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료유형
- 전자자료
- KDC
- 520.7-4
- 청구기호
- 520.7 해62ㅎ
- 단체저자
- 해양수산부
- 서명/저자
- 자율관리어업 공동체 성과분석 및 평가시스템 개선방안 연구 / 해양수산부 ; 한국수산회 수산정책연구소 [공편]
- 발행사항
- [서울] : 한국수산회 수산정책연구소, 2007
- 형태사항
- 317 p. : 삽도 ; 전자파일
- 총서명
- 최종연구보고서
- 주기사항
- 연구책임자 : 이광남
- 주기사항
- 원문파일(pdf)로만 열람가능
- 서지주기
- 참고문헌 : p.304-305
- 기타저자
- 이광남
- 기타저자
- 한국수산회
- 가격
- 비매품
- Control Number
- maf:30128
소장정보
서가번호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소장처 | 대출가능여부 | 대출정보 | |
---|---|---|---|---|---|---|
EB00734 | EB : 520.7 해62ㅎ | 농림축산식품부 자료실 | 대출불가 |
* 대출중인 자료에 한하여 예약이 가능합니다. 예약을 원하시면 예약버튼을 클릭하십시오.
008120720s2007 ggk a korIB
056 ▼a520.7▼24
090 ▼a520.7▼b해62ㅎ
110 ▼a해양수산부
24500▼a자율관리어업 공동체 성과분석 및 평가시스템 개선방안 연구▼d해양수산부▼e한국수산회 수산정책연구소 [공편]
260 ▼a[서울]▼b한국수산회 수산정책연구소▼c2007
300 ▼a317 p.▼b삽도▼c전자파일
44000▼a최종연구보고서
50010▼a연구책임자 : 이광남
50010▼a원문파일(pdf)로만 열람가능
504 ▼a참고문헌 : p.304-305
7001 ▼a이광남
710 ▼a한국수산회▼a수산정책연구소
856 ▼uhttp://library.mafra.go.kr/skyblueimage/eb00734
9501 ▼a비매품
제1장 서론 = 86
제1절 연구 목적 및 필요성 = 86
1.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86
가. 연구의 목적 = 86
나. 필요성 = 87
제2절 연구내용 및 방법 = 89
제2장 여론전문기관 자율관리 추진 평가 = 95
제1절 조사의 개요 = 95
1. 조사의 배경 및 목적 = 95
가. 조사의 배경 = 95
나. 조사의 목적 = 96
2. 주요 조사 내용 = 96
3. 조사의 기본 설계 = 97
가. 표본 설계(Sample Design) = 97
나. 실사 설계(Fieldwork Design) = 97
다. 자료처리 및 분석(Data Processing & Analysis) = 98
라. 조사주관기관 : 한국갤럽조사연구소 = 98
4. 조사의 진행 과정 = 99
5. 조사 응답자 현황 = 100
가. 자율관리 공동체 = 100
나. 관련기관/전문가 = 100
제2절 조사 결과의 분석 = 101
1. 자율관리어업 운영 실태 = 101
가. 자율관리어업 시작년도 = 101
나. 자율관리어업 실시 분야 = 103
다. 공동체 내 구성원 규모 = 105
라. 수산물 판매 경로 = 108
2. 자율관리어업 효과 평가 = 111
가. 공동체 대표자의 자율관리어업 인식 수준 평가 = 111
나. 자율관리어업 참가 이유 = 112
다. 자율관리어업 효용성에 대한 인식 = 115
라. 자율관리어업 측면별 평가 = 118
1) 공통 문항 = 118
2) 단독 문항 - 관련기관/전문가 = 121
마. 자율관리어업 전반적 평가 = 122
바. 향후 자율관리어업 추진 방안 = 125
사. 공동체 구성원 가구 소득 평가 = 132
3. 교육 활동 평가 = 135
가. 자율관리어업 교육 경험 = 135
나. 교육 효과 평가 및 부정 평가 이유 = 139
다. 선호 자율관리어업 교육 유형 = 142
4. 정부지원사업 평가 = 145
가. 정부지원사업 경험 / 금액 = 145
나. 정부지원사업 포기/변경 이유 = 148
다. 정부지원사업 효과 평가 = 151
마. 정부 지원 부재 시 의견 = 154
5. 자율관리어업 문제점 진단 = 157
가. 부실 자율관리어업 공동체 증가에 대한 견해 = 157
나. 부실 운영 공동체 증가 이유 = 160
다. 자율관리어업 시행 시 주요 문제점 진단 = 163
1) 신청/선정 단계 = 163
2) 실시 단계 = 166
3) 사업 평가 단계 = 169
6. 자율관리어업 활성화 방안 고찰 = 172
제3절 요약 및 결론 = 175
1. 자율관리어업의 전반적 평가 = 175
2. 정부의 교육 활동 및 정부지원사업에 대한 평가 = 176
3. 자율관리어업 문제점 진단 및 활성화 방안 고찰 = 177
제3장 자율관리 공동체 평가제도 분석 = 178
제1절 자율관리 공동체 활동실태 = 178
1. 자율관리어업 개념 및 추진 현황 = 178
가. 자율관리어업 개념 = 178
나. 자율관리어업 도입 배경 = 180
다. 자율관리어업 추진 현황 = 181
라. 참여 공동체 유형 = 183
2. 유형별 자율관리어업 추진 현황 = 184
가. 일반적인 추진 현황 = 184
나. 유형별 주요사업 내용 = 186
1) 마을어업 = 186
2) 양식어업 = 187
3) 어선어업 = 188
4) 내수면어업 = 189
5) 복합어업 = 191
다. 유형별 활용내용 분석 = 192
1) 활동실태 개요 192
2) 유형별 활동실태 및 보완점 193
제2절 자율관리어업 평가제도 = 197
1. 평가시스템 분석 = 197
가. 2005년도 이전 = 197
1) 평가방법 = 197
2) 평가결과 활용 = 200
나. 2006년도 = 201
1) 평가시스템 개요 = 201
2) 평가단계별 평가내용 = 202
3) 공동체 등급 확정 = 203
4) 2006년 자율관리평가 문제점 = 204
2. 전자평가 보완 및 ‘06년도 하반기 평가지침 = 208
가. 보완배경 = 208
나. 주요 개선ㆍ보완내용 = 208
다. 전자실적 평가지침 = 209
제4장 자율관리 실시효과 측정지표 도출 = 212
제1절 측정방법 이론 및 사례 검토 = 213
1. 분석방법론 = 213
가. 정성적 방법 = 213
나. 정량적 방법 = 214
다. 정성 및 정량적 방법의 차이점 = 214
2. 유무검증 = 216
3. 편익의 현재가치화 = 217
가. 자율관리어업의 직접적 효과: 자원회복효과(생산자잉여) = 217
나. 자율관리어업의 간접적 효과: 소비자잉여의 증가 = 218
다. 자율관리어업의 간접적 효과: 어획비용의 감소 = 219
라. 자율관리어업의 간접적 효과: 기타의 효과 219
4. 일본 및 기타사례 = 220
가. 일본의 사례 = 220
1) 자율관리형어업 추진 현황 = 220
2) 자원관리형어업 정부지원 = 221
3) 실패 원인 및 정책방향 전환 = 222
4) 한국과 일본의 공동체 평가방법 비교 = 223
나. 통계청 어가평가지표 = 226
1) 어가의 생산성지표 = 226
2) 어가경제 안정성 지표 = 227
5. 소결 = 228
제2절 자율관리 평가 소득지표 개발(안) = 229
1. 평가목적 및 방향 = 229
2. 소득관련 용어의 정의 = 229
가. 어가수지 = 230
나. 어가부채 = 231
다. 어가자산 = 231
3. 자율관리 평가 소득지표 개발 대상 = 232
가. 어업에서 일반적인 소득의 개념 = 232
1) 어가소득 = 232
2) 어업소득 = 232
나. 자율관리 성과 측정 소득지표 대상 = 233
4. 자율관리 공동체 성과 소득지표 측정방법(안) = 234
가. 제1안 : 공식적인 어가소득자료 활용하여 측정 방법 = 234
1) 어가소득 변화 추이 = 234
2) 유형별 어가소득 = 235
3) 어가소득자료 기준 비교법(안) = 235
나. 제2안 : 통계청 어가경제조사 방법 준용 = 237
다. 제3안 : 수협중앙회 어촌계분류평정시 산출하는 방안 = 240
1) 어촌계분류평정시 소득 산출 방법 = 240
2) 어촌계 분류평정 활용 방안 = 242
5. 소득평가지표 평가방안 장단점 분석 = 243
6. 소결 = 245
가. 소득효과 측정 기본방안 245
나. 소득성과지표 개발(안) 246
1) 소득의 개념 = 246
2) 자료활용 및 표본의 추출 = 246
3) 조사 주체 및 조사 방법 = 247
4) 자료 처리 방법 = 248
5) 평가 유도 방법 = 248
6) 유형별 자율관리 소득성과 지표 작성(안) = 249
다. 자율관리 공동체 소득자료 활용 방안 = 253
1) 유형별 소득평가 현황 = 253
2) 공동체 소득자료 파악 및 활용 방안 = 254
제5장 자율관리공동체 평가시스템 구축(안) = 256
제1절 기관별 평가 문제점 및 개선방향 = 256
1. 공동체자체 평가 = 257
가. 평가문제점 분석 = 257
나. 개선방향 = 258
2. 지도자협의회 평가 = 259
가. 평가문제점 분석 = 259
나. 개선방향 = 260
3. 지방청 전자평가 = 261
가. 평가문제점 분석 = 261
나. 개선방향 = 262
4. 지역협의회 = 264
가. 자율관리 추진 관련 역할 = 264
나. 공동체 평가 참여 방향 = 264
5. 수협(중앙회) = 266
6. 소결 = 267
가. 기관별 평가 참여내용 및 개선방향 종합 = 267
나. 어업인 면담 및 현장조사 최소화 = 269
제2절 기관별 평가체계 개선(안) = 270
1. 평가체계 개선(안 = 270
2. 기관별 평가비중 개선(안) = 273
가. 제1안 : 현행 평가체계 유지 = 273
나. 제2안 : 예비평가/본 평가 구분, 지역협의회 참여 = 273
다. 제3안 : 예비평가/본 평가 구분, 지역협의회, 수협중앙회 참여 = 274
3. 평가개선(안) 장단점 분석 = 276
4. 기관별 평가 개선(안) 요약 = 277
5. 소결 = 279
제3절 참여기준 및 기관별 평가항목 개선(안) = 280
1. 자율관리 참여 구성원 기준 = 280
가. 참여 구성원 기준 필요성 = 280
나. 유형별/지방청별 참여공동체 구성원 수 = 281
1) 유형별 참여공동체 구성원 현황 = 281
2) 어촌계 최소 구성원 현황 = 289
다. 유형별 참여 최소 구성원 기준(안) 제시 = 292
2. 참여 공동체 유형별 기준 = 294
3. 기관별 평가개선(안) 기준 = 298
4. 시도 지도자협의회평가 개선(안) = 299
가. 평가항목 개선(안) 기준 = 299
나. 지도자 협의회 평가항목 개선(안) = 300
다. 지도자협의회 평가 절차 = 301
라. 지도자협의회 구성 및 평가위원 현황 = 302
5. 지역협의회 평가개선(안) = 304
가. 평가항목 선정 기준 = 304
나. 유형별 평가항목(안) = 305
1) 마을/양식어업 유형 = 305
2) 어선어업 유형 = 307
3) 복합어업 유형 = 309
4) 내수면어업 유형 = 311
다. 지역협의회 평가 절차 = 313
라. 지역협의회 구성 및 평가위원 현황 = 314
6. 지방청 전자평가 개선(안) = 316
가. 항목 개선(안) 기준 및 특징 = 316
1) 평가항목 개선(안) 기준 = 316
2) 평가 항목간의 특징 = 317
나. 유형별 전자평가 항목 개선(안) = 318
1) 평가서 개선(안)의 개요 = 318
2) 유형별 전자평가 항목 개선(안) = 320
3) 유형별 평가항목 구성 및 배점(안) = 323
다. 참여유형별 평가항목 및 점수 최종(안) = 333
라. 지방청 전자평가시 확인 서류 = 335
마. 전자평가 매뉴얼 = 338
1) 사업실시 여부(공통사항 ①) = 338
2) 회원참여율(공통사항 ②) = 339
3) 바/다 사업실적(공통사항 ③) = 339
7. 중앙 자율평가위원회 확인ㆍ점검 개선(안) = 354
제4절 평가프로그램 구축 개선(안) = 357
1. 평가시스템 구축 방향 = 357
2 평가시스템 구축 내용 = 357
가. 공동체 유형 관리 프로그램 개발 = 357
나. 평가항목 관리 프로그램 개발 = 358
다. 공동체 평가 프로그램 개발 = 358
제6장 공동체 평가시스탬 구축 로드맵 제시 = 362
제1절 현행 자율공동체 평가개선 방향 = 362
1. 현행 평가시스탬 개선 방향 = 362
2. 공동체 특성 고려 중장기적 권역별 평가방안 = 365
1) 다양한 자율관리 유형 존재 = 365
2) 유형별 분리한 평가항목들 = 366
3) 지역별/해역별에 근거한 평가개선방안(안) = 368
3. 평가자들에 대한 사전 교육 필요 = 369
4. 구체적 증거에 기초한 객관적 평가 필요 = 370
제2절 자율관리 활성화 방향 = 372
1. 자율관리 조기정착 방향 = 372
2. 자율관리 건설턴트 = 374
가. ‘06년도 추진결과 = 374
나. 향후 자율컨설턴트 운영방향 = 376
다. 세부추진 계획 = 376
라. 컨설턴트 활용방안 = 378
제3절 공동체 평가시스탬 구축 세부실천계획(안) = 380
1. 정책수립 필요성 및 목표 = 380
가. 정책수립 필요성 = 380
나. 정책목표 = 380
다. 추진 방향 = 381
2. 단계별 추진체계(안) = 381
가. 단계별 추진목표 및 체계 = 381
나. 단계별 세부추진 내용 = 382
1) 1단계 : 평가기준 및 기반조성단계 = 382
2) 2단계 : 상시평가 구축 단계 = 384
3) 3단계 : 민간차원 평가 정착 단계 = 384
3. 세부추진 로드맵(안) = 385
참고문헌 = 387
부록 1 : 자율관리 성과분석 설문지 = 389
부록 2 : 지방청 전자평가 메뉴얼 = 398
[별지] 정책연구과제 평가결과서 = 399
제1절 연구 목적 및 필요성 = 86
1.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86
가. 연구의 목적 = 86
나. 필요성 = 87
제2절 연구내용 및 방법 = 89
제2장 여론전문기관 자율관리 추진 평가 = 95
제1절 조사의 개요 = 95
1. 조사의 배경 및 목적 = 95
가. 조사의 배경 = 95
나. 조사의 목적 = 96
2. 주요 조사 내용 = 96
3. 조사의 기본 설계 = 97
가. 표본 설계(Sample Design) = 97
나. 실사 설계(Fieldwork Design) = 97
다. 자료처리 및 분석(Data Processing & Analysis) = 98
라. 조사주관기관 : 한국갤럽조사연구소 = 98
4. 조사의 진행 과정 = 99
5. 조사 응답자 현황 = 100
가. 자율관리 공동체 = 100
나. 관련기관/전문가 = 100
제2절 조사 결과의 분석 = 101
1. 자율관리어업 운영 실태 = 101
가. 자율관리어업 시작년도 = 101
나. 자율관리어업 실시 분야 = 103
다. 공동체 내 구성원 규모 = 105
라. 수산물 판매 경로 = 108
2. 자율관리어업 효과 평가 = 111
가. 공동체 대표자의 자율관리어업 인식 수준 평가 = 111
나. 자율관리어업 참가 이유 = 112
다. 자율관리어업 효용성에 대한 인식 = 115
라. 자율관리어업 측면별 평가 = 118
1) 공통 문항 = 118
2) 단독 문항 - 관련기관/전문가 = 121
마. 자율관리어업 전반적 평가 = 122
바. 향후 자율관리어업 추진 방안 = 125
사. 공동체 구성원 가구 소득 평가 = 132
3. 교육 활동 평가 = 135
가. 자율관리어업 교육 경험 = 135
나. 교육 효과 평가 및 부정 평가 이유 = 139
다. 선호 자율관리어업 교육 유형 = 142
4. 정부지원사업 평가 = 145
가. 정부지원사업 경험 / 금액 = 145
나. 정부지원사업 포기/변경 이유 = 148
다. 정부지원사업 효과 평가 = 151
마. 정부 지원 부재 시 의견 = 154
5. 자율관리어업 문제점 진단 = 157
가. 부실 자율관리어업 공동체 증가에 대한 견해 = 157
나. 부실 운영 공동체 증가 이유 = 160
다. 자율관리어업 시행 시 주요 문제점 진단 = 163
1) 신청/선정 단계 = 163
2) 실시 단계 = 166
3) 사업 평가 단계 = 169
6. 자율관리어업 활성화 방안 고찰 = 172
제3절 요약 및 결론 = 175
1. 자율관리어업의 전반적 평가 = 175
2. 정부의 교육 활동 및 정부지원사업에 대한 평가 = 176
3. 자율관리어업 문제점 진단 및 활성화 방안 고찰 = 177
제3장 자율관리 공동체 평가제도 분석 = 178
제1절 자율관리 공동체 활동실태 = 178
1. 자율관리어업 개념 및 추진 현황 = 178
가. 자율관리어업 개념 = 178
나. 자율관리어업 도입 배경 = 180
다. 자율관리어업 추진 현황 = 181
라. 참여 공동체 유형 = 183
2. 유형별 자율관리어업 추진 현황 = 184
가. 일반적인 추진 현황 = 184
나. 유형별 주요사업 내용 = 186
1) 마을어업 = 186
2) 양식어업 = 187
3) 어선어업 = 188
4) 내수면어업 = 189
5) 복합어업 = 191
다. 유형별 활용내용 분석 = 192
1) 활동실태 개요 192
2) 유형별 활동실태 및 보완점 193
제2절 자율관리어업 평가제도 = 197
1. 평가시스템 분석 = 197
가. 2005년도 이전 = 197
1) 평가방법 = 197
2) 평가결과 활용 = 200
나. 2006년도 = 201
1) 평가시스템 개요 = 201
2) 평가단계별 평가내용 = 202
3) 공동체 등급 확정 = 203
4) 2006년 자율관리평가 문제점 = 204
2. 전자평가 보완 및 ‘06년도 하반기 평가지침 = 208
가. 보완배경 = 208
나. 주요 개선ㆍ보완내용 = 208
다. 전자실적 평가지침 = 209
제4장 자율관리 실시효과 측정지표 도출 = 212
제1절 측정방법 이론 및 사례 검토 = 213
1. 분석방법론 = 213
가. 정성적 방법 = 213
나. 정량적 방법 = 214
다. 정성 및 정량적 방법의 차이점 = 214
2. 유무검증 = 216
3. 편익의 현재가치화 = 217
가. 자율관리어업의 직접적 효과: 자원회복효과(생산자잉여) = 217
나. 자율관리어업의 간접적 효과: 소비자잉여의 증가 = 218
다. 자율관리어업의 간접적 효과: 어획비용의 감소 = 219
라. 자율관리어업의 간접적 효과: 기타의 효과 219
4. 일본 및 기타사례 = 220
가. 일본의 사례 = 220
1) 자율관리형어업 추진 현황 = 220
2) 자원관리형어업 정부지원 = 221
3) 실패 원인 및 정책방향 전환 = 222
4) 한국과 일본의 공동체 평가방법 비교 = 223
나. 통계청 어가평가지표 = 226
1) 어가의 생산성지표 = 226
2) 어가경제 안정성 지표 = 227
5. 소결 = 228
제2절 자율관리 평가 소득지표 개발(안) = 229
1. 평가목적 및 방향 = 229
2. 소득관련 용어의 정의 = 229
가. 어가수지 = 230
나. 어가부채 = 231
다. 어가자산 = 231
3. 자율관리 평가 소득지표 개발 대상 = 232
가. 어업에서 일반적인 소득의 개념 = 232
1) 어가소득 = 232
2) 어업소득 = 232
나. 자율관리 성과 측정 소득지표 대상 = 233
4. 자율관리 공동체 성과 소득지표 측정방법(안) = 234
가. 제1안 : 공식적인 어가소득자료 활용하여 측정 방법 = 234
1) 어가소득 변화 추이 = 234
2) 유형별 어가소득 = 235
3) 어가소득자료 기준 비교법(안) = 235
나. 제2안 : 통계청 어가경제조사 방법 준용 = 237
다. 제3안 : 수협중앙회 어촌계분류평정시 산출하는 방안 = 240
1) 어촌계분류평정시 소득 산출 방법 = 240
2) 어촌계 분류평정 활용 방안 = 242
5. 소득평가지표 평가방안 장단점 분석 = 243
6. 소결 = 245
가. 소득효과 측정 기본방안 245
나. 소득성과지표 개발(안) 246
1) 소득의 개념 = 246
2) 자료활용 및 표본의 추출 = 246
3) 조사 주체 및 조사 방법 = 247
4) 자료 처리 방법 = 248
5) 평가 유도 방법 = 248
6) 유형별 자율관리 소득성과 지표 작성(안) = 249
다. 자율관리 공동체 소득자료 활용 방안 = 253
1) 유형별 소득평가 현황 = 253
2) 공동체 소득자료 파악 및 활용 방안 = 254
제5장 자율관리공동체 평가시스템 구축(안) = 256
제1절 기관별 평가 문제점 및 개선방향 = 256
1. 공동체자체 평가 = 257
가. 평가문제점 분석 = 257
나. 개선방향 = 258
2. 지도자협의회 평가 = 259
가. 평가문제점 분석 = 259
나. 개선방향 = 260
3. 지방청 전자평가 = 261
가. 평가문제점 분석 = 261
나. 개선방향 = 262
4. 지역협의회 = 264
가. 자율관리 추진 관련 역할 = 264
나. 공동체 평가 참여 방향 = 264
5. 수협(중앙회) = 266
6. 소결 = 267
가. 기관별 평가 참여내용 및 개선방향 종합 = 267
나. 어업인 면담 및 현장조사 최소화 = 269
제2절 기관별 평가체계 개선(안) = 270
1. 평가체계 개선(안 = 270
2. 기관별 평가비중 개선(안) = 273
가. 제1안 : 현행 평가체계 유지 = 273
나. 제2안 : 예비평가/본 평가 구분, 지역협의회 참여 = 273
다. 제3안 : 예비평가/본 평가 구분, 지역협의회, 수협중앙회 참여 = 274
3. 평가개선(안) 장단점 분석 = 276
4. 기관별 평가 개선(안) 요약 = 277
5. 소결 = 279
제3절 참여기준 및 기관별 평가항목 개선(안) = 280
1. 자율관리 참여 구성원 기준 = 280
가. 참여 구성원 기준 필요성 = 280
나. 유형별/지방청별 참여공동체 구성원 수 = 281
1) 유형별 참여공동체 구성원 현황 = 281
2) 어촌계 최소 구성원 현황 = 289
다. 유형별 참여 최소 구성원 기준(안) 제시 = 292
2. 참여 공동체 유형별 기준 = 294
3. 기관별 평가개선(안) 기준 = 298
4. 시도 지도자협의회평가 개선(안) = 299
가. 평가항목 개선(안) 기준 = 299
나. 지도자 협의회 평가항목 개선(안) = 300
다. 지도자협의회 평가 절차 = 301
라. 지도자협의회 구성 및 평가위원 현황 = 302
5. 지역협의회 평가개선(안) = 304
가. 평가항목 선정 기준 = 304
나. 유형별 평가항목(안) = 305
1) 마을/양식어업 유형 = 305
2) 어선어업 유형 = 307
3) 복합어업 유형 = 309
4) 내수면어업 유형 = 311
다. 지역협의회 평가 절차 = 313
라. 지역협의회 구성 및 평가위원 현황 = 314
6. 지방청 전자평가 개선(안) = 316
가. 항목 개선(안) 기준 및 특징 = 316
1) 평가항목 개선(안) 기준 = 316
2) 평가 항목간의 특징 = 317
나. 유형별 전자평가 항목 개선(안) = 318
1) 평가서 개선(안)의 개요 = 318
2) 유형별 전자평가 항목 개선(안) = 320
3) 유형별 평가항목 구성 및 배점(안) = 323
다. 참여유형별 평가항목 및 점수 최종(안) = 333
라. 지방청 전자평가시 확인 서류 = 335
마. 전자평가 매뉴얼 = 338
1) 사업실시 여부(공통사항 ①) = 338
2) 회원참여율(공통사항 ②) = 339
3) 바/다 사업실적(공통사항 ③) = 339
7. 중앙 자율평가위원회 확인ㆍ점검 개선(안) = 354
제4절 평가프로그램 구축 개선(안) = 357
1. 평가시스템 구축 방향 = 357
2 평가시스템 구축 내용 = 357
가. 공동체 유형 관리 프로그램 개발 = 357
나. 평가항목 관리 프로그램 개발 = 358
다. 공동체 평가 프로그램 개발 = 358
제6장 공동체 평가시스탬 구축 로드맵 제시 = 362
제1절 현행 자율공동체 평가개선 방향 = 362
1. 현행 평가시스탬 개선 방향 = 362
2. 공동체 특성 고려 중장기적 권역별 평가방안 = 365
1) 다양한 자율관리 유형 존재 = 365
2) 유형별 분리한 평가항목들 = 366
3) 지역별/해역별에 근거한 평가개선방안(안) = 368
3. 평가자들에 대한 사전 교육 필요 = 369
4. 구체적 증거에 기초한 객관적 평가 필요 = 370
제2절 자율관리 활성화 방향 = 372
1. 자율관리 조기정착 방향 = 372
2. 자율관리 건설턴트 = 374
가. ‘06년도 추진결과 = 374
나. 향후 자율컨설턴트 운영방향 = 376
다. 세부추진 계획 = 376
라. 컨설턴트 활용방안 = 378
제3절 공동체 평가시스탬 구축 세부실천계획(안) = 380
1. 정책수립 필요성 및 목표 = 380
가. 정책수립 필요성 = 380
나. 정책목표 = 380
다. 추진 방향 = 381
2. 단계별 추진체계(안) = 381
가. 단계별 추진목표 및 체계 = 381
나. 단계별 세부추진 내용 = 382
1) 1단계 : 평가기준 및 기반조성단계 = 382
2) 2단계 : 상시평가 구축 단계 = 384
3) 3단계 : 민간차원 평가 정착 단계 = 384
3. 세부추진 로드맵(안) = 385
참고문헌 = 387
부록 1 : 자율관리 성과분석 설문지 = 389
부록 2 : 지방청 전자평가 메뉴얼 = 398
[별지] 정책연구과제 평가결과서 = 3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