
7001 ▼a최영출
7001 ▼a홍형득
9500 ▼b\25000
머리말 = 3
제1장 정부 성과관리 - 미국 = 15
제1절 연혁 = 15
제2절 미국 성과관리제도의 특징 = 20
1. 클린턴 행정부: GPRA = 22
2. 부시 행정부: 대통령관리 어젠다, 사업평가 도구 = 23
3. GPRA와 PART의 의의 및 한계 = 28
제3절 오바마 행정부의 성과관리제도 = 31
1. 개요 = 31
2. 오바마 행정부의 성과관리전략 = 34
3.「정부성과와 결과법 현대화법(GPRAMA)」 = 36
제4절 오바마 행정부의 성과관리제도 평가 = 49
1. 오바마 행정부 성과관리제도의 기여 = 49
2. 오바마 행정부 성과관리 체제의 도전과 과제 = 50
제2장 정부 성과관리 - 영국 = 56
제1절 제도의 도입 배경 = 56
제2절 성과관리제도의 변천 과정 = 58
1. 초기의 성과관리제도 단계(1980년대∼1990년대 중반) = 58
2. 산출 및 성과분석제도 단계(1994∼1998년) = 59
3. 공공서비스협약제도 단계(1998∼2011년) = 59
4. 성과제도 개편 단계: 비즈니스 플랜 작성(2012∼2015년) = 61
5. 성과관리제도 변천 과정 요약 = 63
제3절 관리제도의 현황과 운영 방식: 공공서비스협약제도(PSA)를 중심으로 = 63
1. 개관 = 63
2. 성과와 평가의 관계 = 64
3. 공공서비스협약제도(PSA)의 주요 내용과 절차 = 65
4. 성과관리 운영조직 = 69
제4절 성과와 한계 = 75
1. 성과 = 75
2. 한계 = 76
제5절 한국에 대한 시사점 = 77
제3장 정부 성과관리 - 캐나다 = 79
제1절 서론 = 79
제2절 캐나다의 조직ㆍ개인 성과관리제도의 발전 과정 = 80
제3절 캐나다의 성과관리 체계 = 83
1. 조직 성과관리 = 83
2. 개인 성과관리 = 93
제4절 성과관리제도의 성과와 한계 = 102
1. 조직 성과관리제도의 성과 및 한계 = 102
2. 개인 성과관리제도의 성과 및 한계 = 104
제5절 결론 = 106
제4장 정부 성과관리 - 호주 = 109
제1절 성과평가 및 관리제도의 도입 및 연혁 = 109
제2절 성과관리제도를 규정하고 있는 법령과 관계 기관 = 110
1. 성과관리제도를 규정하고 있는 법령 = 110
2. 성과관리 관련 기관 및 역할 = 112
제3절 성과관리의 주요 내용 = 113
1. 성과관리의 구성 요소 = 113
2. 성과관리제도의 운영 = 116
3. 예산설명서와 연도보고서를 통해 본 성과관리 사례 = 118
제4절 호주 정부의 성과관리의 특징과 한계 = 130
1. 호주 성과관리제도의 특징 = 130
2. 호주 성과관리제도의 한계 = 131
제5장 정부 성과관리 - 프랑스 = 134
제1절 서론 = 134
제2절 프랑스 성과관리의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 = 135
1. 잠재기: 1950∼60년대 = 135
2. 도입기: 1980년대 = 136
3. 형성기: 1990년대 = 136
4. 전성기: 2000년 이후 = 137
제3절 재정성과통합관리법(LOLF)에 의한 성과관리 = 138
1. 재정성과통합관리법(LOLF)의 도입 배경 = 138
2. 기본 방향 = 139
3. 성과관리 체계 = 140
4. 지방정부: 계획계약에 의한 성과관리 = 150
제4절 시사점 및 한계 = 152
1. 시사점 = 152
2. 한계 = 154
제5절 결론 = 157
제6장 사업 성과평가 - 미국 = 160
제1절 서론 = 160
제2절 미국 성과예산제도의 역사 = 161
1. 성과예산제도의 의의 = 161
2. 부시 행정부 이전의 성과예산제도 개혁 노력 = 162
3. 부시 행정부 이후의 성과예산제도 개혁 노력: PMA와 PART = 164
제3절 PART = 166
1. 평가 방식 및 절차 = 166
2. PART의 구성: 평가 항목 및 질문 문항 = 168
3. 사업 유형 = 171
제4절 PART 제도의 성과 및 한계 = 172
1. 성과 향상 = 173
2. PART의 유용성: 성과와 예산 간 연계 = 175
제7장 사업 성과평가 - 캐나다 = 181
제1절 서론 = 181
제2절 캐나다 재정성과관리제도의 변천 = 182
제3절 현행 성과관리 시스템 개요 = 185
제4절 성과관리 모델의 주요 특징 = 191
1. 모니터링과 평가의 병렬적 강조 = 191
2. 개별 부처 내에 평가조직 존재 = 192
3. 성과관리와 평가를 위해 개발된 견실한 하부 구조 = 192
4. 평가자의 독립성 및 중립성 = 193
5. 신뢰성 강화와 품질관리를 위한 강력한 감독 체계 = 193
6. 유연한 성과관리 및 평가 시스템 = 194
7. 성과관리 및 평가 시스템의 투명성 = 195
8. 능력 향상을 위한 지속적 노력 = 195
제5절 성과관리 및 평가 시스템의 성과 = 196
1. 성과관리와 평가활동에의 투자 = 196
2. 성과관리와 평가의 범위 = 197
3. 성과정보의 활용 = 198
4. 성과정보와 예산의 연계 = 199
제6절 정책적 시사점 = 200
1. 성과관리와 평가활동의 적절한 견인 수단 활용이 필요 = 200
2. 성과관리와 평가 시스템의 실행 = 201
3. 역량 강화의 중요성 = 202
제8장 사업 성과평가: 국고보조 사업 - 미국 = 205
제1절 서론 = 205
제2절 제도의 도입 및 변천 = 207
1. 국고보조금의 개념 및 유형 = 207
2. 제도의 도입 및 변화 = 208
제3절 국고보조사업의 성과관리 = 212
1. PART = 213
2. 국고보조사업의 성과관리제도 = 218
제4절 성과, 한계 및 개선 방안 = 223
제5절 결론 = 225
제9장 사업 성과평가: 국고보조사업 - 독일 = 230
제1절 독일의 이전재원에 대한 의의 = 230
제2절 독일의 보조금 = 232
1. 보조금 개념과 정책 기조 = 232
2. 연방 보조금정책의 배경 = 236
3. 보조금정책의 기준과 기준의 변화 = 238
제3절 보조금정책의 목표 설정과 성과관리 = 245
1. 목표 설정과 성과관리에 대한 인식의 출발 = 245
2. 보조금 성과관리의 모듈 = 247
제4절 평가의 기준이 되는 성과지표 = 249
1. 지표 활용의 의의 = 249
2. 성과평가지표 = 251
제10장 사업 성과평가: 국고보조사업 - 영국 = 255
제1절 영국의 지방정부 개관 = 255
제2절 영국의 지방재정 개요 = 258
제3절 영국의 보조금제도와 성과관리 = 260
1. 영국의 보조금제도(재정이전제도) = 260
2. 영국의 지방재정 성과관리의 기조: 2010년 이전 = 263
3. 영국의 보조금제도 성과관리: 현재 = 267
제4절 종합 및 결론 = 277
제11장 사업 성과평가: R&D사업 - EU = 280
제1절 유럽연합 R&D사업과 배경 = 280
제2절 유럽연합 R&D 현황과 제도적 변화 = 282
제3절 유럽연합 FP평가제도 및 운영 방식 = 285
1. 평가 체계 = 285
2. 평가의 목적 = 288
3. 평가 과정 및 절차 = 289
4. 평가 결과 및 결과의 활용 = 292
5. FP평가 변화 과정과 특징 = 293
제4절 제도의 성과 및 개선 방안 = 295
제12장 사업 성과평가: R&D사업 - 미국 = 299
제1절 서론 = 299
제2절 미국 R&D 성과평가제도의 도입 및 변천사 = 300
1. 미국 R&D 성과평가제도의 도입 배경 = 300
2. 미국 R&D 성과평가제도의 변천사 = 301
제3절 미국의 R&D 성과평가제도 및 운영 방식 = 303
1. 개관 = 303
2. 성과평가 체계 및 지표 = 306
3. 평가단 구성 = 313
4. 평가 단계 및 절차 = 316
5. 평가의 활용 = 320
제4절 미국 R&D 평가제도의 성과 및 한계 = 322
제13장 사업 성과평가: R&D사업 - 일본 = 326
제1절 일본의 성과평가제도 = 326
제2절 일본의 R&D 성과평가 제도 도입 배경과 변천 = 327
제3절 일본의 R&D 성과평가제도 및 운영 방식 = 329
1. 과학기술 R&D 추진 체계 = 329
2. R&D 성과평가 체계 = 331
제4절 일본의 R&D 성과평가제도가 가지는 함의 = 344
제14장 개인 성과평가 - 미국 = 347
제1절 성과 중심 인사관리제도 도입 = 347
제2절 성과 중심 인사관리제도 기본 방향과 특성 = 348
제3절 현행 성과 중심 인사관리 체계 및 주요 내용 = 350
1. 중앙인사기관 = 351
2. 목표관리제도 = 356
3. 근무성적평정 및 평정 방법 = 357
4. 실적보상제와 급여 통합 및 탄력적 직위분류제 = 359
5. 주정부 성과 중심 인사관리제도 운영과 특성 = 360
제4절 성과중심 인사관리제도의 성과와 한계 = 361
제15장 개인 성과평가 - 영국 = 366
제1절 영국 공무원 성과관리의 역사적 배경 = 366
제2절 영국 공무원제도의 개요 = 367
제3절 영국 공무원 성과관리제의 변천 = 369
제4절 고위공무원단(SCS)의 성과관리 = 371
1. 개관 = 371
2. 단계별 과정 = 372
3. 중ㆍ하위직 공무원의 성과관리 = 380
4. 제도의 성과와 한계 = 381
제16장 공공기관 성과평가 - 영국 = 386
제1절 제도 도입 배경 = 386
1. 공공기관의 등장 = 386
2. 제도 도입 및 변천 개괄 = 388
제2절 현행 성과관리제도의 이해 = 392
1. 일반적인 모습 = 392
2. 공공기관 성과관리 및 평가 = 397
제3절 결론 = 406
제17장 공공기관 성과평가 - 프랑스 = 410
제1절 프랑스의 공공기관과 공기업 = 410
제2절 프랑스 공기업의 성과관리제도 = 412
1. 공기업 성과관리제도 변천사 = 412
2. 공기업 평가관리제도의 구조 = 414
제3절 공기업 평가관리제도 및 운영 방식 = 415
1. 경영평가 주관기관 및 평가 시기 = 415
2. 평가지표 및 세부 내용 = 417
3. 경영평가 방법 = 423
4. 평가 결과의 활용 = 425
제4절 공기업 평가관리제도의 종합 및 시사점 = 426
제18장 공공기관 성과평가 - 싱가포르 = 429
제1절 제도 도입 배경 및 현황 = 429
1. 싱가포르의 정치, 경제적 배경 = 429
2. 제도 현황 = 431
제2절 제도 변천사: 싱가포르 공기업 공공기관 변천사, 현황 및 구조 = 432
1. 배경 = 432
2. 테마섹 모형 = 433
3. 테마섹 지배구조 = 435
4. 테마섹 재무 현황 = 438
제3절 현 제도 운영 방식 = 439
1. 싱가포르 정부기관의 성과관리 = 439
2. 공공기관의 성과평가 = 442
제4절 결론: 제도의 성과 및 한계 = 444
찾아보기 = 448
제1장 정부 성과관리 - 미국 = 15
제1절 연혁 = 15
제2절 미국 성과관리제도의 특징 = 20
1. 클린턴 행정부: GPRA = 22
2. 부시 행정부: 대통령관리 어젠다, 사업평가 도구 = 23
3. GPRA와 PART의 의의 및 한계 = 28
제3절 오바마 행정부의 성과관리제도 = 31
1. 개요 = 31
2. 오바마 행정부의 성과관리전략 = 34
3.「정부성과와 결과법 현대화법(GPRAMA)」 = 36
제4절 오바마 행정부의 성과관리제도 평가 = 49
1. 오바마 행정부 성과관리제도의 기여 = 49
2. 오바마 행정부 성과관리 체제의 도전과 과제 = 50
제2장 정부 성과관리 - 영국 = 56
제1절 제도의 도입 배경 = 56
제2절 성과관리제도의 변천 과정 = 58
1. 초기의 성과관리제도 단계(1980년대∼1990년대 중반) = 58
2. 산출 및 성과분석제도 단계(1994∼1998년) = 59
3. 공공서비스협약제도 단계(1998∼2011년) = 59
4. 성과제도 개편 단계: 비즈니스 플랜 작성(2012∼2015년) = 61
5. 성과관리제도 변천 과정 요약 = 63
제3절 관리제도의 현황과 운영 방식: 공공서비스협약제도(PSA)를 중심으로 = 63
1. 개관 = 63
2. 성과와 평가의 관계 = 64
3. 공공서비스협약제도(PSA)의 주요 내용과 절차 = 65
4. 성과관리 운영조직 = 69
제4절 성과와 한계 = 75
1. 성과 = 75
2. 한계 = 76
제5절 한국에 대한 시사점 = 77
제3장 정부 성과관리 - 캐나다 = 79
제1절 서론 = 79
제2절 캐나다의 조직ㆍ개인 성과관리제도의 발전 과정 = 80
제3절 캐나다의 성과관리 체계 = 83
1. 조직 성과관리 = 83
2. 개인 성과관리 = 93
제4절 성과관리제도의 성과와 한계 = 102
1. 조직 성과관리제도의 성과 및 한계 = 102
2. 개인 성과관리제도의 성과 및 한계 = 104
제5절 결론 = 106
제4장 정부 성과관리 - 호주 = 109
제1절 성과평가 및 관리제도의 도입 및 연혁 = 109
제2절 성과관리제도를 규정하고 있는 법령과 관계 기관 = 110
1. 성과관리제도를 규정하고 있는 법령 = 110
2. 성과관리 관련 기관 및 역할 = 112
제3절 성과관리의 주요 내용 = 113
1. 성과관리의 구성 요소 = 113
2. 성과관리제도의 운영 = 116
3. 예산설명서와 연도보고서를 통해 본 성과관리 사례 = 118
제4절 호주 정부의 성과관리의 특징과 한계 = 130
1. 호주 성과관리제도의 특징 = 130
2. 호주 성과관리제도의 한계 = 131
제5장 정부 성과관리 - 프랑스 = 134
제1절 서론 = 134
제2절 프랑스 성과관리의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 = 135
1. 잠재기: 1950∼60년대 = 135
2. 도입기: 1980년대 = 136
3. 형성기: 1990년대 = 136
4. 전성기: 2000년 이후 = 137
제3절 재정성과통합관리법(LOLF)에 의한 성과관리 = 138
1. 재정성과통합관리법(LOLF)의 도입 배경 = 138
2. 기본 방향 = 139
3. 성과관리 체계 = 140
4. 지방정부: 계획계약에 의한 성과관리 = 150
제4절 시사점 및 한계 = 152
1. 시사점 = 152
2. 한계 = 154
제5절 결론 = 157
제6장 사업 성과평가 - 미국 = 160
제1절 서론 = 160
제2절 미국 성과예산제도의 역사 = 161
1. 성과예산제도의 의의 = 161
2. 부시 행정부 이전의 성과예산제도 개혁 노력 = 162
3. 부시 행정부 이후의 성과예산제도 개혁 노력: PMA와 PART = 164
제3절 PART = 166
1. 평가 방식 및 절차 = 166
2. PART의 구성: 평가 항목 및 질문 문항 = 168
3. 사업 유형 = 171
제4절 PART 제도의 성과 및 한계 = 172
1. 성과 향상 = 173
2. PART의 유용성: 성과와 예산 간 연계 = 175
제7장 사업 성과평가 - 캐나다 = 181
제1절 서론 = 181
제2절 캐나다 재정성과관리제도의 변천 = 182
제3절 현행 성과관리 시스템 개요 = 185
제4절 성과관리 모델의 주요 특징 = 191
1. 모니터링과 평가의 병렬적 강조 = 191
2. 개별 부처 내에 평가조직 존재 = 192
3. 성과관리와 평가를 위해 개발된 견실한 하부 구조 = 192
4. 평가자의 독립성 및 중립성 = 193
5. 신뢰성 강화와 품질관리를 위한 강력한 감독 체계 = 193
6. 유연한 성과관리 및 평가 시스템 = 194
7. 성과관리 및 평가 시스템의 투명성 = 195
8. 능력 향상을 위한 지속적 노력 = 195
제5절 성과관리 및 평가 시스템의 성과 = 196
1. 성과관리와 평가활동에의 투자 = 196
2. 성과관리와 평가의 범위 = 197
3. 성과정보의 활용 = 198
4. 성과정보와 예산의 연계 = 199
제6절 정책적 시사점 = 200
1. 성과관리와 평가활동의 적절한 견인 수단 활용이 필요 = 200
2. 성과관리와 평가 시스템의 실행 = 201
3. 역량 강화의 중요성 = 202
제8장 사업 성과평가: 국고보조 사업 - 미국 = 205
제1절 서론 = 205
제2절 제도의 도입 및 변천 = 207
1. 국고보조금의 개념 및 유형 = 207
2. 제도의 도입 및 변화 = 208
제3절 국고보조사업의 성과관리 = 212
1. PART = 213
2. 국고보조사업의 성과관리제도 = 218
제4절 성과, 한계 및 개선 방안 = 223
제5절 결론 = 225
제9장 사업 성과평가: 국고보조사업 - 독일 = 230
제1절 독일의 이전재원에 대한 의의 = 230
제2절 독일의 보조금 = 232
1. 보조금 개념과 정책 기조 = 232
2. 연방 보조금정책의 배경 = 236
3. 보조금정책의 기준과 기준의 변화 = 238
제3절 보조금정책의 목표 설정과 성과관리 = 245
1. 목표 설정과 성과관리에 대한 인식의 출발 = 245
2. 보조금 성과관리의 모듈 = 247
제4절 평가의 기준이 되는 성과지표 = 249
1. 지표 활용의 의의 = 249
2. 성과평가지표 = 251
제10장 사업 성과평가: 국고보조사업 - 영국 = 255
제1절 영국의 지방정부 개관 = 255
제2절 영국의 지방재정 개요 = 258
제3절 영국의 보조금제도와 성과관리 = 260
1. 영국의 보조금제도(재정이전제도) = 260
2. 영국의 지방재정 성과관리의 기조: 2010년 이전 = 263
3. 영국의 보조금제도 성과관리: 현재 = 267
제4절 종합 및 결론 = 277
제11장 사업 성과평가: R&D사업 - EU = 280
제1절 유럽연합 R&D사업과 배경 = 280
제2절 유럽연합 R&D 현황과 제도적 변화 = 282
제3절 유럽연합 FP평가제도 및 운영 방식 = 285
1. 평가 체계 = 285
2. 평가의 목적 = 288
3. 평가 과정 및 절차 = 289
4. 평가 결과 및 결과의 활용 = 292
5. FP평가 변화 과정과 특징 = 293
제4절 제도의 성과 및 개선 방안 = 295
제12장 사업 성과평가: R&D사업 - 미국 = 299
제1절 서론 = 299
제2절 미국 R&D 성과평가제도의 도입 및 변천사 = 300
1. 미국 R&D 성과평가제도의 도입 배경 = 300
2. 미국 R&D 성과평가제도의 변천사 = 301
제3절 미국의 R&D 성과평가제도 및 운영 방식 = 303
1. 개관 = 303
2. 성과평가 체계 및 지표 = 306
3. 평가단 구성 = 313
4. 평가 단계 및 절차 = 316
5. 평가의 활용 = 320
제4절 미국 R&D 평가제도의 성과 및 한계 = 322
제13장 사업 성과평가: R&D사업 - 일본 = 326
제1절 일본의 성과평가제도 = 326
제2절 일본의 R&D 성과평가 제도 도입 배경과 변천 = 327
제3절 일본의 R&D 성과평가제도 및 운영 방식 = 329
1. 과학기술 R&D 추진 체계 = 329
2. R&D 성과평가 체계 = 331
제4절 일본의 R&D 성과평가제도가 가지는 함의 = 344
제14장 개인 성과평가 - 미국 = 347
제1절 성과 중심 인사관리제도 도입 = 347
제2절 성과 중심 인사관리제도 기본 방향과 특성 = 348
제3절 현행 성과 중심 인사관리 체계 및 주요 내용 = 350
1. 중앙인사기관 = 351
2. 목표관리제도 = 356
3. 근무성적평정 및 평정 방법 = 357
4. 실적보상제와 급여 통합 및 탄력적 직위분류제 = 359
5. 주정부 성과 중심 인사관리제도 운영과 특성 = 360
제4절 성과중심 인사관리제도의 성과와 한계 = 361
제15장 개인 성과평가 - 영국 = 366
제1절 영국 공무원 성과관리의 역사적 배경 = 366
제2절 영국 공무원제도의 개요 = 367
제3절 영국 공무원 성과관리제의 변천 = 369
제4절 고위공무원단(SCS)의 성과관리 = 371
1. 개관 = 371
2. 단계별 과정 = 372
3. 중ㆍ하위직 공무원의 성과관리 = 380
4. 제도의 성과와 한계 = 381
제16장 공공기관 성과평가 - 영국 = 386
제1절 제도 도입 배경 = 386
1. 공공기관의 등장 = 386
2. 제도 도입 및 변천 개괄 = 388
제2절 현행 성과관리제도의 이해 = 392
1. 일반적인 모습 = 392
2. 공공기관 성과관리 및 평가 = 397
제3절 결론 = 406
제17장 공공기관 성과평가 - 프랑스 = 410
제1절 프랑스의 공공기관과 공기업 = 410
제2절 프랑스 공기업의 성과관리제도 = 412
1. 공기업 성과관리제도 변천사 = 412
2. 공기업 평가관리제도의 구조 = 414
제3절 공기업 평가관리제도 및 운영 방식 = 415
1. 경영평가 주관기관 및 평가 시기 = 415
2. 평가지표 및 세부 내용 = 417
3. 경영평가 방법 = 423
4. 평가 결과의 활용 = 425
제4절 공기업 평가관리제도의 종합 및 시사점 = 426
제18장 공공기관 성과평가 - 싱가포르 = 429
제1절 제도 도입 배경 및 현황 = 429
1. 싱가포르의 정치, 경제적 배경 = 429
2. 제도 현황 = 431
제2절 제도 변천사: 싱가포르 공기업 공공기관 변천사, 현황 및 구조 = 432
1. 배경 = 432
2. 테마섹 모형 = 433
3. 테마섹 지배구조 = 435
4. 테마섹 재무 현황 = 438
제3절 현 제도 운영 방식 = 439
1. 싱가포르 정부기관의 성과관리 = 439
2. 공공기관의 성과평가 = 442
제4절 결론: 제도의 성과 및 한계 = 444
찾아보기 = 4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