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료유형
- 단행본
- ISBN
- 9788957044353 93350
- KDC
- 350.36-4
- 청구기호
- 350.36 한17ㄱ
- 서명/저자
- 공공부문 스마트워크(Smart Work) 추진에 따른 조직관리 혁신방안 / 최호진 ; 박상현 [공저]
- 발행사항
- 서울 : 한국행정연구원, 2012.
- 형태사항
- xxxvii, 372 p. : 도표 ; 25 cm
- 총서명
- KIPA 연구보고서 ; 2012-04
- 주기사항
- 연구책임자 : 최호진
- 주기사항
- 공동연구자 : 박상현
- 서지주기
- 참고문헌 : p.346-362
- 키워드
- 스마트워크
- 기타저자
- 최호진
- 기타저자
- 박상현
- 기타저자
- 한국행정연구원
- 통일총서명
- KIPA 연구보고서(한국행정연구원) ; 2012-04
- 가격
- 가격불명
- Control Number
- maf:32152
소장정보
서가번호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소장처 | 대출가능여부 | 대출정보 | |
---|---|---|---|---|---|---|
0022977 | 350.36 한17ㄱ | 농림축산식품부 자료실 | 대출가능 |
* 대출중인 자료에 한하여 예약이 가능합니다. 예약을 원하시면 예약버튼을 클릭하십시오.
008130520s2012 ulkd 000a kor
020 ▼a9788957044353▼g93350
056 ▼a350.36▼24
090 ▼a350.36▼b한17ㄱ
24510▼a공공부문 스마트워크(Smart Work) 추진에 따른 조직관리 혁신방안▼d최호진▼e박상현 [공저]
260 ▼a서울▼b한국행정연구원▼c2012.
300 ▼axxxvii, 372 p.▼b도표▼c25 cm
44000▼aKIPA 연구보고서▼v2012-04
50000▼a연구책임자 : 최호진
50000▼a공동연구자 : 박상현
504 ▼a참고문헌 : p.346-362
653 ▼a스마트워크
7001 ▼a최호진▼e연구책임자
7001 ▼a박상현▼e공동연구자
710 ▼a한국행정연구원
830 0▼aKIPA 연구보고서(한국행정연구원)▼v2012-04
9501 ▼a가격불명
제1장 서 론 - [최호진] = 1
제1절 연구의 배경 = 2
제2절 연구목적 및 내용 = 5
1. 연구의 목적 = 5
2. 주요 연구방향 및 내용 = 5
제3절 연구범위 및 방법 = 7
1. 연구의 범위 = 7
2. 연구추진방법 = 8
3. 연구분석의 틀 = 9
제2장 스마트워크 관련 이론적 검토 - [최호진] = 11
제1절 스마트워크의 개념 및 의의 = 12
1. 스마트워크의 등장배경 = 12
2. 스마트워크의 의의 = 14
3. 스마트워크의 개념 = 21
제2절 스마트워크의 유형과 특성 = 25
1. 스마트워크의 유형 = 25
2. 스마트워크의 특성 = 30
제3절 스마트워크 관련 선행연구의 검토 = 37
1. 조직혁신과 관련한 연구의 검토 = 37
2. 스마트워크의 제반 요인들과 관련한 연구의 검토 = 44
제3장 공공부문 스마트워크의 추진 현황 및 실태 - [최호진] = 53
제1절 스마트워크 추진 현황 = 54
1. 스마트워크 추진계획 = 54
2. 공공기관의 스마트워크 도입현황 = 55
3. 스마트워크센터 구축 및 운영현황 = 58
4. 스마트워크센터 이용절차 = 62
5. 스마트워크 인프라 조성 = 66
제2절 스마트워크의 추진체계 = 67
1. 스마트워크 추진협의회 = 67
2. 스마트워크포럼 = 69
제3절 스마트워크 추진을 위한 법제도 검토 = 70
1. 스마트워크 활성화를 위한 제도적 기반조성 = 73
2. 스마트워크 활성화를 위한 조직문화 개선 = 75
3. 스마트워크 촉진법 제정 추진 = 76
제4장 스마트워크 관련 국내외 사례 분석 - [최호진, 박상현] = 79
제1절 해외 선진국의 스마트워크 추진 사례 분석 = 80
1. 미국의 스마트워크 추진 사례 = 83
2. 영국의 스마트워크 추진 사례 = 114
3. 일본의 스마트워크 추진 사례 = 131
4. 유럽연합 국가들의 스마트워크 추진 사례 = 139
제2절 우리나라의 스마트워크 추진 사례 분석 = 148
1. 공공부문 차원 = 148
2. 민간기업 차원 = 152
제3절 사례 분석을 통한 시사점 도출 = 174
1. 해외 주요국의 추진 사례 분석을 통한 시사점 = 174
2. 우리나라의 추진 사례 분석을 통한 시사점 = 179
제5장 스마트워크 추진에 관한 인식조사결과 분석 - [최호진] = 185
제1절 인식조사의 설계와 방법 = 186
1. 인식조사의 설계와 방법 = 186
제2절 공무원 대상 설문조사 결과 분석 = 192
1. 스마트워크 추진의 필요성과 참여의사에 관한 분석 = 192
2. 스마트워크 추진의 중요성과 효과성에 관한 분석 = 205
3. 스마트워크 추진과 업무효율간 관계에 관한 분석 = 230
4. 스마트워크 추진의 문제점(장애요인)에 관한 분석 = 236
5. 스마트워크 추진 활성화를 위한 개선방안에 관한 분석 = 262
6. 스마트워크 추진 관련 거버넌스에 관한 분석 = 275
제3절 전문가 대상 심층면접조사 결과 분석 = 283
1. 스마트워크 추진의 효과성과 중요성에 관한 분석 = 283
2. 스마트워크 추진과 업무효율간 관계에 관한 분석 = 298
3. 스마트워크 추진의 문제점(장애요인)에 관한 분석 = 299
4. 효과적인 스마트워크 추진을 위한 우선적 고려 요인에 관한 분석 = 304
5. 스마트워크 적합직무(업무)의 발굴과 우선적 추진의 필요성에 관한 분석 = 305
제6장 스마트워크 추진의 문제점 분석 - [최호진] = 307
제1절 정보시스템 차원의 문제점(장애요인) = 308
1. 정보보안의 취약성 = 308
2. 온라인 협업을 위한 시스템 및 어플리케이션의 개발 미비 = 310
3. 시스템 접근의 편리성 제한 = 311
4. 신기술에 대비한 시스템 구축 노력 미흡 = 312
제2절 조직구조 및 운영 차원의 문제점(장애요인) = 313
1. 스마트워크 환경에 맞는 성과측정 및 평가방식의 미구축 = 313
2. 경직된 조직구조로 인한 유연성 부족 = 314
3. 대면지향적인 업무처리 방식 = 315
4. 스마트워크 대상자 및 적합직무의 선정 노력 부족 = 315
제3절 법/제도 차원의 문제점(장애요인) = 317
1. 체계적인 법/제도 개선 노력의 부족 = 317
2. 법규정의 강제성 부족 = 318
3. 성과평가시스템과 법제도의 연계 부족 = 319
제4절 인식 및 문화 차원의 문제점(장애요인) = 320
1. 기존 조직문화의 만연 = 320
2. 스마트워크에 대한 부정적 인식과 선입견 = 321
3. 스마트워크에 대한 공감대 형성 부족 = 322
제7장 공공부문 스마트워크 추진 활성화를 위한 조직관리 혁신방안 - [최호진] = 323
제1절 정보시스템 차원의 혁신방안 = 324
1. 정보보안 취약성의 개선 = 324
2. 어플리케이션 및 관련 기술의 개발 = 326
3. 시스템 접근 및 사용의 편리성 강화 = 327
4. 신기술을 반영한 시스템의 개선 = 328
제2절 조직구조 및 운영 차원의 혁신방안 = 330
1. 적실성있는 성과측정 및 평가방식의 마련 = 330
2. 조직구조의 유연성 강화 = 331
3. 업무처리방식의 변화 추진 = 333
4. 스마트워크 우선 대상자 및 대상직무의 선정 = 334
제3절 법/제도 차원의 혁신방안 = 336
1. 체계적이고 총괄적인 법/제도의 마련 = 336
2. 법규정의 강제성 강화 = 337
3. 성과평가시스템과의 연계성 강화 = 338
제4절 인식 및 문화 차원의 혁신방안 = 340
1. 기존 조직문화의 개선 = 340
2. 부정적 인식과 선입견의 개선 = 341
3. 공감대 형성의 개선(강화) = 343
참고문헌 = 345
부록 = 363
제1절 연구의 배경 = 2
제2절 연구목적 및 내용 = 5
1. 연구의 목적 = 5
2. 주요 연구방향 및 내용 = 5
제3절 연구범위 및 방법 = 7
1. 연구의 범위 = 7
2. 연구추진방법 = 8
3. 연구분석의 틀 = 9
제2장 스마트워크 관련 이론적 검토 - [최호진] = 11
제1절 스마트워크의 개념 및 의의 = 12
1. 스마트워크의 등장배경 = 12
2. 스마트워크의 의의 = 14
3. 스마트워크의 개념 = 21
제2절 스마트워크의 유형과 특성 = 25
1. 스마트워크의 유형 = 25
2. 스마트워크의 특성 = 30
제3절 스마트워크 관련 선행연구의 검토 = 37
1. 조직혁신과 관련한 연구의 검토 = 37
2. 스마트워크의 제반 요인들과 관련한 연구의 검토 = 44
제3장 공공부문 스마트워크의 추진 현황 및 실태 - [최호진] = 53
제1절 스마트워크 추진 현황 = 54
1. 스마트워크 추진계획 = 54
2. 공공기관의 스마트워크 도입현황 = 55
3. 스마트워크센터 구축 및 운영현황 = 58
4. 스마트워크센터 이용절차 = 62
5. 스마트워크 인프라 조성 = 66
제2절 스마트워크의 추진체계 = 67
1. 스마트워크 추진협의회 = 67
2. 스마트워크포럼 = 69
제3절 스마트워크 추진을 위한 법제도 검토 = 70
1. 스마트워크 활성화를 위한 제도적 기반조성 = 73
2. 스마트워크 활성화를 위한 조직문화 개선 = 75
3. 스마트워크 촉진법 제정 추진 = 76
제4장 스마트워크 관련 국내외 사례 분석 - [최호진, 박상현] = 79
제1절 해외 선진국의 스마트워크 추진 사례 분석 = 80
1. 미국의 스마트워크 추진 사례 = 83
2. 영국의 스마트워크 추진 사례 = 114
3. 일본의 스마트워크 추진 사례 = 131
4. 유럽연합 국가들의 스마트워크 추진 사례 = 139
제2절 우리나라의 스마트워크 추진 사례 분석 = 148
1. 공공부문 차원 = 148
2. 민간기업 차원 = 152
제3절 사례 분석을 통한 시사점 도출 = 174
1. 해외 주요국의 추진 사례 분석을 통한 시사점 = 174
2. 우리나라의 추진 사례 분석을 통한 시사점 = 179
제5장 스마트워크 추진에 관한 인식조사결과 분석 - [최호진] = 185
제1절 인식조사의 설계와 방법 = 186
1. 인식조사의 설계와 방법 = 186
제2절 공무원 대상 설문조사 결과 분석 = 192
1. 스마트워크 추진의 필요성과 참여의사에 관한 분석 = 192
2. 스마트워크 추진의 중요성과 효과성에 관한 분석 = 205
3. 스마트워크 추진과 업무효율간 관계에 관한 분석 = 230
4. 스마트워크 추진의 문제점(장애요인)에 관한 분석 = 236
5. 스마트워크 추진 활성화를 위한 개선방안에 관한 분석 = 262
6. 스마트워크 추진 관련 거버넌스에 관한 분석 = 275
제3절 전문가 대상 심층면접조사 결과 분석 = 283
1. 스마트워크 추진의 효과성과 중요성에 관한 분석 = 283
2. 스마트워크 추진과 업무효율간 관계에 관한 분석 = 298
3. 스마트워크 추진의 문제점(장애요인)에 관한 분석 = 299
4. 효과적인 스마트워크 추진을 위한 우선적 고려 요인에 관한 분석 = 304
5. 스마트워크 적합직무(업무)의 발굴과 우선적 추진의 필요성에 관한 분석 = 305
제6장 스마트워크 추진의 문제점 분석 - [최호진] = 307
제1절 정보시스템 차원의 문제점(장애요인) = 308
1. 정보보안의 취약성 = 308
2. 온라인 협업을 위한 시스템 및 어플리케이션의 개발 미비 = 310
3. 시스템 접근의 편리성 제한 = 311
4. 신기술에 대비한 시스템 구축 노력 미흡 = 312
제2절 조직구조 및 운영 차원의 문제점(장애요인) = 313
1. 스마트워크 환경에 맞는 성과측정 및 평가방식의 미구축 = 313
2. 경직된 조직구조로 인한 유연성 부족 = 314
3. 대면지향적인 업무처리 방식 = 315
4. 스마트워크 대상자 및 적합직무의 선정 노력 부족 = 315
제3절 법/제도 차원의 문제점(장애요인) = 317
1. 체계적인 법/제도 개선 노력의 부족 = 317
2. 법규정의 강제성 부족 = 318
3. 성과평가시스템과 법제도의 연계 부족 = 319
제4절 인식 및 문화 차원의 문제점(장애요인) = 320
1. 기존 조직문화의 만연 = 320
2. 스마트워크에 대한 부정적 인식과 선입견 = 321
3. 스마트워크에 대한 공감대 형성 부족 = 322
제7장 공공부문 스마트워크 추진 활성화를 위한 조직관리 혁신방안 - [최호진] = 323
제1절 정보시스템 차원의 혁신방안 = 324
1. 정보보안 취약성의 개선 = 324
2. 어플리케이션 및 관련 기술의 개발 = 326
3. 시스템 접근 및 사용의 편리성 강화 = 327
4. 신기술을 반영한 시스템의 개선 = 328
제2절 조직구조 및 운영 차원의 혁신방안 = 330
1. 적실성있는 성과측정 및 평가방식의 마련 = 330
2. 조직구조의 유연성 강화 = 331
3. 업무처리방식의 변화 추진 = 333
4. 스마트워크 우선 대상자 및 대상직무의 선정 = 334
제3절 법/제도 차원의 혁신방안 = 336
1. 체계적이고 총괄적인 법/제도의 마련 = 336
2. 법규정의 강제성 강화 = 337
3. 성과평가시스템과의 연계성 강화 = 338
제4절 인식 및 문화 차원의 혁신방안 = 340
1. 기존 조직문화의 개선 = 340
2. 부정적 인식과 선입견의 개선 = 341
3. 공감대 형성의 개선(강화) = 343
참고문헌 = 345
부록 = 3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