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료유형
- 단행본
- ISBN
- 9788930315449 93330\20000
- KDC
- 331.43-5
- 청구기호
- 331.43 김813ㅅ
- 저자명
- 김철규 1961-
- 서명/저자
- (새로운) 농촌사회학 / 김철규 [외 저]
- 발행사항
- 파주 : 집문당, 2012
- 형태사항
- 373 p. : 도표 ; 25 cm
- 서지주기
-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 키워드
- 농촌사회학
- 기타저자
- 김태헌 1947-
- 기타저자
- 김흥주 1962-
- 기타저자
- 윤수종 1960-
- 기타저자
- 박민선 1957-
- 기타저자
- 송정기 1958-
- 기타저자
- 이해진 1971-
- 기타저자
- 박대식 1959-
- 기타저자
- 김종덕 1953-
- 기타저자
- 허미영
- 기타저자
- 윤병선 1959-
- 기타저자
- 한국농촌사회학회
- 가격
- \20000
- Control Number
- maf:29738
소장정보
서가번호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소장처 | 대출가능여부 | 대출정보 | |
---|---|---|---|---|---|---|
0020661 | 331.43 김813ㅅ | 농림축산식품부 자료실 | 대출가능 |
* 대출중인 자료에 한하여 예약이 가능합니다. 예약을 원하시면 예약버튼을 클릭하십시오.
008120512s2012 ggkd 001a kor
020 ▼a9788930315449▼g93330▼c\20000
056 ▼a331.43▼25
090 ▼a331.43▼b김813ㅅ
1001 ▼a김철규▼d1961-
24520▼a(새로운) 농촌사회학▼d김철규 [외 저]
260 ▼a파주▼b집문당▼c2012
300 ▼a373 p.▼b도표▼c25 cm
504 ▼a참고문헌과 색인수록
653 ▼a농촌사회학
7001 ▼a김태헌▼d1947-
7001 ▼a김흥주▼d1962-
7001 ▼a윤수종▼d1960-
7001 ▼a박민선▼d1957-
7001 ▼a송정기▼d1958-
7001 ▼a이해진▼d1971-
7001 ▼a박대식▼d1959-
7001 ▼a김종덕▼d1953-
7001 ▼a허미영
7001 ▼a윤병선▼d1959-
710 ▼a한국농촌사회학회
9500 ▼b\20000
제1장 농촌사회학이란 무엇인가 / 김철규
1. 사회학과 농촌사회학 = 14
1) 사회학이란 무엇인가? = 14
2) 농촌사회학이란 무엇인가? = 16
3) 왜 농촌에 관심을 가지는가? = 19
2. 농촌사회학의 역사와 현황 = 23
1) 농촌사회학의 역사 = 23
2) 한국농촌사회학의 역사와 현황 = 27
3. 농촌사회학의 이론적 시각 = 30
1) 구조기능주의 = 30
2) 인간생태학적 시각 = 31
3) 농업사회학적 시각 = 32
4. 농촌사회학의 전망 = 36
제2장 농촌인구의 변동과 전망 / 김태헌
1. 농촌과 인구 개념의 기초 = 42
1) 농촌인구와 농업(농가) 인구 = 42
2) 인구의 기초개념 = 43
2. 농촌인구 및 인구구조의 변화: 1960∼2010 = 46
3. 농가인구의 변화: 1980∼2010 = 50
1) 농림어가인구의 변화 = 50
2) 농가인구의 연령별 인구구조 변화 = 51
3) 농가인구의 성비 변화 = 54
4. 농가인구의 장래전망 = 56
1) 추계방법 = 56
2) 농가의 장래인구 = 57
5. 요약 및 시사점 = 60
1) 요약 = 60
2) 시사점 = 61
제3장 농촌가족의 구조와 변동 / 김흥주
1. 가족과 농촌가족 = 66
1) 가족의 이해 = 66
2) 농촌가족의 이해 = 69
2. 농가의 가족구조와 변동 = 74
1) 가구 수의 변화 = 74
2) 가구크기의 변화 = 75
3) 가족유형의 변화 = 78
3. 농가의 가족문제 = 84
1) 농가의 빈곤문제 = 84
2) 가족관계의 해체 = 87
3) 생산노동의 여성화 = 90
4) 자녀교육의 문제 = 93
4. 농가 변동의 메커니즘 = 96
1) 핵가족화론 = 96
2) 가족전략론 = 97
제4장 농촌조직의 다양성 / 윤수종
1. 농촌조직의 유형화 = 103
2. 농촌조직의 전개과정 = 105
1) 농촌공동체 = 105
2) 공동체적 조직의 해체 = 107
3) 마을 = 110
3. 생산조직의 양태 = 111
1) 기계화 이전의 노동조직들 = 111
2) 기계화와 생산조직의 변화 = 112
3) 새로운 농업생산조직들 = 113
4) 고용노동조직 = 117
5) 수리조직(수리계) = 119
6) 다양한 공동체적 실험조직들 = 121
4. 농업관련 조직 = 122
1) 품목별 생산자조직 = 122
2) 유통조직 = 124
3) 금융조직 = 125
5. 농민조직 = 126
1) 관 주도형 농민조직 = 126
2) 민간 주도형 농민조직 = 127
6. 지배통제조직 = 131
제5장 농민운동의 전개과정 / 윤수종
1. 농민운동의 의의 = 135
2. 8ㆍ15 직후 한국전쟁 시기의 농민운동 = 136
1) 8ㆍ15 직후의 자생적인 농민운동 = 136
2) 10월 항쟁과 추곡수집 반대투쟁 = 137
3) 농지개혁에서 6ㆍ25전쟁까지의 농민운동 = 138
3. 1950∼1960년대의 농촌운동 = 139
1) 1950년대 농민운동의 부재와 농촌운동 = 139
2) 1960년대 농촌운동과 맹아적 농민운동 = 141
4. 농민운동의 성장과 전농의 결성 = 142
1) 1970년대 농민운동의 전개 = 142
2) 1980년대 농민운동 = 144
3) 전농의 결성 = 147
5. 전농을 중심으로 한 농민운동 = 148
1) 1990년대 농민운동 = 148
2) 2000년대 농민운동 = 150
3) 농민단체들의 연대연합투쟁 = 153
4) 농민운동의 지역적 전개 = 155
6. 여성농민운동 = 156
7. 농민운동의 새로운 전개 = 158
제6장 농업생산과 과학기술 / 박민선
1. 과학기술과 사회 = 163
2. 농업생산의 특성과 농업기술 = 166
3. 현대 농업기술의 발달과 농업의 산업화 = 168
1) 영농기계화 = 169
2) 화학영농의 발전 = 170
3) 식품가공기술과 농업생산 = 171
4) 생물공학의 발전과 농업생산의 변화 = 173
4. 농업기술의 전파와 수용 = 180
1) 기술전파의 과정 = 180
2) 기술수용의 결과 = 182
5. 한국 농업과 기술 = 184
1) 한국농업기술의 시기 변화 = 184
2) 시기별 한국농업기술의 발전과정 = 186
6. 지속가능성과 적정기술 = 190
제7장 농촌개발과 농촌계획 / 송정기
1. 농촌개발의 개념과 접근방법 = 194
1) 농촌개발의 개념 = 194
2) 농촌개발의 범위와 원칙 = 196
3) 농촌개발의 접근방법 = 198
2. 신자유주의 발전전략과 대안적 농촌개발 및 계획 = 199
1) 신자유주의의 등장과 발전연구의 막다른 길 = 199
2) 발전패러다임의 변화와 대안적 농촌개발 및 계획 = 202
3. 한국의 농촌개발과 계획의 정책적 전개 = 205
1) 한국 농촌개발정책의 역사와 변화 = 205
2) 한국 농촌개발정책의 변화 특성 = 211
4. 한국의 농촌 정주권 개발과 공간계획 = 215
1) 농촌공간계획과 정주권 개발 = 215
2) 농촌공간을 이용한 농촌활성화방안 = 218
5. 대안적 농촌개발과 계획의 과제 = 221
제8장 농촌 지역공동체의 변화와 발전 / 이해진
1. 농촌사회와 지역공동체 = 228
1) 한국 농촌과 지역공동체의 변화 = 228
2) 농촌 지역공동체의 재발견 = 231
2. 농촌 지역공동체와 마을만들기 = 232
1) 마을만들기의 개념과 의미 = 232
2) 마을만들기의 발전과 현황 = 234
3. 농촌 지역공동체와 사회적 자본 = 237
4. 농촌 지역공동체와 리더십 = 239
1) 농촌마을 리더십의 변화와 특성 = 239
2) 농촌 마을만들기와 리더십 = 241
5. 농촌 지역공동체와 귀농ㆍ귀촌 = 243
1) 귀농ㆍ귀촌 의 개념과 의의 = 243
2) 귀농ㆍ귀촌의 변화와 특성 = 245
6. 농촌 지역공동체의 재구조화와 과제 = 251
1) 다문화 사회 = 251
2) 커뮤니티 비즈니스 = 253
3) 마을민주주의와 도농상생 = 255
제9장 농촌복지 / 박대식
1. 농촌복지란 무엇인가? = 262
2. 농촌복지가 왜 필요한가? = 264
3. 농촌주민의 생활실태와 복지욕구 = 264
1) 소득 = 264
2) 보건의료 = 266
3) 교육 = 267
4) 기초생활여건 = 268
4. 우리나라 농촌복지정책의 추진 실태와 문제점 = 270
1) 농촌복지 관련 특별법 및 정책 추진체계 = 270
2) 사회보장제도의 현황과 문제점 = 275
3) 보건의료서비스의 현황과 문제점 = 280
4) 교육서비스의 현황과 문제점 = 280
5) 기초생활여건 관련 정책의 현황과 문제점 = 281
5. 농촌복지정책 및 제도 개선방안 = 282
1) 기본방향 = 282
2) 관련 법 및 제도의 개선 = 283
3) 농촌복지 부문별 주요 정책과제 = 284
제10장 농업과 먹을거리 / 김종덕
1. 농업의 등장과 사회변화 = 296
2. 농업의 특징과 기능 = 298
3. 전통적 식량체계의 농업과 먹을거리 = 300
4. 세계식량체계의 농업과 먹을거리 = 301
5. 지역식량체계의 농업과 먹을거리 = 307
6. 우리나라 농업과 먹을거리의 현실과 과제 = 311
7. 결론 = 314
제11장 농촌과 여성 / 허미영
1. 농촌사회와 여성 = 320
1) 농촌여성과 여성농민 여성농업인 = 320
2) 농업환경의 변화와 여성의 역할 증대 = 321
2. 여성의 농업참여현황 = 322
1) 여성농업노동에 대한 이론적 쟁점 = 322
2) 농업노동실태 = 324
3) 농외노동실태 = 327
4) 여성농업인의 경영참여 = 328
5) 농업에서의 젠더이슈 = 330
3. 국제 여성정책과 성 인지적 농업정책 = 333
1) 국제 여성정책의 배경 = 333
2) 성 인지적 여성농업인 정책의 추진 = 334
4. 성 평등한 가족관계를 위한 모색 = 337
1) 가족경영협약 = 337
2) 가족경영협약의 효과 = 338
5. 여성농업인 지위향상을 위한 과제 = 341
1) 법적 지위 확보를 위한 제반 제도 개선 필요 = 341
2) 성 인지적 여성농업인 정책의 추진 = 342
제12장 한국 농업구조의 변화와 위기의 한국농업 / 윤병선
1. 농업생산력구조의 변화 = 349
1) 농지이용현황 = 350
2) 경기규모별 농가분포 = 351
3) 농가인구의 구성과 변화 = 353
4) 농업생산요소 투입량의 변화 = 354
2. 농가경제의 변화 = 356
1) 농가소득과 농업소득 = 356
2) 통업소득의 가계비 충족도 = 357
3. 농업위기의 실태 = 359
1) 농가교역조건의 악화 = 359
2) 식량자급력의 악화 = 360
3) 도농 간 소득격차의 확대 = 361
4. 맺음말: 대안의 모색 = 362
찾아보기 = 369
1. 사회학과 농촌사회학 = 14
1) 사회학이란 무엇인가? = 14
2) 농촌사회학이란 무엇인가? = 16
3) 왜 농촌에 관심을 가지는가? = 19
2. 농촌사회학의 역사와 현황 = 23
1) 농촌사회학의 역사 = 23
2) 한국농촌사회학의 역사와 현황 = 27
3. 농촌사회학의 이론적 시각 = 30
1) 구조기능주의 = 30
2) 인간생태학적 시각 = 31
3) 농업사회학적 시각 = 32
4. 농촌사회학의 전망 = 36
제2장 농촌인구의 변동과 전망 / 김태헌
1. 농촌과 인구 개념의 기초 = 42
1) 농촌인구와 농업(농가) 인구 = 42
2) 인구의 기초개념 = 43
2. 농촌인구 및 인구구조의 변화: 1960∼2010 = 46
3. 농가인구의 변화: 1980∼2010 = 50
1) 농림어가인구의 변화 = 50
2) 농가인구의 연령별 인구구조 변화 = 51
3) 농가인구의 성비 변화 = 54
4. 농가인구의 장래전망 = 56
1) 추계방법 = 56
2) 농가의 장래인구 = 57
5. 요약 및 시사점 = 60
1) 요약 = 60
2) 시사점 = 61
제3장 농촌가족의 구조와 변동 / 김흥주
1. 가족과 농촌가족 = 66
1) 가족의 이해 = 66
2) 농촌가족의 이해 = 69
2. 농가의 가족구조와 변동 = 74
1) 가구 수의 변화 = 74
2) 가구크기의 변화 = 75
3) 가족유형의 변화 = 78
3. 농가의 가족문제 = 84
1) 농가의 빈곤문제 = 84
2) 가족관계의 해체 = 87
3) 생산노동의 여성화 = 90
4) 자녀교육의 문제 = 93
4. 농가 변동의 메커니즘 = 96
1) 핵가족화론 = 96
2) 가족전략론 = 97
제4장 농촌조직의 다양성 / 윤수종
1. 농촌조직의 유형화 = 103
2. 농촌조직의 전개과정 = 105
1) 농촌공동체 = 105
2) 공동체적 조직의 해체 = 107
3) 마을 = 110
3. 생산조직의 양태 = 111
1) 기계화 이전의 노동조직들 = 111
2) 기계화와 생산조직의 변화 = 112
3) 새로운 농업생산조직들 = 113
4) 고용노동조직 = 117
5) 수리조직(수리계) = 119
6) 다양한 공동체적 실험조직들 = 121
4. 농업관련 조직 = 122
1) 품목별 생산자조직 = 122
2) 유통조직 = 124
3) 금융조직 = 125
5. 농민조직 = 126
1) 관 주도형 농민조직 = 126
2) 민간 주도형 농민조직 = 127
6. 지배통제조직 = 131
제5장 농민운동의 전개과정 / 윤수종
1. 농민운동의 의의 = 135
2. 8ㆍ15 직후 한국전쟁 시기의 농민운동 = 136
1) 8ㆍ15 직후의 자생적인 농민운동 = 136
2) 10월 항쟁과 추곡수집 반대투쟁 = 137
3) 농지개혁에서 6ㆍ25전쟁까지의 농민운동 = 138
3. 1950∼1960년대의 농촌운동 = 139
1) 1950년대 농민운동의 부재와 농촌운동 = 139
2) 1960년대 농촌운동과 맹아적 농민운동 = 141
4. 농민운동의 성장과 전농의 결성 = 142
1) 1970년대 농민운동의 전개 = 142
2) 1980년대 농민운동 = 144
3) 전농의 결성 = 147
5. 전농을 중심으로 한 농민운동 = 148
1) 1990년대 농민운동 = 148
2) 2000년대 농민운동 = 150
3) 농민단체들의 연대연합투쟁 = 153
4) 농민운동의 지역적 전개 = 155
6. 여성농민운동 = 156
7. 농민운동의 새로운 전개 = 158
제6장 농업생산과 과학기술 / 박민선
1. 과학기술과 사회 = 163
2. 농업생산의 특성과 농업기술 = 166
3. 현대 농업기술의 발달과 농업의 산업화 = 168
1) 영농기계화 = 169
2) 화학영농의 발전 = 170
3) 식품가공기술과 농업생산 = 171
4) 생물공학의 발전과 농업생산의 변화 = 173
4. 농업기술의 전파와 수용 = 180
1) 기술전파의 과정 = 180
2) 기술수용의 결과 = 182
5. 한국 농업과 기술 = 184
1) 한국농업기술의 시기 변화 = 184
2) 시기별 한국농업기술의 발전과정 = 186
6. 지속가능성과 적정기술 = 190
제7장 농촌개발과 농촌계획 / 송정기
1. 농촌개발의 개념과 접근방법 = 194
1) 농촌개발의 개념 = 194
2) 농촌개발의 범위와 원칙 = 196
3) 농촌개발의 접근방법 = 198
2. 신자유주의 발전전략과 대안적 농촌개발 및 계획 = 199
1) 신자유주의의 등장과 발전연구의 막다른 길 = 199
2) 발전패러다임의 변화와 대안적 농촌개발 및 계획 = 202
3. 한국의 농촌개발과 계획의 정책적 전개 = 205
1) 한국 농촌개발정책의 역사와 변화 = 205
2) 한국 농촌개발정책의 변화 특성 = 211
4. 한국의 농촌 정주권 개발과 공간계획 = 215
1) 농촌공간계획과 정주권 개발 = 215
2) 농촌공간을 이용한 농촌활성화방안 = 218
5. 대안적 농촌개발과 계획의 과제 = 221
제8장 농촌 지역공동체의 변화와 발전 / 이해진
1. 농촌사회와 지역공동체 = 228
1) 한국 농촌과 지역공동체의 변화 = 228
2) 농촌 지역공동체의 재발견 = 231
2. 농촌 지역공동체와 마을만들기 = 232
1) 마을만들기의 개념과 의미 = 232
2) 마을만들기의 발전과 현황 = 234
3. 농촌 지역공동체와 사회적 자본 = 237
4. 농촌 지역공동체와 리더십 = 239
1) 농촌마을 리더십의 변화와 특성 = 239
2) 농촌 마을만들기와 리더십 = 241
5. 농촌 지역공동체와 귀농ㆍ귀촌 = 243
1) 귀농ㆍ귀촌 의 개념과 의의 = 243
2) 귀농ㆍ귀촌의 변화와 특성 = 245
6. 농촌 지역공동체의 재구조화와 과제 = 251
1) 다문화 사회 = 251
2) 커뮤니티 비즈니스 = 253
3) 마을민주주의와 도농상생 = 255
제9장 농촌복지 / 박대식
1. 농촌복지란 무엇인가? = 262
2. 농촌복지가 왜 필요한가? = 264
3. 농촌주민의 생활실태와 복지욕구 = 264
1) 소득 = 264
2) 보건의료 = 266
3) 교육 = 267
4) 기초생활여건 = 268
4. 우리나라 농촌복지정책의 추진 실태와 문제점 = 270
1) 농촌복지 관련 특별법 및 정책 추진체계 = 270
2) 사회보장제도의 현황과 문제점 = 275
3) 보건의료서비스의 현황과 문제점 = 280
4) 교육서비스의 현황과 문제점 = 280
5) 기초생활여건 관련 정책의 현황과 문제점 = 281
5. 농촌복지정책 및 제도 개선방안 = 282
1) 기본방향 = 282
2) 관련 법 및 제도의 개선 = 283
3) 농촌복지 부문별 주요 정책과제 = 284
제10장 농업과 먹을거리 / 김종덕
1. 농업의 등장과 사회변화 = 296
2. 농업의 특징과 기능 = 298
3. 전통적 식량체계의 농업과 먹을거리 = 300
4. 세계식량체계의 농업과 먹을거리 = 301
5. 지역식량체계의 농업과 먹을거리 = 307
6. 우리나라 농업과 먹을거리의 현실과 과제 = 311
7. 결론 = 314
제11장 농촌과 여성 / 허미영
1. 농촌사회와 여성 = 320
1) 농촌여성과 여성농민 여성농업인 = 320
2) 농업환경의 변화와 여성의 역할 증대 = 321
2. 여성의 농업참여현황 = 322
1) 여성농업노동에 대한 이론적 쟁점 = 322
2) 농업노동실태 = 324
3) 농외노동실태 = 327
4) 여성농업인의 경영참여 = 328
5) 농업에서의 젠더이슈 = 330
3. 국제 여성정책과 성 인지적 농업정책 = 333
1) 국제 여성정책의 배경 = 333
2) 성 인지적 여성농업인 정책의 추진 = 334
4. 성 평등한 가족관계를 위한 모색 = 337
1) 가족경영협약 = 337
2) 가족경영협약의 효과 = 338
5. 여성농업인 지위향상을 위한 과제 = 341
1) 법적 지위 확보를 위한 제반 제도 개선 필요 = 341
2) 성 인지적 여성농업인 정책의 추진 = 342
제12장 한국 농업구조의 변화와 위기의 한국농업 / 윤병선
1. 농업생산력구조의 변화 = 349
1) 농지이용현황 = 350
2) 경기규모별 농가분포 = 351
3) 농가인구의 구성과 변화 = 353
4) 농업생산요소 투입량의 변화 = 354
2. 농가경제의 변화 = 356
1) 농가소득과 농업소득 = 356
2) 통업소득의 가계비 충족도 = 357
3. 농업위기의 실태 = 359
1) 농가교역조건의 악화 = 359
2) 식량자급력의 악화 = 360
3) 도농 간 소득격차의 확대 = 361
4. 맺음말: 대안의 모색 = 362
찾아보기 = 369