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정보

HOME > 상세정보

중국 불법어업 대응방안 연구 / 농림수산식품부 지도안전과 ; 한국해양수산개발원 [공편]
  • 국적:한국
자료유형
전자자료
KDC
520.7-4
청구기호
520.7 농239ㅈ
단체저자
농림수산식품부 지도안전과
서명/저자
중국 불법어업 대응방안 연구 / 농림수산식품부 지도안전과 ; 한국해양수산개발원 [공편]
발행사항
[부산] : 한국해양수산개발원, 2012
형태사항
v, 179 p. : 삽도 ; 전자파일
총서명
최종연구보고서
주기사항
연구책임자 : 김대영
주기사항
원문파일(pdf)로만 열람가능
주기사항
책자는 해양수산부 자료실로 이관한 자료임
주기사항
발간등록번호 : 11-1541000-001306-01
서지주기
참고문헌 : p.105-107
기타저자
김대영
기타저자
한국해양수산개발원
기타저자
농림부
기타저자
농수산부
기타저자
농림수산부
기타저자
농림축산식품부
원문 보기
원문정보보기
가격
비매품
Control Number
maf:30048

소장정보

 
소장자료
서가번호 등록번호 청구기호 소장처 대출가능여부 대출정보
EB01550 EB :  520.7 농239ㅈ   해양수산부 자료실로 이관 대출불가    
* 대출중인 자료에 한하여 예약이 가능합니다. 예약을 원하시면 예약버튼을 클릭하십시오.
신규검색 간략정보이동 상세정보출력 마크정보

 008120621s2012    bnk       d      a  korIA
 056  ▼a520.7▼24
 090  ▼a520.7▼b농239ㅈ
 110  ▼a농림수산식품부▼b지도안전과
 24500▼a중국 불법어업 대응방안 연구▼d농림수산식품부 지도안전과▼e한국해양수산개발원 [공편]
 260  ▼a[부산]▼b한국해양수산개발원▼c2012
 300  ▼av, 179 p.▼b삽도▼c전자파일
 44000▼a최종연구보고서
 50000▼a연구책임자 : 김대영
 50010▼a원문파일(pdf)로만 열람가능
 50010▼a책자는 해양수산부 자료실로 이관한 자료임
 50010▼a발간등록번호 : 11-1541000-001306-01
 504  ▼a참고문헌 : p.105-107
 7001 ▼a김대영
 710  ▼a한국해양수산개발원
 710  ▼a농림부
 710  ▼a농수산부
 710  ▼a농림수산부
 710  ▼a농림축산식품부
 856  ▼uhttp://library.mafra.go.kr/skyblueimage/eb01550
 9501 ▼a비매품
목차정보보기
제1장  연구 개요 = 3
 제1절  연구 배경 및 목적 = 3
  1. 연구 배경 = 3
  2. 연구 목적 = 4
 제2절  연구 범위 및 추진체계 = 5
  1. 연구 범위 및 구성 = 5
  2. 연구 방법 및 추진체계 = 6

제2장  동북아의 새로운 어업 질서 및 어업자원관리 과제 = 11
 제1절  한중일 EEZ체계에 대한 대응 = 11
  1. 어업세력의 변화 = 11
  2. 유엔해양법협약의 비준과 EEZ 설정 = 12
  3. EEZ체제에 대한 각국의 어업이해 = 13
 제2절  신어업협정의 체결과 내용 = 16
  1. 신어업협정의 체결 = 16
  2. 신어업협정의 내용 = 17
  3. EEZ 상호입어 = 17
 제3절  공동이용수역의 성격과 자원관리 = 21
  1. 공동이용수역의 성격 = 21
  2. 공동이용수역의 자원관리 = 21
 제4절  한중일 어업재편과 어업관리 = 24
  1. 중국의 어업재편과 어업관리 = 24
  2. 한국의 어업재편과 어업관리 = 24
  3. 일본의 어업재편과 어업관리 = 25
 제5절  동북아 EEZ체제의 특징과 공동어업관리 = 27
  1. 신어업질서의 변칙성 = 27
  2. EEZ수역에서의 조업 = 27
  3. 공동이용수역에서의 공동어업관리 = 29

제3장  중국의 어업정책과 당면과제 및 전망 = 35
 제1절  중국의 어업 발전 현황 = 35
  1. 어업 구조조정의 순조로운 진행 = 35
  2. 어업자원 회복 사업 = 36
  3. 어업 현대화 사업 = 37
  4. 국제 어업자원관리에 적극 참여 = 38
  5. 어업관리의 성가 = 38
 제2절  현재의 당면 과제 = 40
  1. 어업 자원 감소 = 40
  2. 어업경제 구조의 문제 = 40
  3. 어업기반시설의 낙후 문제 = 40
  4. 어업인 이익 보호 문제 = 41
 제3절  문제 해결을 위한 제언 = 43
  1. 현대 어업 적극 발전 = 43
  2. 수산물 가공산업 발전 = 43
  3. 수산물 수입 확대 = 43
  4. 어항 건설 = 44
 제4절  지속가능한 발전에 대한 전망 = 45
 제5절  소결 = 48

제4장  국제법적 측면에서의 한중 어업질서 과제 = 51
 제1절  한중 어업질서와 중국과의 어업협상 경위 = 51
  1. 유엔해양법 협약과 한중 어업질서 = 51
  2. 중국과의 어업협상 경위 = 53
 제2절  한중 어업협정의 내용 = 55
  1. 적용대상 및 범위 = 55  
  2. 어업협정 주요 내용 = 56
 제3절  어업규제 관련 국제법규 = 61
  1. 유엔해양법협약 = 61
  2 Code of Conduct for Responsible Fisheries = 62
  3. IUU어업 = 63
 제4절  한중 어업 간 국제법적 협력방안 및 추진과제 = 65
  1. 협력방안 = 65
  2. 추진과제 = 65

제5장  한중 어업질서 진단 및 중국 불법어업 대응방안 = 71
 제1절  한중 어업질서 이행 실태 = 71
  1. 동북아 EEZ체제와 한중 어업협정 개요 = 71
  2. 한중 EEZ 상호입어 동향 = 75
  3. 한중 EEZ 상호입어 성과와 한계 = 82
 제2절  한중 어업관리 현황 및 중국 어업정책 동향 = 84
  1. 한중 어업관리정책의 비교 = 84
  2. 중국의 어업생산구조 및 정책 동향 = 90
 제3절  중국 불법어업 지도단속 현황 = 95
  1. 중국 불법어업 단속현황 및 문제점 = 95
  2. 중국 불법어업의 특징 및 발생원인 = 97
 제4절  중국 불법어업 대응방안 = 99
  1. 한중 어업협력의 필요성 = 99
  2. 중국 불법어업 대응전략 및 추진과제 = 100

참고문헌 = 105
부록 = 111
 1. 한중 어업협력 증진을 위한 국제학술대회 발표자료 = 111
 2. 한중 어업협력 증진을 위한 국제학술대회 결과보고 = 1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