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료유형
- 전자자료
- KDC
- 520.7-4
- 청구기호
- 520.7 농239ㅇ
- 단체저자
- 농림수산식품부 자원환경과
- 서명/저자
- 어장환경 실태조사 : 3차(2010) 보고서 / 농림수산식품부 자원환경과 ; 국립수산과학원 [공편]
- 발행사항
- [과천] : 농림수산식품부 자원환경과, 2011
- 형태사항
- l, 5, 611 p. : 삽도 ; 전자파일
- 총서명
- 최종연구보고서
- 주기사항
- 연구책임자: 이원찬
- 주기사항
- 원문파일(pdf)로만 열람가능
- 주기사항
- 책자는 해양수산부 자료실로 이관한 자료임
- 주기사항
- 발간등록번호 : 11-1541000-000899-01
- 서지주기
- 참고문헌 : p.590-611
- 기타저자
- 이원찬
- 기타저자
- 국립수산과학원
- 기타저자
- 농림부
- 기타저자
- 농수산부
- 기타저자
- 농림수산부
- 기타저자
- 농림축산식품부
- 가격
- 비매품
- Control Number
- maf:29989
소장정보
서가번호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소장처 | 대출가능여부 | 대출정보 | |
---|---|---|---|---|---|---|
EB01501 | EB : 520.7 농239ㅇ | 해양수산부 자료실로 이관 | 대출불가 |
* 대출중인 자료에 한하여 예약이 가능합니다. 예약을 원하시면 예약버튼을 클릭하십시오.
008120608s2011 ggk d a korIA
056 ▼a520.7▼24
090 ▼a520.7▼b농239ㅇ
110 ▼a농림수산식품부▼b자원환경과
24510▼a어장환경 실태조사▼b3차(2010) 보고서▼d농림수산식품부 자원환경과▼e국립수산과학원 [공편]
260 ▼a[과천]▼b농림수산식품부 자원환경과▼c2011
300 ▼al, 5, 611 p.▼b삽도▼c전자파일
44000▼a최종연구보고서
50000▼a연구책임자: 이원찬
50010▼a원문파일(pdf)로만 열람가능
50010▼a책자는 해양수산부 자료실로 이관한 자료임
50010▼a발간등록번호 : 11-1541000-000899-01
504 ▼a참고문헌 : p.590-611
7001 ▼a이원찬
710 ▼a국립수산과학원
710 ▼a농림부
710 ▼a농수산부
710 ▼a농림수산부
710 ▼a농림축산식품부
856 ▼uhttp://library.mafra.go.kr/skyblueimage/eb01501
9501 ▼a비매품
제1장 서론 = 1
1.1 과업의 배경 및 필요성 = 3
1.2 과업의 목적 = 4
1.3 과업의 범위 = 4
1.3.1 시간적 범위 = 4
1.3.2 공간적 범위 = 5
1.3.3 내용적 범위 = 5
1.4 과업의 수행체계 = 5
제2장 연구내용 및 방법 = 7
2.1 조사항목 및 대상해역 = 9
2.1.1 조사항목 = 9
2.1.2 대상해역 및 조사지점 = 10
2.2 하천부하량 = 12
2.2.1 하천조사 지점 = 12
2.2.2 하천조사 내용 = 14
2.3 수질환경 = 14
2.3.1 채수 및 현장관측 = 14
2.3.2 용존산소(DO), 부유물질(SS) 및 화학적산소요구량(COD) = 14
2.3.3 영양염류(Nutrients) = 15
2.3.4 총 유기탄소(TOC) = 15
2.3.5 엽록소 a 및 식물플랑크톤 색소 = 16
2.4 퇴적물환경 = 16
2.4.1 입도 = 16
2.4.2 화학적산소요구량(COD) 및 강열감량(IL) = 16
2.4.3 산휘발성 황화물(AVS) = 16
2.4.4 총유기탄소(TOC) 및 총질소(TN) = 17
2.4.5 산소소비속도(SOD) 및 영양염 용출량 = 17
2.4.6 입자물질 침강량 = 17
2.5 저서동물 = 18
2.6 가두리 퇴적물의 유기물 분해능력 = 19
2.6.1 조사지역 및 현장조사 = 19
2.6.2 퇴적물 분석 = 20
2.6.3 퇴적물 내 미생물 군집 다양성 = 22
2.7 미량금속 = 23
2.7.1 표층 퇴적물의 미량금속 분석 = 23
2.7.2 금속원소의 오염평가 = 24
2.8 먹이물질 = 25
2.8.1 기초생산력 = 25
2.8.2 입자(유기)물질, 입자유기원소 및 생화학조성 = 26
2.8.3 HPLC를 이용한 광합성색소 = 27
2.8.4 안정동위원소 = 28
2.9 양식생물 생태 = 29
2.9.1 생물별 생태조사 = 29
2.9.2 어장별 생태조사 = 30
2.10 양식생물 생리 = 31
2.10.1 전복, 키조개 생리조사 = 31
2.10.2 어류 생리조사 = 32
2.10.3 미역, 다시마 생리조사 = 33
제3장 득량만 어장환경 실태 = 39
3.1 하천부하량 = 41
3.1.1 하천유량 = 41
3.1.2 부유물질(SS) = 42
3.1.3 화학적산소요구량(COD) = 42
3.1.4 용존무기질소(DIN) = 45
3.1.5 용존무기인(DIP) = 45
3.1.6 총질소(TN) = 48
3.1.7 총인(TP) = 48
3.1.8 총유기탄소(TOC) = 51
3.2 해양 수질 조사 = 53
3.2.1 수온, pH 및 염분 = 53
3.2.2 용존산소, 부유물질, 화학적산소요구량 및 식물플랑크톤 농도 = 54
3.2.3 유기물함량 = 65
3.2.4 영양염 = 65
3.3 해양 퇴적물 환경 = 79
3.3.1 입도 = 79
3.3.2 유기물항목 = 80
3.3.3 산휘발성황화물 = 86
3.3.4 침강·용출량 = 88
3.4 저서동물 = 92
3.4.1 대형저서동물군집 현황 = 92
3.4.2 저서다모류군집 현황 = 94
3.4.3 우점 저서다모류 현황 및 분포 = 96
3.4.4 생태지수 분석 = 100
3.4.5 군집 분석 = 102
3.5 미량금속 = 104
3.5.1 표층 퇴적물의 미량금속 = 104
3.5.2 표충 퇴적물 내 금속원소의 오염평가 = 104
3.6 먹이물질 = 106
3.6.1 기초생산력 = 106
3.6.2 이화학적 특성 = 107
3.6.3 생화학적 조성 = 110
3.6.4 광합성색소 분석 = 110
3.6.5 먹이물질 및 양식생물의 탄소 및 질소 안정동위원소 조성 = 112
3.7 양식생물 생태 = 117
3.7.1 키조개의 생태 = 117
3.7.2 새꼬막의 생태 = 129
제4장 완도도암만 어장환경 실태 = 133
4.1 하천부하량 = 135
4.1.1 하천유량 = 135
4.1.2 부유물질(SS) = 136
4.1.3 화학적산소요구량(COD) = 136
4.1.4 용존무기질소(DIN) = 139
4.1.5 용존무기인(DIP) = 139
4.1.6 총질소(TN) = 142
4.1.7 총인(TP) = 142
4.1.8 총유기탄소(TOC) = 145
4.2 해양 수질 조사 = 147
4.2.1 수온, PH 및 염분 = 147
4.2.2 용존산소, 부유물질, 화학적산소요구량 및 식물플랑크톤 농도 = 148
4.2.3 유기물함량 = 159
4.2.4 영양염 = 159
4.3 해양 퇴적물 환경 = 173
4.3..1 입도 = 173
4.3.2 유기물항목 = 174
4.3.3 산휘발성황화물(AVS) = 180
4.3.4 침강·용출량 = 182
4.4 저서동물 = 186
4.4.1 대형저서동물군집 현황 = 186
4.4.2 저서다모류군집 현황 = 188
4.4.3 우점 저서다모류 현황 및 분포 = 190
4.4.4 생태지수 분석 = 194
4.4.5 군집 분석 = 196
4.5 미량금속 = 198
4.5.1 표층 퇴적물의 미량금속 = 198
4.5.2 표층 퇴적물 내 금속원소의 오염평가 = 198
제5장 가두리양식장 어장환경 실태 = 201
5.1 수질환경 = 203
5.1.1 수온 및 염분 = 203
5.1.2 용존산소, 화학적산소요구량 및 엽록소 a 농도 = 207
5.1.3 총부유물질 및 유기물함량 = 212
5.1.4 영양염류 = 220
5.2 퇴적물환경 = 224
5.2.1 입도 = 224
5.2.2 유기물항목 = 226
5.2.3 산휘발성황화물 = 235
5.2.4 침강·용출량 = 238
5.2.5 주상퇴적물 내 유기물의 수직분포 = 250
5.3 저서동물 = 253
5.3.1 출현 종 수 = 253
5.3.2 다모류군집의 밀도 = 255
5.3.3 생태학적 지수 = 258
5.3.4 우점종의 분포양상 = 260
5.3.5 유사도 분석 = 267
5.4 미량금속 = 270
5.4.1 표층 퇴적물의 미량금속 = 270
5.4.2 주상퇴적물 내 미량금속 = 279
5.5 유기물 분해능력 = 283
5.5.1 수질환경 = 283
5.5.2 완도 양식장 = 284
5.5.3 통영 양식장 = 305
5.5.4 여수 양식장 = 319
5.5.5 결론 = 333
5.6 양식생물 생태 = 339
5.6.1 전복의 생태 = 339
5.6.2 어류의 생태 = 346
5.7 양식생물 생리 = 347
5.7.1 전복의 생리 = 347
5.7.2 어류(조피볼락)의 생태 = 349
제6장 해조류 환경생태 · 생리 = 353
6.1 해조류 환경생태 = 355
6.1.1 해조류양식 현황 및 실태 = 355
6.1.2 해조류 양식장 해황 = 367
6.1.3 해조류 성장도 = 372
6.1.4 해조류 생태조사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 385
6.1.5 제언 = 390
6.2 해조류 환경생리 = 392
6.2.1 내재적 광합성 및 호흡률 = 393
6.2.2 내재적 전자전달 효율 및 색소 함량 = 402
6.2.3 수온에 따른 해조류의 생장 = 408
6.2.4 광량과 광질에 따른 해조류의 생장 = 426
6.2.5 현장 수심별 광투과량 및 광파장 = 434
6.2.6 영양염 흡수율 = 439
제7장 어장관리해역 후보지 선정 및 어장관리법 전부개정(안) 수립 = 449
7.1 개요 = 451
7.1.1 연구 배경 및 목적 = 451
7.1.2 연구 내용 및 추진 체계 = 451
7.2 어장관리해역 후보지 선정 = 453
7.2.1 어장관리해역 후보지 선정 방법 = 453
7.2.2 어장관리해역 후보지 선정 결과 = 454
7.2.2.1 통영시 = 454
7.2.2.2 고성군 = 461
7.2.2.3 여수시 = 469
7.2.2.4 순천시 = 476
7.2.2.5 보성군 = 482
7.2.2.6 고흥군 = 489
7.3 어장관리법 전부개정(안) 수립 = 492
7.3.1 현행 어장관리법의 한계 = 492
7.3.2 어장관리법 개정 법률(안) = 493
7.4 소결 = 522
제8장 부록 = 525
8.1 득량만 조사결과 = 527
8.2 완도 · 도암만 조사결과 = 559
8.3 해조류 생태 조사결과 = 583
8.4 참고문헌 = 590
1.1 과업의 배경 및 필요성 = 3
1.2 과업의 목적 = 4
1.3 과업의 범위 = 4
1.3.1 시간적 범위 = 4
1.3.2 공간적 범위 = 5
1.3.3 내용적 범위 = 5
1.4 과업의 수행체계 = 5
제2장 연구내용 및 방법 = 7
2.1 조사항목 및 대상해역 = 9
2.1.1 조사항목 = 9
2.1.2 대상해역 및 조사지점 = 10
2.2 하천부하량 = 12
2.2.1 하천조사 지점 = 12
2.2.2 하천조사 내용 = 14
2.3 수질환경 = 14
2.3.1 채수 및 현장관측 = 14
2.3.2 용존산소(DO), 부유물질(SS) 및 화학적산소요구량(COD) = 14
2.3.3 영양염류(Nutrients) = 15
2.3.4 총 유기탄소(TOC) = 15
2.3.5 엽록소 a 및 식물플랑크톤 색소 = 16
2.4 퇴적물환경 = 16
2.4.1 입도 = 16
2.4.2 화학적산소요구량(COD) 및 강열감량(IL) = 16
2.4.3 산휘발성 황화물(AVS) = 16
2.4.4 총유기탄소(TOC) 및 총질소(TN) = 17
2.4.5 산소소비속도(SOD) 및 영양염 용출량 = 17
2.4.6 입자물질 침강량 = 17
2.5 저서동물 = 18
2.6 가두리 퇴적물의 유기물 분해능력 = 19
2.6.1 조사지역 및 현장조사 = 19
2.6.2 퇴적물 분석 = 20
2.6.3 퇴적물 내 미생물 군집 다양성 = 22
2.7 미량금속 = 23
2.7.1 표층 퇴적물의 미량금속 분석 = 23
2.7.2 금속원소의 오염평가 = 24
2.8 먹이물질 = 25
2.8.1 기초생산력 = 25
2.8.2 입자(유기)물질, 입자유기원소 및 생화학조성 = 26
2.8.3 HPLC를 이용한 광합성색소 = 27
2.8.4 안정동위원소 = 28
2.9 양식생물 생태 = 29
2.9.1 생물별 생태조사 = 29
2.9.2 어장별 생태조사 = 30
2.10 양식생물 생리 = 31
2.10.1 전복, 키조개 생리조사 = 31
2.10.2 어류 생리조사 = 32
2.10.3 미역, 다시마 생리조사 = 33
제3장 득량만 어장환경 실태 = 39
3.1 하천부하량 = 41
3.1.1 하천유량 = 41
3.1.2 부유물질(SS) = 42
3.1.3 화학적산소요구량(COD) = 42
3.1.4 용존무기질소(DIN) = 45
3.1.5 용존무기인(DIP) = 45
3.1.6 총질소(TN) = 48
3.1.7 총인(TP) = 48
3.1.8 총유기탄소(TOC) = 51
3.2 해양 수질 조사 = 53
3.2.1 수온, pH 및 염분 = 53
3.2.2 용존산소, 부유물질, 화학적산소요구량 및 식물플랑크톤 농도 = 54
3.2.3 유기물함량 = 65
3.2.4 영양염 = 65
3.3 해양 퇴적물 환경 = 79
3.3.1 입도 = 79
3.3.2 유기물항목 = 80
3.3.3 산휘발성황화물 = 86
3.3.4 침강·용출량 = 88
3.4 저서동물 = 92
3.4.1 대형저서동물군집 현황 = 92
3.4.2 저서다모류군집 현황 = 94
3.4.3 우점 저서다모류 현황 및 분포 = 96
3.4.4 생태지수 분석 = 100
3.4.5 군집 분석 = 102
3.5 미량금속 = 104
3.5.1 표층 퇴적물의 미량금속 = 104
3.5.2 표충 퇴적물 내 금속원소의 오염평가 = 104
3.6 먹이물질 = 106
3.6.1 기초생산력 = 106
3.6.2 이화학적 특성 = 107
3.6.3 생화학적 조성 = 110
3.6.4 광합성색소 분석 = 110
3.6.5 먹이물질 및 양식생물의 탄소 및 질소 안정동위원소 조성 = 112
3.7 양식생물 생태 = 117
3.7.1 키조개의 생태 = 117
3.7.2 새꼬막의 생태 = 129
제4장 완도도암만 어장환경 실태 = 133
4.1 하천부하량 = 135
4.1.1 하천유량 = 135
4.1.2 부유물질(SS) = 136
4.1.3 화학적산소요구량(COD) = 136
4.1.4 용존무기질소(DIN) = 139
4.1.5 용존무기인(DIP) = 139
4.1.6 총질소(TN) = 142
4.1.7 총인(TP) = 142
4.1.8 총유기탄소(TOC) = 145
4.2 해양 수질 조사 = 147
4.2.1 수온, PH 및 염분 = 147
4.2.2 용존산소, 부유물질, 화학적산소요구량 및 식물플랑크톤 농도 = 148
4.2.3 유기물함량 = 159
4.2.4 영양염 = 159
4.3 해양 퇴적물 환경 = 173
4.3..1 입도 = 173
4.3.2 유기물항목 = 174
4.3.3 산휘발성황화물(AVS) = 180
4.3.4 침강·용출량 = 182
4.4 저서동물 = 186
4.4.1 대형저서동물군집 현황 = 186
4.4.2 저서다모류군집 현황 = 188
4.4.3 우점 저서다모류 현황 및 분포 = 190
4.4.4 생태지수 분석 = 194
4.4.5 군집 분석 = 196
4.5 미량금속 = 198
4.5.1 표층 퇴적물의 미량금속 = 198
4.5.2 표층 퇴적물 내 금속원소의 오염평가 = 198
제5장 가두리양식장 어장환경 실태 = 201
5.1 수질환경 = 203
5.1.1 수온 및 염분 = 203
5.1.2 용존산소, 화학적산소요구량 및 엽록소 a 농도 = 207
5.1.3 총부유물질 및 유기물함량 = 212
5.1.4 영양염류 = 220
5.2 퇴적물환경 = 224
5.2.1 입도 = 224
5.2.2 유기물항목 = 226
5.2.3 산휘발성황화물 = 235
5.2.4 침강·용출량 = 238
5.2.5 주상퇴적물 내 유기물의 수직분포 = 250
5.3 저서동물 = 253
5.3.1 출현 종 수 = 253
5.3.2 다모류군집의 밀도 = 255
5.3.3 생태학적 지수 = 258
5.3.4 우점종의 분포양상 = 260
5.3.5 유사도 분석 = 267
5.4 미량금속 = 270
5.4.1 표층 퇴적물의 미량금속 = 270
5.4.2 주상퇴적물 내 미량금속 = 279
5.5 유기물 분해능력 = 283
5.5.1 수질환경 = 283
5.5.2 완도 양식장 = 284
5.5.3 통영 양식장 = 305
5.5.4 여수 양식장 = 319
5.5.5 결론 = 333
5.6 양식생물 생태 = 339
5.6.1 전복의 생태 = 339
5.6.2 어류의 생태 = 346
5.7 양식생물 생리 = 347
5.7.1 전복의 생리 = 347
5.7.2 어류(조피볼락)의 생태 = 349
제6장 해조류 환경생태 · 생리 = 353
6.1 해조류 환경생태 = 355
6.1.1 해조류양식 현황 및 실태 = 355
6.1.2 해조류 양식장 해황 = 367
6.1.3 해조류 성장도 = 372
6.1.4 해조류 생태조사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 385
6.1.5 제언 = 390
6.2 해조류 환경생리 = 392
6.2.1 내재적 광합성 및 호흡률 = 393
6.2.2 내재적 전자전달 효율 및 색소 함량 = 402
6.2.3 수온에 따른 해조류의 생장 = 408
6.2.4 광량과 광질에 따른 해조류의 생장 = 426
6.2.5 현장 수심별 광투과량 및 광파장 = 434
6.2.6 영양염 흡수율 = 439
제7장 어장관리해역 후보지 선정 및 어장관리법 전부개정(안) 수립 = 449
7.1 개요 = 451
7.1.1 연구 배경 및 목적 = 451
7.1.2 연구 내용 및 추진 체계 = 451
7.2 어장관리해역 후보지 선정 = 453
7.2.1 어장관리해역 후보지 선정 방법 = 453
7.2.2 어장관리해역 후보지 선정 결과 = 454
7.2.2.1 통영시 = 454
7.2.2.2 고성군 = 461
7.2.2.3 여수시 = 469
7.2.2.4 순천시 = 476
7.2.2.5 보성군 = 482
7.2.2.6 고흥군 = 489
7.3 어장관리법 전부개정(안) 수립 = 492
7.3.1 현행 어장관리법의 한계 = 492
7.3.2 어장관리법 개정 법률(안) = 493
7.4 소결 = 522
제8장 부록 = 525
8.1 득량만 조사결과 = 527
8.2 완도 · 도암만 조사결과 = 559
8.3 해조류 생태 조사결과 = 583
8.4 참고문헌 = 5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